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클러헤드 반경 - seupeulingkeulleohedeu bangyeong

헤드살수반경이 어떻게 되나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 작성일08-03-19 17:23 조회14,398회 댓글3건

  • 이전글
  • 다음글
  • 수정
  • 삭제
  • 목록

본문

안녕하세요.
질문이 광범위한가요?
종류별 살수반경이 궁금합니다.

상향식과 하향식 헤드 :
조기반응형헤드 :
일반헤드 :
간이스프링클러헤드:
지하주차장설치헤드:
실내설치헤드: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황정기님의 댓글황정기 작성일 08-03-28 11:37

답변 감사드립니다.
열공하겠습니다

  • 답변
  • 삭제
김일영님의 댓글김일영 작성일 08-03-19 20:21

지하주차장은 아파트의 부속용도라 하더라도 아파트의 3.2m가 아닌 내화구조(철근콘크리트)의 주차용도이므로 2.3m를 적용합니다. 기타 사무실은 2.3m(내화구조)

  • 답변
김일영님의 댓글김일영 작성일 08-03-19 20:19

어느 용도에 쓰느냐에 따라 살수 반경을 결정합니다.
사용용도가 결정되면 화재하중이 결정되죠.

즉 실내의 주 사용 용도에 따라서 아파트는 3.2m 내화구조는 2.3m 그밖에는 2.1m
등 화재안전기준에 보면 나아 잇습니다.

  • 답변

댓글쓰기

이름 필수비밀번호 필수비밀글사용자동등록방지자동등록방지

스프링클러헤드 반경 - seupeulingkeulleohedeu bangyeong

▲ 이택구 소방기술사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선정에 있어 ‘수평거리’라는 용어 대신 ‘유효반경’이라는 용어를 이제는 헷갈리지도 않고 너무 자연스럽게 사용한다.


심지어 현장에서는 유효(살수)반경의 의미를 헤드 설치간격으로 해석하고 있고 r=2.6 헤드만 고집한다. 기존 헤드(r=2.3) 설치하는 것 보다 공사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된 이유에는 소방청이 화재안전기준에 명시된 ‘공동주택의 수평거리 3.2m 이하’를 ‘스프링클러형식승인기준 및 제품검사 기준의 유효반경’의 것으로 형식을 받은 스프링클러를 사용하도록 제정해 ’수평거리에 대한 의미’를 오해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원천적인 기술을 확보한 국제적인 기준이 아닌 일본 기준을 도입하다 보니 꼬이게 된 것이다.


선진국의 경우 화재 위험등급을 정해놓고 방수밀도를 높이고 줄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일본은 표준형 헤드로만 방수하다 보니 가연물이 많은 위험한 장소일수록 ‘수평거리’란 용어로 배치 간격을 줄여 방수밀도를 높인다.


살수분포와 관련된 국제적인 시험기준에서는 실제 살수반경으로 하는 시험은 전혀 없다. 대신 일정한 살수패턴과 최소 방수밀도를 요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형식승인 기술기준 시험에서 실제 살수반경과 전혀 관련이 없는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스프링클러형식승인기준 및 제품검사의 기준의 제15조’를 살펴보면 전 방수량의 60% 이상이 헤드의 축심 반경으로 r=2.3은 반경 300cm,  r=2.6은 반경 330cm의 범위 내에 살수되고 동심원상의 채수통의 채수량 차가 적으면 된다.


중요한 것은 이 시험은 바닥이 아니라 헤드 아래로부터 1.2m 높이 기준에서 3m 반경 내에 방수량이 100%도 아니고 60% 이상만 방수되고 40% 미만은 반경 밖으로 벗어나도 되기 때문에 살수반경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결국 우리나라와 일본만이 규정하는 r=2.3과 r=2.6은 의미가 없고 말장난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제 기준에서는 헤드 아래로부터 1.2m 높이 기준에서 2.4m 반경 안에 대부분이 방수되는 기준으로 살수패턴과 방수밀도를 중시한다.


특히 안타까운 사실은 우리나라는 위험 장소별 배치 간격 개념의 수평거리를 헤드간 설치간격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은 공동주택에 유효반경 r=2.3, r=2.6을 등장시켜 더욱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그동안 스프링클러설비가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최고의 설비라고 믿고 있는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수준 낮은 우리의 기준을 하루빨리 개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택구 소방기술사

최근 공동주택에 발생한 하자보수에 갈음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에서 '스프링클러 살수반경 미달항목' 이 문제되어 양 측이 다투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일부 감정인들이 스프링클러 헤드에 표기된 r2.3, r2.6의 해석을 오인함으로써 원고의 신청에 따라 그대로 하자보수비를 산정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2. 스프링클러 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및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스프링클러 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제10조(헤드)에 의하면, 헤드 설치거리는 3.2m 이하(형식인증의 유효살수반경)로 규정되어 있고,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준 제15조에 의하면, 전방수량의 60퍼센트 이상이 헤드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00cm(r2.3의 것에 한한다) 또는 반경 330cm(r2.6의 것에 한한다)의 범위 내에 살수되고 또한 동심원상의 각 채수통의 채수량의 차가 적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3. 문제점

그런데, 국내에 제작, 유통되는 제품은 r2.3, r2.6에 한하고 스프링클러 헤드에 기재된 r2.3, r2.6의 표기는 검정시험높이 1.2m를 기준으로 했을 때 유효살수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 아파트의 평균 층고가 2.6m임을 감안하면 1.2m보다 유효살수반경이 넓어지게 되는바 설계도서에 표기된 스프링클러 헤드 간격은 위와 같은 점을 반영하여 결정된 것이다. 즉, 위 각 제품들로 시공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스프링클러 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부합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클러 살수 반경 미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제품에 기재된 표기로 결정할 것이 아니라, 채수량, 반자높이,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간격 등을 모두 고려하여 살수범위에 배제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밝혀야 하는 것임에도 일부 감정인들은 위와 같은 요소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r2.3, r2.6이 표기된 제품으로는 유효살수반경에 미달한다고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4. 일부 판례의 태도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 8. 12. 선고 2014가합51706 판결은 "이 사건 아파트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는 r2.3 제품인데, 이는 1.2m 높이에서의 스프링클러 유효살수반경이 2.3m라는 의미로 보이고 실제 이 사건 아파트 각 세대에는 2.4m 높이의 천장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점, 2.4m 높이에서 살수하는 경우 살수반경이 2.3m를 넘을 것으로 보이는 점" 등을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배척함으로써 유효살수반경은 해당 아파트의 반자높이를 고려하여 하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함을 명백히 하였다.

5. 결론

결국, 스프링클러 헤드에 r2.3, r2.6이라 표기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는 검정 시험높이 1.2m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실제로 해당 아파트의 스프링클러 살수반경이 미달하는지 여부는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에 해당아파트의 층고를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인바, 단순히 스프링클러 헤드의 표기(r2.3, r2.6)만으로 해당 아파트의 유효살수반경이 미달한다고 단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할 것이다.

�齺����Ŭ����带 ��ġ�ϴ� õ�塤 ���ڡ� õ���� ���ڻ��̡� ��Ʈ�� ���� ���� �� �κ����κ��� �ϳ��� ������Ŭ���������� ����Ÿ��� ���� ��ȣ�� ���� �Ͽ��� �Ѵ�. <���� 93.11.11, 95.5.27>

  1. ����Ρ��� ��ǥ 4�� Ư���������� ���� �Ǵ� ����ϴ� ��ҿ� �־�� 1.7 m ����
  2. ��ũ��â���� �־�� 2.5m ����
  3. ����Ʈ�� �־�� 3.2m ����
  4. ��1ȣ ���� ��3ȣ ���� �ҹ��󹰿� �־�� 2.1m ����(��ȭ������ �� ��쿡�� 2.3m ����)

�깫��� �Ǵ� ������ ����� �ִ� �����ο� �־�� ������ ������Ŭ����带 ��ġ�Ͽ��� �Ѵ�. <���� 84.8.16 �����η� 419>

������� ������Ŭ������ �� ��ġ����� ���� �ְ� �����µ��� ���� ����ǥ �� ���� ǥ�ÿµ��� ������ ��ġ�Ͽ��� �Ѵ�.
�ٸ�, ���̰� 4m�̻��� ���� �� â��(��ũ��â���� �����Ѵ�)�� ��ġ�ϴ� ������Ŭ������ �� ��ġ����� �����ְ� �����µ��� ������� ǥ�ÿµ� ���� 121�� �̻��� ������ �� �� �ִ�.

<���� 95.5.27> <���� 1998.5.12 ������ġ�η� ��6ȣ>

��ġ����� �ְ� �����µ�

ǥ �� �� ��

���� 39���̸�

���� 79���̸�

���� 39�� �̻� ���� 64���̸�

���� 79�� �̻� ���� 121���̸�

���� 64�� �̻� ���� 106���̸�

���� 121�� �̻� ���� 162���̸�

���� 106�� �̻�

���� 162�� �̻�

�콺����Ŭ������ ���� ��ȣ�� ����� ���Ͽ� ��ġ�Ͽ��� �Ѵ�.

<���� 84.8.16 �����η�419, 93.11.11>

  1. ����� ���ص��� �ƴ��ϵ��� ������Ŭ�����κ��� �ݰ� 60�� �̻��� ������ ������ ��.
    �ٸ�, ���� ������Ŭ����尣�� ������ 10���� �Ѵ�.<���� 1998.5.12 ������ġ�η� ��6ȣ>
  2. ������Ŭ������ �� ������(���������� ��쿡�� �� ����� ������� õ �������� �Ǵ� �̿� ����� ���� ���Ѵ�. ���� ����)���� �Ÿ��� 30�� ���Ϸ� �� ��.
    �ٸ�, õ�������ڡ����� ���� �ҿ����� �� ��쿡�� 45�� ���Ϸ� �� �� �ִ�.
  3. ������డ �� �����ⱸ �� ����� �����ϴ� ���� �ִ� ��쿡�� ��2ȣ�� ������ �ұ��ϰ� �׷κ��� ������ 30�� �̻��� �Ÿ��� �� ��
  4. ������Ŭ������� �ݻ����� �� ������� �����ϰ� ��ġ�� ��. �ٸ�, ������ ��� �Ǵ� ��6ȣ�� ������ ���Ͽ� ������ ����� �ִ� �����ο� ��ġ�ϴ� ������Ŭ������� ��쿡�� �׷����� �ƴ��ϴ�.
  5. õ���� ���Ⱑ 10����1�� �ʰ��ϴ� ��쿡�� �������� õ���� ����� �����ϰ� ��ġ�ϰ�, ������Ŭ������ ���� ������ 1�� ���ؿ� �����ϰ� ��ġ�� ��<���� 1998.5.12 ������ġ�η� ��6ȣ>

    ��. õ���� �ֻ�ο� ������Ŭ����带 ��ġ�ϴ� ��쿡�� �ֻ�ο� ��ġ�ϴ� ������Ŭ������� �ݻ����� �������� ��ġ�� ��<�ż� 1998.5.12 ������ġ�η� ��6ȣ>

    ��. õ���� �ֻ�θ� �߽����� �������� ���� ���ֺ��� ��ġ�ϴ� ��쿡�� �ֻ���� ������ ��ȣ���� �Ÿ��� ���������� ������Ŭ����� ��ȣ���� �Ÿ��� 2���� 1 ����(�ּ� 1m �̻��� �Ǿ�� �Ѵ�)�� �ǰ� ������Ŭ����带 ��ġ�ϰ�, �������� �ֻ�ο� ��ġ�ϴ� ������Ŭ������ õ���� �ֻ�ηκ����� �����Ÿ��� 90�� ���ϰ� �ǵ��� �� ��. �鳯����, �ձ����� ��Ÿ �̿� ������ ������ ��쿡�� �̿� ���Ѵ�.<�ż� 1998.5.12 ������ġ�η� ��6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