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반응형

R 에서 정의된 모든 변수를 한번에 삭제하는 방법

R에서 정의된 모든 변수를 보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ls 함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 a=3

> b=5

> c=7

> ls()

[1] "a" "b" "c"

변수를 삭제할 때는 rm 함수를 이용합니다. 둘을 함께 사용하면 모든 변수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 rm(list=ls())

> ls()

character(0)

반응형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9.유용한 함수모음 > 유용한 함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출력되는 숫자 소수점 자릿수 설정  (0) 2020.12.01
[R] 루트, 지수, 로그 계산  (0) 2020.11.30
R 에서 정의된 변수를 삭제하는 방법 (rm)  (0) 2020.11.27
R 정의된 모든 변수와 함수 확인하는 방법 (ls)  (0) 2020.11.27
R 문자열을 변수명으로 사용하는 방법  (0) 2020.10.07


R 변수 선언, 할당, 초기화, 확인 삭제 방법 R Variable, vector object, vectors

R console 에서의 명령어는 한줄밖에 실행을 못하기 때문에 script 를 생성해서 하겠습니다.

console 탭 우측 상단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그럼 아래와 같이 script가 untitled1 이란 이름으로 생성이 됩니다.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이제 R에서 변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R에서는 변수를 선언과 동시에 할당해줍니다.

다른 언어들과 달리 변수의 타입은 할당시에 정해지며 이번 포스팅에서 vector objectvectors에 대해서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히 변수의 할당은 화살표(<-) 를 사용합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국영수 과목의 점수를 입력하고 그에 대한 요약정보(summary)를 입력하는 코드를 예로 들겠습니다.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R Studio 에서 스크립트의 실행은

한 줄 실행의 경우 crtl + enter

범위 설정 실행은 영역을 선택한 수 crtl + enter

전체 실행은 ctrl + shift + enter

입니다.

위와같이 입력하신 후 ctrl + shift + enter 를 하시면 우측 Environment 탭에 생성된 변수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변수명만 입력한 후 ctrl + enter 하시면 console 창에 변수의 값이 출력됩니다.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vectors 생성 c()

이들을 vectors로 만들기 위해서는 c() 함수를 사용합니다. c는 합치다라는 의미의 Combine의 약자입니다.

아래(5line)과 같이 입력한 수 해당 라인에서 ctrl + enter를 입력하세요.

이렇게 하면 3가지 vector object 변수가 생성된 것 입니다.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요약정보 확인 summary()

이제 3개의 vector object로 구성된 vectors 가 생성되었습니다.

이 vectors의 요약정보를 보기위한 summary() 함수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하신 후 실행해보세요.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콘솔창을 확인해보시면 아래와 같이 값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min : 최소값
1st Qu : 1사분위 값 (하위 25%)
median : 중위값
mean : 평균값
3rd Qu. : 3사분위 값 (하위 75%)
Max : 최대값

summary() 함수의 값들은 별개로도 구할 수 있습니다.

min(), median(), mean(), max(), quantile()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결과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변수확인 ls()

이제 생성된 변수들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변수가 얼마 없을 경우에는 Environment 창으로 보셔도 되지만

출력해서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땐 ls() 함수를 사용합니다.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현재 스크립트에서 사용된 변수들이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변수의 삭제 rm()

이제 사용한 변수를 삭제해보록 하겠습니다.

변수의 삭제는 rm() 함수를 사용합니다.

개별적으로 삭제할 경우에는 rm() 함수의 매개변수로 변수명을 보내시면 됩니다.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score 변수(vectors)가 삭제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생성된 변수를 모두 삭제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살펴본 ls() 함수를 사용합니다.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

모든 변수가 삭제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문자열 합치기 paste()

문자열은 숫자와 달리 + 연산자로 연산은 불가합니다. 대신에 paste() 함수를 사용합니다.

R 데이터프레임 삭제 - r deiteopeuleim sagj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