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 용종 차이 - seonjong yongjong chai

위선종은 위 점막에 이형성, 즉 이상 변성(종양화 변화)이 생긴 경우를 말한다. 위선종은 위암의 전 단계로 취급되기도 하는데, 적게는 8%에서 많게는 59%까지 위암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모든 위선종이 위암으로 변화하는 것은 아니므로 크기와 모양에 따라서 치료를 결정하게 된다.

선종 용종 차이 - seonjong yongjong chai
위 관찰

위선종, 건강검진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 많아

위선종의 특이한 증상은 없으며 시경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로 건강검진을 통한 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또는 위 조영 촬영 시 용종이 의심되어 내시경을 시행 후 발견되기도 한다. 위 내시경은 선종을 보면서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고 또한 제거도 가능하므로 추천되는 검사이다.

많은 경우에서 내시경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병변의 크기와 위치, 동반된 암의 침범 정도에 따라 용종절제술, 점막절제술, 점막하박리법 등으로 치료한다. 이러한 방법 모두 치료 후 출혈, 천공 등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대개 입원 치료가 필요하나 작은 경우에는 외래에서 시행할 수 도 있다.

입원기간은 대개 3~5일 정도로 절제 후 조직 검사에서 ▷이미 미분화암으로 진행했거나 ▷암의침윤 깊이가 깊거나 ▷혈관 또는 림프관을 침범했거나 ▷잔존 암이 있을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위선종과 위용종의 차이는 무엇일까?

위용종은 위 점막이 비정상적으로 자라 내강으로 돌출되는 모든 융기성 병변을 칭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 상피 세포에서 기원하여 샘종을 거쳐서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신생물성 용종을 선종이라고 한다. 위용종 중 증식성 용종은 샘종에 비하여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확률이 낮다.

위선종은 위암의 전구병변으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위암으로 진행할 위험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제거를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위선종의 이형성 정도와 위선종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치료 방침이 달라질 수 있어 전문의와의 진료를 통해 치료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위선종이 생기는 많은 원인 중에 위염의 역할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선종을 제거하더라도 위의 다른 부위에서 또 다른 선종이나 암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검사 주기는 환자의 위험도에 따라서 조금씩 달리 해야 하지만, 1~2년 간격으로 위 내시경 검사를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자료 = 대한소화기학회>

대장선종이란 대장점막의 일부가 과증식하여 생기는 일종의 혹으로 융기형과 평탄형, 함몰형이 있으며 대부분의 대장암은 선종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장선종이 암으로 진행되는데는 대략 10~15년 정도 소요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대장선종과 용종의 차이는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대장선종 증상


대장선종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대장 안의 내용물과 맞닿는 대장점막의 상피층이 자라나 작은 사마귀나 혹처럼 생긴 병변을 용종이라고 하는데, 용종의 절반 정도는 조직검사에서 대장선종으로 확인된다고 합니다. 

대장선종은 대장암으로 자라나는 전단계 암병변이라고 합니다. 조직검사 상 대장선종으로 확인될 수 있는 용정의 경우라도 대개 증상은 없고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랍니다.  



대장선종 치료


그렇다면 대장선종에 대한 치료방법은 무엇일까? 대장선종 치료란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되는 선종을 제거하는 것인데, 내시경적 용종절제술을 시행하는 겁니다. 대장내시경으로 대장선종을 발견하고 제거치료한 후 대장의 다른 부위에도 선종이 나타날 가능성을 고려하여 추적검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합니다. 

대장선종이 다른 부위에 발생할 확률은 추적검사의 간격에 따라서 20~50%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재발률은 첫 번째 대장내시경에서 선종의 갯수가 많았거나 크기가 1cm이상이거나 융모선종이거나 중증 이형성이 있거나 고령인 경우에는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적절한 간격으로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는군요. 



대장선종과 용종의 차이는 무엇인가


대장선종과 용종의 차이는 무엇인가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대장용종이란 대장의 점막이 비정상적으로 자라 내강으로 돌출되는 모든 융기성 병변을 칭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 상피 세포에서 기원하여 선종, 암화 과정을 거쳐서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신생물성 용종을 선종성 용종이라고 하며 대장선종이라고 합니다. 

대장선종과 용종의 차이가 무엇인가에 대한 예를 본다면 우선 대부분의 대장암은 대장선종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과증식성 용종이나 염증성 용종은 대장암으로 진행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대장선종이 대장암으로 진행한다는 근거를 보자면, 대장선종의 유병률이 높은 지역에서 대장암의 유병률이 높고 대장선종으로 진단 시 평균연령이 대장암으로 진단 시 평균연령에 비해 5~10년 젊다는 점입니다. 

또한 대장암과 대장선종은 대장내의 위치가 대부분 일치하며 선종의 크기가 크거나 숫자가 많을수록 대장암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되는 대장선종을 제거해주면 대장암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드는 등의 여러가지 사례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겁니다. 

즉 대장 선종성 용정을 제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대장암 발병의 위험이 현저히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발견되는 용종을 내시경적 용종절제술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조직검사를 통해서 제거하고 조직검사를 통해서 선종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대장선종과 용종의 차이와 함께 제거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장편한외과의원 이성근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우리는 현재 질병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2019년 말부터 우리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은 COVID-19는 아직 현재 진행형이며, 해마다 때가 되면 어김없이 조류독감, 구제역 등의 소식이 들려옵니다. 하지만 이런 감염병과 다르게 우리 삶에 깊숙이 연관되어 있는 질병이 있으니, 그건 바로 암일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대장암은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위암에 이어 발생률 2위임 암이며, 증가율이 가장 높은 암입니다.

대장암은 초기에는 환자 스스로 인지하기 어려우며, 어느 정도 진행될 때까지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장암과 관련된 국가검진으로 만 50세가 되면 분변잠혈검사를 시행하고 있지만, 이 검사는 위음성률이 높고 대장암의 전구 병변인 선종에 대한 진단이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장암의 발생 연령이 서서히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국가검진만으로 대장암을 완벽하게 예방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대장암은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가장 쉬운 방법은 건강검진 시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을 하는 것입니다. 실제 국립암센터에서 발표한 대장암 진료 권고안에 의하면, 가족력이 없고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 만 45세부터 대장내시경을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실비 보험의 활성화로 대장내시경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져, 대장내시경을 받아본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대장내시경으로 발견할 수 있는 병변이 어떤 것인지, 용종을 뗐다고 하고, 선종이 나왔다고 하는데 이것이 어떤 의미인지 제대로 알기는 어렵습니다. 막상 알고 나면 쉬운 개념이지만 낯선 용어를 상황에 따라, 병원에 따라 혼용해가면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장내시경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병변에 대한 간단한 개념을 익히고 내시경 의사의 설명을 듣는다면 본인의 검사 소견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Q. 대장용종이 무엇인가요? 대장 용종 중에서 선종은 무엇인가요?

대장용종은 점막 표면에 생긴 하나의 덩어리진 모양의 혹으로, 작은 세포들이 모여 만들어진 집합체입니다. 내시경으로 봤을 때 대장 점막은 일반적으로 매끄럽고 균일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장용종은 이러한 점막 일부분에 유난히 두드러져 보이는 혹 혹은 덩이를 이야기합니다.

대장용종은 조직학적으로 여러 개로 구분됩니다. 과형성 용종, 림프성 용종, 과오종, 선종 등으로 구분되는데 대부분은 대장암과 연관성이 없는 단순 물혹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대장용종에서 ‘선종(adenoma)’이라 불리는 용종은 점점 크기가 커지면서 대장암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종은 대장암으로 발전하기 전에 반드시 제거를 해야 하며, ‘선종’이 있으셨던 분들은 추적 대장내시경 검사도 정기적으로 필요합니다.

Q. 대장용종의 종류가 다양하다고 하던데 대장용종은 무조건 제거해야 하나요?

대장용종은 크게 종양성 용종과 비종양성 용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암과 연관성이 높은 용종은 종양성 용중 중의 하나인 ‘선종’입니다. 이론상으로는 선종외의 용종은 증상이 없는 한 제거할 필요는 없지만, 실제 내시경상에서 선종과 다른 용종을 구분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보이는 용종은 모두 제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Q. 대장용종 중에서 ‘선종’이 대장암으로 발전한다고 하는데, 선종이 처음 생겨서 대장암까지 걸리는 기간을 얼마나 되나요?

선종은 생기자마자 암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5~10년에 걸쳐 크기가 자라고 암으로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국가의 대장내시경 진료 권고안도 대장내시경을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가에 대한 기준을 여기에 맞춰, 비용 등 여러 제반여건을 고려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장내시경 비용이 매우 비싼 미국의 경우 가장 낮은 위험군의 환자의 경우 10년 간격으로 대장내시경을 하도록 권고하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5년 간격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Q. 대장용종을 치료하는 방법이 다양하다고 하던데 어떤 차이가 있나요?

대장용종의 치료법에는 겸자를 이용한 용종의 제거 및 조직검사, 용종절제술, 점막절제술, 점막하박리술 등이 있습니다. 치료법의 선택 기준은 가장 우선적으로 용종의 크기를 고려하며, 용종의 위치, 용종의 모양, 용종의 깊이, 용종의 종류, 환자의 기왕력 등을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선택합니다. 각 치료법의 경우 난이도, 위험성, 변연부의 포함여부 가능성 등이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경험 많은 대장내시경 전문의에게 치료를 받는다면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Q. 대장용종은 재발을 잘하나요? 용종을 한 번 제거하고 나면 대장내시경을 다시 할 필요가 있을까요?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혹시 그대로 두면 암이 되기도 하나요?

대장용종을 제거하고 난 이후 같은 자리에 재발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대장용종이 한 번 생긴 분들은 유전, 식습관, 생활습관, 성별, 비만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대장용종이 생길 수 있는 위험도가 일반인보다 높기 때문에, 대장용종을 제거하고 난 이후에도 다른 위치에 대장용종이 새로 생길 수 있는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대장용종을 제거하신 분들은, 오히려 더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여 새로 생기는 용종에 대한 치료를 꼭 받으셔야 합니다.(영통 장편한외과의원 이성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