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라가나 오 쓰는법 - hilagana o sseuneunbeob

일본어 조사 を(오 : ~을 / ~를)입력 방법

히라가나 오 쓰는법 - hilagana o sseuneunbeob

컴퓨터로 일본어를 입력하려면
일본어 키보드를 쓰면 편하겠지만,
자판배열을 외워야하는 단점이 있다.

MS IME 를 사용하면,
간단히 발음 나는대로
영어로 입력을 하면, 일본어 입력을 할 수 있다.

~을 / ~를 에 해당하는 조사 を를 입력하는 방법이 어려운데

영어 o 는 お 가 입력된다.

を 는 영어 w 와 o 를 순서대로 누르면 입력된다.

w + o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세계의 전기와 전자제품 50Hz / 60Hz , 110V / 220V / 230V

히라가나 오 쓰는법 - hilagana o sseuneunbeob

전자제품 이야기를 할때 2000W 출력, 1000W 출력처럼 W 와트를 많이 말한다. 무조건 높으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높으면 전기요금이 많이 나온다. W 와트는 전력이다. 전기의 力(힘) 이란 뜻이다. 전력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전력 (W) = 전압 (V) x 전류 (A) 와트 = 볼트 x 암페아 전압은 전기의 押(압력) 이란 뜻으로 전극 + - 의 차이에서 생기는 압력을 말한다. 쉽게 이해하려면, 수압을 생각하면 된다. 전류는 전기의 流(흐름) 이란 뜻이다. 1000W 를 소비하는 제품이 있다면 100V 의 전압을 쓰는 곳에서는 10A 의 전류가 필요하지만 200V 의 전압을 쓰는 곳에서는 5A 의 전류만 필요하다. 한국은 220V 를 많이 쓴다. 아니 이젠 공식적인 전압이다. 옛날에는 한국도 110V 볼트를 썼었다. 그리고 110V와 220V 겸용으로 쓰던 시기도 있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110V 일본 가전제품이 인기를 끌었다. (대표적인것이 조지루시 전기압력밥솥) 하지만, 언젠가부터 고맙게도 가정마다 220V 로 무상교체를 해주기 시작했다. 이후 한국에서 일본 가전제품은 사라졌다. 해외 전자제품을 수입해서 비싸게 판매하던 악덕 수입 무역업자들은 망했고 대신, 국가의 정책 하나만으로 내수경기가 살아 대기업이 탄생했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 전국에 전기망을 깔아야 했지만, 전기가 턱없이 부족했다고 한다. (지금도 많이 부족한지? 기업용 전기는 싸지만, 가정용 전기는 비싸다) 그때는 전국에 깔릴 송전선,배전선 비용 절감이, 국민의 생명 안전보다 중요 했기 때문에 안전한 110V 대신 고효율의 위험한 220V 를 선택했다는..ㄷㄷ 110V 가 좋은지 220V 가 좋은지? 잘 모르겠다만 전압은 쉽게 변경이 가능하므로 그리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문제는 주파수이다. 주파수는 Hz 헤르쯔라고 하는데 60Hz 는 1초에 60번 + - 를 왔다갔다

노트북 뚜껑 덮어도, 노래 나오게 하는 방법

히라가나 오 쓰는법 - hilagana o sseuneunbeob

1. 작업표시줄 오른쪽 밑에 배터리 모양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2. 전원옵션 선택 3. 전원옵션 창이 뜨면 "덮개를 닫으면 수행되는 작업선택" 을 클릭 4. 덮개를 닫을때 아무것도 안함으로 선택 5. 변경 내용 저장 6. 음악을 재생시키고, 노트북 뚜껑을 닫아본다. ♬ 뚜껑을 덮어도, 노래가 나와요~♪

PHP URL 함수 정리

/* URL을 파싱하여 배열로 반환 parse_url array = parse_url(string_url) http://php.net/manual/en/function.parse-url.php */ $url = "http://php.net:8080/manual/en/function.parse-url.php?id=value1&pw=value2#anchor"; print_r(parse_url($url)); echo parse_url($url, PHP_URL_PATH); $ftp = parse_url("ftp://id:"); print_r($ftp); /* URL을 통해 전송되는 문자열을 인코딩 urlencode string = urlencode(string_str) http://php.net/manual/en/function.urlencode.php */ $url1 = " click "; $url2 = " click "; echo $url1; echo $url2; /* 인코딩된 문자열을 디코딩 urldecode string = urldecode(string_str) http://php.net/manual/en/function.urldecode.php */ $query = "id=A&password=B+and+C"; foreach (explode('&', $query) as $chunk) { $param = explode("=", $chunk); if ($param) { printf("Value for parameter \"%s\" is \"%s\" \n", urldecode($param[0]), urldecode($param[1])); } } /* RFC 1738 규약에 따라 URL을 인코딩

히라가나 표 쓰는법 

일본어를 처음 공부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 알아야 하는게 히라가나 인데요.

오늘은 히라가나 표 쓰는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히라가나를 공부하려고 마음먹고 막상 보면 뭐가 뭔지 하나도 모르겠어서 금방 포기해 버리고 마는데요.

포기하지 마시고 열심히 해봐요!!!

히라가나 표 쓰는법 (순서)가 나와있어요.

히라가나 쓰는법이 희미해서 잘 안보이니 밑에 히라가나 표를 보시면 순서가 더 보기 쉬울거에요.

이 히라가나 표를 보시고 순서를 익혀주세요~

위에 히라가나 표보다 글씨가 작긴한데요.

이 히라가나 표에는 읽는 방법이 적혀 있어요.

옆에 알파벳으로 빨간 글씨로 a라고 적혀있는게 아이입니다 ^^

그리고 히라가나는 위에서 밑으로 읽는 순서에요.

아이우에오

가키쿠케코

사시스세소

다치츠테토

나니누네노

하히후헤호

마미무메모

야유요

라리르레로

와오응

이렇게요.

제일 마지막 ん (응)만 받침으로 쓰여요.

우선 히라가나 표를 보시고 쓰는법을 익히시면 옆에 " 과 조그만 동그라미가 붙은 게 보이실텐데요.

일본에서는 텐텐, 마루 라고 불러요.

히라가나는 텐텐과 마루가 붙으면 음이 달라져요.

위에 히라가나 표를 보시고 외워두세요~

텐텐과 마루가 붙은 표 밑에 보면 글씨 옆에 작은 글씨가 붙는데요.

이것도 외워두셔햐해요.

차~~~암 외울게 많죠?

그래도 포기하지 말고 히라가나 표 쓰는법 익혀보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