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로 인한 피해 - hwangsalo inhan pihae

�Ʒ��޴��� Ŭ���Ͻø� �ش� �������� ���� �� �ֽ��ϴ�.

Ȳ�� ����

�߱��� ������ �縷 �� Ȳ��߿������� �߻��� �𷡸����� �������� ���� ���� �ǰ� �� ������ظ� �����ϴ� ����

Ȳ�翹����Ư�� ����
Ȳ�翹����Ư�� ����
�� ���Ǵ� ����(�̼����� ��)
Ȳ�� ���Ǻ� Ȳ��� ���� 1�ð� ��� �̼����� �󵵰� 400��/���̻��� 2�ð� �̻� ���ӵ� ������ ����� ��
Ȳ�� �溸 Ȳ��� ���� 1�ð� ��� �̼����� �󵵰� 800��/���̻��� 2�ð� �̻� ���ӵ� ������ ����� ��

�� ���ȯ����� : �̼� ���� �� 100 ��/������(24�ð�)

Ȳ�� Ư¡

(�߻�����) �ֱ� 10��('01~'10��)�� ���� ����� Ȳ�� �����ϼ��� �� 9.8�Ϸ� ���� 3���� 3.8��(38%), 4���� 2.7��(27%), 5���� 1��(10%)�� ��κ� ��ö(75%)�� �߻�
(�߻�����) �ظ��� ������ ������ ������ 2000��� Ȳ���ϼ�(����� 9.8��)�� 80���(2.9��) �� 90���(5.3��)�� ���� ���� ����
�� 2000��� Ȳ���ϼ��� 1980��� ����� ��� 3���̻� ���� ��ġ
(�ֿ�ذ�) '02�⿡ �ְ���(3,311��/��)�� ����Ͽ�����, '01�⿡ ���� ����(23��) �߻�

황사로 인한 피해 - hwangsalo inhan pihae

�κк� Ȳ�� ����(��ó : `13~`17 Ȳ�����ع������մ�å)

ȣ������ȯ ���� ����
- Ȳ��� ���� �̼����� ���� ������ �������, õ�� �� ȣ���� ��ȯ, �ڱؼ� �ḷ�� �� ����ȯ �� ���߿� ����
   �� (ȣ����) 2002�� 3�� Ȳ��߻��� ��Ȳ��߻��� ���� ȣ����� ����ȯ�ڴ� 4.9%, �̺����İ� ����ȯ�ڴ� 7.2% ����
     ('03�� ����� ��)
   �� (õ��) ���� �� 7�� ���� ���� �Կ��ڷ�('99~'03��) ������, õ���������� �����Կ� �Ǽ��� Ȳ�� �߻��Ϻ��� 2���ı���
     �������Ͽ� ���� 4.6 ~ 6.4% ����('08, ����ȯ����п�, �����)
   �� (����ȯ) 2002~2003�� Ȳ��߻��� ���� ��ȯ���� �������� ���, �ȱ� ��ȯ 6.0%, ��⵵ ��ȯ 11.1%, �ϱ⵵ ��ȯ
     18.5% ����(������������)
   �� 2002�⿡�� �� �������� ��ġ�� 1,694����, �ʵ��б� 3,717����, ���б� 24���� �� �� 5,435������ �޾� �Ǵ� �������
���� �� �װ� �ι�
- ����, �ػ� �� �װ��ι� ��������� �ߴ� �� ���� �� ������� �ʷ� ����
- Ư�� ���ðŸ� ���ҷ� ���� �װ��� ���� ������ ���� ������ �ս� �߻�
��� �ι�
- ��� ���°迡 ��ġ�� ���� ������ �ɰ��� ������ �ƴϳ�, �Ĺ����� ����, ���������Ϸ� �ü��۹��� ���꼺 �϶� ���� ����
   �� �ΰ� Ȳ�縦 �̿��� ������ ����Ͽ콺 �� �������� �� 18% ����(`09, ��������û)
- Ȳ�� �߻� �� 1~4�� ���̿� �ѿ��� ȣ������ȯ �߻��μ� ���� ('10, Ȳ�翬����)
   �� Ȳ��߻��� ������ ȣ���� ��ȯ�� ��ġ�� ���� �м� ���, Ȳ��� ȣ���� ��ȯ 1.21�� ����
������ �ι�
- (�ݵ�ü �� ���÷���) ��κ� �dz��۾����� ���������� ������ ���� �� ��� ������ ������ ����
   �� ��, ���� ��ȭ�ý����� ������ȭ ���� ��ü�ֱ� ���࿡ ���� �������, û�Һ�� ���� �� �߻� ����
- (�ڵ���) ����ҷ���, �ν�ĥ�������� ����, �������� ������ �̵���� ����, �����ȯ��ġ ���� ��ü�ֱ� ���� ��
- (����) �۾� ���κ��� �߿ܿ��� �̷������ ���� Ȳ��� ���� �۾��ɷ� �� ��ǰ ǰ�� ����, �ü����� ��� �� �߻�
   �� ��õ�� Ȳ���ڱ� ����/�˻� �� ���� �߰� �η�����(�� 80,000M/H, '11��) ��� �߻�
- (ö�� �� ����ȭ��, ���) ��κ��� �۾��� �dz� �� ��� �������� �̷�����Ƿ� ���� ���ش� ũ�� ����

Ȳ�� ��å

Ȳ�� ����͸� �� ����Ư���� �
�κк�(���, ����, ü��, ����, ��ǰ, ����) Ȳ�� ����ü�� �
Ȳ�� ���� ������ ���� ���� �� ȫ��

기사 상세

기획·연재

황사, 경제에 끼치는 피해 얼마나 될까

입력 : 2009-03-31 17:45:42수정 : 2009-03-31 17:53:38

황사로 인한 피해 - hwangsalo inhan pihae

윤소영 인천남고 교사

◆NIE(신문활용교육) / NIE 맞춤노트◆

꽃이 피는 걸 시샘하는 `꽃샘추위`가 지나가니 이제 봄이 오는 소리가 점점 크게 들린다. 봄은 반갑지만, 봄이 데리고 올 황사만 생각하면 눈살이 찌푸려진다.

황사가 온다니 정부 당국도 바빠진다.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은 전국 178개 지사를 통해서 `황사 마스크`를 배부했다. 건강보험공단은 성인용 황사 마스크 40만개를 제작해 경로당과 노인복지회관 공단에서 실시하는 노인운동교실에 참여하는 노인 등을 대상으로 배부했다.

마스크에서부터 황사에 좋은 음식, 황사에 대비한 피부관리 용품, 황사로 인한 집안 공기 오염을 막기 위한 공기청정기 등 황사가 올 시기가 되면 황사를 대비한 생활용품에 대한 수요도 꿈틀댄다.

황사가 뭐기에 온 국가가 들썩일까?

◆ 황사의 발원지는 중국과 몽골 사막

황사로 인한 피해 - hwangsalo inhan pihae

= 황사(黃沙)는 봄철에 중국이나 몽골 사막의 모래와 먼지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편서풍을 타고 오는 현상을 말한다. 황사 발원지역은 중국과 몽골의 건조, 반건조 지대다. 1990년대 이후 중국의 내몽골과 화북지역 등 농목축 교차지대는 사막화로 인해 새로운 황사 진원지로 떠올랐다. 발원지의 모래와 먼지는 부근에서 발생한 저기압에 힘입어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모래와 먼지는 다른 모래 먼지를 계속 흡수한다. 황사 발생 빈도는 최근 들어 점차 잦아지고, 강도도 세지고 있다.

◆ 황사 유해 먼지가 건강을 위협해

황사로 인한 피해 - hwangsalo inhan pihae

= 황사 기간에는 먼지 총량이 크게 증가한다.

먼지 독성은 크기와 성분에 따라 좌우된다. 입자 크기가 큰 먼지는 몸속 깊이 침투하지 못해 독성이 강하지 않은 반면 크기가 작은 먼지는 폐 깊숙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다행히 황사 때 증가하는 먼지 크기 중 입자가 작은 먼지는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문제는 먼지의 화학적 조성인데 황사 먼지 속에 유해중금속이나 황산염 질산염 같은 유해성분이 섞여 있으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 황사 발생으로 인해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면서 기관지염 천식 등 호흡기질환, 자극성 결막염, 심혈관계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면역력이 약한 노인은 황사 먼지가 폐에 염증을 일으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

◆ 황사 때문에 항공, 반도체, 농업계 울상

= 황사는 산업활동에도 영향을 끼친다.

우선 제품 생산에 애로사항을 준다. 산업에 미치는 피해는 불량률 증가에 따른 추가 비용 발생, 기존 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 증가, 추가 공정으로 인해 비용 상승이 초래된다. 유통업에서는 고객 감소로 인한 매출손실 가능성도 높아진다.

황사가 극심했던 2002년.

국내선을 운항하는 김포 등 8개 공항에서는 시계 악화로 총 102편의 국내선 항공기가 결항됐다. 항공기 1편 결항시 매출손실은 약 567만원, 전체적으로 5억8000만원가량의 손실이 발생한 셈이다.

오염물질에 민감한 반도체산업에서는 불량률이 증가하고 공기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했으며 근로자들의 작업장 출입을 제한해 비용이 발생했다. 자동차업에서는 먼지로부터 수출용차를 보호하기 위해 왁스 칠을 할 수밖에 없어 대당 약 2만3000원의 추가 공정으로 인해 비용이 상승했다. 조선업에서는 페인트 칠 중단으로 조업일수가 증가하고 레저산업에서는 약 20% 매출 감소가 있었고, 유리산업의 불량률은 증가했다.

농업과 축산업도 황사의 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울산시 농업기술센터는 지난달 22일 봄철 황사에 대비해 농작물과 축사를 철저히 관리해 달라고 농가에 당부했다. 농업기술센터는 "황사 먼지가 피복 재료인 비닐이나 유리에 내려앉으면 햇빛을 차단해 오이와 애호박, 토마토 등 시설재배 작물에 피해를 주고 소, 돼지, 염소, 사슴, 양 등 가축에는 구제역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며 주의를 촉구했다. 황사 피해 예방 과정에서 비닐하우스나 유리에 쌓인 먼지를 깨끗이 씻어주고 노지 농작물도 잎에 묻은 먼지를 씻어주어야 하는 등 추가 비용이 든다.

`황사 특수`를 누리는 업종도 있다. 실내활동 증가로 PC방, 오락산업은 매출이 증대하였고 백화점 대체효과로 홈쇼핑 매출액이 증가했으며 공기청정기, 화장품산업, 안경산업 등 일부 산업은 황사를 대비하려는 소비자의 수요 증가로 매출액이 증가했다.

◆ 황사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 황사문제 등 지역환경 문제의 해결은 각국의 협력을 필요로 하지만 각국의 정치, 경제적 이해관계가 얽혀 있다. 황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원을 확보하고 부담의 공정성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황사로 인한 구체적 피해나 황사의 발원지, 경로 등에 대한 국가 간 공동연구와 조사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황사문제와 관련해 1999년부터 우리나라 제안으로 한ㆍ중ㆍ일 환경장관회의(TEMMㆍTripartite Environment Ministers Meeting)가 매년 한 차례씩 3국에서 교대로 열리고 있다. 2008년 회의에서 한ㆍ중ㆍ일 환경협력사업으로 한국 측은 최근 3국 간에 추진되고 있는 한ㆍ중ㆍ일 황사 공동 연구사업의 경과를 보고하고 향후 국제기구, 인접국가, 민간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동북아시아 황사 방지파트너십`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황사로 인한 유해성 연구, 조기 분석시스템 구축과 대국민 정보 제공을 통해 황사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기상청은 정확한 황사 측정을 위해 2002년 `황사관측망 확충계획(2003~2005년)`을 수립해 지상의 황사농도 관측용으로 PM10 장비를 2003년 6개소, 2004년 5개소, 2005년에 4개소, 2006년 3개소, 2007년 4개소 등 총 23개소를 설치했다.

보다 근본적인 대책으로 황사 발원지의 사막화 방지를 들 수 있다. 모래폭풍이나 강한 바람 때문에 황사 현상으로 지표면의 흙이 바람에 쓸려가고, 비옥했던 토양이 메말라 버려 식물도 자랄 수 없게 돼 결국 사막이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 땅 16%가 사막으로 바뀌었다. 이를 막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내몽고 지역 사막화 방지 조림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산림 네트워크를 활성화해 동북아 산림문제에 대해 국제적 협력을 이뤄 가고 있다.

[정리 = 김대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