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웹툰 집이 없어 - neibeo webtun jib-i eobs-eo

집이 없어 (r20220720판)

문서 조회수 확인중...

네이버 웹툰 집이 없어 - neibeo webtun jib-i eobs-eo

정말 집이 없는 경우에 대한 내용은 노숙자 문서

참고하십시오.

집이 없어

네이버 웹툰 집이 없어 - neibeo webtun jib-i eobs-eo


장르
일상, 감성, 드라마, 학원
작가
와난
연재처
네이버 웹툰 ▶
네이버 시리즈 ▶
연재 기간
1부: 2018. 12. 31. ~ 2020. 03. 03.
2부: 2020. 05. 05. ~ 2021. 11. 01.
3부: 2022. 01. 04. ~ 연재 중
연재 주기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1. 개요

2. 줄거리

3. 연재 현황

4. 특징 및 평가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어서오세요, 305호에!> <하나(HANA)> 와난 작가의 신작.

한국의 일상·드라마 웹툰. 작가는 와난.

학교를 배경으로 주인공인 고해준과 백은영, 그리고 주변 인물들이 다양한 상황과 다양한 입장에서의 갈등과 해소를 통해 성장하는 과정을 재치있게 그려내고 있다.

2. 줄거리[편집]


집을 버리고 뛰쳐나간 고해준, 집 없이 텐트 생활하는 문제아 백은영. 악연으로 만난 두 사람은 버려진 옛날 기숙사에서 함께 살게 되는데...

기숙사도 서로도 싫지만 돌아갈 곳 없는 두 사람의 힘든 성장 이야기,

― 작품 소개

3. 연재 현황[편집]


네이버 웹툰에서 2018년 12월 31일부터 매주 화요일에 연재된다. 2020년 3월 3일 1부가 종료되었다.

2부는 2020년 5월 5일부터 연재되었다. 2021년 11월 2일에 마무리되었다.

3부는 2022년 1월 4일부터 연재되고 있다.

3.1. 1부[편집]


1부에서는 주요 인물 한 사람별로 초점을 두고 스토리를 진행하며 인물을 소개하였다.

1화 - 10화: 고해준
11화 - 23화: 백은영
24화 - 39화: 박주완
40화 - 57화: 김마리(집이 없어)
58화 - 62화: 감기

3.2. 2부[편집]


2부에서는 두 사람씩 짝을 지어 상호작용 및 갈등을 표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추가적으로 1부에서 소개되지 않은 주역인 강하라와 공민주가 소개된다.

63화 - 83화: 강하라와 백은영
84화 - 96화: 공민주와 김마리
97화 - 105화: 고백
106화 - 114화: 고해준과 백은영
115화 - 118화: 수학여행, 고해준
119화 - 122화: 수학여행, 백은영
123화 - 126화: 담력시험
127화 - 141화: 새 기숙사

3.3. 3부[편집]


3부에서는 이전에 비해 무거운 주제의식을 보여준다. 표리부동적 '우정'에서 보여지는 표면과 심층 간의 괴리, 그리고 비행청소년 문제 등을 다룬다.

142화 - 147화: 안녕, 옛날 친구들
148화 - 166화: 추석과 체육대회
167화 - 172화: 우정과 전쟁

4. 특징 및 평가[편집]


와난 작가는 전작들부터 꾸준하게 사람들이 통과할 수밖에 없는 갈등들을 용기 있게 드러낸다. 이 갈등을 뚫고 나가는 와난 작가의 해결책은 언제나 단 하나다. 사람들과의 연대, 믿음이다. 우리는 집에서 집으로 간다. 내가 나일 수 없는 곳에서 내가 있는 곳으로, 그리고 네가 있는 곳으로 간다.

여성지 일다 리뷰 <우리는 집에서 집으로> #


<집이 없어>는 각 인물이 자신이 겪는 불행을 직시하는 두려움, 나의 불행이 나의 무결함을 증명해주지 않는다는 걸 받아들여야 하는 두려움, 내가 행복한 미래를 꿈꿔도 될지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내는 지지부진한 과정을 끈기 있게 추적한다.

위근우 칼럼니스트


〈집이 없어〉는 하나만 보고는 알 수 없는 청소년들의 삶을 잔뜩 보여준다. 숫자로 환원될 리 없는 입체적 면모를 섬세하고 다채로운 시선으로 그저 보여준다. 따라서 독자는 청소년들에 대해 배우되 알게 되지는 않는다. 독자가 배우는 건 청소년에 대한 앎이 아니라 그들을 바라보는 새 시선이므로. 세대를 막론하고 더 많이 읽혀야 할 소중한 작품이다.

조익상 만화평론가#

일반적으로 웹툰에서 학원물은 멜로나 일진폭력물로 나아가는 경우가 흔하지만 본작은 사회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가족 간의 문제나 친구 문제부터 가스라이팅, 가정폭력, 학교폭력 등 사회 범죄나 폭력으로 비화되는 문제까지, 일상 속 갈등들을 중심으로 갈등과 해소가 묘사되어 굉장히 몰입감 있으면서도 현실적인 이야기 전개가 이루어진다.

어렸을 때는 집이 전부잖아.

- 백은영, 집이 없어 83화

본작의 제목의 집은 중의적이다. 작중 등장인물의 행적을 보면 작품 제목인 "집이 없어"의 '집'은 건물을 의미하는 뉘앙스가 강한 'house'를 의미할 수도 있겠지만, 돌아갈 가정이라는 의미가 있는 'home'이 없다는 뜻으로도 보일 수 있다. 전작 어서오세요, 305호에!에서 성소수자와 인권을, HANA에서 상처받은 아이들과 치유를 조명했던 와난 답게 집이없어 역시 주인공 고해준, 백은영과 같이 돌아갈 가정(집)이 없었던 환경 속에서 자라난 아이들 부터 다양한 사회 속 가정들과 그 속의 청소년들을 묘사한다. 박주완 같은 핵가족부터 백은영과 같은 가출 청소년, 김마리와 같은 한부모 가정, 고해준과 같은 소년가장, 공민주와 같은 이혼 가정 등 다양한 우리네의 가정들을 사춘기에 접어든 청소년의 입장에서 덤덤하면서도 섬세하게 묘사해 청소년 독자들의 공감을 사고 있다.

집이없어는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수많은 갈등들을 엮어내어 결국 삶 속의 작은 연대로 이어지게 그려내고 있다. 뚫고 나갈 수 밖에 없는 갈등과 삶들을 가감 없이 그려내며 청소년들이 이를 결국 서로에 대한 도움이나 스스로의 성장 등으로 해결해 나가게 표현해내고 있다. 특히 주연 6인방 모두 처음에는 각자에게 비호감이나 경계를 가지지만, 모든 캐릭터가 결국 악인이나 악의가 있었던 것은 아닌 것을 이해할 수 있게 서술하는 전개 방식을 통해 독자들 역시 주연 캐릭터들 모두에게 그야말로 '스며들며' 캐릭터들의 입장을 이해하고 다각면으로 바라보게 되는 변화를 겪는다. 작품 속 캐릭터와 함께 독자도 성장하게 하는 독특한 전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점차 입소문을 타며 초기에는 하위권에 오래 맴돌았던 웹툰이 점점 상승하며 현재는 인기순, 조회순, 별점순 모두 중상위권에 안착했으며, 여성 인기순에서는 상위권에 위치하며 인기가 점점 오르고 있다. 관심 수가 초반이 아닌 2부를 기점으로 2배 이상 상승했는데, 이는 네이버 웹툰에서는 이례적인 상황이다.

5. 등장인물[편집]


네이버 웹툰 집이 없어 - neibeo webtun jib-i eobs-eo
  자세한 내용은 집이 없어/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전작 어서오세요 305호에과의 연계성[편집]


  • 1화를 보면 지나가는 배경 실루엣으로 작가 전작의 백장미, 양주하, 오윤성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보인다.

네이버 웹툰 집이 없어 - neibeo webtun jib-i eobs-eo


  • 작중 배경은 한솔고이고 주인공 고해준은 경운고에서 전학을 왔다는 설정인데 경운고는 작가 전작에서 양주하와 물병이 다녔던 경운여고와 교류가 있던 곳이다.

네이버 웹툰 집이 없어 - neibeo webtun jib-i eobs-eo


  • 와난 작가가 전작을 연재했던 당시 몇몇 독자들로부터 둘 다 같은 성을 가졌고 머리색깔도 같은 금발이었던 백장미, 백설이 친척 사이가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다.[1] 그러나 이에 관한 설명 없이 연재가 종료되어 묻히는 떡밥으로 전락했으나 본작에서도 백씨 성에 금발을 가진 백은영이 주연으로 나왔다. 단, 백인호나 백인하 등 와난작가 작품 외에서도 '백'씨가 금발을 가진다는 클리셰가 존재한다는 점을 유념할 것.

  • 백은영의 반의 담임 선생이 특유의 비주얼 꽃무늬 셔츠, 선글라스, 탈모... 때문에 305호의 김호모가 아니냐는 의혹이 진지하게 설득력을 얻고 있다.

네이버 웹툰 집이 없어 - neibeo webtun jib-i eobs-eo

  • 128화에서 가상화폐 폭락 기사를 쓴 기자 이름이 김정현이다.

7. 기타[편집]


  • 전작들에 비해 선을 굵게 쓰는 편이다.

  • 의외로 차후 전개에 관한 떡밥이 많이 존재한다.[2] 다른 떡밥들은 차차 풀려나갈 예정.[3]

  • 꽤 발랄해 보이고 산뜻한 그림체에 비해 주연들의 과거사와 내용, 떡밥이 상당히 암울하다. 김마리(8)과 고해준과 백은영(5)에서는 가정폭력 묘사가 있다는 경고문이 붙을 정도였고, 실제로 해당 회차에서 김마리와 백은영이 자신들의 가족에게 극심한 수준의 구타와 가스라이팅을 당하는 장면이 노골적으로 드러나 있었다. 특히 주연 2명의 서사가 매우 불우한데, 고해준은 어머니의 죽음이 트라우마가 되어 '고백' 에피소드에서 우울증과 비슷한 증세를 보이는 등[4] 심리적 불안정감이 극대화되어 있다. 백은영은 과거사가 잘 드러나지 않았으나 언급이나 드러난 것으로 매우 암울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웹툰이 초반 발암 전개와 주인공들이 겪는 부당한 대우들을 마지막에는 해피엔딩으로 끝내며 훈훈하게 마무리하는 것과 달리 '집이 없어'는 사건의 원인을 직접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에피소드 주연들의 심리적인 치유를 엔딩으로 삼기 때문에 카타르시즘 없이 담백한 결말들이 많다.[5]

  • 2021년 만우절 기념 삽화에서는 이 모든 게 드라마 촬영이고 고해준, 백은영을 비롯한 주연들이 눈만 마주쳐도 으르렁거리던 작품 내에서와는 다르게 화기애애하게 대화하는 장면이 실렸다.
  • 2022년 #깜짝반전은 장르를 아포칼립스물로 반전시킨 포스터이다.

  • 2022년 7월 7일 네이버 웹툰 산하 LICO에서 홍보용으로 PV를 만들었다. 퀄리티가 너무 좋아서 애니화를 원할 정도로 반응이 엄청나다. 영상

8. 관련 문서[편집]


  • 청소년
    • 청소년 인권
  • 성장물
  • 막장 부모
  • 학교폭력
  • 가정폭력
  • 아동학대
  • 가스라이팅
  • 웹툰 관련 정보
  • 네이버 웹툰/연재 목록

네이버 웹툰 집이 없어 - neibeo webtun jib-i eobs-eo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4 00:44:44에 나무위키 집이 없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작가 블로그에서 백장미는 외동이라는 설정을 밝혔으므로 형제 사이는 성립하지 않는다.[2] 대표적으로 24화에서 나왔던 박주완 친구의 정체. 그리고 박주완의 일기에서 언급된 그녀.[3] 다만 전작들처럼 아예 안 풀리는 떡밥들 역시 있을 것으로 보인다.[4] 실제로 귀신이 보이는 것인지는 작중 전개상 알 수 없지만, 벚꽃이 보여 예전 집을 생각나게 했던 그 풍경 너머로 자신의 어머니의 환각이 보이고, 매일 새벽 그쪽으로 달려나가다 보니 환청까지 들으며 방향을 잃고 가다가 절벽에 떨어져 죽을 뻔한 것을 백은영이 막아줘서 살았다.[5] 김마리의 경우 오빠, 아빠에게 도를 넘은 아동 학대를 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직접 해결하진 못했다. 대신 그토록 원하던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것만으로 가족들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겠다는 암시를 받았을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