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울 차이 - mo ul chai

안녕하세요 바다 버섯입니다. 본격적으로 니트와 카디건 등 포근하고 따듯한 옷들이 인기몰이를 할 시즌입니다. 하지만 이런 겨울옷들은 원단에 따라 감촉과 보온성이 크게 차이가 난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요즘 겨울옷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원단은 비스코스와 레이온, 캐시미어, 울인 것 같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자주 접하지만 구분하기 어려운 겨울 원단들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특히 캐시미어와 울은 좋은 겨울옷을 고르기 위해서 꼭 알아두어야 하니 집중해주세요

모 울 차이 - mo ul chai

울 = 모

울이라는 원단은 겨울옷에서 빼놓을수 없는 소재입니다. 울과 모의 차이점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사실 울과 모는 같은 원단입니다. 앞으로는 울이나 모를 사용한 옷은 같은 원단을 사용했구나 하시면 됩니다. 울은 양털을 깎아서 만든 천연원단입니다. 친환경적이라 필환경시대에 적합한 원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울은 원단 가공법에 따라 빳빳하거나 부드럽거나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털이 곱슬거려서 원단의 텐션과 회복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구김이 잘 가지 않습니다.

울, 램스울

램스울은 양털 중에서도 어린양의 털만 사용하는 부드러운 원단입니다. 작은 양의 털만 사용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털의 양 자체가 적어서 가격이 높습니다. 감촉이 아주 부드럽고 진드기의 오염에 강해서 아기옷에 많이 사용됩니다. 피부가 예민하고 감촉이 부드러운걸 선호하시는 분들은 램스울을 사용한 옷을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정전기가 잘 일어나지 않고 옷의 형태도 잘 보존됩니다.

모 울 차이 - mo ul chai

캐시미어 = 캐시미어 울

니트, , 목도리, 가디건 등에 빼놓을 수 없는 원단입니다. 캐시미어는 울 종류 중 하나로, 캐시미어라는 산양의 털을 사용한 원단입니다. 이 캐시미어산양의 털 중에서도 가장 부드러운 부분만 사용하는데, 캐시미어를 채취하는 과정이 아주 까다롭기 때문에 캐시미어의 가격이 높아집니다. 캐시미어는 보통 울보다 8배 높은 보온성을 자랑하며 부드러운 감촉은 단연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캐시미어는 구김이 잘 안가고 원단 자체가 튼튼해서 관리를 잘해주시면 오랫동안 입을 수 있습니다.

*** 집에서도 쉽게하는 니트 세탁법 바로보기 ***

비스코스 레이온 (비스코스 = 레이온)

아마 여성복의 원단을 살펴본 분들은 비스코스와 레이온이라는 소재를 자주 보았을겁니다. 사실 비스코스와 레이온은 같은 말이며, 정식 명칭은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ton)입니다. 이름이 길어서 비스코스 or 레이온으로 표시할 뿐입니다. 비스코스나 레이온을 사용한 옷은 광택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광택이 있는 경우에는 첫 세탁을 드라이클리닝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후에는 중성세제로 손빨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비스코스는 정전기가 적으며 열에 강한 편입니다.

모 울 차이 - mo ul chai

리오셀 = 텐셀 / 모달

리오셀과 모달이라는 원단은 티셔츠에서 많이 보셨을 것 같습니다. 그중에서도 텐셀이라는 명칭은 한 패션 브랜드 회사에서 만들어낸 명칭으로 리오셀과 같은 소재입니다. 리오셀과 모달의 가장 큰 장점은 물빨래가 가능하다는 것이며, 세탁 후 물기를 털어서 옷걸이에 걸거나 건조대에 펴서 말리면 빨리 마릅니다. 특히 리오셀이나 모달을 사용한 바지는 세탁 후 바지걸이에 걸어서 말려주세요. 또한 천연에서 얻은 재생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원단입니다.

겨울.. 가장 뜨거운 화두는

뭐니뭐니해도 "어떤 소재의 따뜻한 옷을 입느냐..." 일지도 모릅니다.

시중에 있는 울과 모는 뭐가 다른건지, 구스다운과 덕다운의 차이는 과연 있는것인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 울(wool)과 모(毛)는 어떻게 다른가요?

울과 모는 모두 동물의 털로 만든 섬유를 이르는 영어식 표현과 한자식 표현으로 .. 결론은 같은 것입니다.

이는 양이나 낙타 등 동물의 털로 만든 모직인데

곱슬 모양인 양모는 신축성이 좋고, 부드러우며, 보온성이 강하고, 습기에 강합니다. 때문에 겨울 의류소재에 적합합니다.

울에는 메리노 등의 양털은 물론 앙고라(모헤어), 캐시미어 등의 산양류, 낙타,알파카,라마 등의 낙타류도 포함됩니다.

<2> 구스다운과 덕다운은 어떻게 다른가요?

말 그대로 덕(duck-오리)와 구스(Goose-거위) 의 차이입니다.

같은 양의 털을 사용했을 시 구스다운이 덕다운에 비해 훨씬 보온력이 뛰어나고, 털뭉침 현상이 덜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다운(down)은 새의 가슴털을 이르는 말 입니다.

모 울 차이 - mo ul chai

<3> 모직 vs 다운, 어떤게 더 따뜻한가요?

옷의 함기량(공기의 양)이 많고 섬유조직이 촘촘할수록 따뜻합니다.

함기량이 높을수록 열을 유지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촘촘한 조직은 열이 바람에 뺏기는것을 막아줍니다.

같은 무게라면 다운제품이 모직보다 보온성이 높습니다.

<4> 모직코트의 최적 혼용율은 어떤가요?

원단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모 80% 이상 혼용을 이상적인 비율로 꼽습니다.

천연섬유는 합성섬유에 비해 보온성이 좋고 부드럽지만, 합성섬유에 비해 관리가 까다롭고 색상 및 디자인이 단조로운 편입니다.

합성섬유 중 아크릴은 양모 대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레이온, 폴리에스터,폴리에스테르,나일론 등도 혼용률이 높습니다.

<5> 다운 함량은 얼만큼 높아야 하는거죠?

의류제품은 '솜털(down)'이 75% 이상 사용되어야만 '다운'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운 제품류의 솜털 외에 깃털 등 다른 부위털을 섞어 넣는데, 함기량이 많은 솜털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보온력이 높아집니다.

고급제품의 경우 90% 전후의 다운 솜털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솜털만 사용할 경우에는 털 뭉침이 심해 솜털 100% 제품은 없다고 합니다.

<6> 왜 다운제품은 거위와 오리만 사용하나요?

다운제품의 보온성은 솜털 사이의 공기층에서 나오는데

오리, 거위 등 물에서 사는 조류의 털은 공기 층을 유지하기위한 방수성이 탁월해 보온성이 높습니다.

닭,비둘기 등 육지 조류의 털도 보온효과가 있지만, 습기에 약한 탓에 공기 층 유지가 어려워 보온성이 떨어집니다.

<7> 구스다운 원산지에 따라 보온력이 다르나요?

구스다운은 추운 곳에서 1년 이상 키운 거위일수록 고급입니다.

추운곳에서 자란 거위 솜털이 더 따뜻하고 가볍기 때문입니다.

시중에 소개된 구스다운 원산지로는 헝가리,폴란드,캐나다,시베리아 등이 있습니다.

<8> 필 파워가 뭔가요?

필파워(Fill power)는 우모 제품의 복원력을 뜻하는 말로 다운제품의 경우 다운 1온스(28.35g)를 24시간 압축한 후 풀었을때의 복원력을 말합니다.

필 파워 수치가 높을 수록 공기가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같은 양의 털이라면 필 파워가 높을수록 보온력도 높아집니다.

보통 필 파워가 600이상이면 좋은제품이며, 850이상이면 최고급 제품으로 꼽습니다.

<9> 겨울 외투 소재별 세탁법은 어떻게 다른가요?

아크릴,폴리에스터,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나 면 등은 물세탁하면됩니다.

울은 전용세제로 물세탁이 가능하지만

캐시미어 등 종류에 따라서 취급방법이 까다로울 수 있으니 세탁 전문점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크,레이온은 반드시 드라이클리닝 해야하고, 가죽과 모피도 전문 세탁을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