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더건전 비스트모드 - enteodeogeonjeon biseuteumodeu

엔터 더 건전 : Enter the Gungeon / WIKI

엔터더건전 비스트모드 - enteodeogeonjeon biseuteumodeu
Free
엔터더건전 비스트모드 - enteodeogeonjeon biseuteumodeu
 

2018. 5. 21. 16:25

엔터더건전 비스트모드 - enteodeogeonjeon biseuteumodeu
https://blog.naver.com/webjju/221280834303

1. 개요[편집]

2016년 4월 5일 Dodge Roll에서 PC(스팀)과 PS4로, 2017년 4월 5일에 XBOX ONE, 2017년 12월 14일 닌텐도 스위치로 출시한 톱뷰 방식의 액션 슈팅 로그라이크 인디 게임이다. 발매한지 하루(2016년 4월 6일)만에 스팀 판매순위 1위에 올랐다.

공식 한글화가 되어 있지만, 게임을 처음 실행할 때는 영어로 나온다. 한글로 즐기고 싶다면 튜토리얼을 시작하기 전에 잊지 말고 설정에서 언어를 변경해주자. 다만 광산이 지뢰로 번역되어 있는 등 번역 상태가 미묘하게 안 좋은 부분이 있으며, 또 원문 자체가 애초에 번역이 힘든 말장난이 여럿 있으니 그것을 감안한다면 영어판으로 해도 관계 없다.
화약 광산으로 정상 번역되었다. 3층에서 사망시 나오는 지역 부분이 여전히 지뢰로 되어 있다.

2. 프롤로그[편집]

은하계에 전해 내려온 하나의 전설...

머나먼 행성에...
음울한 성 하나가 있었다...

...갑작스레 하늘이 갈라지며
죽음의 군단이 내려왔다.

성은 산산조각이 났지만,
불가사의한 힘을 가진 유물은 그곳을 떠나지 않았다.

바로 과거를 없앨 수 있다는 총이었다.

시간이 흘러 성은 재건되었고
전설을 들은 이들은 또 한 발의 총알을 쏘고자 모든 것을 걸었다.

총을 손에 넣고 과거의 실수를 되돌리기 위해서였다.
그들은 필사적이었다...[2]

3. 상세[편집]

톱뷰 액션 로그라이크 탄막슈팅게임. 아이작의 번제나 Nuclear Throne을 플레이해 본 사람이라면 익숙할 것이다. 진행속도가 아이작의 번제에 비하면 빠르고 Nuclear Throne에 비하면 느린 감이 있지만, 제목처럼 던전을 탐색하는 쪽으로 방향성이 맞춰져 있고, 테이블을 뒤집어서 엄폐물을 만들어 시간을 벌어야 하는 등 톱뷰 슈팅게임에서는 이례적으로 은엄폐가 중요하게 작용하며, 사방에서 탄막이 날아온다. 액션요소를 도입한 탄막슈팅게임이라 초심자들에게는 1층 보스도 버겁다.

제목의 Gungeon에서 눈치챌 수 있듯이, 총과 던전에 관련된 말장난과, 액션 영화에 대한 패러디가 넘쳐난다. 예를 들어 튜토리얼에서 주어주는 무기인 Peashooter는 식물 vs 좀비 패러디이며 적들로 등장하는 총알을 닮은 캐릭터들의 종족은 데드, 게임 내에서 통용되는 화폐가 탄피라던가, 심지어 스타듀 밸리에 나오는 물뿌리개를 패러디한 총까지,[3] 깨알같은 패러디들이 너무 많아서 다 적을 수 없다.

한 쪽 극단에서는 Gatling Gull이 갈매기관총으로 번역될 정도로 훌륭한 번역 상태를 보여주지만 반대쪽 극단에서는 광산이 지뢰가 되어 있거나[4] 형제나 자매들이 서로 동생과 형을 뒤바꿔 부르는등[5] 매우 기묘한 번역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래도 진행이나 이해에 지장을 줄 정도의 심각한 오역은 없는 편. 실력이 괜찮은 번역가가 번역을 했긴 했는데, 시간 문제 때문에 게임을 전부 플레이하지 않고 텍스트만 가지고 번역을 한 듯.


발매시 누군가가 게임 데이터를 뜯어봤는데 발매 때에 등장하지 않은 더미 데이터로 추정되는 총기와 아이템이 있었는데# 이것들은 2016년 가을에 'Supply Drop Update'로 추가되는 아이템으로 확인되었다. 로봇/총탄 캐릭터를 위한 신규 루트, 새로운 보스나 적들이 추가될 예정이며 확장팩이지만 무료로 배포될 예정이라고 한다.
참고로 푸른 색에 종을 겨냥하고 있는 케릭터는 Mine Flayer. 변역명은 지뢰를 뜯어먹는 자

1월 13일 1.1.0 beta 4가 업데이트되었다. 정식 패치는 1월 26일에 완료되었고, 우리나라는 1월 27일에 정식 발매하였다.


100만장 판매고를 올리면서 DLC떡밥을 내놨었는데 2017년 8월 27일, 새로운 업데이트 공지가 떴다. 업데이트 명은 Advanced Gungeons & Draguns로 새로운 아이템과 총기[6], 수백가지가 넘는 새로운 시너지[7], 새로 나오는 중보스와 보스 그리고 난이도 하향이 주된 내역으로 서플라이 드랍 업데이트처럼 확장팩급 볼륨을 자랑하는 무료 DLC로 나온다. 체험판은 9월 4일에 열리는 PAX West 2017에서 공개될 예정이며 9월에 작지만 대단한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이다.

이하는 업데이트 알림과 함께 올라온 글이다.

엔터 더 건전 개발사인 닷지 롤에서 다음 무료 메이저 업데이트인 어드밴스드 건전스 앤 드래건즈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건전이 "너무 어렵고, 너무 부족하거나, 너무 느리다"고 여기는 유저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커뮤니티 요구에 따른 변화, 삷의 질, 편리성, 수백가지의 새롭고 더 강력한 시너지 효과들, 다수의 총과 아이템들, 건전에서 가장 미움 받는 우리의 거주자인 새로운 보스의 복수[8]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당연히 새로운 방들, NPC들, 비밀들, 새로운 미니 보스 또한 있습니다. 게임 난이도와 싸움을 하는 플레이어를 위해 옵션을 유지하면서 건전을 더 관대한 장소로 만드는게 우리의 주요 목표 입니다. 닌텐도 스위치 버전을 포함하여 이번 가을에 어드밴스드 건전스 앤 드래건즈 업데이트가 나옵니다. 이번 업데이트가 끝은 아니며 작지만 그러나 끝내주는 무언가가 9월에 나옵니다. 그리고 내년에 우리는 벽을 허물겠습니다. 그때까지 우리를 위해 쥐새끼 면상[9]에 펀치를 먹여주세요."

... 그러나 위의 공지가 무색하게 현재 서브레딧을 통해 발표한 타임 스케쥴은 올 9월에 AG&D가 아닌 작은 업데이트/패치 with 콜라보, 올해 말에 AG&D. AG&D는 연기될 경우 내년 초까지 기다려야 하며, 내년 2018년 중으로 마지막 컨텐츠 추가로 예상되는 유료 DLC가 준비중이라고 알려졌다.

2017년 10월 5일엔 페이데이 2와의 콜라보 업데이트를 하여 3가지의 관련 아이템(드릴, 돈가방, 페이데이 가면)이 추가되었다.

2017년 11월 18일 일요일 결국 AG&D 패치는 1월로 연기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약속한 시일이 지났음에도 AG&D 패치가 아직까지 업데이트가 안되고 있는데 1월로 연기했음에도 아무런 소식도 없이 업데이트가 안되고 있어서 사실상 1월 업데이트는 거짓말을 한 셈이 되었다. 일해라 디볼버

2018년 2월 17일 AG&D 패치는 또 연기되었다고 나왔다.# 업데이트된 컨텐츠의 고퀄리티를 위해서 연기했으며 릴리즈 날짜를 확정할 수 없지만 '곧(soon)'이라고 한다.[10]

4. 기본 조작[편집]

기본적으로 WASD를 통해 이동하고 마우스로 조준해 왼쪽 클릭으로 총을 발사하는 무난한 방식이다.
WASD키로 방향을 정한 채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면 구를 수 있는데 구르는 동안에는 무적판정이 된다. 사실상 이거 없으면 피할 수 없는 패턴들이 넘쳐난다.

E키를 누르면 상자를 열거나 대화를 하는 등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데 테이블에 붙은 채로 E키를 누르면 테이블을 뒤집어서 엄폐물을 만든다. 엄폐물은 피아를 구분하지 않고 총알을 맞다보면 부숴지지만 상당히 오랫동안 버텨주니 [11] 적과 자신 사이에 테이블이 보이면 되는대로 뒤집어주자. 테이블을 뒤집는 순간에 테이블은 잠깐의 무적판정이 난다. 테이블 때문에 속도가 느려지거나 못 움직여서 죽는 경우도 있으니 신중하게 활용할 것.
또한 특수 통나무들도 굴릴 수가 있는데 위험한 폭발, 독같은 것들이 자기 주변에 있으면 피하는게 좋지만 E를 눌러서 굴릴 수도 있다. 그렇지만 적들의 총에 의해 터져서 데미지 입으면 상당히 화가나니 판단 잘할 것.

Q키를 누르면 공포탄(Blank)을 하나 소비해 화면상의 적탄을 모두 지우며 적들은 일정시간동안 총알을 발사하지 않는다. 사실상 슈팅게임의 폭탄. 원본이 그렇듯이 무한정 사용할 수는 없지만 적을 물리치면 드랍되거나 상점에서 판매하니 구르기로 피할 수 없을 것 같을 때 사용하자. 탄막제거 외의 용도로는 금이 간 벽이 있는 방에서 사용하면 숨겨진 방으로 들어갈 수 있다.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좌측 하단의 표시된 액티브 아이템이 사용된다.

Tab키를 누르면 지도가 표시되는데, 지도가 표시된 상태에서 방을 클리어할 때마다 활성화되는 리볼버 탄창 모양의 텔레포터를 클릭하는 것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전투중이 아닐 때면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며 상점이나 보스룸 앞 같은 중요한 방에는 반드시 텔레포터가 있으니 애용하자. 마우스휠로 지도의 크기를 바꾸거나 드래그로 지도를 끌어 옮길 수 있으니 지도에서 텔레포터가 보이는 곳까지 일일이 걸어갈 필요는 없다.

F키를 길게 누르면 현재 장착중인 총을 놓을 수 있으며 G키를 길게 누르면 장착한 액티브 아이템을 놓는다. 튜토리얼에서 설명을 안 해주기 때문에 처음 하는 유저들은 잘 모른다.

키보드 외에도 엑스박스 패드, 듀얼쇼크4도 별도의 드라이버 설치 없이 지원 가능하므로 패드를 가지고 있는 위키러들은 한번 사용해보자.

5. 게임 요소[편집]

6. 오브젝트[편집]

  • 상자

상자는 등급이 있으며, 등급에 따라 나오는 아이템이나 총의 품질이 달라진다. 최하 등급인 D등급 상자부터 최고 등급 상자인 S등급 상자, 그리고 그 외의 2종류의 상자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는 한 층에 상자 1개가 있는 방이 2개 존재하며, 그 외에는 방을 클리어할 때 낮은 확률로 나타난다. 공포탄 제단이나 윈체스터 사격 게임 등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상자방에서 나오는 상자의 등급은 게임이 진행될수록 더 좋은 등급의 상자가 나올 확률이 높다. 한 스테이지에 있는 2개의 상자 안에는 하나는 총, 하나는 액티브 또는 패시브 아이템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상자는 열쇠로 잠겨있기 때문에 열쇠 1개를 소모해서 열어야 한다. 열쇠가 없다면 부술수도 있지만, 부수면 하트, 열쇠, 갑옷, AMMO, 고물, 부순 상자의 등급보다 몇 단계 낮은 아이템이 나오거나, 폭발하게 된다. 상자를 부쉈을때 고물이 나올 확률은 열쇠가 없을시 60%, 열쇠가 있을시 72%다. 상자 해부학 아이템을 가지고 있을 경우 고물이 나오지 않는다.

가끔 상자가 흉내쟁이라는 상자 모양의 몬스터일수도 있는데, 이때 열쇠로 열거나 공격하면(열쇠는 소모된다. 상자를 한대씩 때려보는 습관을 기르자) 플레이어를 공격하며, 처치시에 아이템을 드롭한다(따라서 상자가 흉내쟁이일 경우 고물을 얻을 수 없다. 흉내내기 우정 반지를 가지고 있을 경우 흉내쟁이어도 상자를 부수는게 가능). 흉내쟁이는 닭으로 변신시키는 즉사 효과에 면역이다. 저주 수치가 증가할수록 상자가 흉내쟁이로 변할 확률이 높아지고, 또한 상자에 도화선이 붙을 확률또한 올라가게 된다. 도화선이 터져서 상자가 부숴지면 아무것도 안나온다.

D~S등급의 상자외에도 B~S 등급의 총/아이템을 8개 드롭하는 무지개 상자가 존재한다. 굉장히 낮은 확률로 출현할 가능성이 있고(0.0333%) 방 클리어시 출현 확률은 0.001%... 무지개 상자는 여는데에 열쇠가 필요하지 않고, 흉내쟁이로 변하지 않으며, 흉내쟁이 이빨 목걸이를 착용해도 흉내쟁이로 변하지 않는다. 또한 오류 난 보스방[12][13]으로 끌고 가는 버그 걸린 상자일 때도 있다. 이 상자는 오로지 1층, 2층, 3층에서만 0.1%의 확률로 출현한다.

  • 먹깨비

    총굴의 상점이나 작은 방에서 볼 수 있는 초록색의 상자로, 소지하고 있는 무기 중 두 개를 먹이면 새로운 총 하나를 뱉어낸다. 한 번 교환하면 배가 불러 잠들기 때문에 같은 먹깨비는 다시는 이용할 수 없다. 일반적으론 폐급 무기나 탄환을 다 써버린 무기를 재활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먹깨비에게 누적 100개의 총을 먹이면 총 '돌연변이'를 해금할 수 있다.
    무슨 총을 뱉어낼지는 완전히 랜덤이며, 넣은 총의 등급에 따라 나오는 총의 등급이 결정된다. B+B라면 B가 나오고 A+C라면 A~C등급이 나오는 식. 총을 집어넣으면서 한 칸 전에 있는 총을 자동으로 들게 되기 때문에, E키를 연타하다가 실수로 다른 총을 집어넣지 않도록 주의. 여러 특수총 두개를 먹이면 특정 총이 무조건 나오는 조합법이 존재한다.

재료1

재료2

결과

리볼버류
(.38 스페셜
콜트 1851
매그넘
SAA
히죽히죽 리볼버
그림자 리볼버)

결빙 무기
(크레스트폴러
얼음 광선
서리 거인
빙하총
아이스 브레이커)

콜드 45

석궁류
(석궁
샷보우
3단 석궁)

마법무기
(헥사건
마녀 피스톨
유니콘 뿔
화염 스태프)

초승달 석궁

무기팔
(화염구
메가핸드)

자동화기
(AK-47
M16
MAC-10
기관권총)

머신 피스트

무기팔
(화염구
메가핸드
머신 피스트)

중독무기
(감마 레이
역병 피스톨
플런저
래틀러
샷그럽)

돌연변이

RPG

벌통

스팅어

  • 악마 먹깨비

    임의의 갯수의 총을 먹이면 25% 확률로 S등급 총을, 75% 확률로 A등급 총을 준다. 먹깨비와 마찬가지로 한번 총을 주면 휴면기에 들어가므로 다시는 이용할수 없다. 6층 전까지는 매우 낮은 확률로 볼 수 있고, 6층에선 비밀방에서 무조건 출현한다. 총을 엄청나게 처먹어대니 나온다는 기대는 하지 않는것이 좋다. 1개를 먹여서 줄때가 있는 반면에 20여개의 총들을 먹였는데도 안나올수있기때문에 한개만 더 하다가 패가망신하고 게임종료할수 있다. 무엇보다 심각한 버그가 존재해서 총을 먹고 배고프다고 하면서 총을 뱉어내고 갑자기 휴면기에 들어가는가 하면 배를 다 채웠다고 말하지만 아무것도 안뱉고, 이때 다시 총을 주면 배고프다고 다시 총을 먹어댄다. 서플라이 패치이후로 버그가 수정되었다. 그러나 정상적으로 작동된다는 이야기 일 뿐, 총을 무지막지하게 먹어대는 창렬성은 변하지 않았으므로 주의. 처음 악마 먹깨비를 사용하면 무조건 10개의 총을 요구하는데, 이 때 10개의 총을 먹이면 건슬링거의 재를 해금 할 수 있다. 건슬링거의 재를 해금할 때의 카운터는 다음 게임에서도 이어진다.

  • 악마 얼굴

    출현 조건은 아래 서술된 모든 NPC를 구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주가 1 이상이거나 탄피가 100개 이상[15] 있어야 진입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데미지를 입고 쫓겨난다. 
    위 자격을 충족한 상태로 진입하면 '블랙 마켓'이라고 부르는 곳으로 순간이동되는데, Old Red, Cursula, 굽튼 교수, Flynt의 상점이 있고, 옆방에는 보통 가격의 절반을 받는 윈체스터의 사격장이 있다.[16] 해당 방의 상점은 Flynt를 제외한 보통 NPC가 파는 물건값보다 훨씬 싸게 물건을 판매한다. 해당 방에 나가면 악마 얼굴이 사라지지만 해당 방의 빠른 이동을 시키는 실린더가 있어서 언제든지 갈 수 있다. 블랙마켓에 입장하는 도전과제가 존재한다.

    입을 향해 메가도저나 배럴 등 물장판을 까는 무기를 쏘면 아이템 하나를 랜덤하게 준다. 물장판이 아닌 독이나 기름장판을 뿌리는 무기를 쏠시에도 아이템 하나를 준다. 디자인의 유래는 던전 앤 드래곤즈의 유명 시나리오인 Tomb of Horror의 악마 얼굴.

  • 거울

    아무 것도 없는 좁은방에 거울 하나만 덩그러니 놓여있다.
    하지만 지도로 보면 거울 옆에 상자가 같이 있으나 정작 해당 방에 가면 상자는 안보이고 거울만 있는데 거울을 자세히 보면 없는 상자가 비춰져 보인다. 이 때 상자의 색은 무작위이며 심지어 흉내쟁이일 수도 있다.이 경우 빨리 열고 재빠르게 구르자.
    이 상자 위치에 맞춰 서서 상호작용을 하면 상자가 열리고 거울이 깨지면서 저주가 3.5 스탯 오른다.
    상자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거울에 공격을 해도 거울이 깨지며 저주가 오르는데 이 때 상자를 여는 것은 불가능하니 절대 총으로 쏘면 안된다.

만약 거울 안의 상자가 무지개 상자라면 A등급 상자의 모습으로 보인다.
 

7. 제단[편집]

총굴을 돌아다니다보면 발견할 수 있는 각자 다른 효과를 주는 제단들. 다만 소모품을 소비하는 것에서부터 저주 수치를 늘리는 등 발동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탄환의 제단

탄약의 정령 쉘탄을 모시는 사원입니다
(사용 시)악마와의 거래 - 점점 어두워지는 그림자.

현재 소지한 모든 총의 빈 탄창을 전부 채워준다. 저주 3.5 스텟 증가.

천사의 제단

한때 자존심 강한 총탄 천사였지만 지금은 타락한 자의 사원입니다
(사용 시)승인된 희생 - 더욱 강해집니다.

최대 하트 한 칸을 지불하여 공격력을 25% 올린다. 저주 1.5 스텟 증가. 로봇은 사용할수 없다.

공포탄의 제단

읽을 수 있는 글자는 '..바치며...'뿐입니다.
나머지는 다 지워졌습니다.

상호작용 한뒤, 근처에서 공포탄을 사용하면 랜덤으로 상자를 생성한다. 모든 색상의 상자와 흉내쟁이, 버그 걸린 상자도 등장한다. 첫 공포탄을 썼을 때 상자가 나올 확률은 90% 이며, 2번째 공포탄을 쓸 때 45%확률로 상자가 나타난다.그 이후는 25% 확률로 감소한다. 무서운것은 치트사용 유저들중 공포탄 무한 기능 사용시 상자가 계속 나와 아이템 파밍이 가능하다.. 한마디로 0.1%확률인 오류상자를 반복해서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제단은 오래된 공포탄으로 발동할 수 없다.

심판의 제단

석상에서 불길한 예감이 느껴집니다.
어둠의 기운이 이 사원에 스며듭니다.

발동시키면 방 안에 적들을 소환하기 시작하며, 3웨이브를 클리어할 시 랜덤으로 상자를 하나 생성한다. 페널티의 특성 상 다른 제단들과는 달리 넓은 방 안에 있다.

정화의 제단

악령은 그대와 접촉하지 않았다(저주 2스텟 이하)
그대는 암흑과 접촉했다(저주 2스텟 초과, 4스텟 이하)
암흑이 그대를 에워쌌다.(저주 4스텟 초과, 7스텟 이하)
지체하지 말지어다. 그들이 오고있다.(저주 7스텟 초과, 9스탯 이하)
누구도 그대를 도와줄 수 없다.(저주 10스텟 이상)
(사용 시)정화 - 영혼이 가벼워집니다.

샘물을 마시면 저주가 전부 없어진다. 다만 저주 하나당 5탄환씩 총 저주를 한번에 없애는 계산이라 저주를 하나씩 없앨수는 없다. 단,저주가 10 이상일땐 샘물을 마실 수 없다.

주사위 굴리기의 제단

위대한 심판자 아이코사드락스의 사원
(발동 후)한때 이 성지에 살았던 영혼들은 모두 떠나고 말았습니다
 

탄피를 지불하고 TRPG에 흔히 쓰이는 1d20 주사위를 굴려 랜덤한 효과를 받는다. 좋은 효과 하나와 나쁜 효과 하나가 같이 나오거나, 희박한 확률로 좋은 효과만 둘 나오는 경우도 있다. 모든 효과는 다음과 같다.
 

  • 좋은 효과
    새로워짐 - 무작위의 체력 회복
    강화됨 - 최대 체력 1~2개 증가
    보호됨 - 아머 1~3개 증가
    지불함 - 탄피 20~99개 증가
    제거됨 - 최대 10의 저주를 제거
    선물 - 무작위의 상자 하나
    재장전됨 - 탄환 회복 또는 최대 장탄수 125% 증가
    공포탄 효과 - 공포탄 1~10개 추가
    빨라짐 - 이동속도 증가
    가격 측정 불가 - 효과 없음

  • 나쁜 효과
    고통스러움 - 체력을 1~2칸 잃는다.
    쇠약해짐 - 최대 체력 1개 감소
    한계 있음 - 최대 장탄수 30% 감소
    공포탄 효과 제거됨 - 공포탄수 무작위로 감소
    강도 당함 - 25~100%의 탄피 잃음
    저주받음 - 저주 5 증가
    무장 해제 - 현재 장비한 총 파괴
    불안정함 - 재장전 시간 증가


가끔 소유한 모든 체력과 모든 갑옷을 1개씩으로만 가지게 되고 공격력을 대폭 증가시켜주는 버프도 존재한다. 이 때 아래 인터페이스에 특별한 메세지가 나오지 않고, 제단이 폭발한다. 공격력이 어느 정도로 강해지냐면 6층의 몬스터들이 1층의 몬스터 체력과 비슷한 정도, 어쩌면 그보다 더 이하일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보스 클리어가 굉장히 쉬워진다.거의 총굴 견학정도? 체력과 갑옷이 많을수록 이 효과가 증폭되는 것으로 보인다. 데미지가 4배가 되며 넉백이 증가한다.

평화의 제단

무장을 해제한 한 잊혀진 총탄을 모시는 사원입니다...
(사용 시)평온 - 다음 생에는 총으로 살리라

현재 장비중인 총을 없애고 하트 한 칸을 채워준다. 참고로 소서러스의 축복을 받았다면 무한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Y.V.동상

총의 신들을 모시는 사원입니다.
(사용 시)펑이요 - 갑자기 나타난 총탄

기도 시, 탄피를 소모하여 연사의 축복을 받는다. 
기도를 많이 할 수록, 사격 시 발사체 수가 증가하지만(추가 탄약 소모는 없다.)
기도에 필요한 탄피의 양도 증가한다.(최초 10탄피, 10탄피씩 늘어난다.) 
450탄피로 9번 기도한 영상 유툽
석상 모양부터 발동조건, 플레이어에게 주는 효과까지 모두 Nuclear Throne의 캐릭터 Y.V.의 패러디. 여기에서 등장하는 Y.V.의 설정은 '수전노인 총굴의 신'이다. 여담으로 치트를사용해 400탄피 이상까지 공물을 바치면 연사력이 거의 고정되는듯 하다 1000개를 바치던 500개를 바치던 별차이 없다는 소리 매 기도를 할때마다 2~4발의 추가타가 나갈 확률이 3.7%씩 추가된다. 별 차이가 없다는건 말도 안되는 소리. 로봇의 딱총의 경우 한발 발사시에 정상적으로 표현되는 연사력이 넘어 2~5발정도 나가는듯 하나 연타로 공격하면 개틀링처럼 나간다. 3번정도만 업그레이드해도 화력이 3배정도 뻥튀기되는 사기제단

세르 쓰레칸의 성소

흙수저로 시작해 총굴 최고의 전사가 된 세르 쓰렉칸의 성소입니다.

기도 시, 고물을 바치고 갑옷을 하나 채워준다. 
고물을 바치는대로 갑옷을 채워주는 성소로 --로봇으로 할 때 후반에 이 성소을 만나면 매우좋다. 단 고물을 바치고 갑옷을 받는 것이므로 쓰레기를 키우는 중에는 달갑지 않은 성소.

유리로 된 성소

유리로 된 성소입니다.

기도 시, 동상이 깨지면서 '유리 장갑, 판유리 듣보잡여신의 축복'이라고 뜨며 '유리 구온석'이 잠금 해제된다. 추가로 즉시 3개의 유리 구온석을 준다. 유리 구온석은 다른 구온석처럼 주위를 돌며 적의 탄환을 막아준다. 방 클리어시 가끔씩 나오며 상점에서 공포탄과 함께 판다. 아예 유리 구온석만 팔기도 한다.단, 플레이어가 피격될 시 가지고 있던 유리 구온석은 모두 사라진다.

8. 저주[편집]


엔터 더 건전에는 저주라는 숨겨진 수치가 존재하며, 특정한 행동을 하면 쌓이게 된다. 무조건 저주가 1스텟씩 쌓이는것은 아니며, 최대 스탯에 제한은 없다. 스탯이 하나라도 쌓인다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 적들이 탄피를 드롭할 확률이 높아진다.[17]

  • 저주탄환인 검붉은 총탄에 맞으면 하트 한 칸이 닳는다. 갑옷은 기존대로 1개를 잃는다. 일반탄은 반 칸.[18]

  • 숨겨진 스텟인 행운 스텟이 감소한다. 저주가 많이 쌓일수록 더 많은 행운이 감소하게 된다. 기본 계산은 (기본 행운 스탯 1+ 행운 스탯(N)-저주 스탯(N))%. 잘못된 정보.

  • 현재 소지한 총의 탄약을 채워주는 AMMO 아이템이 나올 확률이 저주 1당 5% 증가한다. 기본 1.05 배부터 최대 1.5배 까지 증가한다.

  • 방 클리어시 주는 보상의 등장 확률이 낮아진다. 최소 1%부터 최대 10%'''까지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방 보상 확률은 계속해서 저주 1당 1%씩 감소한다.

  • 저주 수치가 쌓일때마다 상자가 흉내쟁이가 되거나 도화선[19]이 붙을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흉내쟁이의 경우는 기본 2.25% 부터 최대 23.25%까지 증가하게 되고, 도화선이 붙을 확률은 최소 5%부터 최대 50%까지 증가하게 된다. 흉내쟁이 확률은 2.25%에 저주 1당 2.1%씩 증가한다. 도화선 확률은 저주 1당 5%씩 증가. 도화선은 기름을 제외한 액체에 닿으면 불이 꺼진다. 침착하게 액체성 무기가있는지 기억해 뒀다가 급하게 열쇠를 사용하지않게 주의하자

  • 저주 스탯이 하나라도 쌓이게 되면 궁지에 몰린자라는 검붉은 색의 강화형 적들이 등장하게 된다.[20][21][22]] 이 적들이 가하는 공격에 피격당하거나 접촉하면 하트 1칸의 대미지를 받으며,[23] 이 적들은 통상 적보다 이동속도와 공격속도가 빨라지고, 3배의 체력을 가진다. 처치시 일반 적 보다 더 많은 탄피를 드롭하고, 탄피를 거의 드롭하지 않는 물컹 계열의 적들 또한 탄피를 드롭하게 된다.[24] 출현 확률은 최소 1%부터 최대 50%까지 늘어난다.

출현 확률은 저주 1~6에서는 1~5%로 낮지만, 7~8은 10%, 9에서는 25%, 10에서는 50%의 확률로 나온다. 저주 카운팅을 잘 해야 하는 이유.

  • 저주 스탯을 7까지 쌓게되면 궁지에 몰린 보스가 출현. 말 그대로 보스의 강화형 버전이다. 궁지에 몰린 자들과 특성은 동일하지만, 특정 보스의 경우 패턴이 약간 바뀌는 경우가 있다.[25] 출현 확률은 저주 7~8일때 20%, 9일때 30%, 10일때 50%. 해당 보스는 체력이 120%에 100만큼 더 추가되며 모든 탄을 빨간 탄으로 쏜다.

  • 저주를 쌓았다면 기본적으로 악마의 얼굴에 진입할수 있게된다.(또는 탄피 100개 소지시 가능하다.)

  • 저주를 10까지(최대치) 쌓게 되면 되면 궁지에 몰린 자들의 지배자라는 적이 등장하여 모든 지형을 무시하고 쫒아다니면서 일정시간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탄을 발사하는데, 절대 죽일 수 없으며, 동일한 형태의 적인 건리퍼와 달리 방을 클리어해도 사라지지 않고, 심지어 다음 층으로 넘어가도 사라지지 않으며, 이 녀석이 화면에 존재할때 상점 진입시 모든 상점 NPC가 폐업 한다. 접촉 판정은 없다. 1.10버전 까지는 저주 아이템을 버려서 저주 스탯을 내려도 사라지지 않았지만 패치 이후로 저주 스탯을 10 이하로 내린뒤 다음 층을 넘어가면 사라지게 변경되었다.


저주가 쌓이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저주가 붙어있는 아이템을 버릴경우 저주가 다시 감소한다.
해당 아이템을 들고 정화의 제단을 사용시 저주가 사라지지만, 저주가 붙은 아이템을 버렸다 다시 주웠을때는 저주가 다시 증가하니 주의.

  • 저주 아이템을 소지 했을 시

- 빅 보이 (1)
- 비탄의 상자 (1)
- 핏빛 브로치 (1)
- 브래킷 열쇠 (1)
- 나이프 실드 (1)
- 쉘레톤 열쇠 (1)
- 저주받은 총탄 (1)
오래된 공포탄 (2)
여섯번째 방 (2)

  • 저주 총을 소지 했을 시

    - 헌츠맨 (1)
    - 쉘리건 (1)
    - 유니콘의 뿔 (1)
    - 케이시 (1)
    엑스칼리버 (2.5)
    소드건 (2)

  • 특정 제단 사용 시

    - 쉘탄 제단에서 탄약 보충시 (3.5)
    - 타락 천사 제단에서 희생시 (1.5)
    - 주사위 굴리기 제단 사용시 저주받음 효과 (5)
    영웅 제단에서 기도하기[26] (9 스탯[27])

  • Culsula와의 상점 거래시 (2.5)[28]

  • 비밀방에서 등장하는 마녀와 총 거래 시 (2)[29]

  • 거울방의 거울을 부수거나 상자를 열었을 시 (3.5)

  • 상점에서 아이템을 훔칠 시 (1)

  • 경찰이 사망했을때 이야기를 나눌 시 (2)'''

  • 스파이스 사용시(첫번째 사용시 0.5. 두번째 사용부터 1.)

  • 서플라이 드롭 업데이트로 추가된 저주항아리의 범위안에 일정시간 동안 있을시 (1 스탯) [30] 

9. Coolness[편집]

엔터 더 건전에는 저주와 마찬가지로 Coolness이라는 특수한 스탯이 존재하며, 특수 아이템을 소지하거나 사용할 시 스탯을 증가시킬수 있다. Coolness 수치가 높을수록 특수한 효과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기본 캐릭터 Coolness 수치는 모두 1로 고정되어 있다. 최대 수치는 저주와 마찬가지로 10이다. 기본 캐릭터의 Coolness는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스텟에 제한은 없다.

아이템 드랍률 계산은 (1 + Coolness - 저주)%이며, 아이템이 드롭될 때까지 누적되다가 아이템이 드롭된 뒤 초기화된다.

Coolness 수치가 쌓일시 효과는

  • 액티브 아이템 쿨타임 주기가 1 스탯당 최소 5%씩 감소되며, 최대 50%까지 감소시킬수 있다.

  • 방 클리어시 보상 출현 확률이 증가. 1 스탯당 최소 5% 부터 최대 50%까지 증가하며, 상자에 도화선이 붙을 확률이 1 스탯당 2.5%씩 감소하게 된다. 방 클리어 보상 확률은 기본 1%다. 1%+Coolness 수치만큼의 방 클리어 보상 확률을 가지며, 방 클리어시 보상이 나오지 않았을 경우 9%(싱글플레이 기준)씩 증가한다. 방 클리어 보상이 나왔을 경우 이 수치는 초기화 된다.

  • 상자의 도화선 확률이 2.5%씩 감소한다.

* 보팔건의 크리티컬 샷 확률이 증가한다.

Coolness 수치를 쌓을수 있는 아이템

  • 투표 용지 (3)

  • 담배 (사용시마다 1)

  • 얼음 심장 (1)

  • 아이스 큐브 (3)

  • 마법 사탕 (1)

  • 오렌지 (사용시 2)

  • 여섯번째 방 (저주 1당 2)

  • 선글라스 (2)

  • 강철 동전 (2)


Coolness 수치를 쌓을수 있는 총

  • 그림자 리볼버 (3)

  • 올드 골디 (1)

  • 기막힌 총 (2)


특수 조합을 만들 경우

  • SAA 총기 소지, 박스 소지, 군용 식량 소지시 (3 스탯. 군용 식량 사용시 초기화.)

10. Challenge Mode[편집]

서플라이 패치에 추가된 모드. 감옥에서 구출할수 있는 Daisuke 라는 NPC를 구출한 후 NPC에게 말을 걸어 6 헤게모니 크레딧을 지불하고 진행하는 다음 게임에서 챌린지 모드를 즐길수 있다.

이 모드의 특징이라면 게임을 진행하는 내내 랜덤한 디버프가 적들이 있는 방에 진입하면 바로 활성화가 된다. 때문에 기존 게임과는 다른 플레이가 심하게 요구가 된다. 참고로 한국어로 할 시 디버프 아이콘만 보이고 이름은 뜨지 않으므로 이 모드를 할 때만큼은 영어로 바꾸고 하는게 방 진입시 빨리 확인할 수 있다.

초반에는 디버프가 하나만 걸리지만 계속 진행하면 디버프가 최대 3개까지 중첩이 되기 때문에 진행하면 할수록 실력보다 운을 더 중시하게 되는 극악한 난이도로 돌변한다. Explosive Pyres 같이 대세에 별 지장이 없는 디버프는 몇중첩이 걸려도 별 상관이 없는 반면, 전체 강화계 적에게 Last Bullet Standing이 걸린다든가하면 그야말로 극악한 난이도로 돌변하는 식이다. 특히 보스전은 어떤 디버프가 걸리느냐에 따라 노미스 클리어는 물론이고 생사여부가 달릴수도 있기 때문에 보스전에서 최대한 잘 풀리길 기도해야 한다[31]

함정만 있는 방에는 디버프가 걸리지 않지만 적이 함께 있으면 디버프에 걸린다. 낙사 함정이 있는 곳에 디버프가 걸릴 수 있고 저주 모드와 같이 중첩해서 플레이할수도 있는데, 저주 모드 단일로 진행하는 것이 껌으로 보일정도의 난이도를 보여준다.

방에 진입할시 걸리는 디버프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후에 업데이트로 긍정적인 효과를 버프가 추가될 수 있다.

  • Adrenaline Rush
    캐릭터가 방에서 구를때마다, 그 방의 진행 속도가 빨라진다. 캐논발로그나 불기둥 같이 구르기를 강요하는 보스전에서 이게 걸리면 최대한 빨리 쓰러뜨러야 한다.

  • Blobulin Rancher
    캐릭터가 발사한 탄이 빗나가서 벽에 닿으면 물컹 전사가 한마리 소환된다[32]. 폴라리스를 들고 있을 경우 레벨업의 제물로 역이용해볼 수도 있다. 혹은 저주를 쌓은 상태라면 이걸 이용해 돈을 대량으로 모아볼 수도 있다. 저주에 걸린 물컹 전사는 랜덤하게 돈을 뱉기 때문. 특히 총탄은 근접 데미지도 받지 않고 풀피 상태 신성모독은 무한탄환이므로 시간만 있다면 탄피 무한 파밍이 가능하다.

  • Cursed Ceramic
    적들 중 한 종류인 Cursed Pot이 방에 대량으로 놓여져있다. 어떤 공격이든 한 대만 맞으면 깨지긴 하지만 방치하다가는 자기도 모르게 저주에 걸리기 쉽다.

  • Dark was the Night
    방이 깜깜해지고, 플레이어가 바라보는 방향으로만 시야가 제한된다. 대신 날아오는 탄환은 시야 밖에서도 볼 수 있다.

  • Don't Blink
    위의 디버프와 같으나, 플레이어가 바라보는 시야의 적들은 모두 스턴 상태가 된다. 그러나 시야에 들어오지 않은 적은 전부 궁지에 몰린 자의 상태가 된다. 위치만 잘 잡아주면 쉽게 각개격파를 할 수 있어서 의외로 어렵지 않은 디버프. 보스방에서는 걸리지 않는다.

  • Explosive Pyres
    적들을 처치할때마다 처치당한 적이 폭발한다. 디버프류 중에서는 만만한 축에 속하나, 물컹로이드, 물컹 독괴물, 박쥐 총탄류 적들을 습관적으로 구르기로 처리하다가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주의. 적과의 접촉에 면역인 총탄도 폭발 데미지 때문에 피해를 입기는 마찬가지다.

  • Final Attack
    적들을 처치할때마다 처치당한 적이 일정 확률로 원형으로 퍼지는 탄을 빠르게 발사한다. 보통 적은 일반적인 원형탄을 뿌리지만, 적들에 따라서는 본인들이 사용하는 특수탄을 뿌리는 경우도 있다[33].

  • Ghost of the Shell
    적들을 처치하면 일정 확률로 처치한 적에서 할로 포인트라는 적이 생성된다. 베타 시절에는 화약을 파먹는자가 뿌리는 부비 트랩들이나 소환하는 종들이 터지면 한꺼번에 대량의 유령이 나오는 끔찍한 상황이 연출되었으나 정식 버전에서는 수정되었다.

  • Gorgun's Gaze
    일정 주기로 랜덤한 곳에서 뱀총녀의 석화 효과가 있는 울림 현상이 일어난다. 이 현상을 마주볼시 일정시간동안 석화 상태(일정 시간 동안 이동 및 구르기는 가능하나 공격은 불가한 상태)가 걸리게 된다.

  • Gull's Revenge
    일정 주기로 캐릭터를 조준하는 갈매기관총의 미사일이 떨어지며 폭발한다. 해당 미사일은 적도 피해를 입는다.

  • Gun Queue
    총을 장전할 때마다 플레이어가 현재 가지고 있는 다른 총으로 자동으로 변경된다. 그나마 바뀌는 순서는 랜덤이 아니고, 재장전만 하면 무조건 바뀌기 때문에 조절은 가능하다. 주력 총이 단발식 총이라면 매우 골치 아픈 디버프지만, 재장전이 아예 없는 광선형 무기나 신성모독 같은 무기라면 거의 영향이 없는 디버프.[34] 대신 이 디버프로 강제로 총이 변경 될 경우 원래는 재장전이 긴 총들도 자동으로 재장전이 되기 떄문에 총 배치를 잘한다면 의외로 순간화력을 높이는데 써먹을 수도 있다.[35]

  • Hammer Time
    일정 주기로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대장간의 몹인 데드 블로가 등장하여 공격한다.

  • High Stress
    플레이어가 피격당하면, 플레이어의 하트가 5초동안 하트 반칸으로 고정된다. 갑옷이 여러개 있더라도 피격당하면 무조건 하트 반칸만 남은 상태가 되어서 노미스를 강요한다. 로봇의 경우 베타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정식 패치이후 한대 맞으면 갑옷이 전부 없어지게 변했다. 하이 드래건 조우시 이 디버프와 Dragun Rage 디버프만 고정으로 걸린다.

  • Last Bullet Standing
    해당 방의 적 중 하나가 무적이 되고, 그 적을 제외한 모든 적이 처치당하면 그 적을 처치할수 있다. 선택된 적은 머리위에 표식이 달려 구분할수 있다. 무적 상태인 적이라도 낙사가 가능하면 낙사시켜서 미리 제거할 수는 있다.

  • Long Live the King
    해당 방의 적 중 하나만 왕관 표시가 생겨 죽일수 있는 상태이고, 그 적을 제외한 모든 적들이 무적 상태가 된다. 선택된 적을 죽이면 나머지 적들도 모두 죽일수 있다. 무적 상태인 적이라도 낙사가 가능하면 낙사시켜서 미리 제거할 수는 있다.

  • Poison Pursuit
    독 장판이 플레이어를 따라온다. 독에 면역인 아이템이 있으면 상쇄시킬 수 있다.

  • Rat's Revenge
    해당 맵 바닥에 일정한 수의 1칸짜리 불 발사 함정이 깔린다.

  • Shockwave
    일정 주기로 랜덤한 곳에서 원형으로 탄이 발사되고, 탄마다 '''전기벽들이 이어져 맵 전체로 퍼져나간다. 장애물에 닿으면 더 이상 퍼져나가지 않으며, 전기나 탄에 피격판정이 존재한다. 벽으로 구르기를 습관화하는 유저라면 바로 전기에 피격당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주의사항으로 보스전에서 이게 걸렸을 때 보스를 처리하면서 굴렀을 때 전기에 닿으면 컷신이 끝날때까지 피해를 입는다.

  • Thermal Clips
    탄을 완전히 소비하여 총을 재장전 할때마다 플레이어가 서 있는곳에 불 장판이 깔린다. 반대로 말하면, 잔탄이 한발이라도 남아있는 상태에서 수동 재장전을 할 시 불장판이 깔리지 않는다. 단발 무기를 사용할 때마다 불 장판이 깔리기 때문에 바로 굴러줘야 한다. 불에 면역인 아이템이 있으면 상쇄시킬 수 있으며, 신성모독은 재장전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검기를 날릴 수 있으면 없는 디버프나 마찬가지다.

  • Pot Shots
    해당 방에 있는 항아리같은 오브젝트를 부수면 반격탄이 날아온다.

  • Unfriendly Fire
    플레이어가 발사한 탄이 벽에 닿으면 플레이어에게 피격판정이 있는 발사체로 변하여 도탄된다. 일반적으론 도탄되지 않는 탄환도 도탄되고, 해당 탄들은 적에게도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역이용해볼 수도 있다. 대신 원래 도탄되는 탄들은 벽에 닿는 순간 플레이어에게도 위험 요소로 변하므로 사용하기 힘들어진다. 백업용 총을 먹었을 때 이게 걸리면 상당히 골때리므로 해당 아이템은 되도록이면 먹지 말자.

  • Zone Control
    해당 방에 랜덤한 곳에 두개의 범위를 가진 상자가 설치되고, 플레이어는 해당 상자의 범위 내에서만 공격할 수 있다. 상자는 플레이어가 계속 있으면 범위가 점점 노란색으로 채워지는데, 다 채워지면 상자가 없어지고 정상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또한 상자는 캐릭터가 밀어 옮기는것도 가능하다. 두 상자의 범위가 겹치는 교집합 부분에 들어가면 상자를 없애는 게이지가 2배로 빨리 찬다.

  • Something wicked
    4층 공허 보스 하이 프리스트에게만 적용되는 디버프. 보스 격파 시 보스 방에 있는 모든 촛불들이 적이 되어 불 장판을 깔게 된다. 이게 걸리면 불 장판이 꺼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촛불이 위치하는 곳은 랜덤이며 그냥 플레이할 때에는 상관없지만 타임 어택을 하고 있는 중이라면 위험을 불사하고 출구로 가야 한다.

  • Extremely bad chess
    4층 공허 보스 불기둥에게만 적용되는 디버프. 보스 방이 체스판처럼 변하며 일정 시간마다 검은색 칸 혹은 흰색 칸에서 독 장판이 깔리고 사라진다.

  • Night's watch
    4층 공허 보스 벽치광이에게만 적용되는 디버프. 공격패턴은 기존과 동일하나 벽 위에 저격총 일족 2명이 플레이어에게 저격을 한다. 저격총 일족을 처치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보스를 격파하기 전까지는 무적이다. 촘촘한 탄막에다 고속탄이 날라오니 고속탄 피하려다가 느리게 날아오는 적탄에 맞을 수 있다.

  • Dragun's Rage
    5층의 대장간 보스 하이 드래건에게만 적용되는 디버프. 드래건이 발사하는 탄환의 스피드가 매우 빨라지며, 드래건의 패턴이 바뀐다. 여기에다 보스방에 진입하면 High stress가 항상 걸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드래건이 궁지에 몰린 보스가 될 경우 보통 구르기로는 피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1.수직으로 불을 발사하는 패턴은 탄이 벽에 닿으면 반사가 되며, 반사 고속탄의 경우는 정면에서 쏠 때 한발씩 쏘지 않고 두발을 한꺼번에 발사한다.
2.해골 유도탄은 5개에서 9개로 늘어난다.
3.RPG는 1발이 아닌 2발이 약간의 간격으로 동시에 발사된다[36].
4.2차 형태로 돌입했을 때 안전지대의 범위가 작아진다.

이 모드를 킨 채로 5층의 보스인 하이 드래건을 첫 격파시 Chaos Bullet 아이템을 해금할수 있다. 또한 이후부터 Challenge Mode를 두번 걸어 플레이하는 Real Challenge Mode를 플레이할수 있게된다. 첫 층부터 디버프가 2개씩 걸리며, 최대 중첩 디버프가 3개씩 중첩되던것이 5층부터는 5개가 걸리기 시작한다. 대신 헤게모니 크레딧도 2배로 든다.

11. 팁[편집]

  • 흉내쟁이는 열쇠로 열려고 하거나(열쇠는 소비됨) 때리면 싸움을 거는데 그 좁은 방에서 싸우지 않아도 됐지만, 패치로 캐릭터가 다른 방으로 피하면 흉내쟁이도 다른 방까지 쫓아오도록 바뀌었다. 상자를 열기 전 숨을 쉬는 행동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헌터로 시작했다면 주니어 2세가 구분해준다. 흉내쟁이라면 왕왕하고 짖어댄다. 잘 모르겠으면 일단 상자가 보이는 족족 기본무기로 한 발씩 쏴보자. 상자를 부수지만 않으면 아이템이나 총도 여전히 얻을 수 있고, 만약 흉내쟁이라면 바로 반격해올 것이다. 저주 스택이 높으면 흉내쟁이의 출현 확률이 올라간다고 하니, 사냥 퀘스트를 깨고 있을 때는 저주 9스택으로 시작하는 '기도드리기'를 사용해 보자.

  • 상점에서는 절대로 총을 쏘지 말자. 총을 쏠 경우 상점주인이 점점 적대적으로 변하는데, 첫 발 째에는 상점주인이 경고하고, 두 발 째에는 상점주인이 물건 값을 두배로 올린뒤 샷건을 꺼내들고, 세 발 째에는 일정 시간동안 샷건으로 바운스하는 탄을 마구 쏜 이후 폐업해 버린다. 폐업하면 게임이 끝날 때까지 상점을 이용할수 없으며, 물건을 판매하는 NPC 상점 또한 전부 물건을 팔지않는다.
    보통 로그라이크 게임에서는 상점 주인을 죽이고 물건을 먹튀하는게 가능하지만, 건전에서는 상인이나 NPC들에게 무적 배리어가 쳐져있어 절대 죽일 수 없다. 쏴봤자 난해한 반격탄이나 얻어맞고 상점을 다시는 이용할 수 없으며, 진열된 상품도 하나도 못훔치기 때문에 그냥 백해무익한 행위. 그러니 상점에서 무기 샀다고 시험사격 할 거면 꼭 나가서 하자
    돈을 안내고 물건을 먹고 싶다면 매혹이나 스턴, 은신 계열 아이템 등을 이용하자. 
    여담으로 상점주인에게 죽을 시 사인은 정의...
    상점에서 첫번째 총을 쏠때는 그냥 경고에 그치므로, 비밀방을 찾고 싶다면 한번정도 쏴보자. 물론 두번은 없다.

  • 공포탄은 각 층을 넘어갈 때 기본 공포탄 최대 갯수로 회복된다(기본 2개). 건전에서 유일하게 공짜로 채워주는 아이템이므로 다음 층으로 넘어가기 전에 공포탄이 2개 이하라면 비밀방 탐색에 부담없이 사용해버리자.

  • 비밀방
    엔터 더 건전의 각 층에는 아이템이나 NPC등이 숨겨진 비밀방이 확률적으로 0~2개 존재한다. 비밀방과 연결된 통로가 있는 벽은 무한탄약이 아닌 총으로 쏘면 갈라지고, 비밀방과 연결된 방에서 공포탄을 사용해 열 수 있다. 공포탄 효과로 열리기 때문에 갑옷이 깨지거나, 테이블 기술-공포탄으로도 열리며 액티브 아이템 폭탄과 무기 릴 봄버의 폭발로도 열 수 있다.
    비밀방은 지도상 빈 공간이 있어야 존재할 수 있고, 램프나 항아리 등이 없는 벽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든 방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상자방, 제단방, npc방, 상점, 다음층으로 가는 엘리베이터 방에 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상자방 12, 3, 6, 9시 지도상에 빈 공간이 있다면 확인해보자. 다음 층 엘리베이터방과 상점에서도 자주 나타난다.
    비밀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비밀방이 나오더라도 사실상 꽝일 경우도 많기 때문에 너무 찾으려고 무리할 필요는 없다. [37] 가장 추천하는 방식은 상자방이나 상점만 집중적으로 확인해서 비밀방이 있다면 체크해두고, 보스를 다 깨고 난 후에 남은 공포탄으로 비밀방을 해금 하는 것.
    여담으로 히든 스테이지인 총의 진정한 수도원에서는 무조건 npc 알번이 있는 비밀방이 존재한다.
    비밀방은 15 이상의 데미지를 줘야 벽에 금이 간다. 괜히 많은 탄약을 낭비할 필요가 없으며, 약한 총의 경우 여러발 쏴 줘야 한다는 말.

  • 반자동 연사
    대부분의 반자동 총기들은 마우스를 연타하면 꾹 누르고 있을 때 보다 공격속도가 빨라지는 특징이 있다. 특히 권총류는 공격속도가 빨라지는게 체감이 될 정도로 빨라지므로 알아두면 유용하다. 죄수와 사냥꾼의 저가형 리볼버/녹슨 사이드암도 해당된다.

  • 무기 관련
    Ctrl키를 한번 누르면 얻은 순서의 반대방향으로 무기를 변경한다. 3번째 무기를 얻었을 경우 3-2-1순으로 변경된다. 또한 Ctrl키를 꾹 누르면 시간이 느리게 흘러가는데 이건 메탈기어 솔리드의 아이템 창을 패러디한 것, 마우스 휠로 무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니 상황에 필요한 무기가 있으면 주저말고 Ctrl키를 꾹 누르자. 참고로 마우스 휠로도 무기를 변경할 수 있는데 Ctrl키를 누르는 것보다 더 빠르니 가급적이면 휠로 무기를 변경하되 무기 변경의 정확성을 위해서라면 Ctrl키를 꾹 누르고 휠로 선택하자. 아니면 아주 심플하게 숫자키 1,2,3,4를 누르는 것으로도 무기를 변경가능하다. 무기의 숫자 키는 먹은 순서대로 배정된다.(그러므로 1번은 무조건 기본무기) 여담으로 액티브 아이템의 경우에는 슬롯이 여러개일 경우 Shift키를 눌러서 변경할 수 있다.

  • 무기 슬롯 변경
    키보드 기준으로 단축키를 바꾸지 않았다면 F버튼을 꾸욱 눌러 무기를 떨어뜨릴 수 있다. 떨어진 무기를 다시 주울 경우 해당 무기는 맨 끝 슬롯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무기를 전부 버린 후 원하는 순서대로 다시 차례대로 주워 사용하기 편리한 배치로 만들 수 있다.

  • 재장전
    이 게임에 등장하는 모든 화기들은 자동 재장전이 아니라 수동 재장전이라 한 탄창을 다 쓰면 캐릭터 머리 위에 '재장전'이란 글자가 뜬다. 이 상태에서 마우스 왼쪽 클릭으로 재장전 할 수 있지만 R버튼을 눌러도 재장전이 된다. 참고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는 것보다 R버튼을 누르는게 장전 시간이 빠르다. 한창 난전 중에 탄약 없는 것을 깨달으면 클릭 한번 하는데도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 활 같은 단발 무기들은 클릭보다는 R버튼을 누르는게 연사력을 보정할 수 있으며, 더블클릭을 한다는 느낌으로 발사 후 바로 마우스를 누르면 발사 후딜레이를 무시하고 재장전을 할 수 있다. 총을 활성화 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총의 재장전 시간만큼 후에 자동으로 재장전이 된다. 총을 버렸다가 주우면 다시 재장전 되어있다. 실제로 쓰기에는 고인물 컨트롤

  • 비스트 모드(Beast Mode)
    설정에서 비디오 부분을 보면 타임어택 모드와 같이 이 모드를 켤수 있는데, 이 모드를 키고 클리어 할시 C등급 아이템인 미끼 발사기를 해금할수 있다. 다만 비스트 모드 자체는 게임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으니 참고하자. 이상하게도 비스트 모드를 실행시키면 적들이 많이 나올 확률이 늘어나는 대신 탄피가 많이 드롭된다는 잘못된 루머가 돌아다니고 있기도 하다.[38]

  • 상자에 관하여
    초반이라면, B등급 초록상자를 여는것 보다 C등급 파란상자를 여는게 낫다. 총기일 경우, 대체로 두 등급의 무기 성능차가 크지않으며, 패시브라면 좋은 패시브 아이템들이 c등급에 많이 분포해 있다. 물론 S등급 아이템이 많다면 좋겠지만, 일반적으로는 그런 경우는 별로 없으니 c등급 패시브로 무장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B등급과 C등급은 괜히 있는게 아니다. C등급의 패시브가 좋은 아이템이 많지만, B등급의 패시브도 좋은 아이템들이 많으며, C등급 총과 B등급 총의 성능 차이가 심하다. B등급 총 중에 좋은 총은 S등급을 넘볼 정도. 대체로 데미지증가 아이템이 2개이상되면 매우 게임이 수월해진다. 잘 갖춰지기만한다면 s급 아이템이 하나없이도 5~6층에서 왠만한 몹들을 기본권총으로도 정리해 버릴수 있을것이다.

  • 열쇠
    해당 층에서 단 한번도 열쇠를 습득한 적이 없다면, 그 층의 상점은 무조건 열쇠를 판다. 그러므로 열쇠가 필요할것 같을때는 상점을 찾기전에 열쇠가 드랍되도 먹지말고 방치하자. 어차피 열쇠는 쥐갈공명이 훔쳐가지도 않으니 안심이다.
    2017년 부산 지스타에서 AG&D 패치 체험판을 플레이한 유저의 정보에 따르면 이 공식은 더 이상 먹혀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패치 이후 이게 사실로 확정될 시 수정바람.


  • 위의 열쇠와 비슷한 방식으로, 해당 층에서 단 한번도 신규 층을 습득한 적이 없다면, 해당 층의 보스를 처치하고 나오는 드랍은 무조건 총이다. 등급이 이미 고정되는 상자와는 다르게 보스드랍은 D부터 S까지 모든 확률을 가지기 때문에, 1층의 경우는 기본총으로 처치하여 일부로 고위 등급을 총기를 노리는 방법도 있다.

12. 평가[편집]

[39]

로그라이크, 그중 이런 슈팅 종류은 플레이 난이도가 높은 대신 좋은 성능의 아이템과 경험을 통해 얻은 정보로 난적들과 보스를 격파하는 쾌감으로 플레이어의 재도전 욕구를 자극한다. 하지만 초기에 출시된 EtG는 여러 로그라이크 게임 중에서 가장 느린 진행속도를 가진 게임이라는 평을 받았으며, 당대 게임 중에서는 아이템, 소모템 보급난이라는 기상천외한 요소[40] 때문에 클리어가 톱으로 어려다.[41]

신식 로그라이크 게임의 시초격인 아이작의 번제 시리즈와 비교해보면, 진행속도가 차이가 심하다. 아이작 시리즈는 아이템이 나오는 황금방이 시작점 바로 옆에 붙어있는 경우도 흔하며 빠르게 정리가 가능한 방이 대부분이며 보스방과 황금방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사실상 핵심 파밍은 악마/천사방에서 이루어지기에 크게 난항을 겪지 않는다. 또 악마/천사방을 띄우기 위해서는 해당 스테이지에서 노피격을 요구하나, 아이작에는 소울하트와 여러 아이템으로 이를 회피할 수 있는 기믹들이 많다.

반대로 건전은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상자방이 시작위치에서 일반적으로 멀리 떨어져있으면서 방 정리 속도도 빠르지 못하기 때문에 아이작처럼 쉽게 리셋을 결정하기가 힘들다. 결국 강제적으로 루즈한 초반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탄환의 주인이라는 추가 보상을 위해서 보스전에서만 노피격을 요구하나 방어구 역할을 하는 갑옷조차도 피격도 당하면 안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난이도는 건전이 더 높다. 또한 이렇게 얻는 탄환의 주인조차 효과는 최대 체력 +1에 불과하다.[42]

그렇다고 건전의 일반적인 파밍이 안정적이냐, 그렇지 않다. 건전은 상자의 등급에서 한 번, 그리고 상자안의 아이템에서 한 번 더 운을 요구한다. 하급 아이템들은 예전에는 총기/패시브를 가리지 않고 상당수가 거의 의미가 없었고, 고등급에서도 등급값을 심각하게 못하는 창렬 아이템들이 많다. 또한 등급의 고저를 가리지 않고 모든상자에서 튀어나오는 지뢰아이템[43]들은 플레이어의 뒷목을 잡게만든다.[44]

결론적으로 출시당시 다른 로그라이크 게임보다 빡빡한 진행때문에 악명을 떨쳤고, 이후의 서플라이 업데이트와 여러 패치로 일명 '관대한 장소로써의 건전'에 가까워지려고 했으나 이미 건전=컨트롤 빡빡한 총빨겜이라는 인식이 대부분의 게이머들에게 많이 깔리고 말았다.

하지만 로그라이크가 아닌 탄막 슈팅게임으로 보고있는 사람들은 보스는 물론 기본 잡몹까지 패턴이 존재해 그걸 하나 둘씩 파헤쳐가며 결국 클리어에 도달하게 하는 쫄깃한 긴장감과 성취감을 높게 평하고 있다. 그래도 파밍 망하면 빡친다

13. 도전과제[편집]

http://enterthegungeon.gamepedia.com/Achievements

도전과제 중 '하루를 망치다(빛으로 보스를 감싼 후 처치하시오)' 라는 것이 있는데 언뜻 보면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이것은 영미권의 'Glitter Bomb(Giltter mail)'를 의미하는데, 하루를 망치고싶은(Day Ruin), 즉 엿먹이고 싶은 상대에게 반짝이가루(Glitter)를 가득 채운 편지봉투를 보내는 것이다.말 그대로 보스가 짜증나는 존재니까 원문인 'Kill a boss after covering it with glitter'를 직역하여 그 본래의 의미가 약간 변질된 것. 도전과제를 완료하려면 '우편함'을 이용해 보스에게 반짝이가루를 묻힌 상태에서 [45] 킬하면 달성.

14. 기타[편집]

공식커뮤니티 : http://www.gungeoneers.com/ 이용률 저조로 2017년 3월에 망해버렸다. 지금은 저 링크를 타도 위키로 이동한다. 
1.0.7 업데이트로 총이 하나 추가 되었다 이름은 Poxcannon. 번역은 안 되어 있다. 독 티셔츠를 발사한다. [46] 서플라이 정식 업데이트 이후로도 여전히 몇몇 총기들과 같이 번역이 안되어있다.

배급사가 같아서 그런지 이스터에그로 Shadow Warrior의 등장인물인 호지의 마스크가 등장한다.# 그리고 같은 배급사가 2017년에 발매한 스트레이프(게임)에도 단순화된 TPS버전 엔터 더 건전을 즐길수 있는 미니게임 이스터에그가 존재한다.

2016년 11월 24일부터 12월 19일까지 Mod the gungeon이란 비공식 모드를 배포하는 모드 제작사 Modworkshop이 직접 무기를 제작할 수 있는 이벤트를 개최했다.# 이 이벤트에서 최우수작으로 뽑힌 5개의 모드 총기들은 해당 모드 제작사가 직접 모드에 추가시켜준다고 천명했다. 참고로 공식적인 스팀 워크샵 지원을 안 하니 도트 노가다에 자신 있다면 참가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2017년 1월 12일에 해당 이벤트의 당첨자를 선발했다. 1등은 엔터 더 건전의 잡몹 Bullet kin 인형, 2~5등은 게임 본편, 6~10등은 페이데이 2 혹은 원하는 게임의 DLC를 공짜로 얻을 수 있다. 당첨된 모드 총기들은 다음과 같다.

1등-Painting of a gun(그림으로 그려진 총이 총알을 발사하는 진짜 총이라는 발상의 전환을 보여줬다. 재장전시 그림을 다시 그린다.)
2등-Eye of the storm(관통하는 3발의 총알이 발사되는데 이 총알들이 한 점에 모여지면 강력한 전기 폭풍이 일어난다.)
3등-The Ol' one-two(총열이 남성의 상체인 권총, 대전격투게임의 뉴트럴 포즈처럼 어깨를 들썩거린다.)
4등-Bullet hole(미니 블랙홀을 만드는 드럼탄창을 장비한 무장)
5등-Frozen energy bow(겨울왕국의 엘사를 패러디한 다소 평범한 활)

국내 인디 게임 개발사인 애피타이저 게임즈에서 개발 중인 '언더 더 팜'이 이 게임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다.# 보면 알겠지만 건전 후속작이라고 해도 다들 믿을만한 표절이다 이걸 안걸릴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만드는 계발사는 대체..

2D 그래픽 게임으로 보이지만 실제 개발 환경은 3D 그래픽이다.

레딧에서 게임 발매 2주년 이벤트로 2018년 4월 8일부터 5월 4일까지 열리는 캐릭터 컨테스트를 개최했다. 직접 그린 캐릭터와 그 도트가 반드시 있어야 하고 로어 프렌들리한 설정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1등으로 선정될 경우 PS4판 혹은 PC판 실물판 패키지를 배송해주며 커뮤니티 최우수작으로 선정될 경우 $20 이하의 스팀판 디볼버 게임 하나를 준다.

[1] 2018년 3월 15일 한국 PSN 한글 정발[2] 영문판에서는 They must...로 끝나는데, 이것이 게임 제목인 Enter the Gungeon이랑 이어져서 그들은 건전에 들어가야 한다...로 해석된다.[3] 서플라이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4] Mine을 지뢰로 오역한 결과이다. <del style="box-sizing:inherit;color:gray;">화약 광산으로 정상 번역되었다. </del>3층에서 사망시 나오는 지역 부분이 여전히 지뢰로 되어 있다.[5] 케이든스와 도앵이 서로를 동생이라고 부르는 점이나 히죽히주과 그림자의 설명문에는 히죽히죽이 형으로 나와있으나 각자의 리볼버에는 히죽히죽이 동생으로 되어 있는 등[6] 총 20개와 아이템 20종으로 모두 합치면 40개의 신규 아이템이 나온다.[7] 언급하길 500여가지라고 한다.[8] 업데이트의 이름이 Advanced Gungeons & Draguns인 만큼 5층 보스인 드래건, 혹은 마지막 줄의 내용인 쥐새끼를 보아 쥐갈공명이 관련있는 듯 싶다.[9] 쥐갈공명과 관련하여 컨텐츠가 일단 9월에 추가된다는 의미로 보인다. 실제 더미데이터로 쥐갈공명 보스가 존재하는데 패턴은 별거 없는 대신 고수 뺨후리는 구르기로 공격을 다 피한다.#[10] 'soon'이라 함은 일주일보단 길지만 4개월(2018년 6월)보다는 짧은 기간이라고도 덧붙였다.[11] 아무리 센 공격을 맞아도 한 방에 부서지지는 않도록 스크립트가 걸려 있는 것으로 보임[12] B급 상자인데 이미지가 깨진 것 처럼 노이즈가 생긴다.[13] 이 상자를 열면 바로 다음 층으로 이동하며, 그 층에 유일하게 있는 보스 방에는 주시총 보스가 2마리 튀어나온다. 이 2마리를 모두 처치하면 <del style="box-sizing:inherit;color:gray;">아이템/총과 소비 아이템이 대량으로 쏟아진다.</del> 픽업 아이템 대량과 사실상 만 드랍되게 된다. 해당 스테이지에서 총을 얻지 않고 보스를 처치했기 때문. 만약 어떠한 방법으로 총을 습득했다면 액티브/패시브 아이템도 드랍된다! 보스를 처치하고 엘리베이터를 타면 오류 보스방 층의 다음층으로 이동하게 된다.DC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game1&no=3363995 이 방에서 죽게되면 사망원인의 글자가 외계어로 바뀐다. [14] 무지개 상자는 아이템을 8개 드롭한다.[15] 입장 조건일 뿐 입장료로 지불하는건 아니다.[16] [17] 일반적으로는 스테이지가 올라갈수록 적들이 탄피를 드랍할 확률이 낮아진다.[18] 저주 탄환 자체는 저주가 없어도 특수한 적이 발사하기도 한다. 상자 대신 출현하는 적 미믹이라든지, 진정한 총의 수도원의 보스인 올드 킹이 그 예시.[19] 상자에 붙어서 일정시간 뒤에 터져버리는 함정이다. 도화선에 상자가 터질경우 아이템이 전혀 안나온다.[20] 아이작의 번제시리즈의 챔피언 몬스터와 비슷하다 보면 된다.[21] 붉은 망토 총탄의 경우 일반 총탄과 구분이 잘 되지 않아, 실수로 죽일 일도 늘어난다. <del style="box-sizing:inherit;color:gray;">진정한 저주</del>[22] 저주가 없어도 고정적으로 궁지에 몰린자가 등장하는 곳도 있다.[23] 심지어 닭도 데미지를 줄 수 있게 된다.[24] 총박쥐, 물컹 왕을 처치한뒤 나오는 분열체, 응가 물컹괴물 처치 후 확률적으로 나오는 총탄, 닭의 경우는 제외된다.[25] 주시총의 경우 코만도의 미사일 발사패턴이 2발에서 4발로 늘어난다.[26] 게임 시작시 플레이어 바로 위에 놓인 제단이다. 과거를 제거한 캐릭터만이 기도하기 가능. 이 제단에서 기도하고 플레이 하는 모드를 일명 하드모드 라고 한다.[27] 9스탯을 쌓는 게 아니라 9스탯으로 만드는 것이다. 기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1층에서 저주아이템을 먹거나 도둑질 등으로 저주를 조금 쌓은뒤 다음층으로 넘어가기전에 기도하면 저주 9스탯이 되며 사신은 나타나지 않는다.[28] 저주 아이템과 거래시 중첩으로 쌓이며, 물건을 훔칠시에는 그냥 1 스탯만 쌓인다.[29] Culsula와는 별개이다. 비밀방 내부에는 3명의 마녀가 솥을 중심으로 둘러앉아있으며, 총을 건네주면 다른 총으로 바꿔주는 거래이다.[30] 저주항아리는 플레이어의 저주를 올리는데 성공하면 파괴되고 방을 클리어해도 사라지지 않는다. 또한 한방에 파괴 시킬 수 있으니 저주를 올릴생각이 없다면 파괴하자[31] 단적으로 말해, Gorgun's Gaze, Gull's Revenge, Hammer Time 이 3종류는 걸리는 순간 반쯤 무피격 클리어를 포기해야한다. 이 3가지 디버프를 상대하느니 저주 10 상태에서 궁지에 몰린 자들의 지배자를 달고 다니는게 더 나을 정도다.[32] 즉, 탄이 적을 관통하여 벽에 부딪히더라도, 해당 탄은 적을 맞췄기 때문에 물컹전사가 소환되지 않는다[33] 예컨대 수류탄 박쥐를 죽이면 사방으로 수류탄을 뿌리는 만행을 저지른다[34] 재장전이 없는 총기류는 한 발 사격하고 재장전 키를 누르면 다음 무기로 넘어갈 수 있다. 그리고 신성모독도 탄창은 없지만 일정 횟수 휘두르면 다음 무기로 바뀐다.[35] 기본 무기와 석궁 밖에 없는 초기상태의 사냥꾼으로 이 디버프를 걸려 보면 무슨 말인지 체감할 수 있다. 리볼버와 석궁으로 무기가 바뀔 때마다 탄환이 자동 재장전되서 거의 테이프로 두 무기를를 합친 느낌으로 난사가 가능하다[36] 기존에는 입구 정면으로 발사했다면 챌린지 모드에서는 입구 좌우로 발사한다. 좌우 중 어느쪽에 먼저 발사하는가는 랜덤이므로 먼저 발사한 쪽으로 구른 뒤 반대 방향으로 굴러주면 된다.[37] 다만 비밀방에서 상자, 열쇠 가끔은 제단방이나 npc도 나오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에 도움이 될때가 많다. 무엇보다 이런 로그라이크류 게임은 작은 것 하나가 스노우볼이 굴러가는 경우가 많다.[38] 엔터 더 건전의 한 층 내에서의 방들은 모두 고정된 방들 종류 중에서 랜덤으로 여러 방들이 걸려 나오는 것이며, 같은 구조인데 타일이 다른 경우가 꽤 많이 존재한다. 또한, 몇몇 방은 처음 진입했을 때의 위치에 따라 적들의 구성이나 위치가 달라 지기도 한다. 그리고 탄피 드랍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저주 스택을 쌓는 것 이외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없다.[39] 2017년 10월 9일에 확인. 해당 평점은 PC판 기준이다. PlayStation 4판 평점은 스코어 82점에 유저 평점 7.5.[40] 초창기 건전은 패배원인이 적의 난해한 공격패턴도 많았지만 열쇠 부족으로 상자로 총기를 얻을 수 없어서, 총기에 탄약을 보급할 Ammo가 드롭되지 않아서 같은 이유도 많았다.[41] 다행히 이제 서플라이 업데이트 이후로 톱으로 어렵다는 평가는 좀 과하고, 컨트롤 요구는 여전하나 예전처럼 아예 아이템이 드롭되지 않아 게임을 지는 경우는 거의 없어졌다.[42] 최대 체력 증가가 물론 나쁜건 아니지만 온갖 OP아이템 획득 기회로 점철된 아이작의 악마/천사방에 비하면 빛이 바랜다.[43] 대표적으로 최대 체력 증가아이템들[44] 서플라이 업데이트 이후 여러 양질의 패시브 아이템 추가로 이 문단의 비판은 고려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도대체 기준을 알 수 없는 성능과 동떨어진 등급 부여는 여전히 문제다.[45] 막타에 나오는 상자를 맞추다 보면 랜덤하게 걸린다.[46] 잡몹 처리에 탁월하다. 데미지 자체는 그리 높지 않은데, 독뎀이 7틱 정도로 꽤 길고, 그 상태로 죽으면 바닥에 독웅덩이를 뿌린다. 몹들이 별로 강하지 않으면 하나씩 쏴서 걸어놓고 튀면서 총알을 매우 절약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다른 상태이상 총들도 비슷하게 쓰면 초반의 총알 부족을 해소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