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금융_서류_정보모음/은행 금융 정보 모음

KB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방법 - 공모주 청약 방법

민곰이서방 2021. 8. 9. 22:09

KB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현대에 들어서 예전처럼 은행 이자만으로 돈을 버는 시대는 지나갔는데요. 많은 분들이 투자를 하기 위해 주식 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하여 이제는 돈을 통장에 모으기만 하는 사람은 바보취급 당하기 일상입니다. 주식을 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첫번째 준비물은 바로 주식 거래를 위한 증권사 CMA 통장 (계좌) 인데요. 이번에는 증권사 중 하나인 KB 투자 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 증권 용어 해설>
CMA통장이란? CMA계좌 알아보기 & 활용방법 ◀ 바로가기

 KB 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케이비 투자 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KB증권 계좌(통장)을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개설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카카오뱅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KB증권 전용 어플인 M-able (마블)을 이용하여 개좌를 개설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케이비투자증권 모바일 휴대전화로 비대면 계좌개설 방법으로는 M-able (마블) 어플을 모바일에서 다운로드 해주셔야 합니다.

아이폰 사용자의 경우 애플스토어(AppStore)를 이용하여 검색, 안드로이드는 구글플레이스토어(googleplaystore)를 이용하여 스토어 검색창에 "kb증권" 또는 "kb증권 M-able" 검색을 하여 KB증권 M-able (마블)-대표MTS (비대면계좌개설 포함)을 다운로드 하여주세요.

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KB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방법

KB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모바일 어플을 실행하면, 만약 첫 사용자의 경우 바로 계좌만들기 화면이 나타나며 기존에 설치하신 분들이라면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하여 계좌개설을 해주시면 됩니다. [메뉴-고객서비스-계좌개설-비대면계좌개설-KB증권 계좌만들기] 

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KB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KB증권 M-able 마블 금융 주식 계좌 개설을 하기 위해서는 세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본인명의의 휴대전화, 신분증 그리고 조회가능한 금융 계좌 3가지가 필요합니다.

  1. 본인명의 휴대전화
  2. 신분증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3. 조회 가능한 금융계좌

계좌 개설 시작하기를 눌러주신 다음, "주식거래+CMA" 계좌를 선택하시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CMA계좌는 주식 거래를 하기위해 필요한 거래통장 이랍니다. 그리고 다음 계좌선택에서 CMA계좌 를 선택하시고 다음을 눌러주십시오

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KB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KB증권 M-able 마블 비대면 계좌개설 2단계는 인증절차 입니다. 미리 준비한 휴대폰을 통한 인증과 신분증을 통한 인증 절차를 먼저 진행합니다. 인증 완료후 다음 3단계는 개설 정보 입력 및 약관 정보에 동의 하는 것인데요. 순차적으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KB증권 금융 주식계좌 개설이 완료되면 카카오톡으로 안내문자가 수신됩니다.

 KB투자증권 카카오뱅크 공모주 청약 방법

KB증권 20일 제한 없이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케이비증권 계좌를 만드는 방법은 카카오뱅크를 이용해서 발급받는 방법도 있는데요.카카오뱅크를 이용하여 KB증권 계좌를 만드시면 20일제한 없이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참고 : 20일제한 없이 발급하는 방법>
카카오뱅크를 이용하여 20일 제한없이 발급하기 ◀ 바로가기

 주식 수수료 비교와 거래 시작하는 방법

KB증권 국내 주식거래 방법, KB증권 비대면 계좌개설까지 완료되었다면 이제 국내 또는 해외주식거래가 가능합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하여 주식 거래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참고 : 주식 가이드>
KB증권 국내주식 거래 방법 ◀ 바로가기

주식 수수료와 세금,주식거래통장을 만든 다음 주식거래를 시작하기 이전에 주식시장 거래에서 발생되는 수수료와 세금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성이 있는데요. 증권사별로 수수료를 비교해보고 좀 더 낮은 수수료를 이용하여 주식거래에 이용하여 수익을 보는 주테크 방법도 있습니다.

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1

주식계좌 종류

(종합매매계좌, CMA계좌, 중개형ISA계좌, 연금저축계좌, IRP계좌)

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NH투자증권어플, 주식계좌 개설 화면

처음 주식투자를 결심한 주린이가

가장먼저 증권사 어플을 설치하고

처음으로 마주치는 관문입니다.

그냥 삼성전자 주식 하나 사보려고했는데

계좌종류가 너무 많아서 당황할 수 있습니다.

이제 처음 주식을 시작하는 분들

그리고, 주식거래는 하고있지만

아직까지 계좌활용법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

주식계좌 종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종합매매계좌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주식계좌 입니다.

저도 처음 주식을 시작했던 대학생때

개설했던 계좌입니다.

특별한 목적이 있지않고,

개별주 매매차익을 얻고자할때 개설하시면 됩니다.

공모주 투자, 일반주식,ETF 모두 거래 가능합니다.

다만, 배당투자, ETF, 파생상품등은 다른 계좌에서

거래하시길 추천드립니다.

CMA통장

(Cash Management Account, 종합자산관리계좌)

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CMA통장 장점

파킹통장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통장입니다.

(엄밀히 구분하자면 약간 차이는 있습니다.)

은행에서의 수시입출금용 통장역할을 하고있으며,

주식거래는 불가능합니다.

다만 아래 몇가지 장점으로,

현금보유를 하고있을때 매매계좌에 넣어두기 보다는

CMA통장에 넣어두는게 좋습니다.

은행보다 높은 이자

은행에서 발행하는 일반통장대비 높은

이자율을 제공합니다.

매일 이자 지급

이자를 365일로 나누어 매일 지급하기 때문에,

언제든 주식거래에 투입할 수 있는 현금을

(단기 현금 보유)

보유하기에 적합한 통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즐겨사용하고있는 형태의 계좌입니다.

다만, CMA의 종류가 다양하고

상품에 따라 원금손실의 위험성도 분명 존재하지만

(위험성 매우 낮음)

다음 기회에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m.blog.naver.com/proverb9020/222317142199

중개형 ISA계좌

(Individual Saving Account,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세제혜택 계좌)

https://blog.naver.com/proverb9020/222303482258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적 있는 중개형 ISA계좌입니다.

15.4% 배당소득과세에 대한 혜택이 있기때문에

배당투자, 국내상장 해외ETF투자 등에 적합한 통장입니다.

장기거래용 계좌로 하나 개설해 두시길 적극 권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포스팅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계좌 & IRP(개인퇴직연금)

(=연말정산 계좌)

연말정산을 위해 꼭 필요한 계좌중 하나입니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입금액에 따라 연말정산시 공제가 됩니다.

은행에서 가입시 펀드선택만 가능하지만,

증권사에서 가입시 ETF거래도 가능합니다.

ISA계좌와 동일하게

배당소득세 혜택이 있기때문에

국내 주식형ETF보다는,

국내상장 해외 ETF투자 추천드립니다.

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연금저축계좌, IRP계좌 공제한도

Kb증권 계좌개설 cma isa - kbjeung-gwon gyejwagaeseol cma isa

연금저축계좌, IRP계좌 차이 요약

IRP계좌의 경우 연금저축과 비교하여

공제한도가 크지만 (700만원)

(두상품 합쳐 최대 700만원 가능)

중도인출이 불가능하고,

비교적 투자상품의 다양성이 낮기 때문

연금저축 400만원, IRP 300만원 등

전략적인 비율설정 추천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proverb9020/222312748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