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Hospital 한글 무 설치 - Project Hospital hangeul mu seolchi

현실적인 병원 경영게임 프로젝트 호스피탈 의사모드 포함[무설치][한글패치] 토렌트

카테고리 없음 2020. 6. 7. 18:13

다운로드

현실적인 병원 경영게임 프로젝트 호스피탈 의사모드 포함[무설치][한글패치]
파일명용량Project Hospital Doctor Mode v1.1.17617.zip981.2M

Project Hospital 한글 무 설치 - Project Hospital hangeul mu seolchi
Project Hospital 한글 무 설치 - Project Hospital hangeul mu seolchi



비행기44저도 팅겨서 C:/ 에 박궈서 해봣ㅅ는데 로딩에서 멈춤 ㅜㅡㅜ 왜안됄까요?끈질긴형사좋아요! GOOD~Aa별실행하면 자꾸 꺼지네요순진그자체잘 받아가요로프티티실행시 꺼지는 현상... 환불 부탁.에피피실행하면 팅기는데 왜이러는거죠?bmw3318실행시 자꾸꺼지네요

다운로드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교육열

댓글 0

댓글 접기 댓글 펼치기

이전 댓글 더보기

집중치료실(ICU)나 중증외상센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특수 중환자 심장 초음파 검사로, 심장이 제대로 뛰는지 심낭(심장 주변의 주머니) 또는 폐를 둘러 싼 체액이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반응단백질 검사(CRP)

C-반응단백질 검사는 염증성 및 감염성 질환을 나타내는 C-반응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빠른 혈액 검사입니다.

CT

컴퓨터 단층촬영(CT)은 환자의 내부 장기, 뼈의 상세한 이미지영상을 생성하는 검사입니다. 조영제를 정맥주사나 섭취를 통해 광범위한 질병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CT - 장운동기록

컴퓨터 단층촬영(CT) 장운동기록은 환자가 액체 조영제를 섭취한 후 조영제 정맥주사를 주입하여 장의 고해상도 이미지영상을 생성하는 검사입니다.

귀 검사

귀도관 및 고막을 포함해 검사 및 육안 검사를 진행합니다.

심전도 검사(ECG)

심전도 검사(ECG)는 피부의 전극으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뇌파 검사(EEG)

뇌파 검사(EEG)는 환자에게 많은 전극을 포함하는 모자를 착용시켜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심초음파검사

심초음파 검사는 환자의 심장과 대정맥, 동맥이 심장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평가하는 초음파 검사입니다.

근전도 검사(EMG)

근전도 검사(EMG)는 환자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고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평가

진단을 지정하기 위해 최근에 실시한 모든 증상 및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긴급초음파검사(FAST)

중증외상환자나 집중치료실환자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초음파 검사입니다.

엘라스타아제 측정 - 표본

췌장에서 생성되는 엘라스타아제의 양을 정량화하기 위한 환자의 대변 샘플. 이는 췌장 기능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엘라스타아제 측정 - 검사

환자의 대변 샘플에서 엘라스타아제 수치를 측정. 이 수치는 췌장 기능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곰팡이 표본

균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배양 목적으로 환자의 몸에서 다양한 샘플 채취.

곰팡이 배양검사

환자의 몸에서 얻은 특정 샘플을 연구실에서 배양.

위 내시경검사

끝에 작은 비디오 카메라와 광원이 있는 유연한 튜브(내시경)를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검사하는 절차입니다.

전방각경검사

전방각경검사는 눈의 배수 시스템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시력 검사입니다.

심장 모니터링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대해 장기 관찰합니다.

흉부 청진법

환자의 심장과 폐를 청진기로 청진합니다.

후두경검사법

끝에 작은 비디오 카메라와 광원이 있는 유연한 튜브(내시경)를 코를 통해 삽입하여 후두, 성대문, 성대를 검사하는 절차입니다. 후두경검사는 기관 삽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 됩니다.

MRI

자기공명영상(MRI)은 자기장 및 전파기술을 사용하여 신체와 내부 장기의 해부학, 생리학에 대한 상세한 이미지영상을 제공합니다.

비강 검사

환자의 비강을 포함한 코 검사 및 육안 검사를 합니다.

목 촉진

환자의 목을 촉진(만지기)합니다.

신경학적 검사

환자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간단하고 구체적인 질문과 검사.

검안경검사법

검안경검사법은 안저, 망막을 통해 시각화하는 절차입니다.

구강 검사

환자의 구강 검사 및 육안 검사를 합니다.

중합효소 연쇄반응 - 표본

연구실에서의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을 위한 생체 시료 샘플링. 검사는 빠르고, 저렴하며, 정확합니다.

중합효소 연쇄반응 - 검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기법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성 질환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검사 방법입니다. 검사는 빠르고, 저렴하며, 정확합니다.

시야측정법

시야측정법은 시야측정계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시야범위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복막액 분석 - 표본

큰 바늘과 주사기를 이용, 복벽을 통한 복막액 샘플링.

복막액 분석 - 검사

복막에서 채취한 액체를 분석하는 생화학 실험.

신체 검사

환자의 신체 특정 부위를 검사합니다.

인터뷰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환자와 인터뷰를 합니다.

혈청 표본

혈청 검사를 위한 혈액 샘플 제작.

혈청 검사

특정 항체와 항원을 검사하는 특수 혈액 검사. 항체란 병원균을 중화시키기 위해 인간의 면역체계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입니다.

피부 알레르기 검사

특정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확인하거나 부인하기 위해 소량의 다른 알레르기 추출물을 보통 팔에 주사합니다.

음성 청취

환자의 말소리를 듣습니다.

뇌척수액 표본

뇌척수액 샘플링은 바늘을 허리 뒤 척추관 안으로 삽입하여 소량의 뇌척수액을 뽑아내는 표본 추출 방법입니다.

뇌척수액 분석

연구실에서의 뇌척수액 분석 과정.

폐활량측정법

폐활량측정법은 가장 일반적인 폐 기능 검사중 하나입니다.

대변 수집

추가 분석을 위해 환자의 대변 샘플을 채취하는 과정.

대변 분석

세균, 혈액, 기생충 등을 검사하기 위한 환자의 대변 분석.

땀 염화물 검사

낭포성 섬유증 진단에 사용되는 특별한 생화학 검사입니다.

체온 측정

현재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흉부 타진법

흉부를 체계적으로 감청하여 흉부 내 공기가 적은 부위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안압측정법

눈 안의 압력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순간탄성측정법

장기 내부 연조직의 탄성특성과 강성을 매핑하는 특수 초음파화상진단법 입니다.

수술 후 혈액분석

수술 후 혈액분석은 패혈증을 겪을 수 있는 환자의 수술 후 관리에 사용됩니다.

소변 분석 - 표본

환자에게서 직접 또는 환자의 카테터에서 중간뇨 샘플링.

소변 분석 - 검사

소변 샘플의 생화학 분석.

초음파 검사(USG)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 검사기를 사용하여 연조직과 장기를 모두 시각화 하는 의료 영상 기법입니다.

등 X-ray

등뼈의 X-ray 영상.

머리 X-ray

두개골의 X-ray 영상.

다리 X-ray

다리 뼈의 X-ray 영상.

흉부 X-ray

흉부의 뼈와 그림자 X-ray 영상.

팔 X-ray

팔 뼈의 X-ray 영상.

감별 진단

가능한 진단의 수를 줄이는 특수 사례를 검토합니다. 고급 진단 의학 전문기술이 있는 의사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샘플 추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은 RNA를 DNA로 역전사한 후, 특정 DNA 대상이 PCR에 의해 증폭되는 실험 기법입니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검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은 RNA를 DNA로 역전사한 후, 특정 DNA 대상이 PCR에 의해 증폭되는 실험 기법입니다.

효소결합면역흡착제 검정법(ELISA) 샘플 추출

효소결합면역흡착제 검정법(ELISA)은 펩타이드, 단백질, 항체 및 호르몬을 검출하고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실험 기법입니다.

효소결합면역흡착제 검정법(ELISA) 검사

효소결합면역흡착제 검정법(ELISA)은 펩타이드, 단백질, 항체 및 호르몬을 검출하고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실험 기법입니다.

맥박 산소 계측

맥박 산소 계측은 사용하기 쉬우며, 환자의 산소 포화도를 모니터링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9. 처치[편집]

[처치 목록 접기/펼치기]

알파1항트립신 이식

알파1항트립신 단백질 이식 정맥주사 치료법

진찰실, 내과, 외과의 진단 구역, 집중치료과, 일반 병동, 고위험병동(HDU)

복부 수술

복부 부의의 수술.

외과의 수술실 + 집중치료실(ICU)

ACE 억제제

고혈압 치료 약물.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진통제

약물, 대부분 고체형 알약으로 통증을 완화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제산제

제산제는(Antacids) 위산을 중화시키는 물질이며, 속쓰림, 소화불량 혹은 배탈 증상을 완화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항염증 크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크림은 다양한 염증치료와 통증 혹은 팽창 완화에 사용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항발작 약물

다양한 형태의 발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

아무 진단 구역, ICU

항부정맥제

주로 심장의 불규칙한 박동을 억제하기 위해 정맥주사로 투여되는 약물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항생제 연고

다양한 박테리아와 싸우기 위한 특수 연고.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신경의학 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항생제

주로 고체형 알약으로 다양한 박테리아와 싸우기 위한 특수 약물.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항우울제

주요 우울증 장애, 조울증, 불안감 등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

진찰실, 외과, 신경의학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지사제

설사를 늦추거나 멎게 하는 약으로 증상을 완화시켜 주지만 원인을 없애주지는 못합니다.

진찰실, 내과, 외과의 진단 구역과 집중치료실(ICU)

항진균제

항진균제는 대부분 부작용 없이 치료시간을 줄여주고 장기간 약효가 지속됩니다.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지혈제

피를 멎게 하는 의약품 혹은 물질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 치료 약물. 인체 내부의 히스타민 수용체 활성을 막아줌.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집중치료실(ICU), 외과, 내과, 신경의학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항고혈압 의약품

고혈압(hypertension)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집중치료실(ICU), 외과, 순환기내과, 신경의학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항콜린제

가장 흔히 다한증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이나 다양한 증상에서도 사용함.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집중치료실(ICU), 내과, 순환기내과, 신경의학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클로트리마졸

클로트리마졸은 다양한 진균에 의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쓰이는 항진균제로 알려져 있다.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집중치료실(ICU), 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항기생충제

인체 장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종의 기생 생물과 싸우기 위한 약.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항정신병약(Antipsychotics)

다양한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

집중치료실(ICU), 신경의학과, 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덱시부프로펜(Antipyretics)

고열과 같은 신체의 열을 내리는 데 사용되는 주로 고체형 알약의 약제이다.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소독제(Antiseptics)

감염 가능성을 낮추는 항균 작용을 하는 주로 액체 혹은 에어로졸 타입의 의료 물질이다.

내과 및 신경의학과의 집중치료실(ICU), 사무실, 진단 구역

구충제(Antihelmintics)

촌충 감염에 싸우기 위해 사용되는 알약.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갑상선기능 치료제(Antithyroids)

또한 thionamides라 부르며 갑상선 호르몬 형성을 막아 갑상선기능 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집중치료실(ICU),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기침억제제

마른 기침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체형 혹은 액상 알약. 원인 치료는 불가함.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항바이러스제

바이러스 감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품으로, 항생제와는 다르게 이 약물은 병원체를 파괴하지는 않습니다.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집중치료실(ICU), 신경의학과와/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항불안제

불안감을 억제하는 의약품.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팔 석고붕대

흔히 깁스, 석고와 붕대로 만든 보호 껍데기로 골절된 팔다리나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중증외상센터, 정형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팔 보조기(Arm orthosis)

보조기(orthosis)는 어느 한 관절이나 팔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교정 보조하는 장치.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중증외상센터, 수술실, 정형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인공호흡기

호흡 기관의 가스 교환 절차를 돕고 호흡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이다. 환자의 기관내삽관 인공기도와 연결된 의료용 환기장치로 구성된다.

단기응급병동, 중증외상센터, 아무런 진찰실, 진단 구역

결찰술(Band ligation)

내시경 치료(Endoscopic)시 식도(oesophagus) 정맥의 출혈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식.

수술실

붕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길고 좁은 천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정형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비타민B 복합 보충제

비타민B 보충제.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베타 차단제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약품. 또한 고혈압, 심부전, 떨림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수혈

심한 출혈, 질병, 신체 전반적인 혈구의 손상 때문에 피를 넣어주는 과정.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병동, 구역

뼈 강화제

뼈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충제.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내과, 정형외과

보스턴 보조기

허리 보조기의 한 종류로 척추측만증에 주로 사용.

진찰실, 정형외과의 진단 구역

기관지확장제(Bronchodilators)

기관지와 세기관지를 확장시키기 위한 의약품으로 기도의 저항을 줄이고 폐로 가는 공기 흐름을 향상시킴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집중치료실(ICU)

심장 수술

다양한 심장 질환 치료를 위해 시술되는 심혈관 수술

순환기내과의 수술실

폐쇄골절교정

뼈와 관절이 올바른 위치로 가도록 돕기 위한 지속적이고 교정 절차.

진찰실, 정형외과의 진단 구역

혈액응고 방지제

혈소판이 서로 뭉쳐 혈전을 형성하는 것을 박아주는 약물.

진찰실, 순환기내과의 진단 구역

아이스랩

통증 부위를 가라앉히기 위해 사용되는 얼음 압박붕대.

진찰실, 중증외상센터, 단기응급병동, 정형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압박 붕대

탄성이 있는 붕대.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중증외상센터, 정형외과,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광범위한 염증 및 다양한 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합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약물.

집중치료실(ICU), 정형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류

광범위한 피부 종양에 사용하는 합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약물.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개두 수술

뇌에 접근하기 위해 시술하는 신경의학 수술

수술실

제세동

보통의 심장 박동을 구축하기 위해 심장에 전기적 전류를 흘려 주는 치료 절차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필요한 장비: 제세동기

데스모프레신

이뇨작용이 있는 합성 호르몬이자, 혈전 생성에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이에 관여하는 수용체를 자극하여 혈전 생성을 돕는다.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집중치료실(ICU), 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투석

혈류를 통해 세포의 노폐물을 처리하는 신진대사 과정. 신장기능 손상 시 신장이 이러한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됨.

외과의 진단 구역, 필요한 장비: 인공 투석기

식단 조절

매일의 식단에 대한 조언 혹은 처방. 식음료 등의 변경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이뇨제

체내 수분과 나트륨 함량을 낮추기 위한 의학품.

집중치료실(ICU),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내과, 순환기내과

권고

의사가 치료를 도울 가장 좋은 방법을 추천해 줌.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귀에 넣는 물약

인간 귀의 특정 증상 치료를 위한 물약 타입의 약제. 항생제를 포함한 다양한 치료 물질이 포함될 수 있음.

진찰실, 외과의 진단 구역, 내과, 신경의학과

팔꿈치 보호대

보호대 장비.

진찰실, 정형외과의 진단 구역

응급 처치

상처, 열상, 부상, 외상등으로 발생한 환자의 출혈을 멈추기 위해 소독된 시트등을 이용 환부를 덮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집중치료실(ICU)

내시경 소작술

내시경 소작술은 전류를 이용하여 조직 일부를 태우거나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의료 행위. 이 방법은 수술 중 발생한 내출혈 등을 막기 위해 많이 사용됨.

외과의 수술실

내시경 수술

내시경 장비를 이용하여 수술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수술법 입니다.

정형외과의 수술실

에탄올 치료

에탄올 치료는 메탄올 중독치료에 매우 효과적

아무 병동, 집중치료실(ICU), 진찰실, 중증외상센터, 단기응급병동, 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운동

저강도의 에어로빅 운동. 강화 운동 혹은 지원 운동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안약

인간 눈의 특정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물약 형태의 약. 항박테리아 물질 혹은 눈 속의 혈압을 낮춰주는 약물 등이 함유되어 있음.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구역, 내과, 신경의학과

안과 수술

환자 눈에 시술해야하는 섬세한 수술.

발 연고

발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과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로션, 크림, 연고 타입의 약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정형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골절 수술 - 팔

골절 및 금이 간 뼈를 완전히 재구성하거나 고치기 위해 환자의 팔에 행하는 수술

정형외과의 수술실

골절 수술 - 머리

골절 및 금이 간 뼈를 완전히 재구성하거나 고치기 위해 환자의 머리에 행하는 수술

정형외과의 수술실

골절 수술 - 다리

골절 및 금이 간 뼈를 완전히 재구성하거나 고치기 위해 환자의 다리에 행하는 수술

정형외과의 수술실

둔부 치환 수술

골절 및 금이 간 뼈를 교체하거나 손상된 둔부 관절을 인공관절을 통해 고치는 수술

정형외과의 수술실

자택 요양

환자는 집에서 스스로 치료할 것입니다. 입원 불필요.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고위험병동(HDU) 입원

고위험병동(HDU)에 환자가 입원합니다.

고위험병동(HDU)

집중치료실(ICU) 입원

집중치료실(ICU)에 환자가 입원합니다.

집중치료실(ICU)

일반 입원

일반 병동에 환자가 입원

일반 병동

관찰

환자의 증상과 질환을 관찰하기 위해 단기응급병동로 보낸다.

단기응급병동

TC 입원

중증외상센터(TC)는 위중한 환자가 병원에 도달하였을 때 그들을 수용한다.

중증외상센터

중금속제거요법

체내 독성 금속을(예컨데 수은) 제거하기 위한 일련의 의료 절차

집충치료실(ICU), 아무 병동,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중증외상센터, 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비타민-D 보충

비타민 D3를 보충한다.

정형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절개와 배농

절개와 배농은 종양을 잘라내는 절차이다.

아무 진단 구역, 집중치료실(ICU), 단기응급병동, 진찰실

인위적 코마

수술 전 혹은 위중한 환자의 치료를 돕기 위하여 진정제를 통해 유도된 코마상태에 이르게 하는 치료 절차.

수술실

인슐린 요법

높은 혈당치를 낮추기 위한 의약품

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인터페론 알파-2b

매우 특수한 항바이러스성 물질로 만성 B형, C형 간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IV 항생제제

치료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정맥 주사를 통해 투여(IV)되는 항생제제이다.

아무 진찰실, 병동, 진단 구역

IV 아트로핀

치료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정맥 주사를 통해 투여(IV)되는 아트로핀제제이다.

아무 진찰실, 병동, 진단 구역

IV 글루콘산칼슘

글루콘산칼슘 정맥 주사(IV) 보충제.

아무 진찰실, 병동, 진단 구역

IV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부산피질호르몬을 조절하기 위한 정맥 주사 약품.

아무 진찰실, 병동, 진단 구역

IV 면역글로불린

깨끗한 피의 항체가 정맥주사(IV)를 통해 투여되는 약품.

아무 진찰실, 병동, 진단 구역

IV 주입제

액상 제제를 혈류로(정맥 내부로 직접) 투여하는 치료 절차.

아무 진찰실, 병동, 진단 구역

IV 영양

비경구적영양(PN) 혹은 장관외영양으로도 불린다. 정맥 주사(IV)를 통해 혈류로 직접 영양분을 전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양분이 장을 거치는 과정을 건너뛴다. 이 주사에는 몸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중요한 영양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아무 진찰실, 병동, 진단 구역

철분 강장제

철분 보충약.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관절 수술 - 팔

특정 관절을 완전히 고치거나 관절의 인대를 재건하기 위한 수술입니다.

정형외과의 수술실

관절 수술 - 다리

특정 관절을 완전히 고치거나 관절의 인대를 재건하기 위한 수술입니다.

정형외과의 수술실

복강경 수술

또한 최소절개수술이라 하며 복강경을 사용하여 작은 절개 부위를 통과해 수술을 수행하는 현대적 외과 기술이다.

외과의 수술실

다리 석고 붕대

흔히 깁스로 석고와 붕대, 때로는 유리 섬유로 만든 보호 껍데기로 골절된 팔다리나 관절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중증외상센터, 정형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다리 보조기

보조기(orthosis)는 어느 한 관절이나 팔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신체 움직임을 교정하는 장치.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중증외상센터, 정형외과의 수술실, 진찰실과 진단 구역

생명유지장치

코마 상태에서 신체 중요한 기능을 유지시켜주는 생명유지 절차

집중치료실(ICU), 중증외상센터

간 의약품

다양한 간 질환에 사용하는 간 건강에 영향을 주는 약물입니다.

진찰실, 외과의 진단 구역

점액분해제

기도 내부의 점액을 치우고 융해하는 것을 돕는 액상제제.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집중치료실(ICU), 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점비액

비강을 청소하고 코를 통한 호흡을 도와주는 약품.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내과, 순환기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질산염제제

질산염제제는 혈관을 넓혀주고 이완시켜 줌.

일반 병동, 고위험병동(HDU), 집중치료실(ICU), 순환기 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NSAIDs

통증을 완화하고 당양한 염증 치료에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약물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마취 연고

통증을 완화하거나 무디게하기 위해 특정 부위(ex. 화상부의)에 적용하는 연고.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골수염 수술

감염 부위를 긁어내거나 질환 부위의 죽은 뼈와 조직을 제거하고 뼈 속 피의 흐름을 회복시키기 위한 뼈 수술입니다.

정형외과의 수술실

산소요법

들숨을 통해 산소를 보충해 주는 요법입니다.(보통 코산소주입관이나 산소마스크를 이용합니다.)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집중치료실(ICU), 고위험병동(HDU)

심낭천자술

과도한 혈액으로 증가한 심장과 심막 사이의 압력을 빼주어서 심장 박동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돕는 절차.

순환기내과의 수술실

PERT

췌장 효소 대체 요법(PERT)으로 판크레아틴 효소 혼합물을 사용합니다. – 췌효소, 리파아제, 아밀라아제와 프로테아제 혼합물. 이들 물질은 지방, 탄수화물과 단백질 소화를 돕습니다. 이 치료법은 궁극적으로 환자가 적절한 양의 효소를 생성할 수 있게 합니다.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혈장 교환술

환자의 혈장을 버리고 건강한 지원자의 혈장을 받아 교환하는 절차.

신경의학과, 내과의 진단 구역 nn필요한 장비: 인공 투석기

혈소판 수혈

오직 혈소판과 관련된 특별한 수혈 방식.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압박 붕대

상처 부위 혹은 동맥 파열부의 과대한 출혈을 막거나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붕대.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프롤로테라피

만성 근골격 약화를 막기 위해 특정 세포의 생장과 확산을 더 빠르게 만들어주는 주사를 기반으로 한 치료법.

아무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프로톤펌프 억제제

위장의 위산 생성을 감소시켜 위궤양 혹은 위산 역류와 같은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폐 수술

펄모너리 수술 혹은 폐 수술은 암과 같은 폐 조직을 제거하거나 고치기 위해 수행되는 수술이다.

내과의 수술실

하제

완하제라고도 부르며 주로 변비 치료에 사용하며 창자 운동 및 장내 수분 분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외과, 내과, 신경의학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광견병 면역글로불린

감염된 환자의 광견병 바이러스를 막아주는 빠르게 작용하는 주사.

신경의학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EMS

전기 근육 자극법은 근골격계와 연관된 질환 혹은 다양한 부상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절차이다.

정형외과의 진단 구역 nn필요한 장비: 근전도기(EMG)

재수화작용제

적절한 혈압과 장기 기능 유지를 위해 더 많은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기 위한 액체 처방약.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콩팥혈관 수술

콩팥기관의 정맥과 동맥에 대한 수술.

순환기내과의 수술실

재접합술

신체 부위 일부를(예컨데 손가락 혹은 발) 다시 접합시키는 수술.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중증외상센터, 정형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휴식

격렬한 신체 운동을 피하고 환자가 휴식을 통해 치료에 도움을 받도록 합니다.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RICE

삐거나 골절된 부위 회복을 위한 "휴식(rest), 아이싱(Ice), 압박(Compression)과 높게 유지하기(Elevation)"라는 3가지 원칙입니다.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염분 코 스프레이

코 스프레이는 비강을 씻어내고 코를 통한 호흡을 돕습니다.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충격파쇄석술

요관 내의 돌을 부수기 위해 보통 수행하는 치료법입니다. 이것은 고 에너지의 초음파 충격을 통해 돌을 가루로 만드는 비수술 치료방법.

외과의 초음파 구역 nn필요한 장비: 충격파요법

수면제

수면 장애를 돕기 위한 약물.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진경약

다양한 종류의 경련을 완화하기 위한 액상 혹은 고체형 타입의 약물.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중이 등골 절제술

중이의 가장 작은 뼈(stape)에 대한 수술로 뼈를 대체할 장치를 중이에 넣습니다.

내과의 수술실

스테로이드 크림

국소 부위의 치료와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스테로이드계 약물(스트레스 호르몬)이 포함된 크림, 연고와 로션.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건위제

위장을 자극하거나 강화시키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물.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인조 갑상샘 호르몬

갑상샘 저하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품. 이것들은 인위적 물질로 동물의 갑상선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며 부작용이 덜하다.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혈전용해제

혈류 속 형성된 혈전을 풀어주고 파괴하는 특수한 약품. 혈전은 장기로 흐르는 피의 통로를 좁힌다.

순환기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IV TPA

정맥 주사형 TPA(Tissue plasmogenic activator)로 뇌졸중 이후 회복을 돕는다.

순환기내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진정제

정신적 불안감, 공포, 긴장, 동요, 소요를 치료하기 위해 고안된 약.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삼중 요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혹은 위궤양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위한 3가지 항생제로 구성된 특별한 약품.

집중치료실(ICU), 일반 병동, 고위험병동(HDU), 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혈관확장제

혈관을 이완시켜주는 의약품.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비타민 보충

안정된 장기 기능을 복구해줄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된 보충제.

아무 진찰실, 진단 구역

VP 션팅

뇌실복강 단락술은 증가된 두개내압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외과적 수술 절차.

신경의학과의 수술실

상처 봉합술

피부와 근육을 꿰매는 절차.

진찰실, 단기응급병동, 중증외상센터, 정형외과의 진찰실과 진단 구역

혈액성분 요법

농축적혈구, 신선동결혈장, 혈소판, 크리오프레시피테이트, 과립성백혈구 성분 그리고 로감을 포함한 전혈 또는 개별 성분으로 구성된 특수한 유형의 수혈입니다.

이물질 제거

상처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흉수천자

흉막강에서 유체 또는 공기를 제거하는 침습적 시술입니다.

최소침습 내시경 시술(MIEP)

최소침습 내시경 시술(MIEP)은 다양한 이비인후과적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만니톨 복용

만니톨 복용은 시구아톡신에 의한 중독과 싸우기 위해 인체에 투여됨을 말합니다.

수산화요소

골수 내 혈액 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는 특수 약물입니다.

보툴리늄균 항독소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균에 의해 생성되는 독소를 중화시키는 기능을 가진 특수 항체입니다.

10. 여담[편집]

  • 튜토리얼이 좀 부실한 편이다. 방법을 알려주지 않고 뭘 하라고만 던져준다. 처음 하는 유저라면 한시간 동안 헤멜 수도 있다. 특히 병원 설계와 각종 편의 시설, 동선 관리 및 스케줄 관리가 꽤 중요한 이 게임에서 관련 부분을 하나도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처음 한다면 온갖 사망 사례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 병원 상황에 따라 BGM이 변한다. 예를들어 의식 불명인 환자가 발생했거나, 이벤트 중이거나, 고위험 증상을 숨기고 있는 환자가 있다면 BGM이 좀 더 급박한 BGM으로 변경된다.

  • 청소부와 접수데스크(Reception)의 경우 각 과별로 나뉘어진 것처럼 씌여 있지만 사실은 각 부서별로 우선순위가 있는 정도이며 모든 과가 어느정도 공유한다.[9] 수술실 역시 과거 버전에는 파트별로 보유해야 했으나 공유 시설로 바뀌어 수술 스케쥴이 포화상태인 과에서 수술 스케쥴이 없는 과의 수술실을 빌려 쓸 수 있게 되었다.

  • 게임을 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유저들의 경우 멋모르고 무리하게 입원시설까지 올리려다가 재정문제에 빠지게 되는 경우가 잦다. 처음부터 너무 큰 그림을 그리고 플레이하려 하지 말고 차근차근 확장해 나가자. 숙달된 유저들은 초반에 모든 과를 진료실까지만 건설하여 운영하며 환자 수를 늘리고, 그렇게 모인 돈으로 입원시설을 하나씩 여는 방식을 택하기도 한다.

  • 게임 전반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편이다. 치료는 현실처럼 빠르게 해야 하고 많은 인원이 들어가는데 고용 가능한 인원은 예산, 공간, 컴퓨터 성능의 한계로 부족하고 그나마도 휴식이나 다른 환자 치료, 이송등으로 사용 불가능한 인력이기 때문에 자주 치료 지연과 실패가 발생한다. 게임 시스템상 문제라 어쩔 수 없다. 손 안 대도 잘 돌아가는 완벽한 병원을 보고 싶다면 클리닉 수준에서 만족하고, 큰 병원을 짓고 싶다면 그만큼 꼼꼼하게 병원을 둘러보면서 관리해 주자.

  • 현실의 병원설계구조를 참고하면 동선관리에 도움이 되는 편이다. 가령 외래진료실은 외부와의 접근성이 가장 좋은 곳에 설치하고 TC는 앰뷸런스가 환자를 이송하는 곳에 가깝게 지어야 하는 것은 상식 수준이고, ICU를 TC와 초응급환자 수술실과 가깝게, CT나 CAG등 응급 검사실을 TC와 ICU에 가깝게, 그 다음 HDU, 일반병동 순으로 접근성을 잡고 간호사실이 병동 중앙에 배치되는 등등의 방법으로 동선을 짤 수 있다.

  • "%appdata%₩LocalLow₩Oxymoron Games₩Project Hospital₩maps" 폴더 안에 병원 이름.zip의 형태로 세이브 파일이 있다. 압축을 풀면 병원 이름.xml과 Saveinfo.xml 파일이 있는데, Saveinfo.xml 파일은 저장 화면에서 보여지는 병원 정보들을 담고 있는 파일이고 실제 모든 정보들은 병원 이름.xml 파일 안에 들어있다. xml 파일 안에서 currentBalance 항목을 찾아 돈값을 수정할 수 있다. 병원의 건축 정보도 이 파일 안에 담기므로 병원이 크면 클 수록 파일을 여는 시간이 길어지니 주의.

  • "ProjectHospital_DataStreamingAssetsDatabase" 폴더 안에 Symptoms.xml 이라는 파일이 있는데, "Death" 키워드로 찾아 보면 각종 응급 증상이 있다. 이것들을 수정하면 뭔짓을 해도 환자가 죽지 않는 치트 게임을 즐길수 있다.

  • 1.1.17901 버전 까지는 AI들은 실제로 거기까지 가는지 얼마나 걸리느냐에 상관 없이 직선거리에서 제일 가까운 시설을 이용하려 들었다. 이 말은 미로를 짜놓고 거기에 필요한 시설을 둔 뒤 탁 트인 곳에도 필요한 시설을 뒀을때, 직선거리로 미로쪽이 더 가깝다면 시간이 훨씬 더 걸리더라도 미로쪽의 시설을 찾아간단 소리이므로, 설계 단계에서 이런 경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으나, 1.1.18580 버전에서 해결 되었다.

  • 병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영문명을 찾은 뒤 영어 위키백과에서 검색하면 나온다.

  • "ProjectHospital_DataStreamingAssetsDatabase" 폴더 안의 Tweakables.xml을 수정하면 게임의 최대 발암 요소인 최대 고용 인원 제한이나 최대 건설 가능 층수, 동시에 사용 가능한 보험 회사 수 등 다양한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단 게임이 업데이트 될 때 마다 수정한 내역이 초기화된다.

  • 직원이나 환자 만족도 부정적요소 중 주로 뜨는게 '날씨에 노출됨'과 '더러운 환경'인데 문구 그대로 해석하면 이해할 수 없다. '날씨에 노출됨'은 벽이 없이 외부에 노출된 지역에 혹시 건설계획이 있어 미리 지역을 설정해둔 경우 사람이 그 지역을 통과하게 되면 부정적 만족도가 올라간다. 정해진 출입구 외에 문을 제거하거나 벽을 건설하여 주변에 사람이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면 해결된다. '더러운 환경'은 꼭 청소뿐만 아니라 벽의 색상,유리창,포스터 등 장식품,청소상태 등에 종합적인 환경상태를 나타내므로 감안하자.

  • 직원과 환자들이 웅얼거리면서 대화를 하는데, 듣고 있으면 상황에 따라 톤과 뉘앙스가 다르다. 환자가 주사를 맞고 비명을 지르는 소리도 들을 수 있다.

  • 배경음을 바꾸고싶다면 steamlibrary / steamapps / common / project hospital / projecthospital_data / streamingassets / audio / music 폴더에 들어있는 4개의 파일을 원하는 파일로 바꾸면 된다. 확장자는 *.ogg. update.ogg는 평상시에, events는 위급한 환자가 있을때, night draft는 야간에, main theme은 메인화면에서 나오는 BGM이다. 원하는 BGM의 파일을 그 이름으로 바꾸고 원래BGM을 이름 바꿔 백업해두면 된다.


[1] 일부 증상은 급성과 급성이 아닌 종류로 나눠지기도 한다. 탈진의 경우 상태가 심각해지면 연주황색으로 표시가 바뀐다. 호흡곤란 증상의 경우 구급차로 실려오는 일부 환자가 급성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