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마가편 한자 뜻 - jumagapyeon hanja tteus

‘주마가편(走馬加鞭)’은 달리는 말에 채찍을 가한다는 뜻이다.

이 말은 달리고 있는 말에 채찍을 가하여 더욱 달리는데 매진할 것을 부추긴다는 뜻으로 매우 일을 서두른다는 뜻이다.

때로는 일이 몹시 급하다면 채찍을 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항상 채찍을 가한다면 말은 자신이 열심히 뛰거나 열심히 뛰지 않거나 얻어맞기는 매일반이라는 생각을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그 중 멍청한 말은 죽도록 얻어맞으면서 열심히 뛰다가 죽을 것이요. 좀 똑똑한 말은 맞아도 뛰지 않고 슬슬 걷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수(騎手)의 역할은 중요하다. 말이 열심히 달릴 수 있게 해주어야 하며 때로는 이러한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게끔 매질도 가해야 한다.

사랑이나 매 둘 중 하나로만 일관된 기수는 경주에 결코 승리하지 못할 것이다.

어떤 집단이라도 열심히 일하는 자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달리는 말과 노는 말은 항상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기수를 잘못만나면 일을 독려하는 매는 균등히 혹은 오히려 달리는 말에게 더욱 강하게 주어진다.

어떤 조직에서 신속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직원은 자주 윗사람에게 불려나가 일감을 받게 된다. 그러다 보면 일을 빨리 처리하는 직원에게는 더 많은 일감이 따라 다닌다.

우리나라 조직의 특성상 그리고 만연된 평등주의의 특성상 이런 직원에게 특별대우를 해주기가 어렵다.

통상적으로는 승진을 빨리 시켜준다거나 해외출장의 특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따지고 보면 이런 당근은 조직생활 30년을 바쁘게 살아가는 것에 대한 대가로 보기에는 너무 적을 수도 있다.

결국 조직의 문화와 상벌의 제도가 바뀌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직원은 편안한 삶(!)을 택할 수밖에 없다.

또 대부분의 조직은 ‘선점의 원칙’이 적용된다. 먼저 입사하여 자리를 점유한 사람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설령 어떤 공정한 사람이 제도개선의 안을 낸다고 하더라도 선임자에 대한 압박이나 후임자에 대한 혜택은 각종 위원회에서 잘려나가며 선임자에 대한 혜택과 후임자에 대한 압박만이 남게 된다.

이러한 것이 ‘개선’을 의도했으나 ‘개악’으로 끝나고 마는 행정의 사례이다.

물론 너무도 다양한 그럴듯한 논리가 있다.

연장자 우대의 원칙도 있고 사회보장의 차원에서 능력없는 자를 직장에 붙여주는 논리도 있다.

조직이 사회보장도 담당해야 하는지 모르겠지만. 무능하고 게으른 것들이 모여서 열심히 사는 직원의 흠만 잡으려 하면 열심히 사는 직원은 당할 수밖에 없다.

한쪽은 싸우는데 전념하고 한쪽은 일하는데 전념하는데 어떻게 당하겠는가?

결국 조직이 이를 보호해줄 수 없다면 결국 공멸의 시나리오로 갈 수 밖에 없다. 논리가 부족하면 마지막으로 ‘사가지 없음죄’를 뒤집어씌울 수도 있다. 사실 뛰느라고 바쁜 말들은 사가지 없을 틈도 없는데도 말이다.

우리 조직은 이상한 특성이 있다.

높은 자리에 앉은 사람이 그리고 많은 월급을 받아가는 사람이 더 편안하고 낮은 자리에 앉아서 월급 적게 받는 사람이 더 수고롭다. 정규직원보다 임시직원이 일을 많이 하고 조직의 위계보다 나이가 더 중요한 계급장이고 채찍은 항상 책임이 적은 사람에게 떨어진다.

오늘 내가 진심으로 걱정하는 것은 어떤 조직에서 뛰는 말들이 뛰다가 지쳐 죽는 것을 걱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매를 가해도 걷게 되거나 매에 맞아 죽는 것을 걱정한다.<정범진 제주대 교수·에너지공학과>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저작권자 © 제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마가편 한자 뜻 - jumagapyeon hanja tteus

제주일보
주마가편 한자 뜻 - jumagapyeon hanja tteus
[email protected]

다른기사 보기

댓글 0댓글입력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0 / 4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확인

×

최신순 추천순


오늘의 오피니언

  • 누군가는 반갑지만은 않은 크리스마스

    누군가는 반갑지만은 않은 크리스마스

    제주일보

  • 추락하는 교권

    추락하는 교권

    김문기 기자

  • 마을의 총유 자산

    마을의 총유 자산

    제주일보

  • 가짜뉴스 식별법

    가짜뉴스 식별법

    고경업 기자

  • 시간의 변주를 소망하며

    시간의 변주를 소망하며

    제주일보

  • 돌아온 엄마

    돌아온 엄마

    제주일보

走馬加鞭 은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입니다. 이 말은 한자어로보다 풀어쓴 우리말로 더 많이 씁니다. 원래 우리말 속담이거든요. 홍만종이 지은 순오지旬五志라는 책에 이렇게 풀이하고 있습니다. 『주마가편走馬加鞭은 그 기세를 따라서 그것에 힘을 더하는 것을 말한다(언言인기세이因其勢而가지력加之力).』 어떻게 되어가고 있으면 그 되어가는 모양세에 붙어서 그것이 더욱 그러하도록 힘을 더한다는 뜻입니다. 즉,「물 들어올 때 노 저어라」와 비슷한 의미입니다. (박명수?) 그런데 이 말은 ①「기세가 한창 좋을 때 더 힘을 더한다」를 넘어 ②「힘껏 하는데도 자꾸 더 하라고 한다」로도 씁니다.

이 글타래에선 한자말의 뜻과 지금 사용되는 방식 그리고 원래는 어떠했는가를 알아보고 제가 생각하는 그 이야기에 대한 느낌을 적습니다. 활용으로 그 한자말의 소리를 따서 다른 말을 만들어보고요. 이렇게 비슷한 소리와 다른 뜻을 가지는 말장난을 pun이라 합니다. Pun과 비슷한 소리를 가지는 fun은 재미있다는 뜻이 있고요. 그 대상이 한자말이니까 'FunPun한자'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것을 또 소리로 읽어보면 '펀펀한자'가 되어 '뻔뻔한자'와 비슷합니다. 조금 뻔뻔할지 모르지만 재미있게 놀아보자는 뜻입니다. 그런데, 주마가편走馬加鞭같은 말은 그 '원래는 어떠했는가'에 해당하는 연관된 옛이야기(고사故事)가 없습니다. 연관된 옛이야기가 말을 이루는 것(고사성어故事成語)인데 이 이야기가 없으니 무엇으로 글을 채워야할지 모르겠네요. 조금 더 뻔뻔해지기로 했습니다. (참, 사자성어四字成語는 엄밀히 말해 옳은 말이 아닙니다. 고사성어가 맞고 이 고사성어 중 네 글자로 된 것이 있을 뿐입니다. 더 적거나 많은 글자수의 고사성어도 있습니다.)

어제 『좋은 어부는 가지지 않는다』는 글을 썼습니다. 사실 이 글은 pun입니다. 이 글의 주인공은 두 사람입니다. 한 사람은 좋은 말을 욕심내는 사람이고 다른 사람은 그 사람을 말리는 사람입니다. 좋은 말을 욕심내는 사람이 말을 열심히 훈련시키고 달리는 말에 채찍질(주마가편走馬加鞭) 합니다. 말리는 사람이 보니 저러다가 말이 죽을것 같습니다. 이렇게 말합니다. 시벌노마是伐駑馬(둔한 말을 죽이는 일이다). 말을 욕심내는 사람이 이것은 말을 기르면서 좋은 말을 만들기 위한 일이니 지켜보라고 합니다. 남이사覽以飼(사육하는 것으로 봐주세요). 그러면서 집에 있는 말에 만족하는 것(족가지마足家之馬)은 좋지 않다고 하고요. 그 뒤, 말리던 사람이 웃으며 말했다고 했지만 사실은 비웃은 것입니다. 어주구리魚走九里(물고기는 구리를 달린다). 말에 욕심내던 사람은 아마 삐진 것 같습니다. 섬에 틀어박혀 낚시만 합니다. 말리던 사람이 이렇게 말합니다. 선어부비취야善漁夫非取也(좋은 어부는 가지지 않는다).

자, 자... 이걸로 연관된 이야기(고사故事)가 생겼으니 이야기가 말을 만든다고(고사성어故事成語) 시벌노마, 남이사, 족가지마, 어주구리, 선어부비취가 고사성어라 하면 안됩니다 :-P. 이 글은 원래 윤인석 님의 『(문장 연습 오늘의 단어) 사자성어, 손톱깎이, 진지한, 가벼운, 전력』에 붙였던 제 답안을 발전시킨 것입니다. 비슷한 것으로 샤플리얄 님의 『오!답 사자성어』에서 나온 『샤플리얄님, 원하시던 「아사가오리」입니다 :)』가 있고요. 이것 말고도 다른 이의 글을 읽다가 생각이 떠올라 쓰게되는 글들이 있습니다. 방울성게 님도 『(닉언죄) 윤인석 님의'문장 연습 오늘의 단어'를 보고』라는 글을 통해 댓글을 발전시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어떤 기세를 타서 더욱 힘을 주는 것을 주마가편走馬加鞭이라 하고요. (휴~ 드디어 이어붙였다.) 글을 쓰게되는 계기는 어디서 오게 될지 모릅니다. 작은 것을 모아두면 나중에 그것을 키울 수도 있습니다. 자, 자... 이 말은 다른 사람 글에 댓글도 많이 달고 이곳에 글도 많이 쓰자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