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17강 플리커 회로의 이해 및 활용

창밖에서 새소리가 들리네요. ! 날씨가 너무 화창합니다. ^^;

오늘은 플리커 회로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풀리 커 회로는 깜빡이 회로라고도 합니다. 타이머 2개를 활용하여 설정 시간 동안 램프 1과 램프 2를 깜빡이게 만드는 회로 입니다.

플리커 회로의 시작은 1번회로의 자기 유지회로에서 시작합니다.  키고 끄는 버튼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여기서 램프1자리에 타이머를 위치시키고 병열로 램프1을 연결합니다. 이때 T1-b 접점을 램프 위에 위치합니다. 그러면 2번 회로가 만들어집니다.

2번 회로는 기동 버튼을 누르면 릴레이의 a 접점에 의해 타이머와 램프 1에 전원이 공급되어 불이 들어오게 됩니다. 이때 타이머 1의 설정 시간이 2초라면 전원이 공급되는 순간 2초 동안 램프 1의 불이 켜지고 정지하는 동작을 보입니다.

3번 회로는 타이머 1의 a 접점을 하나 더 받아 타이머 2와 병열로 연결된 램프 2에 동시에 저원을 공급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PB1의 기동 버튼이 동작하여 자기 유지와 동시에 정원이 공급되면 T1의 설정 시간 동안 L1이 점등되고 그와 동시에 T1의 a 접점이 작동하여 T2와 L2를 점등 시키는 회로입니다.

4번 회로는 T2의 b 접점을 T1의 회로를 차단하는 위체에 설치하여 도작을 리셋하는 역할을 합니다.  결론적으로 T1이 설정시간동안 L1이 점등하고 T2의 설정시간 동안 L2가 점등하게 되는 회로가 완성이 됩니다.

위 회로를 결선할때 주의할 점음 T1의 a접점과 T1의 b 접점을 한번씩 사용하게 되는데 a접점은 1번과 3번을 활용하고, b접점은 8번과 5번을 각각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점 유의 하세요. ^^;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위 회로의 작동 시 소리를 들어보면 1번 램프는 "딱",  2번램프는 "따닥" 거리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2번 램프의 접점이 2곳 작동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문제는 접점의 마모율을 증가시켜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램프의 따닥거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 보세요. 힌트는 자기유지 회로를 이용한다는 것입니다.  ^^;

아래의 작동과 위의 작동 영상을 비교해 보세요. 차이점을 발결한 수 있으실 겁니다. !


이 회로를 구성하려면 릴레이 1개, 타이머2개, 랩프 2개, 푸시버튼 2개가 필요합니다. 구성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설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플리커회로를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서 만들어 진 장치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일명 플리커 릴레이라고도 합니다.

5번 회로는 4번 회로의 릴레이 접점을 공통으로 사용하여 간단히 한 회로 입니다.  6번 회로는 자기위지회로의 자리에 샐렉트 스위치를 넣어 대체한 회로 입니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가격상의 이유로 자기유지대신 SS나 토글 스위치를 많이 이용하곤 합니다.  비용상의 이유일 수도 있고 사용 목적이 달라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ㅋㅋ

위 플르커 회로 1번은 SS와 플리커 릴레이의 a접점을 연결하여 램프 1개를 동작시키는 회로 입니다.  걍 이해하기 쉽도록 하나 그려 보았습니다.

2번 회로는 플리커 릴레이의 a, b접점을 함께 사용하여 램프 1과 램프 2를 깜빡일 수 있도록 구성한 회로입니다. 실제로 2번의 회로로 많이 활용하게 됩니다.

이 플리커 회로는 활용되는 용도는 건물옥상의 깜빡이는 등, 비행기의 깜빡이등, 모터의 1,2번을 번갈아 기동하고 싶을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농업관련 여러가지 시설물에 이용이 가능한 회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오랜만에 글을 적어 봅니다. ! ^^;

아름다운 날입니다.

플리커 릴레이(FR) 회로

동작 순서

1.R 들어가고 L1켜지고 T1 일정 시간 후에 꺼짐&켜짐

2. L2 켜지고 일정 시간 후 T2 떨어지면서 왼쪽 리셋

리셋 되면 동시에 오른쪽 T1 복귀하며 T2도 꺼지며 왼쪽 T2 다시 복귀

1~2 반복

플리커 릴레이 응용(위의 회로를 압축한게 FR)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스위치 누르면 L1 L2 번갈아가며 깜박하는 회로

자료는 여기까지 입니다.

혹시 만족하셨다면 

댓글이나 추천 한 번 해주시는건 어떨까요? 

격려는 아주 큰 힘이 됩니다. ㅎ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4. 플리커(Flicker) 시퀀스 회로 - 깜빡이는 회로

Flicker는 '깜빡이다'라는 뜻이다.

회로의 램프 혹은 부저를 반복적으로 켰다 껐다 할 수 있는 기능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방향지시등이나 경보를 알리는 상황에서 쓰인다.

플리커 시퀀스 회로에 대해 알아보자.


(1) 푸시버튼, 릴레이 자기유지, 타이머를 이용한 깜빡이는 시퀀스 회로

(2) 플리커(Flicker) 시퀀스 회로



(1) 푸시버튼, 릴레이 자기유지, 타이머를 이용한 깜빡이는 회로

먼저 앞서 공부한 1.푸시버튼 2. 릴레이 자기유지 3. 타이머를 이용해서 깜빡이는 회로를 만들어보고

후에 플리커(Flicker)를 이용해서 깜빡이는 시퀀스 회로를 만들어보자.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타이머를 이용한 깜빡이는 시퀀스 회로

위의 회로는 푸시버튼(PB1), 타이머 2개(T1, T2), 램프 2개(L1, L2)를 이용해서 램프1과 램프2를 번갈아가며 깜빡이게 만든 회로이다.

동작순서는 아래와 같다.


자기유지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시퀀스 회로 자기유지 과정

푸시버튼(PB1)을 누르면

릴레이로 전류가 흘러들어가서 릴레이가 여자된다. 

②-1 릴레이가 여자되면서 릴레이 접점이 닫힌다. 그러므로 푸시버튼(PB1)에서 손을 떼도 릴레이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어 릴레이 여자가 유지된다. .(자기유지가 가능해진다.) 

②-2 릴레이가 여자되면서 이 쪽 릴레이 접점도 닫힌다.


램프1 점등 2초 유지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램프1 점등2초 유지, 타이머 깜빡이는 회로

릴레이 접점이 닫히면서 타이머1, 램프1로 전류가 흐른다. 타이머1이 여자되고 램프1이 점등된다.


램프1 소등 후 램프2 점등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램프1 점등 2초 유지 후 소등, 램프2 점등 - 타이머 깜빡이는 회로

③-1 타이머1의 설정시간을 2초라고 하면 2초 후에 타이머1의 b접점(t1)이 떨어지며 점등되어 있던 램프 L1이 소등된다.

③-2 타이머1의 설정시간 2초 후에 타이머1의 a접점(t1')이 붙는다.

 타이머1의 a접점(t1')이 붙으면서 타이머2, 램프2로 전류가 흐른다. 타이머2가 여자되고 램프2가 점등된다.


램프2 점등 3초 유지 후 소등, 램프1 점등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램프2 점등 3초 유지 후 소등, 램프1 점등 - 타이머 깜빡이는 회로

 타이머2의 설정시간을 3초라고 하면 3초 후 타이머2의 b접점(t2)이 떨어진다.

 타이머1로 흐르던 전류가 끊기면서 여자가 해제되어

⑥-2 타이머1의 a접점(t1')이 떨어지면서 램프2가 소등된다. 

⑥-1 타이머1의 b접점(t1)이 다시 붙으면서 램프1이 점등된다. 


처음 상태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처음 상태 - 타이머 깜빡이는 회로

⑥-2 타이머1의 a접점(t1')이 떨어지면서 타이머2의 여자가 해제되면서

타이머2의 b접점(t2)이 다시 붙기 때문에 타이머1로 전류가 흘러 타이머1이 다시 여자된다.

    이는 곧 처음 상태와 같다. 그러면 다시 위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램프1과 램프2가 깜빡이게 된다. 

※PB2를 누르면 릴레이 여자를 해제할 수 있어서 회로를 초기화 시킬 수 있다. 


(2) 플리커를 이용한 깜빡이는 회로

아래 회로는 푸시버튼(PB1), 플리커(FR), 램프2개(L1,L2)를 이용하여 램프 2개를 시간마다 번갈아가며 깜빡이게 만든 회로이다.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플리커(Flicker) 시퀀스 회로 

동작순서는 아래와 같다.


자기유지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자기유지 - 플리커 시퀀스 회로

푸시버튼(PB1)을 누르면

릴레이로 전류가 흘러들어가서 릴레이가 여자된다.

②-1 릴레이가 여자되면서 릴레이 접점이 닫힌다. 그러므로 푸시버튼(PB1)에서 손을 떼도 자기유지가 된다.

②-2 릴레이가 여자되면서 이 쪽 릴레이 접점도 닫힌다.


램프2 점등 1초 유지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램프2 점등 1초 유지 - 플리커(Flicker) 회로

릴레이 접점이 닫히면서 플리커, 램프2로 전류가 흐른다. 램프2가 점등된다.


램프2 소등 후 램프2 점등

플리커 릴레이 역할 - peullikeo lillei yeoghal
램프2 소등 후 램프1 점등 - 플리커 회로

플리커의 설정시간을 1초라고 하면 1초 후 f2접점은 떨어지고 f1접점은 붙는다.

그러면 램프2는 소등되고 램프1이 점등된다.

위의 상황이 반복되며 램프(L1,L2)는 1초 마다 번갈아가며 깜빡이게 된다.

이 회로를 초기화하고 싶다면 푸시버튼(PB2)을 누르면 된다.

플리커를 이용하면 위에서 타이머를 이용했을 때 보다 더 쉽게 회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플리커는 타이머 두 개가 들어가서 점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했다.

타이머 2개를 연결한 것보다 회로를 더욱 간편하게 나타낼 수 있다.

플리커는 일반적인 점멸기능에도 사용하지만 설비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이상이 생겼을 때

전기적 이상 신호를 받고 시스템에서 기계의 고장을 알리거나 대피해야 하는 경보의 용도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