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서 인터넷 발급 - jindanseo inteones balgeub

진단서 인터넷 발급 - jindanseo inteones balgeub

기숙사에 합격하고 나서 갔더니 건강진단서를 떼어 오라고 했다. 그래서 건강진단서를 떼었고, 그 과정을 글로 남긴다. 먼저 건강진단서나 보건증을 발급하기 위해서는 근처 보건소를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를 받지 않고서는 발급받을 수 없다. 시골이나 작은 도시면 대부분 시청이나 시청 근처에 있으니 검사를 받은 후 이 글을 읽도록 한다. 

#온라인건강진단서발급 #인터넷건강진단서발급 #인터넷보건증 #보건증발급방법 #건강진단서발급방법 #g-health #보건소사이트

공공보건포털은 정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므로 익스플로러로 접속해야 한다.

보건증이나 건강진단서 모두 공공보건포털 G-health라는 사이트에서 발급받을 수 있는데, 네이버에 검색하기만 하면 나온다. 하지만 검색하는 것조차 귀찮아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아래 링크를 첨부해두었으니 링크를 눌러서 이동하자.

이 이미지는 공공보건포털의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보건증이나 건강진단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먼저 우측 상단에 위치한 로그인 버튼과 회원가입 버튼을 주목해야 한다. 발급을 하려면 로그인을 해야하는데, 만약 회원가입을 하지 않았다면 회원가입을 해야한다.

나는 이미 회원가입을 했으니 로그인을 하도록 하겠다. 회원가입 과정은 복잡하지 않으니 생략한다.

아이디 비밀번호로 로그인한 다음에도 로그인은 한번 더 해야한다. 이는 서류를 발급할 때 다시 설명하겠다.

로그인을 했으면 홈페이지의 상단에 여러가지 탭이 있는데, 그 자리 중 아무데나 커서를 대보자. 그러면 위 이미지처럼 항목들이 세로로 나열되기 시작한다. 그 중에서 온라인 민원서비스를 주목하자.

온라인 민원서비스의 항목 중 제증명발급이라고 적혀진 항목을 클릭한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나올텐데 한번씩 읽어봐도 좋지만 나는 그때 바빠서 그냥 넘겼다.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자.

아래로 내려오면 동의 체크박스가 보일 것이다. 체크하자.

보건소 단위로 사람의 조사결과를 관리하나보다. 보건기관을 찾아야한다.

여기서 찾으면 된다. 저 빈칸에 보건소의 이름을 검색하면 된다. 본인이 검사를 했던 그 보건소의 이름을 말이다.

진단서 인터넷 발급 - jindanseo inteones balgeub

다음 차례에는 본인확인이다. 아까 로그인 이후에도 한번 더 해야한다고 했던게 바로 본인확인이다.

공인인증서로 해도되고 핸드폰으로 해도된다. 나는 공인인증서로 진행했다.

진단서 인터넷 발급 - jindanseo inteones balgeub

조회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생긴 팝업창이 하나 뜰 것이다. 나같은 경우는 건강진단서를 떼기 위해 검사했다. 그래서 조회된 것은 건강진단서밖에 없다. 2건인 이유는 작년에 검사한 것때문에 그렇다. 예전에 검사한 것도 이 창에서 다시 뗄 수가 있다. 만약 보건증을 떼야 했다면 보건증에 조회된 게 있을 것이다.

진단서 인터넷 발급 - jindanseo inteones balgeub

발급되지 않은 항목은 발급받기라는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발급된 항목은 발급완료라고 적히게 된다. 발급받기 버튼을 누르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새 창이 튀어나온다. 개인용 PC에서만 발급받을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하자.

액티브X를 깔으라는 소리다. 어쩔수없이 깔아야한다.

저 회색영역은 내가 캡쳐를 했지만 캡쳐되지 않은 것이다. 왜냐하면 자동으로 블라인드 처리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 회색영역이 건강진단서 또는 보건증의 내용이 들어가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인쇄버튼을 눌러서 발급하자.

발급하는 방법은 이렇게 끝이 난다. 굉장히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