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면라이더 버스 X - gamyeonlaideo beoseu X

문서 조회수 확인중...

가면라이더 버스 X - gamyeonlaideo beoseu X

가면라이더 오즈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white,#191919>


[ 펼치기 · 접기 ]



V시넥스트
<white,#191919> 코어
<white,#191919> 아쿠아
<white,#191919>
<white,#191919> 고대왕 오즈
<white,#191919> 고다




1. 개요

3. 파생 형태

4. 신체부위 상세설명

5. 기타


1. 개요[편집]


가면라이더 오즈의 2호 라이더. 첫 등장은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오즈&더블 feat.스컬 MOVIE 대전 CORE. 장착자는 다테 아키라(16~38화, 극장판)/고토 신타로(무비대전, 38화~). 무비대전에선 오다 노부나가도 장착했다. 여름 극장판에선 서프라이즈로 히노 에이지(!!!)도 장착했다. 한국명은 가면라이더 바스

16화에서 오즈가 거대Greeed에게 고전할 때 난입해 브레스트 캐논으로 오즈의 승기를 잡게 해주는 멋진 첫등장을 이루었다. 그리고 17화에서는 변신연출과 변신자의 얼굴 클로즈업에서 모 북미의 특촬영화를 떠올리게 해줬고, 오즈가 다굴당할때 등장해 협력하여 카부토야미를 파괴했다.

18화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셀 메달 전문으로, 드릴 암으로 우바를 공격하면서 나오는 셀메달을 자석처럼 붙이던 중에 잠깐 방출되었던 코어 메달은 끌어 당기지 못하고 다시 우바에게 돌아갔다. 코우가미 코우세이의 말에 따르면 코어 메달은 오즈에게 집중시키고, 버스는 셀 메달을 집중시키기 위한 그릇인 것 같다.

그래서인지 유난히 그리드에게 약한 모습을 많이 보여줬었는데 19화에서 오즈도 고전했던 라이온쿠라게야미를 상대로 대등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카자리의 뒷치기기습공격으로 한번도 반항도 못하고 순식간에 털려버린 후 옥상 낭떠러지로 떨어지는 굴욕을 겪었다. 그리고 21화에서도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밧타야미와 대등하게 싸웠지만 같이 싸운 우바에게는 고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3화에서는 오즈와 카자리와의 싸움에 난입했지만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발리다가 드릴 암이 부숴지고 말았다.(...)

38화를 기점으로 다테 아키라가 1억엔을 받고 수술을 받으러 외국으로 떠나면서 버스의 장착자는 고토 신타로에게 넘겨주었다.[2]

2. 폼[편집]



2.1. 버스[편집]


가면라이더 버스 X - gamyeonlaideo beoseu X

마키 키요토 박사를 중심으로 '코우가미 생체 연구소'에 의해 가면라이더 오즈나 그리드들의 전투 데이터를 베이스로 개발된 생체 강화 슈츠형의 가면라이더. 코어메달로 변신하는 오즈와 달리 셀 메달로 변신한다.오즈와 달리 벨트에서 메달이 뒷면(X문양)이 바깥 쪽을 향하고 있는 형태이다. 모티브는 가샤폰 캡슐이며, 변신 기믹은 캡슐이 전개하는 방식이다.

개체마다 성질이 크게 다른 그리드나 야미와의 전투를 상정하고 개발을 거듭해왔기 때문에 셀메달의 파워를 100% 끌어낼 수 있으며, 그리드나 오즈에 필적하는 힘을 품고 있다. 버스의 상징이기도 한 무장확장용 하드포인트 「리셉터클 오브」는 전투 국면에 맞춰 유닛의 환장이나 운용을 실시하며, 전신 합계 10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 필살기

- 셀 버스트

2.2. 버스 데이[편집]


가면라이더 버스 X - gamyeonlaideo beoseu X

버스가 모든 CLAWs 장비를 한꺼번에 장착한 형태. 한마디로 풀 아머 버스.

버스가 가진 다채로운 무장을 한꺼번에 쓸 수 있는 막강한 형태로 그리드와도 호각 이상으로 싸울수 있고 셀메달 2개를 넣어야 하는 브레스트 캐논의 셀 버스트도 이 상태로 그냥 쏠수 있다.[3]

위력도 기존보다 훨씬 강화된다.본편에서 버스가 가진 최강의 형태. 이름의 유래는 누가봐도 생일(birthday)

단점으로는 변신하려면 셀메달을 벨트에 넣고 돌리는 동작을 6번이나 해야 하는지라 전투 중에 빈틈이 생기고, 너무 무리한 장비로 인해 밸런스가 잘 안맞는데다 이 상태로는 양손에 전부 무장이 붙어서 손을 쓸 수 없기 때문에[4]

오즈나 기타 타인의 서포트가 필요하다. 일단 메달을 집어서 넣는 건 쇼벨 암으로 하면 되는데, 문제는 쇼벨 암은 왼손 전용이라 오른쪽의 그랩 액셀러레이터를 회전시킬 수가 없다. 디케이드가 라이드 북커에서 카드를 꺼내듯 허리를 돌려서 쇼벨 암으로 회전시킬 수도 없는 게 브레스트 캐논의 손잡이가 팔 가동에 간섭해 그랩 액셀러레이터까지 쇼벨 암이 닿지 않는다.[5]

첫 등장은 26화였는데 야미를 압도하기는 했으나 처음 등장했던 것치고는 등장 시간이 상당히 짧았고, 고토 신타로가 38화에서 버스로 변신하면서 간만에 재등장, 매뉴얼 숙지의 힘으로 그리드 3명을 탈탈 털어줬다.[6]

그런데 여기서도 처음에 일부분 파츠를 장착했을때만 공중 액션을 보여줬고, 정작 모든 파츠를 장착한 버스데이 상태에서는 셀버스트만 사용했다. 아무래도 움직이기가 어지간히 힘든 모양이다. 심지어 셀버스트를 사용할 때의 포즈조차 허리를 제대로 못피고 어정쩡했다…. 이후 무비대전 얼티메이텀에서 재등장 하여 다 라이더킥 날리는데 혼자 오른팔의 드릴 크러쉬를 날렸다.

  • 필살기

- 셀 배시 : 가슴의 브레스트 캐논에서 강력한 에너지 포를 발사하는 필살기.

2.3. 버스 X[편집]


파일:가면라이더 버스 X.png

가면라이더 오즈 10th 부활의 코어메달에 등장하는 버스의 새로운 폼. 기존의 버스 드라이버에 X 유닛이라는 새 장비가 추가되었고, X 유닛에 비카소 콤보의 에비, 카니, 사소리의 인조 코어 메달[7]

을 장전하여 변신한다.[8]

고토 신타로가 장착한다. 아직 미완성 단계라 사용을 꺼렸으나 다테의 설득으로 사용을 결심. 가면라이더 고다를 상대로 다테의 버스와 함께 접전을 벌였지만 하필 상대가 최종보스였던 탓에 제대로 된 활약을 보여주지도 못한채 패배했다.

인조 코어 메달의 위치를 바꿔 장전하는 것으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작중에서 등장한 무장은 카니 암.

  • 메달 장착음

  • 변신음

버 버 버 버스! 버 버 버 버스! X! 비!

3. 파생 형태[편집]



3.1. 가면라이더 버스 프로토 타입[편집]


가면라이더 버스 X - gamyeonlaideo beoseu X
  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버스 프로토 타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가면라이더 리버스[편집]


가면라이더 버스 X - gamyeonlaideo beoseu X

신장:201cm / 체중:98kg
펀치력:5t / 킥력:12t
점프력:단번에 80m
주력:4.5초에 100m 주파

SIC 히어로 사가 가면라이더 오즈 편에서 등장하는 버스의 후계 시스템. 코우가미 생체연구소에서 버스 프로토타입과 버스를 이어서 제작한 신형 생체 강화 슈트다. 장착자는 다테 아키라. 버스에 비해 1.5배의 전투력을 지닌다. 버스가 범용성을 중시한 반면, 리버스는 전투력을 더욱 특화시킨 시스템이다. 그 때문에 장착자가 한정되어 있고, 또한 맞는 장착자가 착용해도 장착자의 몸에 가해지는 부담이 심각한 관계로 장착시간이 설정되어 있어서 장시간 전투는 불가능하다.

머리에는 통상 버스처럼 마스터 서버와 솔리드 실드가 탑재되어 있다. 흉부 중앙에 리셉터클 오브가 장착되고, 양 옆으로 타원형 리셉터클 오브도 장착되어 있다. 무장으로서 왼팔에는 대형 가위, 허리에는 블레이드 형태의 스태빌라이저가 장비되어 있다. 등에는 캐논포 2기가 장비되어 있고, 전방으로 전개해 사용한다. 이 무장들은 통상 버스의 CLAWs에 해당한다. 참고 그림

4. 신체부위 상세설명[편집]


가면라이더 버스 X - gamyeonlaideo beoseu X

  • 리셉터클 오브 (전신에 설치된 캡슐 모양의 소형구체)

'버스 드라이버'로부터 전신에 퍼진 에너지 경로의 중계 유닛. 반구형의 쉴드로 덮혀 있으며 그 내부에는 무장 파츠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연결용 컨넥터가 존재한다. 이 리셉터클 오브는 가슴·등·양어깨·양팔·양허벅지·양각다리, 이렇게 총합 10군데에 설치돼있다.


  • 업소빙 브레스트 (오른쪽 가슴)

'컨버터 렁'을 내장한 출력 안정 기구. 평상시에는 각 리셉터클 프레임에서 이용되지 않았던 잉여 에너지를 축적·증폭하고 있으며, 긴급시에는 축적된 에너지를 방출해 버스의 에너지 다운을 막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브레스트 프레임 (왼쪽 가슴)

흉부 무장유닛 "브레스트 캐논" 을 접속하기 위한 하드포인트. 리셉터클 오브를 둘러싼 금속 외장은 코우가미 파운데이션이 개발한 '스트롱지움'제로, 무장유닛을 장착하는 곳임과 동시에 적의 공격으로부터 장착자를 보호하는 장갑이다.


  • 숄더 프레임 (어깨)

어깨 관절을 보호하는 장갑이며, 무장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하드포인트.


  • 셀틱 아머 (검은 슈트 전체)

카본 나노 튜브제의 인공 근육을, 아라미드 수지로 코팅한 방호 슈트. 방탄 베스트 등 군용 보디 아머의 300% 이상의 방어 성능을 자랑하는 한편, 지극히 경량인데가 장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 구조로 돼있다.


  • 셀 에너지 케이블 (슈트 겉면에 설치된 선)

셀메달로부터 추출한 에너지를 '버스 드라이버'에서 전신의 '리셉터클 오브'로 순환시키는 케이블. 머리부분(버스 헬무드)으로도 에너지를 전송해준다.(가면라이더 555에서 나오는 모든 라이더들의 '포톤스트림'과 비슷한 원리.)


  • 암 프레임 (팔 토시)

팔뚝부를 보호하는 장갑이며 무장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하드포인트. 주로 근접 전투용 유닛을 장착한다.


  • 사이드 레그 프레임 (허벅지 장갑)

허벅지를 보호하는 장갑이며, 무장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하드 포인트


  • 버스 텍 가이드 (무릎)

무릎을 보호하며, 충격 흡수를 보조하는 관절부 아머. '버스 텍 부츠'와 같은 복합 장갑이 사용돼있다.


  • 프론트 레그 프레임 (다리 장갑)

다리를 보호하는 장갑이며, 무장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하드포인트. 주로 기동력이나 각력 강화 유닛을 장착한다.


  • 리스트 커뮤니케이터 / 앵클 커뮤니케이터 (손목,발목의 링)

완부/다리 무장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 컨트롤 유닛. 머리 부분의 '마스터 서버'와 연계하는 것으로 장착자의 의사에 따라 자유자재로 유닛을 제어한다.


  • 버스 텍 부츠

버스의 발을 보호하는 아머. 특수한 세라믹과 수지의 복합 장갑으로 돼있어 경량이고, 50m 정도의 높이에서 낙하했을 경우에도 충격을 흡수·확산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4.1. 버스 헬무드[편집]


가면라이더 버스 X - gamyeonlaideo beoseu X

버스의 머리 부분 장갑. '프로텍트 매터'처럼 스트롱지움 합금으로 제작돼있어 장착자의 머리 부분과 내부에 탑재된 '마스터 서버'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마스터 서버 (두뇌)

장착자의 뇌파로부터 사고나 의사를 읽어내, 적에 관한 데이터의 분석이나 정보 처리, 신체기능의 감시 등의 전투 서포트를 실시하는 기관. 또한 복잡한 프로그램 제어가 필요한 무장유닛의 컨트롤 시에는, 완부와 각부에 존재하는 '커뮤니케이터'와 연계해 병렬처리를 실시한다.


  • 솔리드 쉴드 (눈 가리개)

내부의 'U플래셔'를 보호하는 것과 동시에, 위성 통신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맡고 있다. 이 장치를 경우하는 것으로, 버스의 '마스터 서버'와 코우가미 파운데이션 및 코우가미 생체 연구소의 서버와의 접속을 실시한다.


  • U플래셔 (솔리드 쉴드 안쪽)

RGB 카메라, 적외선 센서, 자기 센서 등 복수의 시각 센서군을 탑재한 카메라 아이. 각종의 시각 정보는 분석·통합된 후에 '마스터 서버'로 전달된다. U플래셔의 U는 Universal(범용)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멀티 밴드 에코 (귀)

버스의 청각을 맡는 센서부. 일반인의 가청 능력의 몇배 이상인 3만 Hz까지의 초음파도 들을 수 있으며, 소리의 성문 패턴의 조합을 통한 분석능력도 가지고 있다.


  • 하운드 노즈 기어 (코)

대기중의 화학 성분 분석을 실시하는 센서. 유독 가스나 환각 작용이 있는 성분의 유무를 판정할 수가 있다.


  • 프로텍트 매터 (얼굴)

버스의 머리 부분 전면을 보호하는 페이스가드. 소재는 코우가미 파운데이션이 개발한 스트롱지움 합금의 일종으로, 셀 메달의 에너지를 흐르게 하는 것으로 통상시의 몇배의 경도를 얻는다.


  • 버스 인테이크 (입)

장착자에게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 고성능의 필터 기능을 가지고 있어, 자연계에 존재하는 유독가스와 인류가 만들어 낸 독소의 대부분을 무독화 할 수 있다.

5. 기타[편집]


  • 이름인 버스(Birth)는 아무래도 회장님 취향에 맞춰 결정한 듯. Happy Birthday, BIRTH!! 어쩌면 오즈의 'OOO'와 대비되는 X's(XXX)와 발음이 비슷해진다는 것 또한 의식했을 가능성이 있다. 일본어로 X를 '바츠'라고 읽기 때문. 우스갯소리로 진짜 Bus라는 말도 있다.[9] 후일 국내 방영판에서는 어째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바스라는 이름을 달고 나왔다(…).[10]

  • 디자인 모티프는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합체한 장비의 형태가 전갈인 것이나 오프닝 등에서 전갈의 셀 메달이 강조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전갈로 추정된다. 처음 공개됐을 당시엔 프레데터가 떠오른다는 반응도 꽤 있었다. 그러고보니 닮았다?

  • 작중에서 실제 가면라이더라고 칭하는 라이더이기도 하다. 16화에서 나온 버스 메뉴얼에 등장.[11] 또 뱀발로 극중에서는 변신 시에 유독 사소리 셀메달만 사용한다. 사소리 셀이나 다른 셀메달이나 차이는 전혀 없지만.

  • 2011년 2월경에 신 완구 리스트 루머가 2ch에 뜬 적이 있었다. 당시의 루머에 따르면 메달 변환기 메다리본이라는 것이 나오고 메달 변환기 메다리본이라는 신 장비를 통해 버스 리본으로 강화한다고 한다는 얘기였는데 타토바링이라는 오즈의 최종폼 루머 정보와 같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루머는 틀렸다고 결론 났다. 그 밖에도 전작의 2호 라이더 액셀의 강화폼 트라이얼마냥 버스도 '리버스'라는 강화폼이 등장할 것이란 루머가 돌았으나, 그것도 결국 헛소문이었다. 그렇지만 이후 SIC 히어로 사가 오즈 편에서 버스의 후계 시스템인 '가면라이더 리버스'가 나왔다.

  • 테마곡은 Reverse/Re:birth. 싱글에서는 다테 아키라 솔로, 고토 신타로 솔로, 듀엣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버스 전용 전투 BGM도 있다.

  • 버스 드라이버와 버스 버스터의 음성은 나레이션의 나카타 죠지.

  • 코어 메달은 최종화에서 블랙홀 속으로 사라졌지만, 셀 메달은 코우가미 파운데이션 내에 아직 남아 있던 모양인지 본편 이후의 시점인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포제&오즈 MOVIE 대전 MEGAMAX에서도 고토와 다테가 착용하고 등장한다. 하지만 두 명의 버스 드라이버가 전부 가면라이더 포세이돈에게 파손되어 등장 끝. S.I.C 히어로 시기에서는 버스의 후계 시스템인 가면라이더 리버스가 공개되었다.

  • 피규어로는 S.H.피규어아츠로 나왔는데 혼웹으로 나온 CLAWs 사소리가 샘플 사진과는 다르게 사출색을 그대로 내서 여러가지로 말이 많았다. S.I.C로도 라인업이 잡혔지만 버스와 프로토 버스 둘 다 혼웹이다. 프로토 버스는 프로토 타입의 버스 버스터라고 트윈 바렐 타입의 버스터 파츠가 들어간다고 한다. 그리고 버스데이는 둘 다 구입해야만 재현이 가능하다.

  • 작중 활약은 헤이세이 2기의 2호 라이더 답지않게 좋다. 카자리와 상성이 영 좋지않다는것만 제외한다면. 첫반째 장착자의 다테 아키라의 무지막지한 신체스펙도 한몫 한듯. 두번째 장착자인 고토 신타로는 구를것이라 예상했던 우려와는 달리 다테 못지않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고, 이후 복귀한 다테가 프로토타입으로 변신하여 둘이서 보여주는 더블버스의 활약은 장관. 다만 활약과는 별개로 스토리 비중은 다른 2호 라이더들과 비교해서 떨어지는 편인데, 도중에 장착자가 바뀌는 것도 있고 무엇보다 서브 주인공인 경우가 대부분인 다른 2호 라이더들과 달리 오즈의 서브 주인공은 앙크이다보니 상대적으로 비중이 떨어지는 것.[12][13]

  • SIC 히어로 사가 "KAMEN RIDER WIZARD EDITION -마법사의 제자-" 편에 따르면 미래에는 가면라이더 버스가 양산되어 부대로 편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대에서는 사토나카 에리카와 다이몬 린코가 버스를 장착한다.

가면라이더 버스 X - gamyeonlaideo beoseu 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7 13:30:21에 나무위키 가면라이더 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극장판 가면라이더 오즈 WONDERFUL 장군과 21개의 코어 메달 한정.[2] 귀국한 후에 다테 본인은 프로토타입 버스를 사용한다.[3] 단 빔을 선이 아닌 탄으로 발사하며, 야미를 한 번에 끝장 낼 위력은 안 된다. 하지만 에너지탄의 발사속도가 빠르기에 피할 틈이 없다.[4] 셀메달 자체는 버스의 장비에 달라붙기 때문에 셀메달 회수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5] 그래서 작중에선 장비들이 장착되기 전에 셀메달을 먼저 넣어 장착을 일시적으로 캔슬해 한꺼번에 장착하거나 한번에 다수의 셀메달을 집어넣고 한번에 장착하는 식으로 사용한다.[6] 말이 털어줬다지 재대로 표현하자면 그리드 째로 그 주변 일대를 쑥대밭으로 만들어놨다. 아무리 메뉴얼을 숙지해도 버스 데이의 출력이 어마무시하기도 하고 첫변신이라 고토쨩이 정신줄 놔버리기도하다보니 저런 파워를 내지도 못하고 저런 싸움을 할리가 없는 버스가 날뛰다 보니 그리드들은 단체로 멘붕했다. 그리드들이 말하길... "뭐야! 저 버스는!? 완전 엉망진창이잖아!!"[7] 고다의 메달처럼 코우가미 파운데이션이 만들어낸 인조 코어 메달이다.[8] 한편 메달의 순서는 오즈와 반대다. X 유닛에는 메달을 오즈처럼 에비-카니-사소리 순으로 넣지만, 인식을 위에서 아래로 하는지 음성은 비카소가 아닌 소카비. 외형상의 특징으로도 비카소 콤보에서는 머리였던 새우(에비)가 다리쪽이다.[9] 강화폼인 버스데이는 일본어로 버스정류장이란뜻도 있다(.....)진짜 노린건가[10] 아무래도, 대중 교통수단인 버스와 헷갈리기 쉬워서… 그럼 Happy Birthday도 해피 바스데이라 해야겠네 다른 추측은 번역자가 버스의 어원을 생각하지 않은 채 카타가나만을 읽고 번역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디케이드 방영 당시 케이 터치 뒷면에 '얼티메이트'를 '아르티메이트'로 '킹'을 '킹그'로 적은 적이 있다. 물론 얼마 안 가 고치긴 했다.[11] 오즈의 경우에는 애매하지만 에이지가 27 ~ 28화에서 한 말을 들어보면 자신을 가면라이더라고 여기는 것 같은 모습도 보여주었다.[12] 게다가 버스는 오즈나 그리드들과는 달리 코어 메달에 비해 극중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셀 메달로만 싸우기에 전력적, 스토리적으로 많은 비중을 가져가기 어려운 점도 있다. 코어 메달의 의존성이 높은 오즈가 작중 내내 메달 쟁탈전으로 변신 가능한 폼이 수시로 바뀌거나 공룡계 메달로 인한 폭주와 그리드화라는 요소로 늘 스토리의 중심에 있음을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다.[13] 버스와 마찬가지로 2호 라이더이면서 서브 주인공이 아닌 라이더로는 가면라이더 카이자, 가면라이더 이부키가 있다. 하지만 카이자는 특유의 캐릭터성으로 스토리를 캐리해 비중이 높았다.

관련 문서

  • 가면라이더치 -50th 애니버서리Ver.
  • 올 가면라이더 - 라이더 레볼루션
  • 전 가면라이더 대투표
  • 초덴오 트릴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