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틀리는 맞춤법 PDF - jaju teullineun majchumbeob PDF

한국어는 맞춤법이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글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언론에서조차 이런 실수들은 비일비재하죠. 그럼 어떻게 써야 하는지, 우리가 자주 틀리는 맞춤법 사례를 모아봤습니다.

자주 틀리는 맞춤법 PDF - jaju teullineun majchumbeob PDF

1. 안 된다(O) / 않된다(X)

많은 사람이 ‘안’과 ‘않’의 차이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쓰고 있습니다.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안’을 ‘아니’로, ‘않’을 ‘아니하’로 바꿔보세요. 어떤 것이 자연스러운지 살펴보고 쓰면 됩니다.

그건 말이 안 된다. -> 그건 말이 아니 된다. (O)
그건 말이 않된다. -> 그건 말이 아니하된다. (X)

자신감을 잃지 안되 -> 자신감을 잃지 아니되 (X)
자신감을 잃지 않되 -> 자신감을 잃지 아니하되 (O)

여러분만 틀리는 건 아닙니다. 언론도 많이 틀리고 있으니 자신감을 가지세요!

2. 돼었다(X) / 되었다(O)

‘돼’와 ‘되’는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요? 이 맞춤법도 상당히 많이 틀리는데요, 위에 나온 ‘않’과 비슷한 원리를 적용하면 됩니다. ‘돼’를 ‘되어’로 넣어보세요. 그리고 말이 되면 쓰면 되고, 말이 안 되면 ‘되’로 쓰면 됩니다.

돼지가 돼었다.
-> 돼지가 되어었다. (X)
-> 돼지가 되었다. (O)

문제가 돼고 있다.
-> 문제가 되어고 있다. (X)
-> 문제가 되고 있다. (O)

이런 건 처음 듣는다고요? 괜찮아요. 언론도 다 틀리는걸요!

3. 어떻해(X) / 어떡해(O)

솔직히 이런 건 틀리지 맙시다. ‘어떠하게 해’를 줄이면 ‘어떻게 해’가 되고, 이걸 한 번 더 줄이면 ‘어떡해’가 됩니다. ‘어떻해’는 없습니다. 영어의 ‘how’를 뜻하는 ‘어떻게’는 있습니다. 틀리지 마세요. 이건 틀리면 창피한 겁니다.

어머 나 어떻해? (X)
어머 나 어떡해? (O)

어떻해 이걸 틀릴 수 있지? (X)
어떻게 이걸 틀릴 수 있지? (O)

이런건 기자님들도 틀리지 마세요. 정말 이러시면 어떻게 해.

4. 웬지(X) / 왠지(O)

이제 난이도가 올라갑니다. 여기서부턴 틀리는 것도 이해가 됩니다. 저도 헷갈리거든요. ‘웬’을 ‘어찌 된’으로 놓고 말이 되나 보세요. 말이 되면 맞는 것이고, 말이 안 되면 틀린 겁니다. ‘왠지’는 하나의 완성된 단어로 ‘왜 그런지 모르게’의 준말이니, ‘왠지’가 헷갈리신다면 ‘왜 그런지 모르게’를 넣어보세요.

웬일이니? -> 어찌 된 일이니? (O)
오늘은 웬지 느낌이 좋아. -> 오늘은 어찌 된지 느낌이 좋아. (X)
오늘은 왠지 느낌이 좋아. -> 오늘은 왜 그런지 모르게 느낌이 좋아. (O)

어렵죠? 그래서 그런지, 언론도 참 많이 틀리는군요. 그러니 걱정하지 마세요.

5. 어의없는(X) / 어이없는(O)

‘어이없다’는 ‘어처구니가 없다’의 준말입니다. 잘 보면 어처구’니’의 ‘니’가 ‘ㅣ’로 끝나죠? 그래서 어’이’없다로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어이없나요?

나 참 어이가 없어서 (O)
나 참 어의가 없어서 (X)

참고로 ‘어의’는 허준이 궁궐에 들어가 얻은, 조선 시대 의원이 얻을 수 있던 최고 직책입니다. 그럼 허준이 없는 매체들을 한번 살펴보죠.

6. 불리우다(X) / 불리다(O)

많은 사람이 헷갈려 잘못 쓰고 있는데, ‘불리우다’는 틀린 말입니다. ‘불리다’가 맞는 말입니다.

이진혁은 천재라고 불리운다. (X)
이진혁은 천재라고 불린다. (OOOOOOOO)

어려워서 언론에서도 많이 틀리네요.

7. 담배를 피다(X) / 담배를 피우다(O)

‘피다’는 자동사입니다. 네. 영어 배울 때 많이 배웠던 그 자동사입니다. 즉 목적어 없이 주어와 동사만으로 문장을 완성할 수 있을 땐 ‘피다’를 써도 되지만, ‘담배’와 같이 목적어가 들어가는 경우에는 ‘피우다’가 맞습니다.

강남대로에서는 담배를 피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X)
강남대로에서는 담배를 피우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O)

꽃이 피다. (O)
꽃이 피우다. (X)

확실히 이 맞춤법은 어려웠는지 여러 유력매체에서도 많이들 틀리게 쓰고 있군요. 여러분은 틀리지 마세요!

보너스. 낳다 / 낫다 / 낮다

글을 쓰며, 이것저것 찾다, 언론에서 이것까지 틀릴 줄은 몰랐습니다. ‘낳다’와 ‘낫다’는 워낙 틀리는 사람이 많아 그럴 수 있었지만 ‘낮다’와 혼동할 건 아닌데 말이죠. 슬슬 화가 나려고 하지만 그래도 친절하게 ^,.^ 설명해드리면요. 아기나 결과물을 새롭게 생산해낼 때는 ‘낳다’를 쓰고, 건강상태가 호전된다는 의미 혹은 두 개체를 비교할 때는 ‘낫다’를, 고저(高低)에서 저(低)를 뜻할 때는 ‘낮다’를 씁니다.

그 정책은 참담한 결과를 낳았다. (O)
어제 아내가 공주님을 낳았다. (O)
여러분이 기자보다 낫다. (O)
기사들의 수준이 참 낮다. (O)

경기가 낳아졌다. (X)
경기가 낫아졌다. (X)
경기가 낮아졌다. (X)
경기가 나아졌다. (O)

시작하면서 말했듯, 한국어 맞춤법은 어렵습니다. 언론도 대부분은 꼼꼼히 봤을 겁니다. 그래도 항상 틀린 곳이 나오기 마련이죠. 슬로우뉴스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 글을 쓰면서 검색을 해보니 슬로우뉴스에도 맞춤법이 틀린 기사가 있었습니다. 혹시 저희가 잡아내지 못한 슬로우뉴스의 틀린 맞춤법은 제보해주시면 고칠게요. (이런 건 슬로우하지 않고 퀵퀵하게요) 제보는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플러스, 혹은 이메일 중 편하신 곳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여러분도 한번 다른 매체들이 얼마나 맞춤법을 잘 맞춰 쓰는지 검색해보세요.

  • 슬로우뉴스 페이스북 계정으로 제보하기
  • 슬로우뉴스 트위터 계정으로 제보하기
  • 슬로우뉴스 구글 플러스 계정으로 제보하기
  • 이메일로 제보하기

틀린 맞춤법 검색하는 법

1. 네이버 뉴스에서 맞춤법에 틀린 단어를 검색해봅니다. (*필자 주: 검색어를 따옴표로 감싸면 검색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2. 네이버와 검색제휴가 되지 않은 매체라면 구글에서 “site:”연산자를 이용해 검색하면 됩니다. 슬로우뉴스에서 ‘왠지/웬지’를 잘 쓰고 있나 보려면, site:slownews.kr "웬지" 를 구글 검색창에 입력해보세요.

길 위에서 보는 세상!

  • 분류 전체보기 (1262)
    자주 틀리는 맞춤법 PDF - jaju teullineun majchumbeob PDF
    • 필통 (257)
      자주 틀리는 맞춤법 PDF - jaju teullineun majchumbeob PDF
      • 생각 그리기 (163)
      • Book (13)
      • Movie (9)
      • 만평으로 보는 세상 (30)
      • ISSUE (29)
      • Articlc (4)
      • 성경 (3)
        자주 틀리는 맞춤법 PDF - jaju teullineun majchumbeob PDF
    • 창고 (204)
      • 시사&상식 (50)
      • 자기개발 (7)
      • 생활 (46)
      • 건강 (40)
      • 감동 (25)
      • 유용한 (15)
      • 재미 (14)
      • 지적 대화를 위한 사전 (6)
    • 공부방 (3)
    • Life Sketch (219)
      • 2020 (3)
      • Past stories (215)
    • Trip Sketch (12)
      • 국내 여행 (1)
      • 해외여행 (11)
    • Church Sketch (151)
      • 대련안디옥교회 (87)
      • Past stories (64)
    • 더 깊은 묵상 (232)
      • 구약 묵상 (128)
      • 신약 묵상 (87)
      • 성경 & 신학 (11)
      • 이단 (6)
    • ETC (180)
      • 구약 성경 PPT (40)
      • 신약 성경 PPT (28)
      • 새찬송가 (65)
      • 블로그 꾸미기 (10)
      • 아이폰 (5)
      • IT (22)
      • 가상화폐 (4)

POWERED BY TISTORY

블로그 내 검색


창고/시사&상식

자주 틀리는 맞춤법

나무230 2016. 2. 21. 13:55

자주 틀리는 맞춤법 PDF - jaju teullineun majchumbeob PDF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창고 > 시사&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우리는 에어컨을 틀지 못하는가?  (0)2016.08.23
처서  (0)2016.08.23
유투브 유용한 기능 11가지  (0)2016.03.22
실용영어 / 뼈대문장 200개 외우기  (0)2016.03.22
필리버스터  (0)2016.02.24
잘못 쓰이는 일본어 표현  (0)2016.02.21
네이버블로그와 티스토리 장점 비교  (2)2015.11.04
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관한 '말''말''말' 정리해보자!  (0)2015.10.16
저작권 걱정 없는 무료 음원 찾는 9가지 방법  (0)2015.10.16

태그

맞춤법, 우리말, 자주 틀리는, 틀리기 쉬운 맞춤법, 표현

  • 필리버스터
  • 잘못 쓰이는 일본어 표현
  • 네이버블로그와 티스토리 장점 비교
  • 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관한 '말''말''말' 정리해보자!

    Secre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