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너굴김 [994511] · MS 2020 · 쪽지

2021-02-01 18:42:36조회수 677 0

물리동아리 만들건데 간지나는 걸로 아이디어 좀 내주세여

아님 물리학 용어중에 좀 있어보이는 거 없나요? 영어로 조합해서 이름 짓게

  • 03년생
  • 04년생
  • 모바일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알림

  • 스크랩

  • 신고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아개같이졸림

    진짜 기억나는 걸로는 개많이 마셨는데 딱히 취했는지는 모르겠고 개졸림 ㅋㅋㅋㅋㅋ...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아니 미자들은 담배 어떻게 뚫었음?

    동네에 그냥 가족이 운영하는 편의점은 편의점은 술, 담배 신분증 검사도 안하고...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확실히 스포츠 좋아하는 사람이 없어진듯

    야구도 예전같은 국민이 다 아는 스타가 안나오고 제발 다들 격투기에 관심좀...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수능때예상대로흘러간게1도없음

    국어 화작 어렵겠구나 했는데 난이도는 작수에 비비진 못하는듯. 근데또 생각보다...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다는 답변 못해도 웬만큼 답변하겠습니다... - 2019학년도 수능 국어 97점...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제발 지금 낙지보지마요

    아니아니아니아니 지금 표본 안모였다니까!!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지방교대 1학년 질문받아요

    심심해서..ㅎㅎㅎ 아무거나 질문 받습니당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 인간관계보단 여윽시

    그림 그리는 거시 더 잼나 애쓰다 보면 기가 좔좔 빠지거등ㅇ여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고잠녀<<--- 이분 게이임?

    자꾸 여자인척 하시니까 뭔가 넷카마 게이 같음 아님 망고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근데 난 진짜 내가 올해도 못갈까 많이 불안하긴했음

    내가 이제 수능을 안쳐도 된다는게 너무 신기하네 진짜 감사하다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낙지 올해는 진짜 짠가보네

    작수 끝나곤 real waterpark 개장했었는데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사탐 변별방법?

    경제나 사문 이런건 문제를 드럽게내서 변별하나요 아니면 문제가 어려워서 시간안에 못풀게 해두는건가요 

  • 간지 나는 수학 용어 - ganji naneun suhag yong-eo

    이거 뭐임?

    프로필 들어가면 잠깐 떴다 사라지는데 

특수기호

!- Exclamation Point (엑스클러메이션 포인트)
- Quotation Mark (쿼테이션 마크)
# - Crosshatch (크로스해치), Sharp(샵), Pound Sign(파운드 사인)
$ - Dollar Sign (달러사인)
% - Percent Sign (퍼센트사인)
@ - At Sign (앳 사인, 혹은 앳), Commercial At(커머셜 앳)
& - Ampersand (앰퍼샌드)
' - Apostrophe (어파스트로피)
` - Grave (그레이브)
* - Asterisk (애스터리스크)
- - Hyphen (하이픈), Dash (대시)
. - Period (피리어드), Full Stop (풀스탑)
/ - Slash (슬래시), Virgule (버귤)
- Back Slash (백슬래시)
\ - Won sign (원사인)
: - Colon (콜론)
; - Semicolon (세미콜론)
^ - Circumflex (서컴플렉스), Caret (캐럿)
{ - Left Brace (레프트 브레이스)
} - Right Brace (라이트 브레이스)
[ - Left Bracket (레프트 브래킷)
] - Right Bracket (라이트 브래킷)
( - Left Parenthesis (레프트 퍼렌씨시스)
) - Right Parenthesis (라이트 퍼렌씨시스)
| - Vertical Bar (버티컬바)
~ - Tilde (틸드)
= - Equal Sign (이퀄사인)
+ - Plus Sign (플러스사인)
- - Minus Sign (마이너스사인)
_ - Underscore (언더스코어), Underline (언더라인)
< - Less Than Sign (레스댄 사인), Left Angle Bracket(레프트 앵글브래킷)
> - Greater Than Sign (그레이터댄 사인), Right Angle Bracket (라이트 앵글브래킷)

그리스알파벳


Α/α(알파) Β/β(베타) Γ/γ(감마) Δ/δ(델타)
Ε/ε(엡실론) Ζ/ζ(제타) Η/η(에타) Θ/θ(쎄타)
Ι/ι(요타) Κ/κ(카파) Λ/λ(람다) Μ/μ(뮤) Ν/ν(뉴)
Ξ/ξ(크시) Ο/ο(오미크론) Π/π(피) Ρ/ρ(로우)
Σ/σ(씨그마) Τ/τ(타우) Υ/υ(윕실론) Φ/φ(휘)
Χ/χ(키 또는 카이) Ψ/ψ(프시) Ω/ω(오메가)

수학기호

σ : 소문자 시그마는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기호
Σ : 대문자 시그마는 아래첨자와 위첨자를 기입하여 합에 관한 기호로 사용
i : 아이. 허수단위. 제곱해서 -1이 되는 수입니다.
√ - 제곱근 또는 루트라고 읽습니다
ㅠ - 파이 : 소문자 파이는 원주율을 나타내는 기호로 3.141592... 값을 가지며,

                대문자 파이는 확률에서 중복순열을 나타내거나 위첨자 아래첨자와 함께 쓰는 경우

                곱에 관한 기호가 됩니다
∫ - 인테그랄 : 적분기호
∬ - 중적분 기호로, 적분을 두번 하라는 것입니다 (주: 세개있으면 삼중적분, 가운데 똥그라미가 있으면 선적분기호 입니다. -수학과출신임 ㅎㅎ -)
∴ - 따라서 또는 그러므로 (주: hence 혹은 therefore  라고 읽습니다. -수학에 자주 나옴)
∵ - 왜냐하면 (주: because라고 읽습니다.)
≒ - 약: 근사값을 쓸때 또는 양쪽 값이 거의 비슷할때 사용
dθ - 디쎄타 - 미분에서 사용되는 기호입니다.
≡ - 합동 또는 모듈로(mod)를 나타내는 기호
∈ - (왼쪽이 오른쪽의) 원소이다.
∋ - (오른쪽이 왼쪽의) 원소이다.
∀ - 임의의
∃ - 존재한다. exist.
적분기호 : ∫, ∬, ∮ (주: 차례로 적분, 중적분, 선적분입니다.)
미분기호 : ∂(편미분)
삼각함수 : sin, cos, tan, sec, cosec, cot, sinh, cosh, tanh, sech, cosech, coth,
           각각의 함수에 역함수 기호(^-1)를 붙이면 arc삼각함수(=역삼각함수)가 된다.
기타 : ∞(무한대), !(팩토리얼,factorial),
기호가 표시는 안됩니다만.. 세제곱근호, 네제곱근호, 선적분, 면적분, 벡터기호, 등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참고로 수학용어만 따로 사전으로 나올 정도 입니다. 수학용어사전이라고... 쿨럭.. -_-;;

그리스 문자 발음과 의미Α α →알파(ALPHA)
Β β →베타(BETA)
Γ γ →감마(GAMMA)
Δ δ →델타(DELTA)
Ε ε →입실론(EPSILON) : 소문자는 유전율의 기호로 쓰인다.

전속밀도(D)=유전율(ε)x전장세기(E)인데 이를 "드라마 에로스입술" 로 외우면 잊혀지지 않는다.

Ζ ζ →제타(ZETA)
Η η →에타(ETA) : 효율을 나타내는 기호로 쓴다.
Θ θ →쎄타(THETA) : 소문자는 각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호로 쓴다. 그리고 cosθ(코싸인
쎄타)는 역률을 나타낸다.
Ι ι →이오타(IOTA)
Κ κ →카파(KAPPA)
Λ λ →람다(LAMBDA)
Μ μ →뮤(MU) : 소문자는 투자율의 기호로 쓴다. 또한 "마이크로" 또는 "미크론"으로
읽으면 100만분의 1이라는 뜻이다.

자속밀도(B)=투자율( μ )x자장세기(H)인데 이를 "브라보 한국뮤직"으로 외우면 잊혀지지 않는다.

Ν ν →뉴(NU)
Ξ ξ →크사이(XI)
Ο ο →오미크론(OMICRON)
Π π →파이(PI) : 파이의 대문자는 '총승(누적곱하기)'의 기호로, 소문자는 원주율(3.14)
의 기호로 쓴다. 또한 라디안각도에서는 파이는 180도이다.
Ρ ρ →로우(RHO) :소문자는 저항률의 단위로 쓴다.
Σ σ →시그마(SIGMA) :대문자는 '총합(누적더하기)'의 기호로, 소문자는 도전율의 기호
로 쓴다.
Τ τ →타우(TAU)
Υ υ →웁실론(UPSILON)
Φ φ →퐈이(PHI) : 대문자는 자속을 나타내는 기호로 쓴다.

기자력(F)=자속(Φ)x자기저항(R)인데 이를 "플라이 로보트퐈일"로 외우면 잊혀지지 않는다
Χ χ →카이(CHI)
Ψ ψ →프사이(PSI)
Ω ω →오메가(OMEGA) : 대문자는 저항의 단위로 쓰고("오옴"으로 읽음)소문자는 각속도
기호로 쓴다. 대문자를 상하로 뒤집어 나타내면 도전율의 단위가 되며 "모오(mho)"라고 읽는다.

<수학기호로 쓰이는 특수문자>

∂ 라운드D : 편미분기호
∇ 나블라 : 미분연산자기호
∬ 더블 인티그럴 : 중적분 기호
∮ 서큘라 인티그럴 : 선적분기호 (주회적분(周回積分-폐곡선을 따라 하는 적분)이라고도 함)

수학기호의 의미
σ : 소문자 시그마는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기호
Σ : 대문자 시그마는 아래첨자와 위첨자를 기입하여 합에 관한 기호로 사용
i : 아이. 허수단위. 제곱해서 -1이 되는 수입니다.
cosθ : 코사인쎄타
(하이퍼블릭코사인-쌍곡삼각함수중 하나로 수학에서는 거의 cosh를 사용합니다)
√ - 제곱근 또는 루트라고 읽습니다.
∫ - 인테그랄 : 적분기호
∬ - 중적분 기호로, 적분을 두번 하라는 것입니다.
V。 - ? 뭡니까 이건? 혹시 V만 쓴 것이라면 분산을 나타내는 것이긴 한데... 이건 잘 모르겠군요
± - 플러스마이너스 :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라는 뜻
× - 곱하기
÷ - 나누기
∏ - 대문자 파이군요.. 위에서 설명드렸고..
≠ - 같지앉다
∴ - 따라서 또는 그러므로
∵ - 왜냐하면
≒ - 약: 근사값을 쓸때 또는 양쪽 값이 거의 비슷할때 사용
≤ - (왼쪽이 오른쪽보다) 작거나 같다
≥ -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거나 같다
< - (왼쪽이 오른쪽보다) 작다
> -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다
dθ - 디쎄타 - 미분에서 사용되는 기호입니다.
≡ - 합동 또는 모듈로(mod)를 나타내는 기호=도형의 합동 기호
∈ - (왼쪽이 오른쪽의) 원소이다.
∋ - (오른쪽이 왼쪽의) 원소이다.
⊂ - (왼쪽이 오른쪽의) 부분집합이다. (오른쪽 집합이 왼쪽 집합을) 포함한다.
⊃ - (오른쪽이 왼쪽의) 부분집합이다. (오른쪽 집합이 왼쪽 집합을) 포함한다.
∪ - 합집합
∩ - 교집합
∀ - 임의의
∃ - 존재한다. exist.

집합기호 : { }, ⊂,⊃,⊆,⊇,
명제기호 : ∧,∨,←,→,⇔,⇒,⇒
도형기호 : ∠(각),∽(닮음),≡(합동),?(평행),⊥(수직)
대소관계 : <, >, ≤,≥,
각종괄호 : (,),{,},[,]
적분기호 : ∫, ∬, ∮
미분기호 : ∂(편미분)
삼각함수 : sin, cos, tan, sec, cosec, cot, sinh, cosh, tanh, sech, cosech, coth, 각각의 함수에 역함수 기호(^-1)를 붙이면 arc삼각함수(=역삼각함수)가 된다.
∞(무한대), !(팩토리얼,factorial)

기타 기호
Å - 옴스트롱 또는 옴고스트롱. 10의 -10승인가 -8승인가... 뭐 그런건데, 수학에서 쓰이는 건 여태 단 한번도 본 적이 없음.
μ(마이크로) - 10의 -6승. 즉, 1/1000000 의 크기.
℉ - 화씨. 온도 단위
℃ - 섭씨. 역시 온도의 단위. 다들 아시죠..
㎛(마이크로미터) ㎝(센티미터) - 길이의 단위
㎟(제곱밀리미터)㎩ ㎢(제곱키로미터) - 넓이의 단위
㎣(세제곱밀리미터) ㎤(세제곱 센티미터) ㎥(세제곱 미터) ㎦(세제곱 키로미터) - 부피의 단위.
㏈ - 데시벨. 소리의 단위
㎲ -마이크로초. 시간의 단위
㏘ -뭐라고 쓴건지 잘 모르겠는데.. pm이라고 쓴건가요? 그렇다면 피코미터라고, 길이의 단위인데..
∞ 무한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며 무한대라고읽습니다.
∠ 각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호이죠
⊥ 서로 직교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 ÷

출처 : 삶의 의미를 찾아서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