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예문 - mogjeoggyeog gwangyedaemyeongsa whom yemu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공부하겠습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예문 - mogjeoggyeog gwangyedaemyeongsa whom yemun

대부분 그렇듯이 문법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암호같은 ‘문법 용어’ 때문입니다. 난해하기 그지없는 문법 용어 때문에 영어를 포기하고 싶은 충동마저 드니까요. 그렇지만 개별 문법 용어는 평생 영어만을 연구해온 학자들이 고심 끝에 만들어 놓은 걸작품입니다. 사실 문법 용어만 제대로 이해해도 영문법 공부는 절반은 먹고 들어갑니다. 그러니 조금 더 인내심을 발휘해서 공부하도록 합시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라는 용어는, ‘목적격’과 ‘관계대명사’라는 두 가지 용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차례대로 봅시다.

1. 목적격

목적격은 별로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목적어 자리에서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영어에서 목적어를 취할 수 있는 말은 타동사와 전치사 두 종류 밖에 없습니다.

(1) 동사의 목적어

① I like him.

② I read the book yesterday.

①,②번에서 동사 'like'와 ‘read'는 행위의 대상 즉,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들입니다. ①번에서 '좋아하는 대상'은 무엇일까요? ’그(him)'입니다. 인칭대명사가 목적어 자리에 있으면 ‘목적격’을 써 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him'을 썼습니다.

②번에서 '읽는 대상‘은 무엇일까요? 책입니다. 책은 ’read'라는 동사의 목적어입니다. 인칭대명사가 아닌 일반 명사의 목적격은 명사 그대로 쓰면됩니다.

동사의 목적격은 별 문제가 없습니다. 자주 보던 것들이니까요.

(2) 전치사의 목적어

그렇지만 전치사의 목적어가 문제입니다. 이것은 의식하지 않고 쓰고 있지만 막상 ‘문법적으로 설명’하게 되면 어렵게 되는 것입니다.

전치사는 ‘명사 앞에 오는 말’입니다. 그리고 ‘전치사의 목적어’란 전치사 다음에 오는 명사를 가리키는 문법적인 용어입니다. 그러므로 전치사의 목적어라고 하면 ‘전치사 다음에 오는 명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③ I played with my friend.

④ My girl friend stared at me.

③에서 전치사의 목적어는 with 다음에 있는 'my friend'입니다. ④번에서 전치사의 목적어는 at 다음에 있는 ‘me'입니다. 인칭대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일 경우에는 타동사와 마찬가지로 ’목적격‘으로 써 주어야 합니다.

이제 목적격이 무엇인지는 이해하셨을 것입니다.

다음은 관계대명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2.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앞에 있는 말을 설명해주는(길게 이어주는) 것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1) 주격 관계대명사

① She is the girl who loves me.

    (그녀는 여자이다, 그런데 그녀는 나를 사랑한다)

② He lost the ring which was given by her.

    (그는 반지를 잃어버렸다/ 그런데 그 반지는 그녀에게서 받은 것이다)

 ①번에서 who 이하의 절은 앞에 있는 사람인 'the girl'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②번에서 which 이하는 앞에 있는 사물인 'the ring'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관계대명사는 앞에있는 명사(선행사)를 설명해 줍니다.

①번과 ②번에서 잠깐 밑줄 친 부분을 봅시다. (1)번에서 관계대명사 who는 ‘who loves me' 라는 문장에서 동사 ’love'의 주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①번과 ②번처럼 관계대명사가 문장 안에서 주어 역할을 하는 경우에, ‘주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2) 목적격 관계대명사

③ The people whom I met ( ) in Paris were very kind.

    (내가 파리에서 만난 사람들은 아주 친절했다)

④ I like the dress which Ann is wearing ( ).

    (나는 그 옷을 좋아한다/ Ann이 입고 있는)

③번의 밑줄 친 부분에서 met의 목적어는 무엇인가요. 앞에 whom 앞에 있는 선행사 people입니다. 밑줄 친 whom이하는 선행사 'the people'을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입니다. 그런데 'the people‘과 'whom'이 같으므로 'whom' 역시 동사 met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④번에서 동사 'wearing'의 목적어는 which 앞에 있는 선행사 ‘the dress'입니다. 마찬가지로 ’the dress'가 which와 같으므로 관계대명사 ‘which'는 동사 ’wearing'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③,④번과 같이 관계대명사가 문장 안에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을 때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예문을 조금 더 봅시다.

⑤ She is my daughter whom I take care of.

    (그녀는 내 딸이다/ 내가 돌보는)

⑥ He runs the restaurant which I used to drop by.

    (그는 식당을 운영한다/ 내가 들르곤 했던)

⑤번의 밑줄 친 부분에서 of 다음에 명사(목적어)가 없습니다. ‘my daughter'와 같으므로 생략했습니다. 이렇게 전치사 of 다음에 명사(목적어)가 없을 때 역시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하 합니다. 단, 타동사의 목적어가 아니라 전치사의 목적어입니다.

⑥번의 밑줄 친 which 다음에서도 전치사 by 다음에 목적어가 생략되었습니다. 역시 전치사의 목적어입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에서는 반드시 ‘목적어’가 생략되어야 합니다. 관계대명사가 목적어 역할을 하므로 목적어를 또 써주면 잘못된 문장이 됩니다.

⑦ She is my daughter whom I take care of my daughter. (x)

⑧ I like the dress which Ann is wearing the dress. (x)

⑦,⑧과 같이 목적어를 쓰면 잘못된 문장입니다. 그리고 목적격으로 사용된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목적격 관계대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난 번 "주격 관계대명사"에 이어 오늘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그 전에 혹시 "주격 관계대명사"편을 아직 안보신 분이라면 아래 클릭하셔서 후다닥 보고 오시기를 권장합니다 ^^

쉽게 배우는 관계대명사 주격- who/which/that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죠. 관계대명사....정말 정말 정말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초급에서는 조금 어렵다고 생각될수는 있겠지만 이 관계대명사를 사용할 수 있다면 다양한..

grateful-life.tistory.com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예문 - mogjeoggyeog gwangyedaemyeongsa whom yemun

오늘도 마찬가지로 이 관계대명사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관계대명사의 개념을 이해하고 기초를 닦는데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여러분께 이 포스팅을 공유합니다. 그럼 예문을 통해서 바로 본론으로 넘어가볼까요?

목적격 관계대명사

I love reading the book which he wrote last year

 지난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듯이 이 관계대명사라는게 무엇이고 어떤 기능을 하길래 우리가 공부를 하는지 이해하는게 중요한것 같아요...우리 학창시절에 시험문제로 내려고 이 관계대명사라른걸 만든건 아니잖겠어요? ^^; 

 지난번 포스팅에서 관계대명사는 두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연결해주면서 동시에 중복되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라는걸로 대신한다고 했어요('관계'-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대명사'-중복되는 명사를 대신해준다) 

바로  예문을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예문 - mogjeoggyeog gwangyedaemyeongsa whom yemun

우선 관계대명사를 쓰려면 두개의 문장에서 중복되는 (대)명사가 있으니 찾아야 합니다. 이 예문에서는 the book과 it이 중복되는군요.

서로 중복되는 명사중 관계대명사 앞에 위치하게 될 명사를 "선행사"라고 한다고 했죠? 그럼 여기서는 the book이 선행사가 되겠군요.


어떤 관계대명사를 쓸건지는 두가지 간단한 확인단계를 통해서 결정된다고 했죠?

  1. 선행사가 사람인가 사물인가?
  2. 관계대명사 이후 문장에서 빠진 문장의 성분은 무엇인가(주어/목적어/소유격)?  - 또는 선행사가 아닌 다른 중복되는 명사가 그 문장에서 주어/소유격/목적격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그럼 첫째), 선행사가 사람인가 사물인가?....

우리 예문에서는 선행사가 the book, 사물이네요.. 그럼 쓸 수 있는 관계 대명사는 아래 표기된 부분으로 좁혀지죠?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예문 - mogjeoggyeog gwangyedaemyeongsa whom yemun

둘째), 관계대명사 이후 문장에서 문장의 성분은 어떤게 빠져있나?  또는 선행사가 아닌 다른 중복되는 (대)명사 - "it"이 그 문장에서 주격인가, 목적격인가 아니면 소유격인가?  그럼 뒷 문장을 한번 볼까요?

He wrote it last year

여기에서 'it'은 위 관계대명사로 만들어진 예문에서처럼, 중복되는 (대)명사로 이건 접속사와 함께 관계대명사로 대체되겠죠? 그렇다면 이 문장은

관계대명사 he wrote last year

이렇게 될겁니다.  자~ 그럼 관계대명사 이후 문장에서 주어자리가 빠져있나요? 아니면 목적어 자리/소유격 자리가 빠져있나요?

하나씩 살펴보면 됩니다. 

He라는 주어는 있구요, write(wrote) - 을 쓰다라는 동사가 있는데 그 뒤에  "무엇을" 쓰는지가 빠져있죠? 즉 목적어가 없다는거죠.

그래서 선행사 사물이면서 목적격으로 쓰이는 관계대명사 which 나 that을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만들수 있답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예문 - mogjeoggyeog gwangyedaemyeongsa whom yemun
  • I love reading the book which he wrote last year
  • I love reading the book that he wrote last year

참고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해도 상관 없답니다. 그래서 위 두 예문은 다시 아래와 같이 관계대명사를 생략하고 표현할 수 있죠

I love reading the book he wrote last year

I love reading the book he wrote last year

주격관계대명사편에서도 언급했듯이 관계대명사절은 형용사절입니다...절이라고 하면 "주어 + 동사"로 이루어진것을 의미하고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해주는거니까 형용사절이라고 하면 "주어+동사~"가 명사, 즉 선행사를 수식해준답니다. 이 예문에서는 which he wrote last year가 관계대명사절로 형용사절, 그래서 앞에 있는 선행사(명사), the book을 꾸며주는거에요.  결국 해석이 뒤에서 앞으로 될수 밖에 없겠죠? 관계대명사절이 선행사 뒤에 위치하니깐요... 

 그래서 해석을 하면 책은 책인데 어떤책이냐면...그가 작년에 쓴 책!...이렇게 뒤에서 앞에 있는 "책-the book"을 꾸며주면서 해석하면 된답니다 - "난 그가 작년에 쓴 그 책 읽는걸 정말 좋아한다"

어때요? 관계 대명사 어렵지 않죠?ㅎㅎ 그럼 다른 예문을 통해서 관계 대명사를 더 익혀보죠

아래 예문은 설명을 보시기 전에 여러분이 직접 관계대명사를 이용해서 하나의 문장으로 만드는 연습을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This is the book + Everyone is talking about the book

자 그럼 단계별로 하나씩 하나씩 살펴보죠.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예문 - mogjeoggyeog gwangyedaemyeongsa whom yemun

 참고로 전치사(of/at/with/for....)들은 뒤에 목적어를 취한답니다.  그리고 그 목적어 자리엔 명사나 명사절이 올 수 있죠. 이 예문에서는 문장이 about으로 끝났기 때문에 이 전치사 about의 목적어가 문장에 없어서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쓴거죠. 이해 되시죠? 이해가 잘 안되시면 처음부터 다시 읽어보고 이해를 꼭 해야 합니다. 관계대명사는 정말 정말 자주 쓰이는 표현이니깐요~~

 해석은 관계대명사절(that everyone is talking about)이 앞에 있는 명사(선행사-the book)을 수식해주면 됩니다. 책은 책인데 어떤 책인가요? 모든 사람들이 지금 이야기 하고 있는 책!! 그래서 "이게 모든 사람들이 이야기 하고 있는 그 책이야" 이렇게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아래는 여러분께서 답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Test 1)

The game (        ) we loved the most was soccer.

  • 알맞는 관계대명사와 그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Test 2)

My new dog (       ) I bought last year loves green beans

  • 알맞는 관계대명사와 그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Test 3)

The dog (       ) stole the pie is back

  • 알맞는 관계대명사와 그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Test 4)

Do you know the girl (      ) is talking to Tom?

  • 알맞는 관계대명사와 그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오늘은 이렇게 목적격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 관계대명사는 여러분이 예문들을 찾아서 연습을 많이 해보셔야 해요. 우선 관계대명사로 바꿀 수 있는 연습이 많이 되어야 하구요 그렇게 됐을때 비로소 회화에서도 이 관계대명사라는것을 활용할 수 있을겁니다. 

 어떤 분들은 그냥 that 을 쓰면 맞을 확률이 높으니까 그거 쓰면 되지 뭐~ 이렇게 말씀하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시험문제에서야 그렇게 하면 맞출 확률이 높을 수 있겠죠. 하지만 문제는 회화에서의 활용이에요...이건 내가 알아서 써야 하는거예요. 즉, 이 관계대명사가 언제 필요한지를 내가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거죠..그리고 그걸 만들줄 알아야지 나중에 입으로도 표현할 수가 있다! 그래서 연습이 필요하다!! 오늘 제가 여러분께 드리고 싶은 이야기입니다 ^^

여러분! 잊지 마세요~ 여러분의 오늘의 노력은 나중에 분명 "차이"를 만들어낼 겁니다 ^^ 

그럼 화이팅 하시고 즐거운 하루 보내십시오.

다른 영어표현 배우기

쉽게 배우는 to부정사 - 명사적 용법(주어/보어 자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to부정사 명사적 용법 중 목적어 자리에 대해 살펴봤었는데요 오늘은 명사적 용법중 주어/보어 로 쓰이는 to부정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명사적 용법 - 목적어"편을..

grateful-life.tistory.com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예문 - mogjeoggyeog gwangyedaemyeongsa whom yemun

Screw up / Blow / Mess up / botch ~을 망치다, 엉망으로 만들다 영어표현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 나 오늘 면접 망쳤어!!" 라고 할때 처럼 "~ 을 망치다" 라는 영어표현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 오늘 팀 발표 내가 망쳤잖아" "오늘 데이트 완전 망쳤어" 등등 우리 일상생활에서 친구들..

grateful-life.tistory.com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예문 - mogjeoggyeog gwangyedaemyeongsa whom yemun

내용이 유익했다면 "공감" 부탁드리고 다른 영어표현도 많이 있으니 구독하셔서 자주 들러주세요 ^^.

그럼 오늘하루도 즐겁게~~ 보내세요!!

- 유리면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