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던 필 겟 아웃 - jodeon pil ges aus

조던 필 겟 아웃 - jodeon pil ges aus
��ȭ 'ĵ���' ��ƿ ����. ���Ϲ��� ���Ľ� ����


��ȭ ���پƿ��� ������� �����迡 ���ο� ���� �帣�� ������ ���� �� �������� Ư���� ���� �ִ� ���ϴ�. ���� ��ȭ�� �Ѳ� ���Եƴٰ��� ��ȭ���� ������ ���� �ٽ� ���ð� �DZ� �����̴�.

���� ���� ����� �ϻ����� �������� �ʴ��ϰ� ������ �̸� ���ʶ߸��� ������� ������������ �� ��ȸ�� �޽����� �����Ѵ�. �״� ������ ������ ���� ���� ��ĵ��ǡ����� 1992�� ��ȭ ��ĵ��ǡ��� ���� ��ī���� �� ���� ������ �ٽ� �ҷ��Դ�.

조던 필 겟 아웃 - jodeon pil ges aus
��ȭ 'ĵ���' ��ƿ ����. ���Ϲ��� ���Ľ� ����


���� ��ȭ �� ��ī���� �������� ���� ��ī�긮�� �׸������� ��� ���ε��� �߽����� �����ִ� ���� ������ ������ ����. �ſ��� ���� ��ĵ��ǡ��� �ټ� �� �θ��� �߸� �����տ� �������� �� �ű��� ������ ��Ÿ�� ĵ����� �θ� ����� �¸��� ���� ���δٴ� ���̴�. �̴� ���ε��� �ϻ����� ������ ���¿� ����� ���ε��� ������ ���� �����̴�.

���� ȭ���� ���ΰ� �ȼҴ�(������ �е� ��ƾ 2��)�� �̻� �� ī�긮�� �׸� ������ ĵ��� ���㿡 �ŷ�ǰ� ���ο� ��ǰ�� �������� ��´�. ���� ���ΰ� �ﷻ(�����Ͼ� �ŵ彼)�� �� �������� ��ĵ��ǡ��� ��ü�� ������ ���� �����븦 ã�� �����鼭 ��ĵ��ǡ��� �����ϰ� �Ǵ� �̾߱��.

1992�� ���۰� ���� ���� ���� ��ĵ��ǡ��� ��ǰ� �㱸�� �ڼ����ִ�. �׵��� ���� �ι����� �㱸���� �� ��� ������ ����� ������� �Ѵ�. 1992�� ������ ������� ��� �������� �������� ī�긮�� �׸��� �������� ���ٴ� ������ 2011�� �簳���� �ǰ� ������ ������ ������. �ȼҴϴ� ���⼭ ���� �������� ������ ������ ã�� �����鼭 ��ĵ��ǡ��� ���� �ҷ��´�.

조던 필 겟 아웃 - jodeon pil ges aus
��ȭ 'ĵ���' ��ƿ ����. ���Ϲ��� ���Ľ� ����


��ĵ��ǡ��� ������ ���� ��ȸ�� ������ ������ �г뿡 ���� ������. ĵ����� ������ 1890�� �ٴϿ� �κ�Ÿ���̶�� �� �ι��� ������ ���� ������ �����Ѵ�. �뿹�� �ڽ��̾��� �ٴϿ��� ������������ �뿹�� �ع�� �� ���� ������ �ް� ������� �ʻ�ȭ�� �׸��鼭 ��ư���. �׷��� �� ���� ������ ���̿��� �������� ���� ij�Ѷ����� �ʻ�ȭ�� �׸��� ���ٰ� ����� ������. ij�Ѷ����� �ӽ��� ���� �ƹ��� ���̿���� �ٴϿ��� �������� �ڸ��� �¸��� ���� �߶� ���� � �װ� �ߴٴ� ���̴�. �̿� ������ ���ε��� �ٴϿ��� ĵ����̶�� �θ��鼭 � ���� �ſ��� ������ ä �װ� ������ �״�.

��ȭ�� 1890�⿡ �������� ������ ���� ������ ������ �׶� ���� ���� �ƴ϶�� ���Ӿ��� ���Ѵ�. 1992�� ī�긮�� �׸� �������� ���� �Ű��� �ް� �� ���� �����鿡 ���� ���� �°� ���� ������ ������ �ҷ��´�. �б����� ���� �������� ���ϴ� ���� ���л��� �ҷ��´�. ������ ������ ȯ���ϰ� ��¡�ϴ� ���� ������ �򺸴� ���� ������ �Ƿ��� ��Ÿ����. �׸��� ĵ����� ��ī�ο� ������� �� ������ �ϴ� ������� ���Ѵ�.

조던 필 겟 아웃 - jodeon pil ges aus
��ȭ 'ĵ���' ������. ���Ϲ��� ���Ľ� ����


1992�� ��ȭ ��ĵ��ǡ��� �������� �Ǵ� ij���Ͱ� ������ ������ ������ȭ����. ���� �� ������ 13�� ��� �� ��ȭ�� ���� �ƴ�. ���� ���� ������ ��ĵ��ǡ��� ���� ��ġ�� ������ ��û���١��� ����� ������ �̸԰� �ϴ� �θ�ƽ�� �Ǹ��̾���. �������� ���� ���� ������ ���μ��� ������ �� ���� �Ұ����� �ŷ� �����ߴ� ������ ������ �ٲ�١��� ���ߴ�. ���� �� ������ 30���� �� ���� ���� ���ΰ� �ﷻ(�����Ͼ� �ŵ彼)�� �ٶ󺸴� ��ĵ��ǡ��� ���� �̾߱⸦ ������ �������� �ٽ� �ٲ� ���� ���´�. 22�� ����

����� ���� [email protected]

이후 조던 필은 코미디언뿐만 아니라 TV 시리즈인 Fargo와 영화 KEANU를 통해 배우로도 활동을 한다. 그리고 다양한 작품을 통해 의미있는 성공을 거두었고, 평단으로부터 인정도 받아 이쪽으로 완전히 자리를 잡는 듯 보였다.

하지만 그는 잘 달리고 있던 인생길에서 갑자기 다른 목적지로 빠지게 되는데 그가 새롭게 가고자 하는 길은 영화 감독이었다. 이는 마치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개그맨이었다가 영화 감독이 된 심형래와 같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조던 필은 현재 영화 감독으로 더 큰 성공과 적성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어쩌면 이러한 조던 필을 보면서 대중들은 그가 갑자기 진로를 변경한것처럼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감독이 된다는 것은 어릴 때 부터 늘 가져왔던 꿈이었으며, 코미디언이 먼저 된 것은 그가 세운 계획의 일부였다.

생각건대 처음부터 감독을 하지 않은 것은 그에게 주어진 환경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할리우드에서 흑인 감독은 배우만큼 대우가 그리 좋지 않다. 일례로 그가 겟아웃으로 벌어들인 수익이 2억 5천만 달러인데, 이는 흑인 영화감독 역사상 최대 흥행 실적이다. 물론 2억 5천만 달러라는 돈이 큰 돈이긴 하지만, 10억달러 20억달러 이상을 버는 영화들이 많은 현 상황에서 최대 흥행작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초라해 보이기 까지 하다.

아울러 그는 이 영화로 제90회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는데 이 부분에서도 최초의 흑인 시나리오 작가라고 한다. 그만큼 할리우드에서 흑인은 배우를 제외하고 아직까지 비주류인 듯 하다. 이 때문에 흑인에게 좀 더 진입장벽이 낮은 코미디언으로 첫 진로를 세운게 아니였을까?

그의 의중이 어찌됐건 그 선택은 결과적으로 매우 좋은 선택이었다. 실제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이후 모든 것이 여유로운 상황에서 감독으로 데뷔를 했으니 말이다. 아마 연기 경력으로 쌓은 인지도와 네트워크는 감독으로 데뷔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정치적 무의식과 그레마스의 기호사각형을방법론으로 활용하여 조던 필 감독의 영화 <겟 아웃>에 나타나는 인종주의 모순의 전개 과정을 정치기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검은 가면, 하얀 뇌’의 기괴한 형상은 프란츠 파농의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의 디스토피아적인 판본이라고 할 수 있다. 후자가 ‘분열된 정체성’을 견디며 살아간다면 전자는 ‘분리된정체성’을 관리하며 살아간다. 백인의 ‘의식’은 흑인의 ‘몸’ 속에서 살아가기 위해 흑인의 ‘의식’을 철저히 관리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은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테크놀로지다. 영화가 그리는 사회는 한 마디로 미셸 푸코의 생명관리정치에 버금가는 의식관리정치가 실행되는 포스트 휴먼의 사회다. 이처럼 의식과 몸이 분리된 상태로 살아가는 포스트 휴먼의 디스토피아는 존재론적으로 이원론적이고, 정치적으로 규율적이며, 해석학적으로 분열적이다. 식민사회에서 해방의 동력이 원한과 분노라면 디스토피아의 식민주의에 대해 강력한 탈식민주의적 비판을 가하는 것은 공포 자체다. 다시말해 공포가 ‘get out’의 동력인 것이다. <겟 아웃>의 마지막 폭력 장면은 이를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여러 겹으로 둘러싸인 이 작품의 정치적 무의식을 하나의 이미지로잘 형상화하고 있다.


Based on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unconscious proposed by Frederic Jameson on the one hand, and on the semiotic model called Semiotic Square on the other hand, we attempt in this paper to bring light on some contradictions of the racism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semiotics. <Get out> directed by Jordan Peele is a distopian version of the work entitled Black Skin, White Masks by Frantz Fanon. Whereas the latter presents the schizophrenic personality on the stage, the former puts the surgically separated personality on the screen. The separation between body and consciousness of this weird being who is supposed to live as a black in body and as a white in consciousness shows the distopian modality of the parasitic life to be lived in a dead body. In the black body, the ‘white’ consciousness must take control of the ‘black’ consciousness. For this purpose, what is needed is not an ideology but a technology. The ‘post-human society’ is a society where the logo-politics coming to Foucault’s bio-politics is being executed. Along with the separation between consciousness(white) and consciousness(black), the dislocation between body(white) and body(black) brings birth to hermeneutic ambiguities in this film. To sum up, the distopian world is ontologically dichotomic, politically disciplined, hermeneutically vague. If the motif of liberation is generally rooted in the feeling of resentment in the colonial society, the strong postcolonial critique vis-a-vis the distopian colonialism as could be seen in this film justifies itself through the feeling of horror. In short, the horror is a critical motif of getting out. The violent last scene of <Get out> illustrates well this message shaping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this film filed with different levels of contradiction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겟 아웃

이 키워드로 연구동향 분석 이 키워드로 논문 검색

,

정치적 무의식

이 키워드로 연구동향 분석 이 키워드로 논문 검색

,

기호사각형

이 키워드로 연구동향 분석 이 키워드로 논문 검색

,

포스트휴먼

이 키워드로 연구동향 분석 이 키워드로 논문 검색

,

탈식민주의

이 키워드로 연구동향 분석 이 키워드로 논문 검색

,

사회적스릴러

이 키워드로 연구동향 분석 이 키워드로 논문 검색

,

자기성

이 키워드로 연구동향 분석 이 키워드로 논문 검색

Get Out, Political Unconscious, Semiotic square, Post human, Post colonialism, Social thriller, Ipse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