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24인치 27인치 - koding 24inchi 27inchi

코딩 24인치 27인치 - koding 24inchi 27inchi

필립스 243S 24인치 FHD인데 17만9천원가 주고 샀습니다.

기존에 델 U2715H 두대로 놓고 쓰다가 피벗용으로는 너무 크고 27인치 QHD 픽셀 피치가 이제 노안이 왔는지 눈이 시려서 

24 FHD로 바꿨어요.

윈도우는 맥이랑 달리 HiDPI? 레티나 같이 완벽하게 안되서 걍 24 FHD 32 QHD가 편한거 같아요.

주 모니터도 좀이따 배송올 32GK650F로 바꿀 예정입니다. 

일을 위한 거 하나 샀으니 게임을 위한 것도 하나 사서 밸런스를 맞춰야하지않겠어요 ㅋㅋ

불량화소 없고 빛샘도 거의 없고 광고하던데로 눈이 편하긴 한데 

아무래도 U2715H 옆에 놔두고 보니까 DPI 차이로 좀 색감이 아쉽기는 하네요 뭔가 쨍하고 선명한 느낌이 덜하긴 한데 

가독성이 훨씬 좋아서 매우 만족합니다. 이건 뭐 해상도 차이고.

로우 블루 모드가 다른 블루라이트 모드보다 색을 좀 더 살리면서 

부드럽게 만들어줘서 코딩 개발등 오피스 작업용으로 최적화돼있어요. 

대신 색감이 정확해야하거나 디자이너 직군은 별로 좋아하진 않는거 같네요. 

같이 일하는 디자이너가 매우 시큰둥합니다.. 생긴 것도 평범하다하고

아이맥 5K 보다가 이거 보니까 눈 썩는다고 하고 갔어요 시무룩.

유일한 단점으로는 피벗이 델처럼 양방향 다 되는게 아니라 사진에 보이는 방향으로만 되는거 같아요. 

더 힘주면 부러질거 같은데 설명은 없고 해서 걍 뒀습니다

암튼 피벗 되는 스탠드에 FHD 24인치 작업용으로 쓰기에 아주 좋은거 같습니다. 가성비가 참 좋네요. 

-------

좀 더 만져보니까 기본모드 자체에서 눈이 편하고 

로우블루모드는 더더욱 편해지네요. 

작업용으로 정말 괜찮은 거 같아요 


24인치와 27인치, 32인치 체감 크기 비교는 컴퓨터 화면만 보고는 어려우니 정확히 비교해보세요!

용도별로 체감하는 게 다르기 때문인데요. 최대한 많은 분들의 얘기를 들어보고 체감 크기 비교를 아래에 적어봤으니 나랑 맞는 용도의 모니터 인치를 알아보세요.

그리고 마지막에 모니터 체감 크기를 알 수 있는 좀 번거롭지만 가장 정확한 방법도 적어 놨으니 끝까지 꼼꼼하게 읽어보세요.

게임 용도

  • FPS 아닌 온라인 게임은 27인치 괜찮다.

FPS 게임 용도

  • 한눈에 들어오는 24인치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27인치보다 24인치를 선호하는 분들이 더 많았습니다. 적과 정보창이 한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편하다는 의견이었습니다.
  • 작업 없이 주용도가 fps라면 24인치가 좋다고 판단됩니다.
  • 주용도: 배그 추천
  • 작업도 함께 한다면 27인치와 24인치를 직접 보고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두 느끼는 바가 다르니까요.

그림 그리는 분

  • 24인치를 사용하는 분들이 좀 더 많은 듯 합니다.
  • 27인치는 멀리서 보면서 그리기에는 너무 커서 불편하게 느끼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 27인치는 미세한 작업이 너무 힘들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 확대와 축소를 너무 많이 해야 해서 작업이 불편했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코딩하는 분

  • 듀얼 모니터 또는 3개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게 좋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세로로 피벗해서 쓰시려는 분

  • 24인치 FHD는 화면이 조금 작아서 가로 스크롤이 생기는 데 여간 불편한 게 아닙니다. 27인치 QHD나 24인치 QHD를 추천드립니다.

작업 환경

  • 27인치 + 27인치를 가로로 연결한 경우 목이 너무 아프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요약 정리

24인치

  • FPS 빡겜용
  • 사무용
  • 인강용
  • 듀얼용

27인치

  • 문서작업
  • 인강용
  • 가장 대중적인 사이즈
  • 편안한 작업
  • 예민하면 FHD보다 QHD
  • 24인치 너무 작아 보이는 분은 27인치!

32인치

  • 몰입감 높은 영상 감상
  • 영상 편집
  • 이미지 작업
  • 책상 사이즈 큰 분

32인치 구매 전 주의 사항

  • 책상 가로, 세로 길이를 꼭 측정 후에 32인치를 고려해주세요.

위의 방법으로도 나랑 맞는 모니터 크기 판단이 되지 않는다면 피씨방에 가서 내가 주로 하는 용도의 작업과 게임 등을 해보시고 판단하는 걸 가장 추천드립니다.

특히 27인치가 생각보다 크게 느껴지는지 적당한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 같습니다.

27인치가 부담되면 32인치는 당연히 선택 사항이 아니고, 24인치를 선택하는 게 좋고요.

27인치가 적당하게 느껴지거나 아니면 27인치도 부족하게 느껴지면 32인치를 고려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발자에게 맞는 모니터란 무엇인가 ?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며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개발자에게 모니터가 클수록 좋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다 알고 있을 것입니다. (개발자 아니어도 ㅎ)

그런데 정말 무조건 크고, 무조건 비싸고, 무조건 해상도가 높다고 좋은 것인지에 대해서 좀 생각 해볼문제가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개발자에게 좋은 모니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크기 ( 24~ 27인치 )

저도 처음에는 모니터가 무조건 크면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개발자들은 대부분 듀얼모니터를 혹은 트리플 모니터를 쓰는 것입니다. 그리고 장시간 모니터를 봐야하는 직업이라 피로도가 많이 누적되기 싶습니다.

그래서 아이러니 하게 너무 작아도 너무 커도 안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람마다 틀리지만 모니터를 나란히 2대 혹은 3대를 놓았을 때 눈동자만으로 커버한 범위가 틀립니다. 어쩔수 없이 화면의 끝과 끝을 보기 위해서 목을 돌려야하는 상황이 많이 벌어지면 처음에는 괜찮지만 누적되면 꾀 큰 피로도가 쌓입니다. 

 저는 24인치 2대를 나란히 놓았을 때 목을 돌리지 않고 2화면을 다 쳐다볼수 있어서 24인치 2대 + 그리고 밑에 노트북을 두어서 역삼각형 모양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한번 모니터를 나란히 두어서 눈동자만으로 커버가능한 인치수와 배치를 두어 자신의 모니터를 구매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회사에서 이러고 있으면 목을 회전하지 않아서 노는 것처럼 보일수 있으니 문서(커밋, PR)를 많이 남겨 증거를 삼자 !? )

기능 (옵션)

 사실 모니터에 기능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LCD냐 LED냐 혹은 패널이 뭐냐 이런것을 많이 따지시는데요, 네 따지셔야 합니다. 그런데 그런건 당연한 것이고요, 제가 말하고 싶은 기능은 피벗, 높낮이 조절, 스위블, 틸트 or 베사입니다. 

 피벗은 모니터의 회전을, 높낮이 조절은 모니터의 머리(?)가 위아래로 움직이는지 여부, 스위블은 좌우(?) 회전, 틸트는 앞뒤로 기울임이며, 이런 기능이 없다고 해도 VESA가 있다면 모니터 암등을 이용해서 위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를 선택하는 기준 1번(크기) 처럼 위의 기능도 피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니 자신에 맞는 기능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상도 및 가격

 일반적으로 게임용 모니터는 해상도 좋고, 비싸면 당연히 좋습니다. 그런데 코딩용은 너무 해상도 높으면 눈이 아픕니다 (흔히 눈깔 빠진다고 하는데.. ) 자신에게 맞는 해상도와 너무 높지 않은 가격에 모니터를 권장드리고 싶습니다. 여유가 되면 당연히 고가의 모니터를 쓰시면 좋지만, 왠만하면 노트북의 램을 더 올리시는게 정신건강에 더 좋습니다 ㅎ (정리 : 걍 다다익램)

(제 개인견해) 추천하는 모니터는 P2419HC 시리즈입니다. (개인 견해에 따라서 같은 라인업에 27인치도 괜찮습니다)

P2419HC 모니터 "쿠팡에서 구매" 하기

- > 추천 이유는 하단 이미지 밑에..

코딩 24인치 27인치 - koding 24inchi 27inchi
P2419HC 모니터

추천 이유 

  1. 가격이 저렴
  2. VESA 및 기능(옵션)을 다 가지고 있음.
  3. 맥 유저 혹은 최신 윈도우북은 USB-C 케이블 하나로 충전 및 화면 전송을  할수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
  4. 화면 해상도가 적당함. (부족하면 같은 라인업에 다른 해상도를 택하는 것 추천 비교적 저렴)

ps..

만일 4k 를 쓰려면 32인치 추천합니다.

4k를 너무 작은 모니터를 쓰면 글자가 너무 작아서 보기가 힘듦니다.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