심장제세동기 설치 의무화 법률안 - simjangjesedong-gi seolchi uimuhwa beoblyul-an

심정지 응급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높여주는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 확대를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심장제세동기 설치 의무화 법률안 - simjangjesedong-gi seolchi uimuhwa beoblyul-an

자유한국당 김명연 의원(안산시 단원구갑, 보건복지위)은 11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현행법은 각종 다중이용시설, 일정 규모 이상 공동주택은 자동심장충격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대형마트, 백화점, 전통시장과 소규모 공동주택은 의무설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개정안은 다중이용시설과 함께 공동주택 기준도 500세대 이상에서 150세대 이상으로 개정해 적용범위를 확대했다.

앞서 김명연 의원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의무설치 적정시설 및 시설별 적정대수에 관한 연구를 수립 시행하도록 하여 현행 기준 단 한 대만으로도 법적기준을 충족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했다.

김명연 의원은 "국내 심정지 환자 생존율을 선진국 수준인 10%대로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고령인구 증가 등 인구구조가 변화하고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의 효과적 보급을 위해 의무설치 범위 확대 시설별 적정대수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심정지 환자 생존율은 2017년 기준 5%에 불과한 반면 2016년 기준 영국 13%, 미국 12%, 일본 10.8% 등 선진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은 지난 18일 일정 규모 이상의 노인복지시설에 자동심장충격기(AED) 등 응급장비 설치를 의무화하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 했다.

현행법상 자동심장충격기 등 응급장비를 갖춰야하는 시설은 ▲공공보건의료기관 ▲구급대·의료기관에서 운용 중인 구급차 ▲여객 항공기·공항 ▲철도차량 중 객차 ▲20t 이상 선박 ▲공동주택 등으로 규정돼 있다.

반면, 노인이 주로 생활하는 공간인 노인복지시설은 의무설치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소방청이 발표한 ‘제9차 급성심장정지조사’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심정지 발생사례의 51.5%가 70세 이상에서 나타났다.

또한 ‘2016~2018년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에 따르면,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7.4%였으나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시 생존율이 44.1%로 크게 늘어나는 수치를 보였다.

개정안에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노인복지시설에도 응급장비를 갖추도록 해, 노인에 대한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도록 했다.

이종성 의원은 “갑작스럽게 심장이 멈출 가능성이 높은 고령자들이 주로 생활하는 곳에, 자동심장충격기 등의 장비가 없으면 응급상황 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며 “개정안 통과로 노인의 생활환경이 더욱 안전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HOME > �����ϴ� ���� > �����Ƿ�

�����ϴ� ����

�±����� ���Ҿ� �ູ�� ��ȸ
�� ���� ���� ������ ���Ǻ�����㼾�Ͱ� �����а� �Բ� �մϴ�


�����Ƿ�

�����Ƿ� ����
����500���밡 �Ѵ� ���������� �ڵ�������ݱ� �� ����һ����� �� �� �ִ� ������� ��ġ�ؾ� �Ѵٰ� �ϴµ�, �� �븦 ��ġ�ؾ� �ϳ���?.
�о�����������å �ۼ���20220524 ��ȸ��1677
심장제세동기 설치 의무화 법률안 - simjangjesedong-gi seolchi uimuhwa beoblyul-an
500���밡 �Ѵ� ���������� �ڵ�������ݱ� �� ����һ����� �� �� �ִ� ������� ��ġ�ؾ� �Ѵٰ� �ϴµ�, �� �븦 ��ġ�ؾ� �ϳ���?.
심장제세동기 설치 의무화 법률안 - simjangjesedong-gi seolchi uimuhwa beoblyul-an
�����Ƿῡ ���� ���� ��47����2 �� ���� ����� ��26����4���� �ڵ�������ݱ� �����ǹ������ �����ϰ� ������, 500�����̻��� ���������� �ڵ�������ݱ� �����ǹ������ �ش�˴ϴ�.

�����ǹ������ �ڵ�������ݱ� ��ġ����� ���ؼ��� ���ɿ� ������ �����ϰ� ���� ������, �ּ� 1�븦 ��ġ�Ͻõ� �ü��� ������ �����Ͽ� �߰� ��ġ�� �Ͻø� �� ���Դϴ�.
(* �ڵ�������ݱ� ��ġ �� ������ħ������ ���� ����� �ǹ��� ���� ������ �и��Ǿ� ���� ��� ������ 1�뾿 ��ġ�ϴ� ���� ����)

�ڵ�������ݱ� ��ġ �� ������ ���� �������� ������ ‘2020�� �ڵ�������ݱ� ��ġ �� ���� ��ħ(��5��)’�� �����Ͻø� �˴ϴ�.
(* ���Ǻ����� Ȩ������>����>����>�Ʒ�/����/����/��ħ���� Ȯ���Ͻ� �� �ֽ��ϴ�)

�� �ڼ��� ������ ���Ǻ�����㼾��(�������� 129)�� �����ֽñ� �ٶ��ϴ�.


자동심장충격기 없는곳 수두룩… 공동주택이 위험하다

  • 기자명 안시현
  • 입력 2022.08.22 20:55
  • 수정 2022.08.23 08:55
  • 댓글 0

AED 의무화 11년 그후
500세대 이상 설치 의무화에도 불구
설치 의무대상 전국 773만 세대 등
1만2천448대 설치… 과태료도 말뿐
12월엔 300인 이상 사업장도 시행

심장제세동기 설치 의무화 법률안 - simjangjesedong-gi seolchi uimuhwa beoblyul-an
22일 오후 수원시 팔달구 월드메르디앙 아파트에 설치된 자동심장충격기의 모습. 안시현기자

정부가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응급장비 구비 의무를 확대해 나가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정작 11년 전부터 적용되고 있는 공동주택에서는 여전히 정책이 겉돌고 있다.

심지어 4년 전 미이행 시설에 대한 과태료 부과 의무가 신설됐음에도 일부 지자체에서는 과태료마저도 부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2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지난 2011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가 의무화됐다.

이어 2018년부터는 미이행 시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의무 설치기관에 대한 관리를 강화했다.

이에 따라 의무 설치기관인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한 대 이상의 AED를 설치하고 시·군에 신고해야 하며 월 1회씩 점검해 보고해야 한다.

그러나 10년 넘게 지난 아직까지도 다수의 공동주택에 AED가 설치돼 있지 않고 과태료마저 부과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 내 한 시 관계자는 "새로 생기는 공동주택의 경우 안내하지 않아도 먼저 설치, 신고해 대부분 지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미설치된 공동주택을 일일이 조사할 수 없어 지금까지 과태료는 부과한 적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설치, 신고, 관리 모두 해당 공동주택에서 담당하는 탓에 해당 내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AED 설치 의무 대상인 전국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약 773만 세대 중 AED 설치 건 수는 1만2천448대에 그친다.

이같은 상황에 일부 시민들 사이에서는 거주하는 공동주택 내 AED가 설치만 돼 있어도 안도감을 느끼고 반면 설치가 안 돼있는 경우 설치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에 더해 오는 12월부터는 법 재개정으로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 사업장에도 구비 의무가 시행될 예정이라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안전과 응급의료체계 개선 등을 위해 다중이용시설은 의무 설치기관으로 지정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미 시행된 지 10년 넘게 지나 미설치된 곳은 인지 부족으로 설치가 안 된 것 같다"며 "시·군에서 매년 점검할 때 미설치한 곳도 파악해 안내하고 과태료 부과도 함께 하고 있다"고 했다.

안시현기자

심장제세동기 설치 의무화 법률안 - simjangjesedong-gi seolchi uimuhwa beoblyul-an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그인하면 내지역 뉴스와 원본 지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