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전자기학] RL 회로의 미분방정식 풀이 

이 경우는 전지가 연결된 상황에서 스위치를 닫는 순간부터의 전류의 변화이다..

즉 시간 t=0 일 경우를 다루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분방정식은 시험해(trial solution)을 가정하여 대입한 다음 경계조건을 적용해서 계수와 상수를 구해나가는 거지만..

개인적으론....그냥 무식하게 푸는걸 좋아하는 편이라..(..);;

1계 선형 미분 방정식은 어느 형태이든 간에 적분인자를 이용해서 해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가 좋아하는 방법으로 구해도 된다..

여기서는 그냥 가장 일반적인 변수분리로 풀었다..

항상 전기 회로에서 미분 방정식은 여러가지로 풀 수 있긴 하지만은..

가장 먼저 키르히호프의 제 2규칙을 이용해서 방정식을 세우는 게 제일 간단할 것이다..

이를 이용해서 방정식을 만들어 풀면 그 방정식의 시간에 대한 해가 나올 것이다..

풀이 결과..

이 함수는 마치 종단속도와 같은 형태의 함수계형이 나올 것이다..

원래 인덕터가 없었다면 전류는 순식간에 step function처럼 행동했을 텐데..

역기전력의 효과로 인해서 전류는 그렇게 빨리 증가하지 않고 서서히 증가를 하게 된다..

15. RL 회로

전기회로에 연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기전력, 전기저항, 축전기, 인덕터 등이 있다. 지난 9장에서는 전기저항과 축전기가 연결된 RC 회로를 공부하였다. 이 장에서는 전기저항과 인덕터가 연결된 RL 회로에 대해 공부한다.

회로문제를 다룰 때는 먼저 회로의 각 가지에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가정한다. 그러면 기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에서는 전류가 회로의 각 요소를 지나가면서 스칼라 퍼텐셜이 감소한다. 9장에서 이미 공부한 것에 인덕터를 추가하면, 그림 15.1에 보인 회로의 각 요소에 대해

(15.1)

이 성립한다. 이 중에서 인덕터의 경우는 패러데이 법칙의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그림 15.1에 나온 전기저항과 축전기에서는 항상 b점의 스칼라 퍼텐셜이 a점의 스칼라 퍼텐셜보다 더 낮지만 인덕터의 경우에는 전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느냐에 따라 a점과 b점의 스칼라 퍼텐셜의 차이가 달라진다. 만일 전류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면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이므로 b점의 스칼라 퍼텐셜이 a점의 스칼라 퍼텐셜보다 더 낮지만 만일 전류가 점점 더 감소하고 있어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이라면 b점의 스칼라 퍼텐셜이 a점의 스칼라 퍼텐셜보다 더 높다. 그리고 물론 전류가 변하지 않고 일정하여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라면 a점과 b점의 스칼라 퍼텐셜은 같다.

예제 1키르히호프 법칙을 이용하여 오른쪽 그림 위에 보인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와 아래에 보인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의 합성 인덕턴스를 구하라.

위쪽에 표시된 회로에 키르히호프 법칙 중에서 고리법칙을 적용하자. 폐회로가 하나밖에 없으므로 적용하기도 쉽다. 인덕터를 지나갈 때마다 스칼라 퍼텐셜이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씩 감소하므로 고리법칙으로부터 명백하게

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만일 두 인덕터가 합성 인덕턴스가 L 인 단 하나의 인덕터로 되어 있다면 이 식이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식을 위에서 구한 식과 비교하면 직렬로 연결된 두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각각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과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일 때 합성 인덕턴스 L 

가 됨을 알 수 있다.

이번에는 문제에 주어진 그림 아래쪽에 보인 병렬회로에 키르히호프 법칙을 적용하자. 접합점은 두 개이지만 두 접합점에서 접합점 법칙을 적용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는데, 그 결과는

이다. 여기서 두 번째 식은 단순히 첫 번째 식을 시간으로 미분하여 얻었다. 이번에는 회로의 위쪽 폐회로와 전체 폐회로에 고리법칙을 적용하자 그러면 그 결과는

가 된다. 이제 고리법칙으로 얻은 결과를 위의 접합점법칙으로 얻은 결과에 대입하면

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만일 두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가 하나의 합성 인덕턴스 L  로 연결되어 있다면 역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가 되어야 함으로, 이 식을 위에서 얻은 식과 비교하면 두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의 합성 인덕턴스 L 는 두 인덕터의 인덕턴스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과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사이에

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RC 회로의 축전기 자리에 인덕터를 연결한 회로를 RL 회로라 한다. 인덕터는 코일모양으로 감은 도선을 말한다. 그러므로 직류회로에 인덕터를 연결하면 연결하지 않은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인덕터는 단순히 도선을 구부러뜨린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림 15.2에 보인 것과 같은 RL 회로의 스위치 S 를 닫으면 전류가 갑자기 많이 흐르는 것이 아니라 전류는 0에서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증가한다. 그러면 RL 회로의 스위치 S 를 닫은 직후에 회로에 어떤 모양으로 전류가 흐르는지 알아보자. 이 전류는 시간에 따라 흐르는 양이 바뀐다는 점에 유의하자.

이제 그림 15.2에 보인 RL 회로의 스위치 S 를 닫은 뒤부터 측정한 시간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라고 하자. 그러면 시간이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인 순간에 그림 15.2에 보인 RL 회로에 키르히호프 법칙의 고리법칙을 적용하면

(15.2)

가 된다. 이 식은 9장의 RC 회로에 적용된 미분방정식과 똑같은 형태의 미분방정식이다. 그러므로 그 풀이도 RC 회로 문제를 풀 때와 똑같은 방법이 적용된다. (15.2)식으로 주어진 미분방정식은 1차 미분방정식인데, 1차 미분방정식은 9장에서 설명된 것처럼 항상 적분에 의해 풀 수가 있다.

적분에 의해 (15.2)식을 풀기 위해서 (15.2)식을 다음과 같이

(15.3)

라고 바꾸어 쓰자. 여기서, 한 번 더 강조하지만, 전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를 시간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로 미분한 도함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가 전류의 미분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와 시간의 미분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사이의 비인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와 같다는 사실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15.2)식을 (15.3)식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적분을 이용하여 미분방정식을 풀려면 반드시 (15.3)식과 같은 형태로 바꾸어 놓아야 한다. (15.3)식의 좌변에는 미분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에 나온 변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만을 포함하고 있고 우변에는 미분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에 나온 변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만을 포함하고 있다. 적분을 하려면 피적분함수가 바로 그렇게 적분하는데 이용되는 변수만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15.3)식의 좌변과 우변은 같다. 그러므로 (15.3)식의 양변을 적분하면 적분한 결과도 좌변과 우변이 같아서

(15.4)

가 성립한다. 그런데 엄밀하게 말하면 (15.4)식은 등식으로 놓을 수가 없다. (15.4)식의 좌변은 전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에 대한 부정적분이고 우변은 시간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에 대한 부정적분이다. 두 적분의 적분구간을 어떻게 정했느냐에 따라 등식이 성립할 수도 있고 성립하지 않을 수도 있다. (15.4)식의 양변이 서로 같으려면 전류에 대한 적분구간과 시간에 대한 적분구간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성립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간에 대해 0에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까지 적분한다면 전류에 대해서는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에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까지 적분하여야 (15.4)식의 등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는 스위치를 닫는 순간인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이고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는 시간이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이다. 그러므로 (15.4)식을

(15.5)

라고 쓰면 좌변과 우변 사이의 등식이 확실히 성립한다.

(15.5)식의 우변에 나오는 적분은 R/L 이 변하지 않는 상수이므로

(15.6)

이고 (15.5)식의 좌변에 나오는 적분은

(15.7)

가 된다. 그래서 (15.6)식과 (15.7)식을 (15.5)식에 대입하면

(15.8)

를 얻는다. 그리고 이제 (15.8)식을 조금 더 정리하면

(15.9)

가 바로 미분방정식 (15.2)로부터 우리가 구하는 풀이이다. (15.9)식에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는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일 때 즉 RL 회로의 스위치를 닫는 순간에 회로에 흐르는 전류이다. 이 전류는 0이라고, 즉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라고 놓으면 된다. 그러면 (15.9)식은

(15.10)

가 된다.

이번에는 그림 15.2에 연결한 인덕터에 만들어지는 유도기전력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를 계산해 보자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는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서

(15.11)

로 주어지므로, (15.11)식의 전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자리에 RL 회로에 대한 미분방정식인 (15.2)식을 풀어서 구한 전류인 (15.10)식을 대입하면

(15.12)

가 된다.

(15.10)식으로 구한 전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를 시간에 대해 그래프로 그리면 그림 15.3의 왼쪽에 보인 것과 같게 된다. RL 회로의 스위치를 닫으면 전류는 0으로부터 시작하여 오랜 시간이 흐르면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까지 증가한다. 이 값은 바로 인덕터가 연결되지 않은 저항 회로에 흐르는 전류와 같다. 이처럼, 인덕터를 연결하면 변화를 억제하려는 유도기전력이 만들어져서 전류는 0으로부터 서서히 증가하는 것이다. 인덕터에 만들어지는 유도기전력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바뀌는지 보기 위하여 (15.12)식으로 구한 유도기전력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를 시간에 대해 그래프로 그리면 그림 15.3의 오른쪽에 보인 것과 같게 된다. 처음에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즉 마이너스 부호로 큰 유도기전력이 생기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시간에 대해 지수함수 모양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5.10)식과 (15.12)식에 나오는 지수함수에는 중요한 상수 R/L 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마치 RC 회로에서는 중요한 상수로 RC 가 포함된 것과 흡사하다. 이제 R  의 차원과 L 의 차원으로부터 R/L 의 차원을 구해보자. R  의 차원은 9장에서 본 것처럼 전기저항을 정의한 식인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을 이용하여 구하면 되고 L 의 차원은 패러데이 법칙인 (15.11)식을 이용하여 구하면 된다. 그래서 R/L 의 차원은

(15.13)

이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RL 회로에서 구한 전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에 대한 (15.10)식과 RL 회로에 연결된 인덕터에 만들어지는 유도기전력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에 대한 (15.12)식에 나오는 상수 R/L  의 차원은 시간의 역수이다. 다시 말하면 RL 회로에 연결된 전기저항 R 과 인덕턴스 L 을 가지고 L/R 을 계산하면 차원이 시간인 양이 된다는 뜻이다.

마치 9장에서 RC 회로에서 시간차원인 상수 RC RC 회로의 시간상수라고 불렀듯이 L/R 로 주어지는 이 시간은 RL 회로의 중요한 특성을 나타낸다. 그래서

(15.14)

로 주어진 시간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를 이 RL 회로의 시간상수라고 부른다. RL 회로의 인덕터에 만들어진 유도기전력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를 나타낸 (15.12)식을 시간상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를 이용하여 다시

(15.15)

고 쓰자. 그러면 이제 그림 15.2로 주어진 RL 회로의 스위치 S 닫은 뒤에 시간이 시간상수만큼 흐른 뒤인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일 때 인덕터에 만들어진 유도기전력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를 계산하자. (15.15)식에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자리에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를 대입하면

(15.16)

가 된다. RL 회로의 시간상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RL 회로에 연결된 인덕터에 만들어지는 유도기전력의 크기가 최대값에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만큼 감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그런데 (15.16)식으로 주어진 유도기전력처럼 시간에 대해 지수함수로 의존하면 어떤 유도기전력 값에서 그 값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만큼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항상 시간상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와 같다. 다시 말하면 처음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배가 될 때까지 시간이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가 걸렸다면 시간이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만큼 흐른 뒤에는 유도기전력이 처음 값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배가 되며, 그런 식으로 계속된다.

RL 회로에 대한 미분방정식인 (15.2)식은 그림 15.2에 보인 것처럼 인덕터를 충전시킬 때 적용된다. 특히 (15.10)식과 (15.12)식으로 주어진 풀이는 처음에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0인 경우에 RL 회로를 푼 풀이에 해당한다. 그러면 이번에는 원래 전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가 흐르고 있는 RL 회로를 방전시키는 경우를 생각하자. 이 경우에는 그림 15.4에 보인 것처럼 기전력은 제외시키고 인덕터와 전기저항만 연결한다. 그러면 그림 15.4에 보인 RL 회로의 스위치 S 를 닫은 뒤 시간이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만큼 흘렀을 때 만족되는 미분방정식은 (15.2)식에서 기전력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만 제외시켜서

(15.17)

가 된다.

(15.17)식은 (15.2)식보다 훨씬 더 쉽게 풀 수 있다. (15.17)식을 적분을 이용하여 풀기 위해 다음과 같이

(15.18)

라고 바꾸어 쓰고 양변을

(15.19)

와 같이 적분하자. 여기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는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RL 회로에 흐르는 전류이다. (15.19)식의 양변을 적분하면

(15.20)

가 된다. 그리고 인덕터에 만들어지는 유도기전력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15.11)식의 전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15.20)식으로 구한 것을 대입하여

(15.21)

를 얻는다. 이처럼 이미 전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가 흐르는 RL 회로를 방전시키면 회로에 흐르는 전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와 인덕터에 만들어지는 유도기전력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가 모두 시간에 대해 지수감수로 감소하며 감소하는 시간상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RL 회로를 충전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임을 알 수 있다.

예제 2전자석과 기전력을 연결한 RL 회로를 생각하자. 전자석의 인덕턴스는   20 H 고 연결한 도선의 저항은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이다이 회로를 기전력이 24 V 인 전원에 연결하고 스위치를 닫는다. 이 회로에 흐르는 최종 전류 값을 구하라. 스위치를 닫고 시간이 얼마나 흐르면 최종 전류 값의 99% 에 도달하는가?

이 문제는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인 경우에 RL 회로의 풀이인 (15.10)식을 이용해 풀 수가 있다. 최종 전류는 (15.10)식의 시간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에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를 대입하면 나온다. 그래서

가 된다. 이번에는 전류가 최종 전류 값인 2.4 A 의 99% 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을 구해보자. 그 시간을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이라고 하면

를 만족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구하는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이다. 여기서는 ln(100) =4.6 임을 이용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최종 전류 값의 99% 에 도달하는데 이 RL 회로의 특성인 시간상수 

RL 회로 미분 방정식 - RL hoelo mibun bangjeongsig
 의 단지 4.6배만큼의 시간만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 예제의 결과로부터, 무엇이 지수함수에 의존하면 이론적으로는 마지막 값에 도달하는데 무한히 긴 시간이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시간상수의 단지 몇 배만 지나면 최종 값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