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놀로지 파일 공유 - si nolloji pail gong-yu

시 놀로지 파일 공유 - si nolloji pail gong-yu

시놀로지에 저장된 파일을 링크 형태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우선 제어판 – 외부 엑세스의 고급 탭에서 공유 링크에서 사용할 도메인 주소를 작성합니다. 해당 시놀로지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 도메인을 그대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만일 도메인이 없을 경우에 공란으로 비워도 무관합니다만 기본값으로 내부 IP에 설정이 되어 있어 차후 공유 링크를 생성할때 IP를 외부로 수정해야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합니다.

도메인에 대한 설정이 끝났으면 권한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시 놀로지 파일 공유 - si nolloji pail gong-yu

파일 스테이션을 실행 후 설정에 들어가면 공유 링크를 이용할수 있는 권한 설정을 할수 있습니다. 또한 QuickConnect를 이용시 HTTPS 프로토콜을 통한 링크를 지원합니다. 단순한 파일 링크에 HTTPS가 필요할지는 모르겠지만 공유 링크 옵션에서 패스워드를 지정했을때 보안에 유리합니다.

시 놀로지 파일 공유 - si nolloji pail gong-yu

시 놀로지 파일 공유 - si nolloji pail gong-yu

권한 설정을 확인했으면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공유 링크를 원하는 파일을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파일 링크 공유를 선택하면 해당 파일의 외부 링크 주소가 생성됩니다.

이때 옵션으로 시놀로지의 특정 그룹/사용자에게만 링크를 허용할수 있고 외부의 공개 공유일 경우 패스워드를 지정할수도 있습니다. 또한 링크의 유효 기간도 정할수 있어 제한적인 공유가 가능합니다.

시 놀로지 파일 공유 - si nolloji pail gong-yu

생성한 공유 링크는 파일 스테이션의 도구 – 공유 링크 관리자를 통해 관리가 가능합니다.

시 놀로지 파일 공유 - si nolloji pail gong-yu

공유 링크를 생성한 사용자와 해당 파일, 만료일을 확인할수 있으며 만일 공유 링크의 옵션을 수정하고 싶을 경우 편집을 이용해 수정할수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 시놀로지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쉽게 공유할수 있고 앞서 소개했던 시놀로지 NAS 패키지 브라우저 독립실행과 연계해서 사용하면 완벽한 웹하드의 형태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시놀로지 나스 기본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완벽한 설정은 아니겠지만, 사용하면서 추후 필요한 설정은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나스는 인터넷에 연결된 외장하드, 즉 클라우드와 같은 개념입니다.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클라우드와 같이 언제 어디서나 파일을 자유자재로 업로드/다운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처음으로 나스를 사용하려고 하였더니, 폴더를 어떻게 생성하는가가 궁금하였습니다. 폴더를 만들어야지 여기에 제가 가진 자료를 옮길 수 있겠죠?

공유 폴더 설정

시놀로지는 공유폴더 와 폴더의 두가지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유폴더는 시놀로지 나스의 루트 폴더라고 합니다. 즉, 가장 상위의 폴더 개념이고,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C:\, D:\ 와 같은 드라이브 개념입니다. 공유 폴더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근 권한을 사용자 혹은 그룹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폴더는 그냥 윈도우 폴더와 같은 개념입니다. 폴더는 언제나 생성하고 이동할 수 있지만, 공유 폴더는 삭제는 가능하지만, 그 자체를 공유폴더 하위폴더로 이동은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먼저 공유폴더를 관리 생성하려면, 제어판 ▶ 공유 폴더로 이동합니다. 

각자의 용도에 맞게 다양한 공유폴더를 세팅합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docker/music/plex/video/web 공유 폴더는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직접 세팅해보시거나, 아래 화면을 보시면 이해가 빨리 되실 겁니다. 

시 놀로지 파일 공유 - si nolloji pail gong-yu

공유 폴더 관리화면에서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생성/복제 드랍다운 메뉴가 나타나는데 생성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새공유 폴더 생성화면이 나타납니다. 원하는 이름을 작성하고, 원하는 볼륨 위치를 선택합니다. 휴지통은 활성화를 할 것인지, 안할것인지 선택합니다. 또한 이 공유 폴더를 암호화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 고급탭을 클릭하면, 공유폴더의 할당 용량을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볼륨의 전체 용량을 할당할 수도 있고, 일부를 할당할 수도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하드 드라이브를 C와 D로 나누는 것과도 같습니다. 

권한 탭을 열면, 현재 선택한 공유폴더의 사용자/그룹 권한을 확인/할당할 수 있습니다. admin/guest는 아무런 설정이 없어도 생성됩니다. 나머지는 관리자 혹은 프로그램 설치에 의해 생성됩니다. 읽기/쓰기/접근금지/사용자 지정등의 폴더 권한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고급권한 메뉴는 해당 폴더의 세부 공유 기능을 설정합니다. 디렉토리 검색 비활성화/기존 파일 수정 비활성화/파일 다운로드 비활성화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공유폴더 검색이 안되게 하거나, 기존의 파일수정을 못하게 하거나,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없게 합니다. 직접 해보시면 이해가 빠르실텐데 저같은 경우는 위의 옵션을 활용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아래의 고급 공유 권한도 잘 사용하지 않는 옵션이니, 원하는 유저만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음 탭의 NFS 권한은 나중에 필요한 사용자만 사용하셔도 될 것같습니다. 파일 공유 방법인데, 저는 NFS 서비스를 활성화하지 않아서, 이용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이렇게 공유 파일을 완성하면, 다음으로 파일 스테이션을 이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유 폴더 삭제는 파일 스테이션에서는 안되더라구요. 제어판-> 공유 폴더에서 삭제 가능합니다. 


File Station 파일 스테이션 사용방법

공유 폴더 설정이 완료되면, 이제는 윈도우 컴퓨터 파일 탐색하듯이 이용하시면 됩니다. 파일 스테이션 사용법이 어렵지 않더라구요. 선택은 마우스 왼쪽버튼, 추가 기능을 이용하려면 마우스 우측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파일을 삭제하시려면 Delete!!! 모든게 윈도우 탐색기와 비슷합니다. 

파일의 재생, 업로드/다운로드, 폴더 생성, 아카이브에 추가, 파일 압축하기, 복사 및 이동, 잘라내기, 삭제, 이름 바꾸기, 바로가기 만들기, 속성, 공유하기, 파일 요청 생성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잇습니다. 

일단 파일을 우클릭하여 다음과 같은 메뉴를 통해 쉽게 파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업로드를 클릭하여, 현재 내컴퓨터의 파일을 선택하여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속도가 매우 느린점은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ftp 파일 이동을 추천드립니다. 추후 설정방법은 포스팅하겠습니다. 

생성탭을 클릭하면, 폴더생성/ 새 공유 폴더 생성 두 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선택하고 작업 탭을 누르면, 마우스 우클릭한 것과 같은 작업이 됩니다. 

도구 항목은 다양한 원격 연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드랍박스/구글드라이브/원드라이브 등과로 연결이 가능하네요. 

설정 항목은 다양한 탭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Default 설정을 사용합니다. 그래도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할만한 탭은 공유링크 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공유할 일이 종종 잇을 것입니다. 파일 공유를 사용자별로 권한을 줄수도 있고, 링크 다운로스 수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웹 탐색기를 이용하여도 되지만, 이용할 때마다 로그인을 해야하니 번거롭죠? 그리고 웹 탐색기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나스간의 파일을 옮길때 상당한 시간이 걸리더라구요. 이 점은 정말 주의해야할 것 같습니다. 나스의 하드간 이동은 웹탐색기에서 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윈도우/맥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웹탐색기 로그인 없이도 파일 이동/복사하는 방법은 추후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휴대폰 DS file 어플을 이용해서도 파일 관리를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시놀로지 나스의 파일 공유 폴더 및 폴더, 파일 탐색기 사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을 하였습니다. 아주 쉬운 개념이니깐 한번만 이용해보시면 금방 이해하실 겁니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