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파일 위치 - seutim pail wichi

오랜만에 메인 드라이브를 포맷을 했는데요, 게임 유저로서 한가지 슬픈 것이 있다면 자주 하는 포맷에 비해서 스팀, Steam 을 매번 깔아줘야 하는데요. 스팀을 깔때마다 라이브러리에 설치된 게임를 볼 수가 없죠.

분명 이미 하드디스크에 설치가 되어 있으나, 스팀에서는 프로그램을 새로 설치하여 아직 SteamLibrary 폴더를 새로이 잡아주지 못해서 다양한 게임들이 설치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새로 게임을 다운 받으면 c:\프로그램파일\SteamLibrary  이라는 경로로 게임을 다운로드 받는데요.

고용량의 게임을 새로이 다운받아 플레이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입니다.

만약 C:\ 가 아닌 다른 드라이브에 SteamLibrary 와 게임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게임이 설치된 경로를 재활용, 폴더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게임을 다운로드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죠.

스팀 Steam, 이미 설치된 게임 폴더경로로 추가하기

GTA5 게임을 대표적인 예로 들도록 하겠습니다.

스팀 게임을 막 설치하고 나면, 게임 목록이 있는 라이브러리를 확인했을때 어떤한 게임도 설치되어 있지 않는 걸 볼 수 있는데요.

스팀 파일 위치 - seutim pail wichi

하지만 이미 다른 드라이브의 L:\SteamLibrary 에 정상적으로 지난번에 깔아둔 GTA5 폴더를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GTA5 의 경우 최근 패치로 인해 70Gb 를 넘는 용량을 가지고 있기에 새로 다운받는 것 역시 매우 고된 일이죠.
시간도 오래걸리구요.

우선 스팀 프로그램의 상단, Steam 을 클릭 - 설정을 눌러줍니다. 

설정 폴더가 뜨면, 좌측에서 다운로드 를 클릭 - 우측 상단의 콘텐츠 라이브러리, Steam 라이브러리 폴더  버튼을 눌러줍니다.

컨텐츠 라이브러리 에 대한 설명을 보면 여러 드라이브에 분산된 콘텐츠 저장위치를 관리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드라이브에 설치된 게임들을 직접 수동으로 불러와서 스팀 프로그램에서 각각 다른 경로에 설치된 프로그램, 게임들을 불러와서 스팀 프로그램에게 인식시키는 과정이라고 생각을 하면 되겠습니다

기본 경로는 C:\ 드라이브의 프로그램파일 폴더 - 스팀입니다. 

좌측 하단의 라이브러리 폴더 추가 를 클릭해 줍니다

하지만 C:\ 를 SSD 로 사용하여 부팅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다 대부분이고,
메인드라이브에 대용량의 게임을 설치하시는 분은 많이 없으실텐데요.

 L:\ 드라이브에 설치되어 있던 스팀 라이브러리 폴더를 선택, 스팀 라이브러리 폴더를 수동으로 인식시켜줬습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설치됨 카운트가 증가하면서 L:\SteamLibrary 폴더를 인식하여

L:\ 드라이브 설치되어 있던 GTA5를 정상적으로 불러오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게임목록 리스트, 라이브러리 확인하면

GTA5 를 다운로드 하지않고도 기존에 GTA5를 설치해 둔 L:\SteamLibrary 폴더를 추가 한 것만으로

Steam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게임을 추가 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에 올린 한글 패치 자료들의 설명들은 

되도록이면 통일된 방식으로, 그리고 스팀에 맞게 글을 쓰고 있다.

보통 스팀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C:\Program Files (x86)\Steam 경로로 설치된다.

하지만 하드디스크 용량 문제, 기타 파일들 정리 등등 여러 이유로 경로를 변경하여 설치하는 사람들도 많다.

한글 패치 설명을 보면 "스팀의 OOO 폴더로 복사하면 된다." 로 적어놓았는데

만약 자신이 게임을 어디다 설치했는지 잊어버렸을 경우, 아래 설명대로 진행하길 바란다.

1. 한글 패치 설명을 보면

   "첨부 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풀면 data 폴더가 나온다." 

   "이것을 스팀의 게임 폴더로 복사하면 된다."

  대충 이런 식으로 설치법을 적어두었다.

  한글 패치 파일을 받아서 임의의 경로에 압축을 푼다.

2. 이제 게임 폴더로 이동해야 한다.

   스팀 라이브러리에서 한글 패치를 설치할 게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관리" => "로컬 파일 보기" 순서로 들어간다.

3. 폴더 창이 뜬다. 이곳이 바로 자신이 설치한 게임 폴더이다.

   이곳에 복사하라는 한글 패치 파일을 넣으면 끝이다.

   같은 파일이 존재하여 덮어씌울 것인지를 묻는 창이 뜨면, "예"를 클릭하여 모두 덮어씌운다.

이번에 몬스터헌터 하면서 모드를 추가하려고 하다가 로컬폴더에 넣어햐하는데,

어딨는지 몰라서 조금 헤맸음. 그래서 어딨는지 찾기 어려울때 쉽게 찾는법 알려줌

기본적으로 게임폴더의 위치는 자신이 설치한 스팀경로에 있다

예를들어 나같은경우는 아래와 같은 위치에 설치했었음

D:\game\Steam\steamapps\common\원하는 게임이름

근데 이건 나의 경우고, 자신이 어디에 설치했는지 모를경우 쉽게 찾는방법을 알려줄거임 (겁나 간단함)

스팀 클라이언트를 실행해서 원하는 게임을 선택하고 아래처럼 설정버튼 -> 관리 -> 로컬파일보기 누르면

스팀 파일 위치 - seutim pail wichi

아래와 같이 해당게임이 위치한 폴더가 자동으로 열린다.

스팀 파일 위치 - seutim pail wi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