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생산직 전문직 장단점?, 선박,시설안전,산업단지,국민연금,근로복지,건강보험,인력공단등 신입사원 연봉 

생산직을 할까 사무직을 할까?

대기업의 생산직(고졸)은 잘은 모르지만 15년 이상 근무하면 연봉 1억원 이상을 될 것입니다. 사무직의 경우 15년 근무하면 차장정도 되며 연봉 7,500정도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생산직이 더 많이 받을 것입니다. 대기업에서 부서장의 직책을 받으면 업종에 따라 다르지만 연봉 1억원을 훌쩍 넘깁니다. 입사 후 20년~25년정도 되어야할 것입니다. 경우에 따라서 더 빨리 승진할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요즘 대기업의 경우도 정부의 권장에 따라 60세까지 정년을 보장하는곳이 많습니다. 본인이 승진을 못해서 중간에 사직하는 경우는 어쩔 수 없습니다.

 

생산직의 경우 대부분 고졸출신이고 사무직 또는 기술직,전문직, 연구원 등은 대졸 또는 석사출신입니다. 생산직은 몸으로 하는 일이 많으며 사무직은 머리로 하는 일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직업의 귀천을 따지는 것은 아닙니다. 모두가 대학을 졸업하고 좋은 곳에 취업을 하고 자 하기때문에 대기업의 사무직이나 전문직 취업이 어렵습니다. 전무대학이나 폴리텍대학, 공업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기업에 생산직으로 입사를 할 수 있다면 몸은 힘들지만 연봉에서나 스트레스에서나 중간퇴직에서나 자유로운 수가 있습니다. 

공공기관 중 공단의 유형분류

공단이라는 이름을 가진 공공기관은 마지막 단어가 공단이라는 이름으로 끝이나지만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다양합니다. 준정부기관(위탁집행형), 공기업 준시장형, 준정부기관(기금관리형), 기타공공기관 등으로 구분이 됩니다. 대부분은 준정부기관 중 위탁집행형입니다. 정부의 하는 일을 위탁(맡겨서)합니다. 이러한 분야는 특수한 분야가 많습니다. 철도, 장애인, 에너지 시설, 승강기, 인력, 산업안전보건, 교통, 국민건강보험, 원자력환경,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입니다. 

이러한 위탁집행형의 공공기관의 경우 상급기관(정부)의 위탁이기 때문에 상급기관인 정부의 통제를 받습니다. 한국에너지공단의 경우 통상산업자원부, 한국시설안전공단의 경우 국토해양부,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중소기업청, 대한법률구조공단은 법무부입니다.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위탁집행형 공공기관 신입사원 급여

준정부기관으로 위탁집행형등의 공공기관 중 급여가 높은 순으로는 한국산업단지공단,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시설안전공단,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이며 가장 낮은 순으로는 주택관리공단(주), 정부법무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근로복지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도로교통공단, 대한법률구조공단 등입니다.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근데 댓 보니까 다들 돈 잘버는 생산직이 웬만한 사무직보다 훨씬 좋다고 그래서.. 1년 전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라고 믿고 싶은 사람들의 합리화 ㅇㅇ
1년 전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연봉 7000만원 생산직 vs 연봉 3000만원 사무직 이러면 연봉 7000만원 생산직이 더 낫다 이런 뉘앙스 아니였을까?
똑같이 연봉 5000만원이다 이러면 사무직이지

1년 전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근데 실제로 연봉 똑같아??? 궁금해서 ㅠㅠㅠ 그런거 1도 모르는 애야 나 !!
1년 전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ㄴㄴ당연히 기본급 자체는 사무직(사무직이라기보단 대졸)이 훨씬 높은데 생산직은 교대 돌면서 여러 수당 많이 붙어서 연차 많이 쌓이면 실제로 받는 돈은 더 높아질 수도 있음
1년 전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아아 고마워!!!
1년 전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ㄴㄴ 같을리가 대기업사무직아니면 진짜 사짜 직업아니고 내가 젊을때 좀 고생하더라도 돈 많이 벌고 싶다하면 아묻따 생산직임
1년 전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생산직은 야간 근무도 하고 새벽 근무도 하고 6일 근무 이틀 휴무 이런 식이 많아
9to6 사무직보다 몸이 힘들기도 하고 법적으로 수당 같은 게 더 많이 나오니까!
어느 정도 규모 있는 생산직 기준이긴 해

1년 전

대기업 생산직 장단점

장점

단점

대기업

생산직

근무시간 정확하다.

급여가 쎄다.

복리후생이 좋다

근속년수 길다.

폼이 안난다.

대기업

사무직

폼이 난다.

급여가 쎄다.

복리후생 좋다.

근무시간 부정확하다.

근속년수가 짧다.

심리적 스트레스

중소기업

생산직

근무시간 정확

급여 낮다.

복리후생 낮다

근속년수 짧다.

폼이 안난다.

대기업 생산직보다 일이 힘든게 많다.

중소기업

사무직

없음

근무시간 부정확

급여 낮다.

근속년수 짧다.

심리적 스트레스

================ 

대기업에서 제일 힘든것은

사무기술직 R&D 이지 절대 생산직이 아니다. 그리고 제일 대우가 XX 같은 것도 R&D(연구개발쪽)이지. 대기업 생산직 일하는것은 나도 혁신 학교를 통해 경험해봤지만 진짜 아무것도 아님. 솔직히 이러니 이공계를 기피하는것은 당연하겠죠

솔직히 저도 엘지 혁신학교 가서 생산 현장 체험하니 그것보다 편한게 없더군요. 8시간 일하고 하루 2시간만 자고 저녁에는 혁신과제 수행하는데도... 이러니 서로 이공계 안갈려는 겁니다.

[로열 블루칼라]‘고용안정-고임금’ 대기업 생산직

기사입력 2007-03-24 05:23 |최종수정2007-03-24 05:23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동아일보]

《◆#1

국내 최대 석유화학단지인 전남 여수산업단지 내 모 대기업 생산직 사원인 김모(38) 씨는 주말이면 사택 인근 소호요트경기장에서 사내 동호회원들과 윈드서핑, 수상스키를 즐긴다.

동호인 38명 가운데 김 씨처럼 생산직 사원은 18명. 10년차로 연봉이 6500만 원인 김 씨는 “골프 열기도 여전해 요즘은 교대근무를 끝낸 근로자들이 조를 짜서 평일 라운드를 많이 한다”고 말했다.

22일 오전 11시경 울산 남구의 한 골프연습장.

50개에 가까운 2개 층의 타석은 빈자리가 거의 없었다. 타석을 차지한 사람은 대부분 주부. 남편이 울산공단 내 ㈜SK에서 생산직으로 근무한다는 한 주부(43)는 “남편 직장 동료들과 부부동반으로 한 달에 두세 번 필드에 나간다”고 말했다.

남편이 대학을 졸업하고 공채로 공무원이 돼 현재 6급(주사)으로 울산시청에 근무 중인 주부 김모(43) 씨.

“수영장에서 만난 30대 후반의 주부가 ‘남편이 현대자동차 생산직에 있는데 중학생 초등학생 자매를 이번 겨울방학 때 한 달간 캐나다로 어학연수 보냈고 가족끼리 스키장에도 몇 번 다녀왔다’고 말하더군요. 주눅이 들었어요.”

남편 월급으로 두 아들 학원비 대기도 빠듯한 김 씨는 ‘남편도 대기업 생산직이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털어놨다.

◆#2

대학을 졸업한 뒤 직장생활을 하다가 지금은 개인사업을 하는 이치호(50) 씨는 2005년 당시 중학교 3학년이던 딸 유정(17) 양의 진로를 놓고 고민했다. 유정 양의 성적은 외국어고나 특목고에 지원해도 될 정도의 최상위권. 하지만 이 씨는 공부 잘하는 딸에게 “어중간하게 대학 나와 아무 특기나 기술도 없이 사무직으로 일하는 시대는 지났다”며 인문계 고교 진학을 말렸다.

이 씨는 유망하다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장 교감과 일선 교사들을 만나 나름대로 ‘정보수집’을 한 뒤 학교를 골랐다. 현재 유정 양은 선린인터넷고 정보통신과 2학년에 다니고 있다.

‘공부를 못하거나 집안 형편이 어려워 일찍 돈벌이를 하기 위해 가는 학교’로 통하던 실업계 고교 중 일부는 요즘 ‘웬만큼 공부 잘해서는 가기 힘든, 어릴 때부터 전문성을 키워 주는 학교’로 학부모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유정 양이 다니는 선린인터넷고는 2000년경까지만 하더라도 성적에 상관없이 누구나 들어갈 수 있는 학교였지만 2006년의 입학 커트라인은 중학교 내신 20% 이내였고, 올해에는 학과에 따라 13∼18%로 높아졌다.

한 반의 정원이 40명이라면 5∼7등은 해야 이 학교에 진학할 수 있다는 얘기다.》

국세청이 지난달 발표한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2005년도 근로소득세를 분석한 결과 울산의 근로자 1인당 연봉이 4234만 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여천과 광양공단이 있는 전남이 3856만 원으로 2위였다. 화이트칼라가 많은 서울은 3846만 원으로 3위에 그쳤다. 전국 평균은 3663만 원.

울산과 전남이 나란히 ‘근로자 1인당 연봉’ 1, 2위 도시로 부상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지역에 있는 대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고소득 때문이다.

흰 와이셔츠를 입고 펜대를 잡는 사무직과 비교해 기름때 묻은 작업복을 입은 생산직을 가리키는 말인 ‘블루칼라’.

그러나 정보기술(IT)의 발달로 기술과 정신능력의 융합이 강조되면서 화이트칼라는 이제 블루칼라 앞에서 빛이 바래고 있다.

노동시장에 신규 진입하려는 취업 준비생, 대학 진학보다는 대학 졸업 후 어떤 생존기술을 갖고 살아갈지를 궁리하는 청소년 중 눈 밝은 이들은 블루칼라의 미래에 주목한다.

그들의 꿈은 블루칼라를 넘어 ‘대체하기 쉽지 않은 확실한 기술’을 가진 ‘로열(royal) 블루칼라’다.

울산=정재락 기자

여수=정승호 기자

나성엽 기자

"세상을 보는 맑은 창이 되겠습니다."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이를 기준으로 하면 공고를 졸업한 생산파트 직원의 여건이 훨씬 낫죠. 대학생 자녀 학자금 지원도 못 받고 퇴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사무직으로 근무하고 있는 P(44) 씨는 올해 중학교에 입학한 큰딸을 볼 때마다 걱정이 된다.

딸아이가 대학에 입학할 무렵이면 퇴직을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직원 복지사업으로 대학생 자녀 2명까지 학비를 지원한다.》

○ “

정년 채우는 블루칼라가 부럽다”

공고를 졸업하고 19세에 포항제철소에 현장 기술자로 입사해 29년째 근무하는 H(48) 씨. 26세에 결혼한 그는 대학에 다니는 자녀 둘의 등록금을 회사의 학자금 지원으로 해결하고 있다.

H 씨는 “연봉이 많고 4조 3교대의 근무조 편성에 따라 하루 근무하고 평일 이틀을 쉴 수도 있어 정년까지 일할 생각”이라며 “입사 때는 고졸과 대졸의 연봉 차이에 자격지심도 들었지만 10년 정도 근속한 뒤부터는 ‘내가 회사의 중요한 직원’이라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포스코의 정년은 56세. 사무직의 경우 승진 문턱에 걸려 정년을 채우는 경우가 드물다. 임원으로 승진하지 못하면 ‘자동으로’ 퇴직하는 게 관례다.

입사 17년차인 사무직 P 씨는 “같은 나이의 고졸 생산파트 직원과 비교하면 근속연수가 8년가량 차이가 난다”고 말했다.

9000여 명이 근무하는 포항제철소의 경우 기술자로 생산파트에서 일하는 고졸 사원들은 사규대로 정년을 거의 다 채운다. 포스코의 임금체계는 단일호봉제여서 사무파트와 생산파트의 구분이 없고 직급에 따른 수당 차이 정도가 있을 뿐이다.

내년이면 입사 20년차인 현대중공업 생산직 L(45) 씨는 울산에서 공고를 졸업하고 입사했다. 그는 3년 전 골프를 시작했다.

“골프 비용이 만만찮지만 내 연봉(6000만 원 안팎)으로 눈치 보지 않고 즐길 정도는 됩니다. 예전에는 모임이 있을 때면 작업복 대신 평상복을 갈아입고 나갔지만 지금은 회사 이름이 적힌 잠바를 자랑스럽게 입고 돌아다니죠.”

○ “내가 조기 퇴직하는 대신 우리 아들을…”

대기업 생산직의 고용이 안정되다 보니 자식에게 대를 물리고 싶어 하는 ‘로열 블루칼라’도 늘어난다.

울산석유화학공단 내 모 대기업 인사 담당 중역은 최근 정년이 2년여 남은 생산직 직원에게서 자신이 조기 퇴직하는 조건으로 2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을 못하고 있는 아들(28)을 생산직으로 채용해 달라는 요구를 받았다. “인사 규정상 불가능하다”며 거절했지만 생산직 직원들의 ‘자녀 채용 요구’가 요즘 부쩍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 이 중역의 전언이다.

2004년 임금협상을 앞두고 현대자동차의 일부 조합원도 ‘자녀 채용’의 명문화를 협상 요구안에 포함시키자고 했지만 노조 집행부가 “지금도 고임금을 받는다는 지적이 있는데 자녀 채용까지 요구하면 비난이 쏟아진다”며 거부했다.

현대중공업은 2004년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에서 ‘임금 피크제’와 ‘직원 자녀 채용 노력’ 조항을 맞바꿔 신설하자고 노조에 제시했다. 노조는 거부했지만 정년을 앞둔 노조원들에게는 솔깃한 제안이었다.

현 시점에서 로열 블루칼라의 대표 격인 ‘대기업 생산직’.

그러나 이것도 ‘반짝 현상’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기업의 지불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노조의 힘으로 매년 임금을 인상하는 것으로 고임금을 유지하면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로열 블루칼라와 블루칼라 간의 빈익빈 부익부 갈등도 무시 못 할 불안요소다.

여수산업단지 모 중소업체 생산직 직원인 C(40) 씨는 “연봉이 단지 안의 대기업체 생산직 직원의 60∼70%밖에 안 돼 상대적 박탈감이 크다”며 “같은 생산직 근로자지만 누구는 평일에 골프채 메고 나가고 누구는 해외여행 한 번 가 보지 못한 현실이 서글프다”고 말했다.

울산대 사회과학부 조형제 교수는 “한때 전성기를 구가하다 몰락한 산업도시인 영국의 글래스고나 미국의 디트로이트를 택할 것인가, 지속적인 번영을 구가하는 일본 도요타나 독일 볼프스부르크를 택할 것인가는 노사와 지역주민들이 얼마나 협력관계를 구축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

고졸 생산직과 대졸 생산관리 입사 문제

kjj2625 2004.08.12 22:59

외부 링크로 첨부된 음악, 동영상은
재생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답변 1| 조회 5,656

오늘 두군데에서 입사 합격 했다는 연락이 왔읍니다
근데 문제는 어디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한곳은 고졸 생산직으로 합격했는데 대기업이고 연봉도 꽤 괜찮은 편입니다
또 다른 한곳은 총 인원이 30명 밖에 안되는 중소기업 사무직(대졸 사원)으로 입사하기로 되어있는데..
1000만원 정도 급여 차이도 나고 복지면에서도 차이가 많이 나는데
어디를 선택해야할지 고민입니다

신고

의견 3

질문자 채택된 경우, 추가 답변 등록이 불가합니다.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re: 고졸 생산직과 대졸 생산관리 입사 문제

kimyk1014

답변채택률

생산직 사무직 장단점 - saengsanjig samujig jangdanjeom
100.0%

2004.08.12 23:16

외부 링크로 첨부된 음악, 동영상은
재생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먼저 축하드립니다.
저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그냥 참고만 하시길..

제 친구는 대학진학 하는 대신 대기업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름있는(복지,임금 수준급) 회사의 생산직으로 취업해서..
지금..10년(현재 29세) 가까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물론 일 너무 힘들겠죠..
어디에 명함 내밀기도..
사무직이 아니라 좀 그렇겠죠..(생각차이겠지만..^^)
하지만 힘든만큼..지금은 다른 친구들과 많은
수준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연봉에서 엄청난 차이죠..
(복지,노조등의 혜택이 굉장히 좋은 회사)

그 친구..아마도 올해 연봉 4,000쯤 될겁니다.
(29세나이에 엄청나지만, 혹, 4,000이 적다하시는분 계시면 할말 없음)
일찍 돈을 벌어서인지..
현재 차는 렉스턴, 집도 있고, 결혼도 작년에 했고..

근데 다른 친구(저의 얘기를 예로 듭니다.)
이제 입사 1년차 정도..(사무직)
근데 대기업은 아니구..그냥 어느정도 중견기업..
연봉 2400쯤..(이것두 많이 받는다고 생각하는데..
생활하기는 빡빡하더라구요..^^)
또한 사무직이라고 결코 쉬운일 아님..
생산직처럼 나름대로 무지 힘듬~~

암튼 결론입니다...
님이..정말 고급인력이 아니시라면..
대기업의 생산직이 괜찮지 않나 생각합니다.
저도 사무직이지만..능력개발이 되지 않으면..
불안합니다..경쟁도 심하고..
물론 능력이 정말 되시면 중소기업이라도 선택해서..
높은자리를 위해 뛰어서 성공하면 좋겠죠..

그리고..직장선택시..노조가 있는지...
노조파워가 있는지도 생각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님의 적성을 고려해서..

이상...저의 짧은(길었나~) 생각이었습니다.

====================================================

===================================================

032  암만해도 2007-03-25 21:26:22    0 0 
생산직이니 , 로열 블루칼라니 ... 그런 말 쓰지 말고 , 그냥 공돌이라고 하면 , 금방 알텐데 ...

          031  altay 2007-03-25 19:31:06    0 0 
오 돌려가면서 패기하는군 은행원들을 타킷으로 삼더니 그다음에는3%퇴출이라면서 공무원공기업등공직들 이제는 안정된 대기업 생산직이 타킷이구나 사악한 언론들 ..언론부터 구조조정해라...

          030  haneul0404 2007-03-25 14:06:10    0 0 
관리자가 삭제한 글 입니다.

          029  씨티방크 2007-03-25 10:12:16    1 0 
기업체 입장에선


단순히 근무년수가 20년,30년이 되었다고 해서

그에 비례해서 생산성이 늘어나거나

고급 기능이 축적되지도 않는 생산현장에

기능직원들이 각종 호봉과 자녀학자금, 가족수당

체력단련비 등으로

사무직 부장급 보다 많은 금액이 지불되는 것이 사실

상당한 부담이 됩니다.


현재 우리나라 국가공단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평균연령이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으로 점차 고령화되고

있는 것도 제조업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028  씨티방크 2007-03-25 10:06:44    1 0 
그만큼의 부가가치를 창출하시면서 대기업의 고령 생산직들이 그만한 연봉과 복리후생, 자녀 학자금을 받아간다면 다행이죠.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대기업 생산직 사원과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생산직 사원의 임금과 복리후생이 하늘과 땅 차리가 나는 것은 그 만큼 포스코, 현대 등 대기업 생산직 사원이 대기업 노조의 보호와 국가공단에 근무하는 프리미엄으로 큰 혜택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현재의 일본과 중국사이에 끼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국내대기업 입장에선 계속 저런 대우를

지속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만...)

          027  qxq81 2007-03-25 09:06:06    1 0 
기자 양반들!

이 기사에서 전하려는 내용이 뭡니까?

생산직 직원의 정년퇴직, 자녀 장학금,골프가 그렇게 고깝습니까!

한 때 천시받던 직장에서 잠 못 자고 눈 비벼가며 열심히 일해서

회사가 발전하여 고용도 안정되고 복지혜택도 누리고, 개인적으로 살림 알뜰하게 하여 골프 좀 친 것이 배가 아픈가 보네요?

같은 일을 해도 능력에 따라 보수의 차이가 있는 것 인데….

회사에 따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회사의 직원은 많은 임금을

받을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임금이 적을 수 밖에 없죠.

대한민국은 분명히 자유 자본주의 국가입니다.

고생하는 근로자들 마저 많이 받는 자, 적게 받는 자 이분화 하여 위화감 조성하지 마세요.

당신들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신문사 기자 인가요?

 

          026  haneul0404 2007-03-25 08:43:48    0 0 
관리자가 삭제한 글 입니다.

          025  haneul0404 2007-03-25 08:40:38    1 0 
관리자가 삭제한 글 입니다.

          024  ds5siz 2007-03-25 08:31:50    0 0 
결국 이런 기사로 인해 계층간의 갈등을 조장하는것 같다. 십수년전 사무직에 비해 천대받던 이들중 일부가 좋은 대우를 받는것이 그렇게 배아픈가.. 또다시 십수년이 지난다면 또 어떻게 바뀔지 아무도 모른다. 그러니 이런 내용의 기사는 제발 자제해 달라..

          023  daboss 2007-03-25 06:10:42    0 0 
민주투사라는 놈들이 집권하고 나서 세상이 힘들어 지니까...

떵서기라고 천대받던 동사무소 직원이 연금많이 받는다고 황제 취급하더만...

공돌이라고 천대하던 기름쟁이들이 이젠 로얄페밀리로 보이나?

영삼이가 나라말아먹을 때 부터 이모양 될줄 알았다.

준비된 대통령 경제 대통령이라고 떠벌리던 대중이가 공무원과 공돌이만 잘 살게 만들었나?

노무현이 노동변호사 출신이라서 공돌이를 황제로 만들었나?

경제상황에 돌같은넘들이 집권해서 이모양 된거다.

정치한다는넘들은 일본놈한테 나라팔아먹은 넘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022  잠자고싶다 2007-03-25 03:34:35    0 0 
아무리 열심히 해도 돈도 안모이고 에라모르겠다 똑똑하고 돈 많은 니들이 하는 골프 나도 한번 해보고 죽자고 했는데 머가 잘못된거 있냐? 많이 배우고 돈 많은 놈들 똥배나와서 골프도 안되더라... 난 현장에서 파이프 들고 일하다보니까 힘이 새서 골프칠때 참 공도 잘나가더라.. 앞으로는 글쓸때 사회적인 파장을 생각좀 해가면서 글써라.. 빠가야로야..

          daboss 2007-03-25 06:14:03  
사촌이 밭을 사면 배가 아픈 법이우... 화이트칼라라고 거들먹 거리던 넘들이 무능하다고 잘리다 보니 이젠 천대받지만 오래가는 공돌이가 부러운게지... 빠가야로 조센징?

   021  잠자고싶다 2007-03-25 03:33:55    0 0 
나도 어릴때 꿈이 신문기자였다. 찢어지게 가난한 집에태어나서 돈도 없고 빽도 없고 어쩔수 없이 밤잠 못자고 교대근무 하는 좆같은 인생이 되었다. 아마도 iQ 검사하면 니들보다는 좀더 높을끼다 자고로 남자는 세가지를 조심하라 그랬다 그중에서 잴 조심해야 할것들이 말조심하고 글조심이다 지금 시간이 새벽 네시다 니들 이시간에 술처먹느라고 잠 안자본적은 있어도 일 하느라 잠 안자본적 있나.

          020  pmoond 2007-03-25 00:20:13    0 0 
정신나간 기자들아 생산직의 고통을 알고나 글을 써라.당신네들 생명 단축해가며 야간근무 한번 해보세요. 당신네들은 한달도 못견디고 사표던지고 나갈 사람들이다. 제발 기사를 쓸려면 제대로 알고 글을 써라.

          019  멀쳐봐 2007-03-25 00:19:48    0 0 
관리자가 삭제한 글 입니다.

          018  boohwh 2007-03-25 00:06:28    1 0 
학력인플레이션 시대에는 학력 디플레이션이 오히려 좋은 선택일 수 있죠.

          017  ktsys 2007-03-24 22:44:43    0 0 
블루칼라가 아니라 이들은 브르조아 노동자임을 대처할 노동인력은 무수히 많음 80년대의 그들의 투쟁은 정당하나 90년대 투쟁 자기 직장에서 자기 밥그릇 투쟁이며 2000년이후 직장의 세습화 투쟁 한시대 잘먹고 잘사면 되지 이젠권력을 달라고 투쟁하니 단한가지 귀족노조란 단어는 잘못되었서 열번 복창하라 브르조아 브르조아

          016  민족정신 2007-03-24 20:12:44    0 1 
학부모들이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

고액과외, 1천만원의 등록금 시대이다. 이 돈을 고스란히 저축하여 대기업의 노조 간부에게 청탁을 한다면 자식 앞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015  아들만셋 2007-03-24 19:23:33    0 0 
내용중에 하루 근무에 이틀쉬는것은 잘못된 내용이고, 닷새일하고 하루반 또는 이틀 쉬지요, 그리고 새벽근무 ,오후근무 밤근무 각 오일동안 일하고 다른직원 휴가엔 대신근무하고 , 일요일,공휴일에 못쉬고 명절엔 더욱 못쉬고, 사람답게 살지는 못하죠, 온식구가 함께교대근무하는건데, 아이들 어릴때 야근은 서로에게 지옥이예요, 조용히 하고 울리면 안되고 ... 이런생활 안 해보고 귀족고졸생산직이라고 비난하지마세요, 돈이 다 는 아닌데...

          014  kongg 2007-03-24 18:29:51    0 1 
작성자가 삭제한 글 입니다.

          013  bond89 2007-03-24 16:37:15    0 0 
ㅋㅋㅋ 이제 철밥통 직장 세습하네요?

애비가 대기업 강성노조 생산직이라서 세습할 수 있는 것 아니면 이제 취업은 꿈 깨세요.

광주 기아차에서도 세습사건이 있었죠?

빙산의 일각일 뿐입니다.

이제는 대기업 철밥통 생산직을 세습하는 시대입니다.

012  haneul0404 2007-03-24 16:09:05    0 0 
관리자가 삭제한 글 입니다.

          011  에디오 2007-03-24 15:29:16    0 0 
대기업 귀족 노동자님들 께서는 배고픈 중소기업 노동자를 봐서라도 대모좀 자제하시고 국가 경쟁력 떨어지지않게 생산차질좀 만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010  choyw67 2007-03-24 14:47:46    0 0 
(밑에서계속)노조는 오히려 이런 열악한 조건에서 일하는 중소기업에 필요한것이 아닌가싶었다.사장말한마디면 일하다가도 보따리싸서집에가야하는 상황.하기야 일할사람이 없어서 늙은사람들밖에없다.젊은사람을 중소공장에서 기술배울생각전혀안한다.대기업생산직과 중소기업생산직은 전혀 다른계층이며 계급자체가다른 딴세상에 살고있다는생각이 들었다.둘다 머리싸매고 공부하거나 노력여하에 따라 길이 달라진것도 아닌데 이렇게 인생자체가 달라지나싶었다.결국엔 그지긋한,겉만 번지르한 대기업사무직과 희망이 보이지 않는 중소기업생활이싫어 다른길로 접어들었지만...

          009  choyw67 2007-03-24 14:42:01    1 0 
대기업사무직-중소기업기술직을 거쳐 현재공기업에 있으면서 절실하게 느낀게 있다.머리가 천재급에 버금가지 않는한은 이공계대학졸업해서 일반기업체에 들어가는 코스를 절대 밟지마라는것.대기업사무직에 있으면서 정말로 생산직으로 전직하고싶었다.퇴사후 중소기업기술직(설계)으로갔는데 그곳의 생산직 상황은 그야말로 대기업생산직과는 하늘과 땅차이었다.대개가 연봉1500~3000미만.그것도 완전몸으로 때우는 노가다에 야간에 주말특근에...

          008  mr3down 2007-03-24 14:18:53    0 0 
열악한 노동환경, 임금체불의 중소기업은 퇴출시키고 또한 영세하고 열악한 중소기업의 신규진입도 금지시켜야한다. 깨끗한 노동환경속에서의 노동과 생활유지의 안정된 임금만이 외국노동자가 아닌 자국민의 취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이것이 양극화를 해소하고 불법체류자가 발붙일 수 없는 길이다. 궁극적으로 최소의 인력(관리형 기술자)을 사용하는 전공정이 자동화된 공장으로 가야한다.

          007  lsjo2 2007-03-24 13:20:10    1 0 
정년까지 가는 것이 이기주의라는 발상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모르겠으나, 정년까지 가지 못하는 직장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보다는 일단의 계층에 대해 "왜 너희는 우리는 그렇지 않은데 너희는 정년까지 가느냐"라고 힐난하는 것은 옿지 않다고 봅니다. 요즘 젊은이들 편하게 대학졸업해서 사무직에만 일하려고 한다고 비난하지 말고 고등학교 졸업하고 생산직에서 열심히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006  한혜영 2007-03-24 13:19:11    0 0 
관리자가 삭제한 글 입니다.

          005  자유조아 2007-03-24 12:25:22    0 0 
공무원도 일반직은 정년까지 근무하는 사람이 더물다. 나이에 걸맞는 직위에 있지않으면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경험에 의하면 대기업 생산직이 말단 공무원보다 훨씬 좋다. 대학생 학자금 무료지원, 정년보장, 끈끈한 유대력 등. 정년도 못채우고 나와야하는 사무직은 빛좋은 개살구로 그야말로 화이트칼라 수난시대다.

          004  younhesun 2007-03-24 11:35:07    0 0 
좋은 직장은 취업 할 수 도 없다. 그러면 상급학교는 뭐하러가며, 공부는 뭐하러 밤새워가며 하겠는가, 누가 성실히 살려하겠는가. 도대체 말도 안되는 행위를 요구하려 하는 노조가 있다니, 노조가 썩었다고해서 설마 설마 했는데 이정도로 썩은줄은 몰랐다.

한마디로 날 도적놈들이란 생각이든다. 에잇 나쁜놈들......

          003  younhesun 2007-03-24 11:25:57    0 1 
가장 나쁜게 자녀채용조건을 제시하는것이다. 이건 독재보다도 더욱더 악독한 노조악재 정치이다. 대통령을 자녀가대통령 되는조건으로 조기하야하고, 공무원도 자녀 공무원 채용조건으로 조기 퇴직하고, 경찰도 그렇게하고, 모두 그런식이면 이나라 모두 끼리끼리 해먹고, 그런 반열에 들지 않은 일반 국민은 영원히 그런

          002  windpro 2007-03-24 09:05:42    0 0 
무슨일을 하든 열심히 많이 벌어서 재미있게 살다가는게 최고의 인생...

          001  초밥전문점 2007-03-24 03:48:34    0 0 
관리자가 삭제한 글 입니다.

=================

대졸삼성전자초년도 연봉이4000 고졸현대차생산직이1700-2000이오. 삼성전자의 과장(연봉9000-1억) 진급소요기간은 대략 7년, 현대차고졸생산직은 10년차가 3000정도받습니다. 20년차가 5000-6000정도...평균입사연령은 남자기준으로 삼성전자28.7세 현대차 19세. 삼성전자는 대개10년차안에 그만두는 사람들이 40% 현대차고졸생산직역시 초년병 시절 많이 그만둡니다만, 짱박으면 20년이상 근속하는 분들이 상당수. 50세까지 근무한다고 보면 29살에 입사한 삼성전자사원의 총임금수령액이 대략 20억정도(-석사까지의 교육비1억이상) 19세에 입사하여 중간에 군대갔다오고 난 현대사원의 총임금수령액이 13억정도. 알아서 비교들 해보시길


아이디
eric0717 내용
삼성전자 과장이 연봉이 거의 1억이나 됩니까? 혹시 모든 보너스나 수당을 포함한 것은 아닌지? 솔직히 PI나 그런것들은 실적이 좋을때만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고 또 모든 부서 사람들이 받는 것은 아니라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너무 과장이 심하신듯.. 초봉도 4000은 아니랍니다..

oxgene 내용
과장이 심하네..대졸초봉을 4000가까이 받는 직종은 한국은행이나,국민은행같은 금융직이 유일합니다.

sonn731 내용
쩝 제친구 인하공대 나와서 대학원다니다가 엔지니어로 삼성전자같는디 3년차인디 4천만원 안되던디... 장난이 심하시군여..

cuirassier 내용
아마도 성과급 포함한듯.. 성과급빼면 다른데랑 그리 차이 없다고 합디다..

==================

제목
지난 진급때 조회 203 공감 0 비공감 1 작성일시 2007.03.24. 16:49 아이디 아이디 kimsspark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125.143.xxx.174 신고하기 

차아장으로 진급한 대졸 경력 사원 연봉 인상분이 얼마인지 압니까...대략 천만원이랍니다...세월만 가면 진급된답디다...에어컨 히터 밑에서 탱자탱자 일하는 사람들이 살추위와 열하의 더위에 야간작업하는 현장직 사원을 부러워 하다니요 언감생심입니다....능력되어 화이트 칼라면 진급하면 될일이쥐...옛말에 억울하면 출세하라 했는데 그동안 출세 했답시고 명함을 얼마나 많이 돌렸습니까...현장직은 명함도 없이 늙은 노동자로 퇴역하기도 버겁습니다


제목
생산직의 또 다른 단면 조회 261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6:24 아이디 아이디 adamas2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121.200.xxx.70 신고하기  음 여차여차해 생산직으로 일한지 3개월째 된다.
지금 일하는 회사 자동차 부품 2차 업다..
이분 임금 6,000음.. 정말 부럽다..

하지만 생산직이라고 해서 다 그렇게 버는 건아니다..
나보다 먼저 들어와 3년이 넘는 조장월급 끽해야 130조금넘는 정도다
물론 주/야 다뛰고.
시간당 임금 3100원에서 3480원 올랐는데 나중에 소급해서 준다며
아직도 임금 이야기는 감감 무소식이다.
본사 직원 60명정도 중국에도 공장있고 인도에도 있다.
글구 하는일 단순 조립아니다..nc(자동 밀링머신) 이다.


임금함 계산해 볼까?
2주격주
그래도 조장이니까 3100원보다 쫌더 받는다 현재의 오른
임금정도 하지만 첨입사하면 대부분 하청 업체
임금은 다비슷비슷 할터이나 오른 임금으로 계산해보면

주간 기본 8시간 잔업 2,5시간
8*3480=27,840원
잔업은 1.5배니까 5220*2.5=13,050
울회사 특근 1.5다 기본급은나오니까 2.5
격주 휴무니까 하루도 안쉬고 일한다면 2주동안
특근 3번할수 있다 그럼 31.5*5520=173,880원
글구 3일 쉬는날 일하는 거니까 27840원*3 =83520원
257400원
울회사 특근에 잔업이라고 더 안쳐 준다...)

주간 기본+잔업수당 40890*11일=449790원
울회사 주차수당이라는게 있다 +1일 기본급 27840원
그러면 2주 주간동안 버는돈 728,370원

아짱난다.. 그만 해야쥐...
야간 계산하려니 짱난다....
울회사 야간 수당 6시간 빡에 안쳐준다,
뭐 세금 띠고 그럼 130쫌넘고 140안된다..
거의 업계 최저 임금수준일 게다..

항상 이런 대부분의 현실은 도외시 된다..
잘된것만 그럴싸한것만 눈에 보이지
막상 생산직 뛰어봐라.. 12시간 내내 서서일하고.. 주야 뛰어야하고
자기 계발 시간..? 허울좋은 떡일뿐 몸지쳐 쉬기 바쁘다..
노동의 가치 땀흘린 댓가를 돈으로 환산한다면 10배 20배는 더 받아야
마땅하지만,현실은 그렇기가 쉽지 않다
그저 일이 생계가 되어 시간당 인생으로 쫑치기 쉽

민주노총이 20년간 대모해서 월급올린거야 조회 232 공감 4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6:04 아이디 아이디 bumsoo5991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210.117.xxx.253 신고하기  하청노동자와 비정규직의 피를 빨고 착취해서
고임금유지하는거지
노조있는 노동자가 노조없는 노동자를 착취하는
좌파정권 십년의 이상세계를 구현한거지
 

댓글 개수
한줄댓글 5개
한줄댓글

아이디
lagerbabo 내용
글쵸,...점점 더 살기 힘들어지는 하청 노동자들 일은 원청에 비해 몇배나 하고도 항상 원청 노동자들의 절반도 안돼는 임금을 받죠...하청 사장은 큰 손해 입더라도 업체 바뀔까봐 무서워서 애기도 못하고... 언젠가 후회할 날이 올겁니다 민노총...
작성일시
03.24. 16:08 IP
58.125.xxx.168
아이디
asomine 내용
대기업 노조 파업==> 하청업체 재하청업체 납품거래 개판 ==> 거래대금 미상환으로 맨 밑바닥 영체업체 부터 똥줄탐 ==> 당근 해당 업체 근로자들 급여지급연장됨 이거 악순환 되면 우리나라 생산직 근로자 피가 마를것임...노조가 비정규직입법안 개판 만든거 지들 책임 아니라고 우기는데...아주 골깜
작성일시
03.24. 16:25 IP
211.47.xxx.23
아이디
moon6698 내용
범수야! 불법 체류자 욕하기 전에 당신이 먼저 공장가서 일하쇼! 여기서 끄적거릴 시간에 공장가서 일하면 불법 체류자도 없애고 경제도 돌아가고, 당신 백수 생활도 끝나니까!
작성일시
03.24. 17:05 IP
222.119.xxx.120
아이디
bumsoo5991 내용
문아 나백수아니야 니가 뭔대 아는척이냐 너같은것들이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척나대니까 한국이 이모양인거야 ,너같은 것들 없었으면 한국선진국됐다 .모르면서 아는척하는 얼치기들은 가라
작성일시
03.24. 21:42 IP
58.234.xxx.165
아이디
cuirassier 내용
범수씨.. 그냥 개무시해요.. 저런 아침에 네개 준다고 좋다고 저러는 원숭이들 상대할 필요 없죠..
작성일시
03.26. 01:01 IP
168.126.xxx.197


이건뭐...댓글에 ㅄ 들만 있는거도 아니고.. 조회 71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5:55 아이디 아이디 lagerbabo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58.125.xxx.168 신고하기  왜이렇게들 다 ㄷㅐ ㄱ ㅏㄹㅣ 가 텅텅 빈 것들만 설치는지..

어려서 사회돌아가는 것을 모르는지 아니면 그저 아무생각없이

악플이나 달면서 재미를 느끼는 건지..

대기업 생산직 결코 만만한 데가 아니다

아무나 들어갈 수 있는곳도 아니거니와 힘든일 하는 곳도 아니다

몸이 조금 힘든건 별거 아니다 그렇지만 정신적으로 힘든건

진짜 참지 못할 고통이다.

요즘 대기업 사무직들 전부 연봉제다..

연봉제 1년에 계약하고 성과보고 또 재계약 해주는 방식이지.

이거때문에 그저 성과올리기에만 전전긍긍 하는 사무직들..

하지만 생산직.. sk, 현대, 진짜 꿈의 직장이다. 초봉도 사무직에 비해

딸리지도 않고 근속 연봉은 장난이 아니다. 오죽하면 골프치러 다닌다

하겠는가? 일?? 힘든일은 하청 사람두고 원청사람은 거의 안 한다.

뭐 3D?? 그저 코웃음 밖에 안나온다..ㅄ 어린것들아..

요즘에 '사'자? 변호사? 나와봐라 일없어서 백수 짓 하는 변호사 천지다.

'사'자도 다 옛날애기야 여기 기자말대로

노동자가 상위 시대다 지금은..

언젠가 민노총 지네들이 벌인 죄를 지네들이 다 받을 날이 오겠지만..

그건 얼마후의 일이고....
 

댓글 개수
한줄댓글 2개
한줄댓글

아이디
pbcates1 내용
맞는 말이네요...대기업생산직이 3d업이 아니죠...하는일 보면 알겠지만...경력좀 쌓이면 할짓없이 있다가 고액연봉받는게 대기업현장일죠.4년제 좋은대학나온넘들은 오히려 안받는다고 들었는데 대가리만 커서...
작성일시
03.24. 16:03 IP
203.243.xxx.208
아이디
gosu2oo6 내용
대기업 중심으로 설비 자동화를 추진중이고 1만명 근로자가 하던일을 엔지니어 3~4명이 pc조작으로 공정이 이루지는 시대가 머지 않고 빠르면 5년 안에 대기업들 대량 해고 더구나 요즘은 대기업들 생산직 신입사원 거의 채용 안하죠 ㄳ
작성일시
03.24. 16:06 IP
211.215.xxx.145


제목
서민들끼리 치고 받고 난리...에휴 조회 74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5:08 아이디

아이디 sailor2716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61.254.xxx.152 신고하기  대학졸업해서 생산관리로 입사하면 생산직보다 편한거 절대 없습니다...진급, 월급의 차이등 잇점은 있지만 매일같은 야근으로 9-10시가 평균퇴근시간 끊임없는 경쟁.... 임원진급 못하면 명퇴... 아직 취업 안하신 분들 잘 생각하셔서 진로 결정하세요...젊었을때 백수로 있어도 미래를 위해 어떤 공부를 해서 어떤 진로를 뚫기 시작하느냐에 따라 향후 20년뒤의 미래가 열립니다


========

vinsm
대기업 생산라인 오래 다녀봐야 얼마나 다닐까;;; 완전 뺑이 돌리는데.. 06.08.28 14:17
story_club
대기업도 대기업 나름이지만 저라면 당연히 대기업 생산직 갑니다~특히나 현대 계열이라면 더더욱 강추입니다~젤 윗분 답변이 정말 현실적인 답변입니다~연봉4000이 거짓말이 아니죠~사무직 오히려 스트레스 더 심합니다~연봉 괜찮고 복리후생 좋은 대기업 생산직이라면 무조건 생산직으로 가세요~! 06.09.21 23:56
story_club
그리고 밑에 분이 잘 모르셔서 하는 말인데 대기업 일수록 생산라인이 평균 정년이 더 보장되죠~다만 삼성같이 노조 힘이 없는 곳은 제외..그래서 현대 계열을 추천하는 겁니다~ 06.09.21

강성노조라고 하는데 그곳은 현대 정도 일건데 그것 다 합쳐 보아라 고졸자의 5%로도 안되오. 나머지 95%로는 영세업체에 가거나 다 실직자요. 강성노조 하는 그 5%로는 대졸자들이 가려고 하지만 영세업체도 그들이 가든가요. 이렇게 편파적으로 기사 쓸 거요. 대기업 노조가 대체 전체에서 얼마나 된다고 보오.   [2007.08.17 02:38:45]

  댓글(0)댓글쓰기

    임용태(ay78r42) 0   2

  학벌주의 라는 것은 이런 기사를 낸 조선일보 및 동조하는 분들 때문이오. 강성 노조를 탓하면서 고졸이 더 많은 대우를 받는다. 허 그참. 고졸이 전체에서 얼마나 됩니까! 이 기사에 받아서 대기업에 노조에 취업하는 인원 보다 영세 업체에 취업하는 고졸이 더 많어며 그것도 취업하지 못하는 고졸이 더 많습니다. 대학을 취업율보더 고졸의 취업율이 훨씬 낫습니다. 착각 하지 마세요.  [2007.08.17 02:35:07]


======================


저도 4년제 중퇴하고.. 조회 610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5:06 아이디 아이디 sanha82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220.77.xxx.201 신고하기  저도 대학 다니다 대기업 생산직에 들어가서 5년째 일하고 있는데요..
어디서 일을 하든,,그 곳에서 열심히 생활하면 생산직이든 사자 들어가는
일을 하든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회사 대리님들도 공고 나오시고 리더들도 공고 나왔지만 다들 미국으로 중국으로 출장가서 맡은 업무 충실히 하시고 성과 내고자 힘쓰십니다.
생산직이라는 것에 색안경 끼시고 있으신 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 몇 자 적고 갑니다.
 

댓글 개수
한줄댓글 7개
한줄댓글

아이디
pok3265 내용
그건 니가 생산직 다니니까 생산직 옹호하는거야. 만약 대졸 후 사무직 다녔다면 생산직 개무시했겠지
작성일시
03.24. 15:16 IP
59.23.xxx.123
아이디
gosu2oo6 내용
수능 점수가 나오면 왠만해서는 생산직 생각은 안할텐데? 지방대 이신가보군요
작성일시
03.24. 15:18 IP
211.215.xxx.145
아이디
noise007 내용
어릴땐 모르는거죠.. 회사라고 하면 사무실을 떠올리지 공장을 떠올리진 않잖아요. 좀 크게 되면 다 알게 됩니다.
작성일시
03.24. 15:46 IP
211.48.xxx.133
아이디
pbcates1 내용
대기업생산직이면 괜찮죠...호봉좀 올라가면 연봉도 상당히 높고...생산직이 힘들다 해도 대기업생산직이면 짜달시리 그래 힘든것도 없는걸로 아는데 위에 두분은 어느대학나왔길래 생산직 개무시 하는지 몰겠지만 10년후엔 니들보다 글쓴분이 더났지 싶네요
작성일시
03.24. 15:48 IP
203.243.xxx.208
아이디
micaela83 내용
생산직도 자격이 초대졸 이상이고.. 연봉이 상당해서 사실 개무시는 못하겠던데요? 어쩔땐 내가 한심해보임.. 뭐하고 있나 지금..
작성일시
03.24. 15:50 IP
125.181.xxx.215
아이디
mythdark 내용
대기업 생산직 전문대까지만 받죠 요즘에는 사무직에서 생산직으로 전환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_-; 정년보장 때문에...
작성일시
03.24. 15:57 IP
211.220.xxx.239
아이디
soft_hearted 내용
여기도 능력없는 사무직 몇명 있네.. 몇년후엔 짤릴 텐데... 짤린 후에도 그런 소리 나오나 보자.. 어떤 사람은 짤리고 나서 수위한다던데.. 한치앞을 모르는 세상이다.. 한심한 것들아..
작성일시
03.25. 04:52 IP
211.204.xxx.166

=======================


위에 나온 연봉 6000만원 받는 대기업 생산직들 실제로 있습니다. 울 회사 생산직 반장도 연봉 9000가까이 되더군요.. 올해 50대 중반인데.그러나.. 이 기사에 혹해서 대기업 생산직으로 입사해야 겠다는 생각은
버리시길.....

왜냐.. 회사 입장으로써는 저 고연봉자들에 대한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어차피 사무직은 노조 소속이 아니니 맘대로 할 수 있지만
생산직은 뒤에 노조가 든든하게 버티고 있어서 쉽게 짜를 수도 없거든요..
그래서 몇년전부터는 회사소속 생산직 노동자들은 뽑지 않는 추세입니다.

대부분의 생산직은 협력업체에서 맡고 있죠.
협력업체의 노동강도나 급여수준은 말 안해도 아시겠죠?ㅋ


==================


대기업 생산직이 일반 생산직과 같은가?

대기업 생산직은 일반 생산직 근로자가 아니다. 손에 기름 한반울 안묻이는 생산직이 얼마나 많은데.. 허구헌날 파업하며 임금올려달라는 갑부노조들 때문에 중소기업 생산라인에서 기름묻은 땀방울 흘려가며 일하는 진정한 노동자들이 더 힘들어지는거야. 이런기사올릴때 왜 대기업만 비유했는지 이해가 안간다..
다음번엔 중소기업가서 현실을 보고 그대로 기사화하기를 부탁드리네요.
 

댓글 개수

아이디
fox3792 내용
마저. 대기업 생산직 연봉 올려줄때마다 하청업체 직원들만 더 죽어나감.

나 또한 님에 말에 적극적으로 동의 합니다 무슨 생산근로 애기만 나오면 최소 50대 기업 안에 드는 회사로 기사화 해대니 실제로 100 대 기업에 못 믿치는 저같은 경우는 진짜 그저 대기업 생산직에 못다니고 있는게 그저 가슴이 씁습하기만 하네요

rkdmfdmlcndj 내용
그렇게 말하면 체고출신 운동선수들도 공돌이 만큼 받아야 하겠네?무식한 농민들은 대학나온 사람 보다 적게 벌어야 정상이냐?넌 신문도 않보냐?우리나라 근로자들 사무직이 생산직 보다 연봉이 2배 많다는 기사 나온적 잇잖아.어느기업이든 생산직이 대졸 사무직 보다 월급 많은 곳은 없다 이놈아.대졸신입과 생산직 20년 경력 이라면 당연히 생산직이 많지.멍청하긴...호봉수가 괜히 잇는줄 아니?직장을 다녀 봣어야 알지...
작성일시
03.24. 14:04 IP
121.153.xxx.236


=================


생산직의 좋은점과 한계점

조회 375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3:33
netizenkane 

지금도 전국의 산업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생산직 근로자들...정말 열심히 일하고 고생하고 있는것 안다.

물론 그중엔 울산같은 대기업 공장에서 철밥통 크기 더 늘리려고 툭하면 파업이나 일삼는 이기적인 귀족노조가 있는가하면....열악한 중소기업에서 저임금에 힘든 조건에서 고생하는 근로자도 있고....비정규직 근로자들도 있다.

저 기사에 나오는 근로자들은 대부분 대기업체의 생산직이거나 대기업 협력업체의 근로자들일것이다.

이들 생산직 근로자들의 좋은점은....그냥 열심히 성실하게만 일하면....피터지는 생존경쟁과 진급 못하면 짤리던가 자기가 알아서 나와야하는 사무직과는 달리....정년이 비교적 보장된다는것...그리고 기업에 따라 다르겠지만 후생복리제도와 복지시설등이 잘 갖추어진 곳도 많다.


그리고 생산직 근로자들의 한계점이라면....조립이나 용접 자기가 맡은 분야에 대해 수십년동안 단순노동만 하다보니....경제적으로는 안정되지만 자기발전에 대한 욕구나 성취동기가 생기기 어렵고.....또 승진에 있어서 어쩔수 없는 벽에 부딪친다는 것이다...10년 20년 일해도 호봉은 올라가겠지만....직급은 기껏 조장...반장에 머무를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사무직을 장교에 비유한다면....생산직은 주임원사에 비유할수 있을것이다.

왜 힘들게 공부해서 대학 들어가서 4년동안 또 뼈빠지게 취업준비해서 기업체에 사무직으로 들어가려고 하는가..

생산직보다 더 연봉이 많아서....아니다....피터지게 경쟁하더라도 뭔가 자신의 꿈을 이룰수 있는 최소한의 기회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기업의 사장이나 창업자들이 기업체에서 말단 사무직으로 출발해서 나중에 독립해서 자신의 기업을 일구어낸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생산직 근로자 조차도 자기 자식은 대학 보내서 사무직 화이트컬러 직장인으로 살게 하려는 것이다.
 

댓글 개수

johd498 내용
직장생활 한번 해보시고 말씀 하시죠. 정년 보장이 최고입니다. 시대가 변했죠. 대기업 가서 실제로 힘든일은 기술직(사무직 R&D)가 더 합니다. 생산직 편해요.

ham9mi 내용
아주 좋으신 지적입니다.

hbm007 내용
동의 합니다. 생산직은 창의성, 성과의 짐을 지지않고 있습니다. 반복단순노동을

ittzz66 내용
돈 못버는 직업이란 사람을 비참하게 만듭니다..최소한의 기회요? 물론 좋습니다. 하지만요.. 그게 말장난 같을때가 많아요..

hyoungaya 내용
현대중공업 본부장중에 현장직출신도있고 설계부나 연구실에도 자기발전에 성공한 생산직근로자 많은데 어디가서든 뛰어난자만이 살아남는거죠

==========

제목
솔직히 남자가 불쌍하지.  신고하기
 울산쪽 생산직 근로자들 돈 잘번다고 하더라. 야근이다 특근이다 마누라 볼 시간은 없고 마누라들은 돈은 많지 할일은 없지 남편얼굴 가끔가다 보지 일하고 들어와서 피곤하다고 그냥 드리눕지.

그러니 마누라들 새끼애인들 하나씩 꽤차고 화려한 중년을 보낸다나. 돈많이 벌면 머하나. 적당한 벌고 적당히 여유생활 즐기는 그거이 즐거운 생활이지.


==============
제목
제발 정신 차립시다.
야후에서 보고 아이디가 없고 댓글을 못 달았는데,네이버도 똑 같은 글이 있네요.노동자가 그렇게 좋으면 노동자들 하세요.연봉 그렇게 많이 받는 것이 좋으면 365일 부지런히 출근해서 잔업에,휴일 수당에 기타등등하세요.저도 대기업(?)생산직 노동자 입니다.지역 근방에서 대우는 좋은 편에 속합니다.하지만 생산직이라고 천년만년 정년할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주위에 없습니다.사무직이라고 무조건 정리 한다고 아닙니다.요즘에는 물불 안가리고 합니다.기업이 살기 위해서는 어쩔수 없다고 하지만...생산직 근로자가 좋으시다고요..회사도 계급이 있습니다.계급이 있으면 당연히 계급이 높은 사람에게 쫄립니다.15년다녀 생산직 반장하고 사무직5년다니면 15년다닌 반장보다 직급이 높습니다.한마디로 인사고가를 젊은 사무직 직원이 준다고 할수 있죠...급여 대졸자 초임이 10년 근무하는 생산직 기본급과 같습니다.단순히 돈 많이 받는 걸로 계산하지 마십시요.교대근무 한20십년해보십시요..낯에 근무하는 것이 부담스럽다고 하십니다.사람은 낯에 일하게끔 신체가 발달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생산직이 부러우시면 공고 졸업하시고 들어 오세요.
이런 글을 쓴 기자를 교대근무에 먼지 소음 분진에 한번 투입시켜서 밤 낯으로 한 달만 근무 시키고 싶네요...저는 다시 입사 한다면 사무직으로 입사 할 겁니다.
요즘에는 회사에 충실히 해야 살아 남습니다.사무직이건 생산직이건....
 

댓글 개수
한줄댓글 2개
한줄댓글

아이디
ssjust2004 내용
그러게.여기 생산직좋다고 말하는 백수들이 있어서요..해 보면 힘든데..ㅎㅎㅎ


점점 압박해서 대졸정규직들 주머니만 채울려고하네요 . 대졸 정규직 때문에 나라 망하겠다 . 내수도 않좋은데 가난한사람 늘려가면 남미로 가는거지 . 모두가 사는 방법을 택해야지 . 국가의 개입이 필요합니다 .

=================

제목
초봉5000만원 생산직Vs 9급공무원 누가좋아... 조회 730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3:20 아이디 아이디 tnsgudghd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121.141.xxx.42 신고하기  울산에 S-XXX생산직 초봉 일년에 총 합해서 받는게 5000정도인데 이런 사람이 좋아요? 아님 죨라 공부 엄청나게 잘하는 9급공무원이 좋아요?
 

댓글 개수
한줄댓글 16개
한줄댓글

아이디
jks7811 내용
공무원 3% 퇴출제 시킨답니다..정답은?

s 내용
공무원 해서 한달에 돈 몇푼 쥐어서 그걸로 벌레처럼 사는니 생산직 간다...

 llsin413ll 내용
9급 공무원이 돈은 좀 적어도 더 편하고 좋지~

mecman 내용
9급공무원이 낫지....편하게 돈 벌어서 부동산으로 내리 질르는데...그걸 어떻게 당해. 생산직다녀봐야 대괄휘가 단순해져서 술이나 먹고 그러다가 10년 후딱가지 ㅋㅋㅋㅋ

ssjust2004 내용
나 같으면 9급간다..편하게 일하니깐.생산직해 봐라..장난아니라는 걸 알게 될꺼다.

tksky 내용
울산s오일 5년차 2억5천 아파트 장만 9급공무원 5천만원짜리 전세거주

rkdmfdmlcndj 내용
공무원 퇴출제...모두 하는게 아니니...걱정말고..앞으로 공돌이도 10년 버티기 힘들다.공장설비 자동화 되면 대기업 공장에 엔지니어 2~3명 이면 공장 가동하는 시대가 몇년 잇으면 온다.

vyaixxyav 내용
생산직 한마디로 골병드는 직종임.. 몸에 냄새 안나고 일 편하고 안 위험하고 자기시간 많고 결혼에도 유리하고 주위 평판 괜찮으며 정년도 더 길고 몸에 골병 안드는 공무원 승

tnsgudghd 내용
ㅋㅋ자동화시대가 되도 사람은 다 필요하게 되있어요.ㅋㅋ
pengu89 내용
당연히 공무원을 남편으로 맞이하겠습니다.

ham9mi 내용
9급 공무원이 정답입니다.공무원이 머니머니해도 완빵입니다.공무원 혜택이 얼마나 많은데요...

ysd90611 내용
공무원은 국가발전에 걸림돌이 될 수 있지만 생산직은 부가가치생산자다.(공무원은 부가가치 생산없이 노닥거리는 없어도될 존재이며 세금을 축내는 인생일 수 있다.

tnsgudghd 내용
4조3교대정도 하면 하루에 8시간 근무. 퇴근후 시간이 많이 남네. 골프라도 치러 갈까.ㅋㅋㅋ 공무원- 5시칼퇴근. 돈이없어 할게없네..

tnsgudghd 내용
대기업도 혜택이 엄청많죠^^ㅋ

majaehoo 내용
공무원이 부동산에 지를 돈이 어딨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tnsgudghd 내용
진짜 공무원이 돈많이 벌면 그건 부당하게 얻은 이익.. 깜빵가야됨.

===============

다시 고등학교가라면 공고 갈꺼야... 조회 315 공감 1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3:17 아이디 아이디 samkojm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121.131.xxx.206 신고하기  작년부터인가 내가 왜 인문계를 가서 이고생 하나...
이런 생각을 갖게 되었는데...
다시 고등학교 가라면 꼭 공고가서 기술 배우고 싶습니다...
어중간한 인문계 나와서 지방대 나오니까....
취업은 하늘의 별따기요....
차라리 기술로 생산직에서 돈많이 벌고 있는 친구들이 부럽네요...
 

댓글 개수
한줄댓글 5개
한줄댓글

아이디
jks7811 내용
돈 많이 벌어??? ㅋㅋㅋ 공고 나와서 대기업 못 들어가면 그야 말로 막장 테크트리 탄다.. ㅋㅋ 그야말로 모 아니면 도야..
작성일시
03.24. 13:20 IP
59.0.xxx.34
아이디
llsin413ll 내용
어중간한 인문, 상경, 관광 나와서,,,,, 할 수 있는거는 아무것도 없다!! 90%영업직이고,, 40이상 버티지도 못한다!! 젠장!! ㅜ.ㅜ
작성일시
03.24. 13:21 IP
221.142.xxx.31
아이디
rkdmfdmlcndj 내용
요즘 공고생들 전문대,대학교 진학율 80%요.일부 대기업 생산직 가는애들 빼고 거의 대학 간다네.. 그리고 요즘 공고는 배울게 없다.기술?뭔기술을...기능사 자격증 학원 2달만 다니면 따는거... 공고 가느니 인문고 나와서 직업훈련소 다니던가 기능대학 다니는게 낫지.
작성일시
03.24. 13:21 IP
121.153.xxx.236
아이디
csh8129 내용
근데 공고나와서 전문대를 나와도 생산직 사원으로 들어가던데.. 큰 학문을 배우는것도아니고 어설프게 전졸딱지 얻으러 대학가는거면.. 차라리 그냥 바로 취업하는게 나을것 같아요. 요새는 맘만 먹으면 누구나 대학을 갈 수 있으니까요...

rkdmfdmlcndj 내용
공고에서 내신 좋은 애들이 대기업 생산직 가고 중간 정도 하는 애들이 지방4년제 가고 밑바닥들이 전문대 갑니다.공고에서 밑바닥들은 어디 취업 하기도 힘들어요.그래서 전문대 가는 겁니다.공고는 7~80년대 다닐만 햇지..요즘 공고는 양아치 만드는 곳이요.배울게 없소.대학 않가더라도 인문고 직업반 들어가 고3때 직업위탁교육 받는게 현명하오.


=================

다시 고등학교가라면 공고 갈꺼야... 조회 315 공감 1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3:17 아이디 아이디 samkojm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121.131.xxx.206 신고하기  작년부터인가 내가 왜 인문계를 가서 이고생 하나...
이런 생각을 갖게 되었는데...
다시 고등학교 가라면 꼭 공고가서 기술 배우고 싶습니다...
어중간한 인문계 나와서 지방대 나오니까....
취업은 하늘의 별따기요....
차라리 기술로 생산직에서 돈많이 벌고 있는 친구들이 부럽네요...
 

댓글 개수
한줄댓글 5개
한줄댓글

아이디
jks7811 내용
돈 많이 벌어??? ㅋㅋㅋ 공고 나와서 대기업 못 들어가면 그야 말로 막장 테크트리 탄다.. ㅋㅋ 그야말로 모 아니면 도야..

llsin413ll 내용
어중간한 인문, 상경, 관광 나와서,,,,, 할 수 있는거는 아무것도 없다!! 90%영업직이고,, 40이상 버티지도 못한다!! 젠장!! ㅜ.ㅜ
작성일시
03.24. 13:21 IP
221.142.xxx.31
아이디
rkdmfdmlcndj 내용
요즘 공고생들 전문대,대학교 진학율 80%요.일부 대기업 생산직 가는애들 빼고 거의 대학 간다네.. 그리고 요즘 공고는 배울게 없다.기술?뭔기술을...기능사 자격증 학원 2달만 다니면 따는거... 공고 가느니 인문고 나와서 직업훈련소 다니던가 기능대학 다니는게 낫지.
작성일시
03.24. 13:21 IP
121.153.xxx.236
아이디
csh8129 내용
근데 공고나와서 전문대를 나와도 생산직 사원으로 들어가던데.. 큰 학문을 배우는것도아니고 어설프게 전졸딱지 얻으러 대학가는거면.. 차라리 그냥 바로 취업하는게 나을것 같아요. 요새는 맘만 먹으면 누구나 대학을 갈 수 있으니까요...
작성일시
03.24. 13:24 IP
211.44.xxx.22
아이디
rkdmfdmlcndj 내용
공고에서 내신 좋은 애들이 대기업 생산직 가고 중간 정도 하는 애들이 지방4년제 가고 밑바닥들이 전문대 갑니다.공고에서 밑바닥들은 어디 취업 하기도 힘들어요.그래서 전문대 가는 겁니다.공고는 7~80년대 다닐만 햇지..요즘 공고는 양아치 만드는 곳이요.배울게 없소.대학 않가더라도 인문고 직업반 들어가 고3때 직업위탁교육 받는게 현명하오.
작성일시
03.24. 13:30 IP
121.153.xxx.236

=====================
절대공감. 그러나.. 조회 315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3:15 아이디 아이디 shin0761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61.102.xxx.18 신고하기  울산석유화학단지내 모 대기업.. 울아버지 28년째 근무.. 오퍼레이터시지만 자녀대학학자금 자녀수제한없이 무제한 . 자녀채용 실행중.. 복지말할것없이 좋지. 연봉 1억에 육박하지.. 하.지.만. 3교대에서 데이로 나가시고 나서는 S대 출신 상사에게 무시당한다는 이야기를 어제 듣고 눈물을 흘렸습니다.. 정년 60세 추진중이라는데 울아버지는 그냥 나오고 싶어하십니다. 취업못하고있는 공학도 친구는 오퍼레이터로 들어가고싶어하는데. 솔직히. 무시당하면서 일하는거. . 과연.. ...
 

댓글 개수

h201307 내용
사회생활 만만하게 아니죠,,, 상사한테 무시당하는것 그정도 약과예요,,,

csh8129 내용
아버님이 희생함으로 온 가족이 평안한거죠..아버님한테 잘해드리삼~~ ㅠㅠ


===========


화이트칼라가 뭐가 좋아...... 조회 393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3:00 아이디 아이디 tbvj5429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203.251.xxx.76 신고하기  생산직처럼 일을 많이하는것보다 힘든것이 사무직이다.........
 

댓글 개수

아이디
archonguild 내용
생산직이든 사무직이든 사장밑에서 기는 일꾼일 뿐입니다.

ps2maniac 내용
사무직에 사람들이 몰리는 이유는 대우가 더 좋고 덜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뭐하려고 사람들이 사무직에 연연하겠습니까?

scg181 내용
뭘 해도 힘들지 결코 어떤것이 힘든것이 아니겠지요..ㅡㅡ;;...

forever12389 내용
솔직히 정신적이고 화이트는 블루는 몸아닙니까 생각하는것들이 모든어른들의 생각일듯

rizin2k 내용
사무직은 눈치 보는게 좀 힘들죠. 공장의 반복작업이 몸은 힘든데 마치는 시간 정확하고 쉬는시간 정확하고 해서 적어도 나에겐 더 맞는것 같던데^^

ps2maniac 내용
화이트는 정신적 압박을 받긴 하지요... 하지만 정신적 압박은 블루도 만만치 않습니다. 블루는 거기에다가 육체피로까지 있지요. 세상에 위험도 높은 직업들은 거의 다 블루입니다. 그것은 알고서 말하시기 바랍니다.

juniway 내용
하루종일 컴터 보고 있는게 난 더 힘든거 같은데.. 차라리 몸을 움직이는 직업이 나아요 진짜 움직이지 않아서 골병드는거는 약도 없어요..


rnerjf3528 내용
모든 사무직이 생산직보다 연봉이 높은것은 아니다. 고졸 출신 이면 생산직 고졸이 더 많이 번다


===============


제목
기자야 명퇴 직전에 연봉 6000이 많다고?
생산직은 사무직에 비해 스트레스+육체의 피로가 엄청나단다...
일의 강도가 장난 아니지....
내가 1년쯤 전에 수학여행 가서 포스코 견학해봤는데,
내가 생산라인에서 약 100m 떨어져 있는데도 사우나보다 더 뜨거운데
거기 직원분들 생산라인 옆에서 땀흘리면서 일하고 계시더라.
현대자동차가 일이 쉬워보이지만, 너네 용접이 뭔지 모르지?
용접할때 그 열기가 약 3000~4000도란다... 감도 안오지?
그런데 생산직은 아무리 올라도 연봉6~8천이 끝이고
사무직은 8천~1억이 가능해... 그런데도 이 기사의 블루칼라들이 로얄로 보이니?
너네같은 악플러들이 쓰는 컴퓨터같은거, 다 생산직 분들이 만드신 거란다.
그런데 너네는 생산직 분들한테 욕이나 하고 앉아있니?


아이디
qw556 내용
울형__ 콘테이너 용접 월급 170 여름에 초죽음 철판위에 올라가 용접 하는데 개란 깨뜨리면 바로 후라이 한 10 년 나이들어 보임 용접일은 할게 아님

jj72love 내용
소방공무원이셨던 우리 외숙부가 퇴직 전에 연봉 4000 좀 넘던데?

rizin2k 내용
근데 중요한건 그렇게 스트레스 많고 육체적으로 힘들다면 사람 할짓이 아닌데 자녀에게 대물림 할려고 할까요?

koo30000 내용
현대 드리아브, 15년차 연봉 8000 만원잉.

ps2maniac 내용
jj72love님, 공무원은 원래 연봉이 적습니다... 아주 위로 올라가지 않는 이상은 5천 넘기기 힘들어요. 그리고, rizin2k님, 지금은 취직이 얼마나 힘든지 아실텐데요? 귀족노조 귀족노조 하지만 그건 연봉 적은 중소기업 생산직에 비교했을 때이고 대기업 사무직 부장급과 비교하면 받는 연봉이 많이 차이 난다는거 아시나요?

============


화성자동차공장에서 일하는 사람입니다. 조회 541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2:31 아이디 아이디 mersi99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220.78.xxx.202 신고하기  저는 k자동차생산공장에서 물건을 납품하는 사람입니다.
거기서 일한지 4달정도 되어가는데 협력업체 사람들말구 정식직원들이 하는것을 보면 눈꼴시립니다. 귀족노조라는 말이 왜생겼는지 알꺼같습니다.
우리같은 협력업체사람들은 정직원들 눈밖에 나봐야 좋을께 없습니다.
그래서 그들에게 아는척하고 인사하고 검수해주는 사람에게는 가끔 뇌물같은 것을 바치는 것을 보아왔습니다. 참 그렇더라구요 우리보다 두배가까이 연봉을 받아가는것을 아는데 술심부름을 시키고 자신들이 해야할 일을 우리에게 떠맡기고 이런저런 행패를 부립니다. 뭐 다그렇다는것은 아니고 몇몇이 그렇다는 거죠. 하지만 이건 아니단 생각이 들어 그냥 글 올려봐요
 

댓글 개수
한줄댓글 6개
한줄댓글

아이디
qw556 내용
옳소 !!!!난 시커먼스들하고 일똑같이 하는게 싫어

99446263 내용
그런 갑과을의 관계가 없는 직장이 세상에 어디 있을지....

 kimss2004 내용
나쁜넘들정말 이런말 하기도 내입이 드러워진다!!대한민국이 실다 실어,,,북한이 핵이나 쏴버려라 한국에!!

tlsehdtndiaz 내용
99님은 사회경험이 짧으셔서 그러시는듯 ..그게아니라면 아직진짜사회를 못보신건지도 ..어디서나 저런모습은 다있습니다 556님은 사회초년생인듯하고 ..시커먼스들이 .ㅡㅡ;;외국인들알아볼까무섭네 ..초딩같으니 삭제하세요 ㅡㅡ

legendofna 내용
tl. 님 어디서나 있는 모습이지만 당연하게 받아들이는것에는 문제가 있네요.. 전 고교 졸업후 20년가까이 근무했지만 저런 경우를 당해보질 않았습니다. 그 회사만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 s 계열인데... 암튼 그래서 전 담엔 절대 H 차나 K차 안살겁니다.

genilku 내용
현대기아차는 두가지가 개선되어야 합니다. 첫째는 경영진의 투명성, 그래야 노동자들이 회사를 신뢰할 수가 있겠죠. 둘째는 생산성향상, 현대와 토요타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생산성이 못따라 갑니다 차한대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현대가 토요타의 1.5~2배라는 것 자체가 개선되어야 합니다. 실제로 업무상 여러 자동차공장에 가보면 근무시간에 라인에서 조립하다 말고 담배피는 사람, 신문보는 사람 등 믿기지 않는 광경을 볼때가 가끔 있습니다. 이런걸 우선적으로 개선해야지 다른 부품 원가절감만 내세우다가는 품질만 나빠질 뿐입니다.


==============

동사무소고 구청이고 시청이고 가봐라
다 여자들이다 . 사무직에 일 편하지 돈도 적당하지
나이먹어도 계속 할수 있지
이보더 더 좋은 직장이 어딨나?

========


그래도 대기업생산직 다니면,여자들 싫어함. 조회 472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2:22 아이디 아이디 ssjust2002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122.199.xxx.125 신고하기  돈 잘 버니 좋아할 것 같지요?

사실은 다 싫어합니다..

물론 돈 때문에 하는 그런 여자도 있겠지만..

제대로 사고방식가진 여자들은 다 싫어하지요..

하지만,공무원은 다 좋아합니다.

공돌이랑 솔직히 격이 달라보이잖아요..중간은 가는 이미지..

여자꼬실려고..행여나 대기업 라인다닌다고 하지마세요..

오페레이터라고 그래도..여자들 다 알아듣습니다.

"아..생산직이구나.."속으로 이럴껄요..-_-;';
 

댓글 개수
한줄댓글 24개
한줄댓글

아이디
tksky 내용
근데 울산에서중공업 자동차 생산직사원 결혼률이 왜 울산에서 1등일까
작성일시

ssjust2002 내용
다른 공장하고 비교하니 1등이지..공무원그룹하고 비교해봐라..쨉도 안된다..외모부터 마누라들이 차이남..--_--


spoler 내용
글쵸.. 대기업 생산직이랑 공무원은 이미 머리에 든것부터가 천지차이죠. 돈 아니면 거들떠 보지도 않음.. 결국 대기업 공돌이에게 넘어가는 애들은 오로지 돈!!!ㅋㅋㅋ
작성일시

jasmin415 내용
말이 웃기시네요.. 제대로 사고방식?? 제대로 된 사고방식을 가지신분이면 생산직하고는 결혼안한다....??

ssjust2002 내용
415님..맞는 말입니다..돈 때문에 결혼하는게 정답이죠..사고방식 제대로 된 여자들이 돌았습니까.공돌이들하고 살게.

spoler 내용
jasmin415 솔직히 자기가 월수입 150-200정도 되는 직장 다니는 여자들은 쟤네들 거들떠도 안봄.. 넘어가는 애들은 거의 백조거나 생활고에 찌달리는 애들..ㅋㅋㅋ

jasmin415 내용
그럼 4년제 대학나와서 생산직 다니는 사람하고 결혼한 나는 제대로된 사고방식이 아니라서 사람하나 보고 결혼해

jasmin415 내용
결혼했네요.. 참내...

tksky 내용
사고방식 제대로 된 여자면 누구 공무원하고 결혼하냐 대기업 후계자하고 결혼하지

spoler 내용
실제로 내 친구중에 대기업 생산직 다니는 애 있는데 후배들 소개시켜준다니까 다들 거절하더만요. 근데 다른쪽에 소개시켜달라는 애들 보니까 거의 고졸이거나 월급 100만원 정도받는 비정규직 애들..ㅍㅎㅎ

archonguild 내용
대가리에 똥만 찬놈들 많구나..ㅋㅋ

ssjust2002 내용
415 아주머니.생각해 보세요.만약 님 신랑분이 대기업공돌이 아니고,중소기업 공돌이엿다면 결혼했겠어요?..생활고로 결혼하신거 다 압니다..본인이 능력있고 생각있는 여자들은 절대 안 하죠..

archonguild 내용
그렇게 대기업 생산직 무시했던놈들 나중에 사회 나가면,취직못해 오히려 생산직 못가 안달나지 꼴에 눈은 높아 가지고 대기업생산직만 원해 ㅋㅋ 늬들이 생각하는 쌍팔년 생산직이 아니라 대기업 남자사원은 대부분 장비관리자다. 공돌이랑은 다르다고 ㅡ.ㅡ;; 사무실에 있는 시간이 더 많아 ㅋㅋ

bokkumhan 내용
됐걸랑 공돌이 홧팅 내가 힘을 시러줄께

tksky 내용
근데 결혼이 목적이 돈이냐 ? ssjust2002너의 주변은 얼마나 대단한 인간들이 있는지 몰라도 너도 인생 헛살았구나
작성일시

ssjust2002 내용
대기업 생산직해 봐서 압니다.안에서 막노동하는 것도 다 압니다..밖에 나오면.여자들이 알까봐.뭐..기술자 이런식으로 둘러대는 것도 압니다.제가 그 실태를 모르면서.이러는 줄 아시나봐요?..-_-
작성일시

tksky 내용
ssjiust2002나중에 중소기업 생산직도 취직못해서 길거리에서 껌팔지 말고
작성일시

raindroptt 내용
머리에 든것... 이라니. 그럼요. 공부좀 했다고 으스대는 사람하고는 절대 결혼안하죠. 직업이 그 사람의 인격이라고 생각하는 여자랑 결혼하시면 되겠네요. 그런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대체 어떤 책이 필요한지..공부는 누구나 필요하면 하는것인데.

tksky 내용
요즘 대기업생산직 누가 막노동 하냐 전부 자동화 공정인데 힘든거는 협력업체들이 하지 조정실에서 보드로 운전하지
작성일시

archonguild 내용
안에서 도데체 무슨 막노동을 하는건지 ㅡ.ㅡ;; 실태? 님이 했던 시절에나 그러겠죠. 힘든건 전부 용역이에요. 대기업 생산직은 삼성같은데 빼놓고 남자가 일하기는 정말 좋은 곳임.. 그리고 사람을 택할때 직업과 돈으로 사람을 판단한다면.. 그 사람은 인생이 불쌍한겁니다.

choi9994 내용
공돌이들 만만세 개한민국은 공돌이들이 쵝오다
작성일시

juniway 내용
ssjust2002// 솔직히.. 화이트칼라든 블루칼라든 먼 상관인가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 잘벌면 장땡이지.. 지아무리 선비라고 위엄 찾을려 해봐도 밥굶는 선비보단 부유하게 사는 공돌이를 선호하는게 요즘 세상입니다..


juniway 내용
spoler// 아직 어린애들인가 보군요.. 그러니 대기업생산직의 진가를 모르지요..ㅉㅉ 한 몇년 더 사회생활 후에 애기 꺼내보세요.. 해달라고 매달릴겁니다
작성일시

firenux 내용
난 공무원이 좋다고 하는 사람이 더 이해가 안감. 공무원이 머리에 뭐가 들었습니까? 전문직도 아니고.. 공대한번 가보십시오. 머리가 꽉찬게 어떤건지 지대로 알테니까.. 그리고 그렇게 남 함부로 무시하지 마시오. 하긴 나도 공무원 무시하는데 ㅋ ㅋ ㅋ

==========

기아 현대 들어가기도어렵다 조회 443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2:14 아이디 아이디 yong605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210.126.xxx.176 신고하기  생산직도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들어가야한다..
들어가면..힘은들겠지만!!
연봉이 엄청쌔다.....
 

댓글 개수
한줄댓글 7개
한줄댓글

아이디
law_light_ 내용
그만큼 일도 힘들다는거

miro2kr 내용
받는돈에비해 일은 50%밖에 안된다는거..

spoler 내용
그 엄청난 경쟁률도 무시하고 들어가는 뒷구멍들도 무지하게 많다는거~ㅋㅋ

aries0301 내용
현대자동차 생산직은 공채보다 뒷구멍과 자녀세습이 더많다는거..그리고 일도 그닥 힘들지 않다는거..

 ps2maniac 내용
생산직이 받는돈에 비해 일을 50%밖에 안된다면, 사무직은 3~40%겠네?

doljunggi 내용
대기업 생산직 지금은 안뽑지???? 노조원 다 없어 질때까지.....물론 뒷구멍은 지금도 수시로 뽑고 있기 때눈에 제외...

qwertyup 내용
대기업 생산직 들어가기 무지힘듭니다. 빽업으면 힘들어요... ㅠㅠ


=================

솔직히 난 취업에 관심없다.
일하기 싫다.
편하게..주 5일근무 칼퇴근하면서.살고 싶다.
헌데..대한민국엔 그런 직장이 없다.
그래서 공무원이 되고싶다.

중소기업 다녀봐서 안다.대기업도 다녀봐서 안다.
정말..돈 벌때 그때 뿐이다..남는 건 관절염..
하지만,공무원은 정말 부럽다.

난 공장다니면서 3천버네..5천버네..하나도 안 부럽다..그만큼 젓 빠지게 고생하므로..

하지만,,공무원생활해서 첫달 월급 다 띠고176만원 받았다는 **시청에 다니는 친구녀석은 그렇게 부러울수가 없다.
왜 부럽냐구?..편하게 일하는거 자체가 부럽다..
누가 나보고.."너 몸으로 때우면서..3백가져갈래?"

"아님..앉아서 편하게 2백 가져갈래?.."한다면..난 2백가져가는 공무원을 택할 것이다.

몸으로 때운다는 거..첨엔..의욕적으로 일하지..1년만 지나보면..참으로 고달픈 인생이란 걸 느끼게 된다..
자고로..평생직장은 편해야 오래 일할 수 있다..

공장에서 일하다보니..너무 피곤해..가족에게 짜증부리는 인간이 되긴 싫다.
 

댓글 개수
한줄댓글 3개
한줄댓글


sonn731 내용
생산직이라고 해서 다 몸으로 때우는건 아닙니다.. 요즘은 다 자동화구 설비점검하고 모니터 확인하구 컴퓨터로 입력하구 일은 기계가 하지 사람은 관리만 합니다..물론 아직 몸으로 하는일이 많은곳두 있긴하져...

ssjust2002 내용
731님.저도 대기업생활 해 봤습니다.필립스같은 경우 다 일제 로보트 조작으로 하죠..구미공단에선 젤 편한 생산직이라던테..솔직히..그것도 힘들더이다..하루종일 일어서서..휴..생산직자체가 힘듭니다.눈치보구..

rkdmfdmlcndj 내용
자동화가 시설이라면 사람이 필요 없지.자동화시설로 할수 없는 일에 사람이 하는데 자동화시설 관리 한다면 생산직이 아니라 엔지니어지.나도 공장생활 해봤는데 어느날 내자신이 불쌍한 생각이 들어 그만뒀지.글쓴분 말데로 나중에 병걸린다.그리고 여가시간도 없고 가족과 지낼 시간도 없고 사람이 아니라 기계같은 느낌.나도 연봉4000 짜리 공돌이 보다 연봉 2000 짜리 동사무소 공무원이 더 좋겠다.돈만 벌기위해 산사면 그사람은 인생의 의미를 모르거다.월급 아무리 많아도 공돌이는 사내대장부가 할짓이 아니지...


============
euseung님 //오히려 그쪽이 현실을 더 모르고 있는 것 같은데요?? 저는 소위 귀족노조들이 다니고 있다는 두개의 회사에서 근무한 적이 있고 지금 일하고 있는 사무직입니다... 일부 언론에서 채용과정에서의 불법을 이야기하지만 그렇게 들어온 사람들(솔직히 저는 거의 없다고 봅니다만...)보다 그렇지 않고 정상적으로 들어온 직원들이 훨씬 많습니다... 저는 이러한 비난들이 기술직 노동자들을 우습게 생각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나온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euseung 내용
저도 협력업체에서 6년일하다 작년말에 합격해서 일하고잇는데요. 거의없다고 봅니다..라는건 어떻다는 말씀인지. 저는 자주 보아오기때문에 이야기를 했던겁니다. 당연히 불법보다 그렇치 않은 사람들이 더 많죠. 그러나 주위에 수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가는것을 보며 저도 무지 박탈감느껴왔고 들어오는데 7년이 걸렷습니다. 이미 3년 4년째 일하고 잇는 친한 친구와선후배들이 꽤 되구요. 모두 열심히 공부하고 매사에 노력자들보다 배후로 들어간 사람들이 더많아요. 꼬치꼬치 캐물면 대답못합니다. 뻔하니까요. 일반 4년제대학갈실력도안되고 자격증도 없이 놀다가 갑자기 한두달만에 자격증 딸랑 하나따고 이력서 내서 들어가죠.


euseung 내용
전 여수에 사는데요 공단이 많다보니 공단직원들을 당연히 많이 보게되고 직장도 그쪽으로 들어가는경우가 많죠. 사회적분위기라는건 그만한 원인과 결과가 잇기때문에 분위기가 생기는 겁니다. 아직까지도 협력업체에서 대우못받으며 열심히 일하시는 실력자분들., 정말 안타깝습니다. 그분들이 부족한건 단지 기회와 행운 그리고 잘나고 돈많은 부모일뿐입니다. 열심히 노력하시는분들 머리굴려서 좋은직장구할때 뭐햇냐.같이죽자는 심보냐 그런말들로 매도하지 마세요. 당신들보다 훌륭한사람 정말 많아요.

===============

생산직이라고 해봐야 냉연부의 경우는 완전 사무직이나 다름없다.
생산라인은 거의 자동이고, 현장근무자는 통제실에서 기기와 버튼조작하고 라인상태 관찰하는 정도의 오퍼레이어 개념. 강판코일 다 풀리면 용접으로 이어줄때만 잠깐 통제실에서 나오는 정도. 대신 잠시도 한눈팔면 안됨.

4개조 3교대인데, 여덟시간씩. 7시, 3시,11시 근무가 있었던 것 같다. 공휴일 없이 일주일에 이틀은 휴무고.


============
정년까지 일하고 싶은 생산직은 다 대기업 애기지 중소 기업 다니는 사람들은 당신들 때문에 죽어 간다오...당신들 부품 조금 안맞는다고 불량 이라고 다시 만들라고 하고...조금만 힘주면서 끼우면 맞는데 그거 힘들다고 불량이라 해서 다시 만드는 중소 기업 생산직 사람들 생각 해보셨쇼"???
시대 잘만나서 어찌 대기업에 잘들어가 지금꺼 잘 살고 그러겠지만..제발 좀 일도 편하고 돈도 많이 버니깐 좀 안맞는거 당신들이 좀 끼우고 그러세용...뭐 자기 회사서 돈주고 사는거니깐 그러지 라고 말하는 사람 있겠지만...대기업은 자기 이익 많이 남길려고 중소 기업에는 단가 낮추고 안 낮여 주면 딴 하청에 오더 주고 이러니깐 그런 말은 하지 마십시요...죽어나는 중소기업 생산직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써 하도 성길나서 한마디 써봤습니다...

========

한때 귀족노조라고 말많던 여천공단에 중소기업(협력업체) 모든업체 교대근무조건이 3조3교대입니다. 원청은 모두4조 3교대이죠. 기사에 모씨는 연봉 6000이라고 하죠. 그게 원청의 연봉수준입니다. 그러나 3조3교대하는 사람들 연봉 2000안팎입니다. 기본급 80정도에 주말휴일근무수당. 상여금 600%해봐야 월 130~180에 불과하죠. 쉬는날이란건 없습니다. 돌아가며 쉬고 연근을 하는게 그사람들은 쉬는날입니다. 쉰만큼 일을더하죠. 연근하는날은 아침7시근무시작해서 저녁 11시에끝납니다.뭐 챙기고하는시간하면 6시부터 12시로봐야죠. 그리고 그다음날 또 6시에 일어나야합니다. 일년에 쉬는날이 추석때 하루하고 설날에 하루정도이구요. 거의모두 비정규직이구요. 정규직원구하지않습니다.시급 3000으로 한달에 한번도안쉬고 원청보다힘든 노무직하면서 삽니다. 한 동안 그런업체 일하다 정규직에 들어온 지금 생각하니 정말 우리나라심각하단생각밖에 안듭니다. 대기업들어가려면 왠만한 커미션없이는 힘들고, 협력업체가자니 협력업체사장이 원청에서 받은거 다주나요. 저러니 아직도 시급이 3천을 웃돌죠.아르바이트도 아니고. 협력업체들 다 사라졌으면 좋겠습니다. 나름대로 경쟁력어쩌고 하겠지만 정작 국민들은 먹고살기 힘들어지죠.


=============
sshjhsoo 내용
저도 노량진에서 공무원 시험 준비하는 사람인데요.. 사람이 어찌나 많은지..학원이 젤 돈 많이 법니다..근데 9급 되기 정말 어려워요.. 서울에 있는 4년대 나와도 소용없다는거.. 솔직히 일에는 별 성취감을 못느낍니다.. 4년대 나와서 동사무서 맨앞에 앉아 등본 떼주고 하는일은 전공과 관련도 없고.. 그저 철밥통이란 이유로 월급도 적지만 하려고 하는거죠.. 요즘은 퇴출때문에 그렇지도 않지만요...그리고 윗분 .. 동사무서는 동네구석구석에 있거든요.. 시내에 있는 시청이나 그런데는 발령받기가 어렵지요. 제가 남자면 재기업 생산직도 한번 고려해 보겠어요. 공무원이나 대기업이나 직업에서 성취감을 못느끼는것 어차피 다 똑같아요


maiki33 내용
대기업 생산직 요즘에 없어서 못들어간다! 진작에 고등학교 졸업하고 거기나 알아보는건데.. 다른 직업군에 비해서 그정도믄 양호하고 좋은거야! 뭘 알고 떠들어!!!


=============

저희 아빠도 K자동차에 다니시는데요.. 자녀 대학 학자금 전액 다 나오구여..몇년만 있으면 정년 맞으세요..몸은 아무래도 좀 힘들지만 경제적으로 괜찮구여..IMF때도 버틸수 있었구요..육체가 좀 피곤한대신 이런것들을 보장 받을수 있다면 대학나와도 저같으면 들어가겠어요...연봉제도 아니고 때맞춰서 상여금 보너스 떡값등등 월급 이외의 것도 나오고 차 살때도 혜택받고...요즘은 대학나온 사람들도 많이 들어 온다고 하네요...
================

ormeorme 내용
대기업 생산현장에서 대졸로 엔지니어로 일해보면 그런 소리 안한다. 생산직 어른 모시듯 뒤치닥거리 다 해주고 연봉은 오히려 더 적게 받고 40넘으면 잘리는데 불만이 없게 생겼나.


==============
nsrh00 내용
ㅋㅋ 나도한마디 덧붙이면 생산직에서 용접 2교대로 해보고 지금은 사무실에서 일하지만 또 뭘할꺼냐고 묻는다면?당연히 사무실에서 일한다.생산직 더러운곳은 진짜 추운겨울에 깡통하나 갔다놓고 거기다 나무때워서 일해..특히 인천--환경이 열악하더군.ㅋ대기업생산직은 다르지...나도 현대하청업체에서 일할땐 현대애들하고 엄청비교 되더라...똑같이 밤새면서 일하는데 누군 연봉 1600간신히 되고..거참..

=================

아이디
tri79aei 내용
제 아내가 시청8급 사회복지사로 일하고 있습니다..1년 좀 넘었는데 지금도 일찍퇴근하는시간이 9시정도 입니다..

 tri79aei 내용
부서나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모든 공무원이 그렇다는 생각은 잘못된 겁니다..

amii77 내용
잘알지도 못하면서 칼퇴근이나 많은 연봉이라는 말은 안했으면 해요. 님이 공뭔 공부 하신다니까 나중에 되면 알겠지만,칼퇴근은 커녕 맨날 야근이거든요.. 그리고 저랑 같은 대학,같은과 나온 친구와 연봉을 비교해볼때 2배 차이납니다..-_- 그걸 알고 느끼는 박탈감 정말 장난아니죠..

 그런데 요세 퇴출 몇프로니 연금혜택 축소니 하면 정말 열불납니다..왜 다들 고위 공무원 기준으로 모두를 생각하는지.. 말단 공무원의 사정은 아무도 모르면서 말이죠..

==========

제가 저사람이 아니라서 잘은 모르나 제가 일하는 곳에서는 잔업+주말특근+@등해서 모두 합쳐서 6천일껄요.. 게다가 잔업과 특근을 생산직들은 빠질수 잇는게 아니라서요.. 툐욜오전특근할시에 다시금 남아서 오후특근과 합쳐서 일을 권유하지만 실상으로는 강요나 다름없지요. 그렇게 해서 6천벌겁니다. 솔직히 생산직에서 있으니 11시간씩 근무하고 토욜에는 조금더 하는 수준이 사무직이 무척부럽데요 머 제가 공부안한 탓도 있지만요..

koo9317 내용
시간당 4천원은 좀 심하네..아르바이트 수준의 푼돈이네

koo님 근데 상여금이 쎄죠..그리고 특근 잔업비가 쎕니다.그래서 연봉이 5~6천되는거죠

===========


장 단점이 많이 있다..
일단 생산직이라고 정년 모두 보장되는게 아니고 생산직도
40이상 명퇴시키는 회사 많이 널렸다. 6개월 연봉 주고 말이다.
그리고 포스코도 지금은 어떤지 모르지만 반장들 현업에 뛰어들게
인원 구조조정하면서 사망사고가 많이 났던 것으로 알고 있다.
블루칼라는 사무실에서 펜으로 벌어먹는 직업이 아니다.
산업재해 교육 한번 가봐라.. 몸으로 벌어먹는 집단이다.

============

이 기사만 보면 대기업 생산직은 전부 정년보장 받는 줄 알겠네~~저런건 정말 극히 일부분이고 삼성이나 엘지나 정년까지 다닐 수 있는 사람 거의 없는데..어떻게든 내보낼려고 하거든요~~ 기자님 부탁인데..극히 일부분을 가지고 전부 그렇게 할 수 있다고 단정하지 마시길..순진한 네티즌 속이지 말고..

===========

블루칼라 확실히 고급기술 배우면 좋지만 요즘 사람들 위험한일 별로 않한다 고급기술중에 덜위험한것도 있지만 꽤 위험한것도 있다.... 누가 손가락 날려 가면서 일하고 싶어하나! 그냥 사무실 앉아서 그저 도장이나 찍어주는걸 왜 좋아하겠어?

anykili 내용
괜히 로열 블르칼라 겠습니까?? 전 울산이 집이라 대학은 여기로 나와있지만 군입대전후로 현대하청에서 알바를 해봤죠.. 손가락 잘리는일?? 켁... 님아 '로열 블루칼라'는요 위험한일 힘든일 그리 하지도 않습니다.. 하청에서 위험한거 다하죠..저도 울산 내려가면 공고나와서 현대중공업 현대모비스 현대자동차 그리고 석유화학단지 다니는 친구들 보면 연봉 4천 이상에 한숨만 나옵니다..

===================
대기업생산직좋다구?...푸핫하하하하하 조회 416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3:34 아이디 아이디 ssjust2004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122.199.xxx.125 신고하기  공무원들이 보면 속으로 웃겠다..이것들아..

그렇게 구질구질하게 돈 버는게 좋냐?..그것밖에 안 되는 인간들이엿어?ㅎㅎㅎㅎㅎ
 

댓글 개수
한줄댓글 5개
한줄댓글

 yeory37 내용
이긍 뭘 모르는 소릴...공무원보다 훨 낫다고 생각하는건 나뿐인가? ㅋㅋ

tksky 내용
코딱지만한 월급받는 공무원 ㅋㅋ 불쌍해서 술한자 더 싸줄게

majaehoo 내용
공무원하는이유가 정년보장인데.. 생산직은 정년보장에 직업세습인데.. 더 매리트가 있는거 아닌가요? 거기다 고액연봉

sn0wwhite77 내용
구질구질하게 버는걸로 안보이는데 .ㅎ 저도 공무원보다는 훨낫다고 생각하는데~~

tksky 내용
40넘어서 버스타고 출근하는 공무원은 있어도 40넘어서 통근버스 타는 생산직 근로자는 잘없다

===============

대기업생산직좋다구?...푸핫하하하하하 조회 416 공감 0 비공감 0 작성일시 2007.03.24. 13:34 아이디 아이디 ssjust2004 다른글보기 다른글보기 차단하기 차단 관심선택 관심 IP 122.199.xxx.125 신고하기  공무원들이 보면 속으로 웃겠다..이것들아..

그렇게 구질구질하게 돈 버는게 좋냐?..그것밖에 안 되는 인간들이엿어?ㅎㅎㅎㅎㅎ
 

댓글 개수
yeory37 내용
이긍 뭘 모르는 소릴...공무원보다 훨 낫다고 생각하는건 나뿐인가? ㅋㅋ

tksky 내용
코딱지만한 월급받는 공무원 ㅋㅋ 불쌍해서 술한자 더 싸줄게
majaehoo 내용
공무원하는이유가 정년보장인데.. 생산직은 정년보장에 직업세습인데.. 더 매리트가 있는거 아닌가요? 거기다 고액연봉

sn0wwhite77 내용
구질구질하게 버는걸로 안보이는데 .ㅎ 저도 공무원보다는 훨낫다고 생각하는데~~

tksky 내용
40넘어서 버스타고 출근하는 공무원은 있어도 40넘어서 통근버스 타는 생산직 근로자는 잘없다

출처: [로열 블루칼라]“우리 남편요? 정년 채우는 생산직이에요”

출처: 동아 닷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395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