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롤스타즈 오로치 에드거 - beulolseutajeu olochi edeugeo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wiki style="margin:-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width=330><tablebordercolor=#017dda> 브롤스타즈
브롤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본 브롤러 & 트로피 진척도 보상
(STARTING & TROPHY ROAD)

쉘리 니타 콜트 제시

브롤스타즈 오로치 에드거 - beulolseutajeu olochi edeugeo

브록

다이너마이크

8비트

엠즈 스튜
희귀(RARE)

엘 프리모 발리 포코 로사
초희귀(SUPER RARE)

파일:ricoface.png

리코 대릴 페니 재키

거스
영웅(EPIC)

파이퍼 프랭크 비비

나니

에드거 그리프 그롬 보니
신화(MYTHIC)

모티스 타라 맥스 미스터 P

스프라우트

바이런 스퀴크
전설(LEGENDARY)

스파이크 크로우 레온 샌디 앰버

메그

크로마틱(CHROMATIC)

게일 서지 콜레트 러프스

버즈 애쉬 롤라

이브 자넷 오티스 }}}}}}}}}
브롤스타즈의 43번째 브롤러
바이런 에드거 러프스

에드거
EDGAR

<colbgcolor=#7D00FF><colcolor=white> 등급 영웅
역할군 어쌔신(ASSASSIN)
HP 2800
이동 속도 매우 빠름 (820 = 2.73타일/초)
코드 네임 ENRAGER
출시일 2020년 12월 19일
성우 스콧 윌리엄[1]
스탯
<rowcolor=#000000> 공격
방어
유틸성


1. 개요2. 핀3. 일반 공격 - 파이트 클럽(FIGHT CLUB)4. 특수 공격 - 스피드 볼트(VAULT)5. 스타 파워

5.1. 하드 랜딩(HARD LANDING)5.2. 주먹다짐(FISTICUFFS)

6. 가젯

6.1. 플라이 하이(LET'S FLY)6.2. 하드코어(HARDCORE)

7. 레벨 별 스탯8. 성능

9. 상성10. 추천 조합11. 스킨

11.1. 기본 스킨11.2. 퀵드로우 에드거(QUICKDRAW EDGAR)11.3. 오로치 에드거(OROCHI EDGAR)11.4. 박사 에드거(DR.EDGAR)11.5. 에드거 TATA (EDGAR TATA)

12. 업데이트 내역13. 기타


[clearfix]

1. 개요

Uh, back on the grind.
아, 다시 일할 시간이네.
Pss, I can do this if I wanted to!
쯧, 내가 원한다면 이 정도는 할 수 있다고!

Edgy and with a hands-off attitude, Edgar prefers to throw punches with his scarf. With his Super, Edgar jumps into the fray swinging his scarf around himself.


왠지[2] 다가가기 어려운 까칠한 성격의 소유자입니다. 목도리를 사용해 재빠르게 펀치를 날립니다. 특수 공격을 사용하면 누구보다 빠르게 목표에 뛰어들 수 있어요.

2022년 7월 이전 [ 펼치기 · 접기 ]>Edgy and with a hands-off attitude, Edgar prefers to throw punches with his scarf. With his Super, Edgar jumps into the fray swinging his scarf around himself.


까칠하고 남들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3] 에드거는 목도리로 재빠르게 펀치를 날립니다. 특수 공격으로 목도리를 휘두르며 전투에 뛰어듭니다.

선물 가게 테마의 2번째 브롤러.[4]

대사의 경우 에드거의 성격에 맞는 까칠한 말투가 특징이며, 신조어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같이 출시된 바이런과 마찬가지로 영국식 억양이 있다.

[ 대사 목록 ]>This is so lame!

이거 너무 지루해!
Ugh, I can't believe I have to do this.
윽, 내가 이딴 걸 해야 한다니 믿을 수 없군.
Boring...
지루하다...
Pss, I can do this if I wanted to!
쯧, 내가 원한다면 이 정도는 할 수 있다고!
YOLO! Wooh!
YOLO! 오우!
Uh, back on the grind.
아, 다시 일할 시간이네.
You can't make me!
누구도 날 막지 못해!


리스폰 시 대사

Don't look at me!
나 보지 마!
CEO of Brawl Stars.
브롤스타즈의 CEO 수준이야.
I lowkey wanna win this game.
나 이번 판은 좀 이기고 싶어.
Great, now everyone hates me.
좋아, 이제 모두가 날 싫어하네.


인게임/승리 시 대사

Lul.
오 그러셔? 하하. /하.하.
Eh.
그렇네.
Wow, hardcore.
와, 짜릿하네.
So awesome.
너무 좋아.
Whatever.
뭐 어때.


적 처치 시 대사

Leave me alone!
날 내버려 둬!
Get away from me!
저리 떨어져!
Don't touch the scarf!
스카프는 만지지 마!
Don't be salty.
쩨쩨하게 굴지 마.
I'm lagging.
나 렉 걸려.
Eww!
으윽!
Big Yikes!
아이쿠!


피격 시 대사

This is so unfair!
이건 너무 불공평하잖아!
What?
뭐야?
No way!
말도 안돼!
So much tryharding.
너무 발끈했구나.
Wow, you're so awesome.
와, 너 참 굉장하네.
So lame...
너무 서툴렀어...
I'm shook!
나 충격 받았어!


사망 시 대사

끼야야야야![5]
끼야아악! 하! 하하!!
끼야아아오!!
끄악!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2. 핀

<rowcolor=#FFFFFF>
{{{#!folding [ 핀 목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FFFFFF> 상태 희귀도 대사
Neutral 일반 Uh, back on the grind.
Happy 일반 Lul.
Sad 일반 Leave me alone!
Angry 일반 This is so unfair!
GG 희귀 So awesome.
Clap 희귀 박수 소리
Thanks 영웅 Great, now everyone hates me.
Phew 영웅 What?
어? Special 영웅 CEO of Brawl Stars.
Neutral 한정
Neutral 한정
Neutral 한정 Uh, back on the grind. }}}}}}

다른 브롤러들과 달리 목도리가 GG 포즈를 하고 있으며, 특이하게도 thanks 핀의 표정이 울고 있는 모습이다.[6]

3. 일반 공격 - 파이트 클럽(FIGHT CLUB)

<colcolor=#000000> Hits enemies with quick punches, healing himself for each landed punch.
적에게 재빠른 펀치를 날려 피해를 주고, 펀치가 적중할 때마다 자기 자신을 치유합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2 x 540 ||<width=25%>사정거리
근거리(2타일) ||<width=25%>재장전 속도
매우 빠름(0.7초) ||<width=25%>HP 흡수
35%(X2) ||


목도리로 매우 빠르게 2번의 펀치를 날리며, 각 타마다 입힌 피해량의 35%를 회복한다. 엘 프리모와 흡사한 일반 공격이다.[7]

이 일반공격의 특별한 점은 힐이다. 일반공격을 할 때 마다 적을 맞추면 힐을 하기 때문에 에드거의 빈약한 생존력을 올려주기 때문. 스타 파워 주먹 다짐을 착용한다면 생존력은 더욱 올라간다. 다만 자신의 빈약한 체력을 피흡으로 커버해야 하기 때문에 순간폭딜에는 무력하므로 스파이크 같은 폭딜형 브롤러를 상대할 땐 피흡을 너무 맹신해선 안된다.[8]

의외로 비슷한 공격 메커니즘을 가진 캐릭터들 중 1탄창 DPS가 높은 편인데, 평타의 딜타임도 짧을 뿐더러 후딜레이가 없다시피하기 때문이다.[9] 그 때문에 다른 매우 빠른 재장전 캐릭터들이 4타까지 연타 가능한 데 비해 3타까지 연타한 후 재장전이 평타 공속을 못 따라가 4타가 살짝 늦게 나간다.

가끔 일반 공격이 해골 같은 장애물을 잘 못 부술 때도 있다.[10]

여담으로 목도리의 첫 번째 펀치와 두 번째 펀치의 이펙트가 다르다.

4. 특수 공격 - 스피드 볼트(VAULT)[11]

<colcolor=#000000> Edgar jumps over any obstacle and gets a temporary speed boost. His Super will slowly charge over time.
모든 장애물을 날렵하게 뛰어넘으며 일시적으로 속도가 빨라집니다. 특수 공격은 시간이 지나면서 천천히 충전됩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사정거리
중거리(6타일) ||<width=25%> ||<width=25%> ||<width=25%> ||

이동 속도 증가량: 25%(1025)
특수 공격 자동 충전량: 3.3%/초

조준한 위치로 빠르게 도약하여 일정 거리를 이동하고[12] 착지 후 엘 프리모의 유성 러시 스타 파워처럼 이동 속도가 2.5초간 빨라진다. 엘 프리모랑 비교하자면, 자체 피해량이 없고[13] 장애물 파괴가 안되며 도약 거리는 더 짧지만 대릴의 특수 공격처럼 자동으로 충전되면서 최대 거리에서도 시전 속도가 빠르다.

사거리가 매우 짧은 일반 공격을 완벽하게 보완할 수 있어서 에드거는 특수 공격의 의존성이 높다. 에드거와 에드거 싸움에서 서로 궁극기가 차 있을 경우 심리전으로 바뀐다.[14] 또 일시적으로 이동 속도가 증가하므로 상대에 거의 확정적으로 붙을 수 있는 데다가, 특수 공격이 자동으로 차기 때문에 자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하드 랜딩 스타 파워가 없는 이상 자체 딜링 수단이 없고, 대릴과는 달리 체력이 낮아 특수 공격을 헛방 날렸을 때 역관광 당하기 쉽다.

엘 프리모의 특수 공격은 거리가 짧으면 빠르게 착지하고 거리가 길 수록 체공 시간이 늘어나지만, 에드거는 크로우처럼 거리와 상관없이 체공 시간이 같기에 초근접한 상대를 즉시 찍어버리는 엘 프리모와 달리 점프를 해서 다시 내려오는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같은 에드거나 근접 브롤러와 붙을 때 순간적으로 무적이 된다는 점을 이용해서 서지처럼 제자리에서 한 번 써주면 탄창 한 두개 정도를 회피하여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수도 있다.[15] 실제로 부쉬에서 이 방법으로 쉘리의 궁이나 샷건 브롤러의 탄창을 2개 이상 뺀다면 상성이 역전되어 샷건 브롤러를 잡아내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이 단점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 체공 시간이 길어 암살 대상이 기동성이 좋다면 그 틈에 도망칠 여지가 있다.[16] 단, 체공 시간이 길다고는 하지만 장거리에서는 엘 프리모보다 짧고 크로우와도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대놓고 특수기를 준비하는 모습만 보여주지 않으면 이동 속도 증가 효과의 도움을 받아 특수 공격 사거리 안에 들어온 상대방은 거의 확정적으로 접근을 허용하게 된다.[17] 여담으로, 벽이나 강이 있을 경우에는 최대 11칸(잘하면 12칸)까지 건널 수 있으며, 그 이상의 벽에 대고 특수 공격을 쓰면 제자리뛰기를 하게 된다.

특수공격은 약 30초 이내에는 무조건 채워진다.

5. 스타 파워

5.1. 하드 랜딩(HARD LANDING)

<colcolor=#000000> Edgar's Super will also deal 1000 damage to nearby enemies upon landing.
특수 공격으로 착지할 때 주변 적에게 1000 피해를 줍니다.

특수 공격에 1000의 충격파 피해량이 추가된다.[18] 이 스타 파워가 있는 경우, 특수 공격을 조준할 때 반지름이 3타일인 새로운 범위가 추가된다.

하드 랜딩의 유무로 암살의 난이도가 크게 달라지며, 착지 후 3탄창으로 죽일 수 없던 브롤러도 잡을 수 있게 해주는 뛰어난 성능을 가졌다. 원래는 11레벨 기준 맥스, 레온, 앰버 등과 같은 체력의 브롤러[19]까지만 3탄창으로 잡을 수 있으나 하드 랜딩이 있으면 동렙 기준 체력만 따졌을 때(가젯, 스타 파워 효과 고려 X), 쉘리, 모티스, 샌디까지[20] 3탄창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9, 10레벨일 경우 불, 재키까지도 1대만 더 때리면 잡을 수 있다.[21][22] 특히 타라를 상대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되는데 궁이 없는 타라에게 점프를 하면 타라가 가젯을 빨리 써도 하드 랜딩으로 모조리 삭제당하면서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비, 스튜, 보의 가젯도 즉시 철거할 수 있다.

체력 너프 전에는 2번째 스타 파워보다 더욱 선호되었으나, 체력 너프로 인해 안정성이 감소하고 이후 피흡 버프를 받으면서 지금은 그냥 취향 차이인 스타 파워가 되었다. 물몸 딜러들을 순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녹아웃이나 금고에게 딜 하나라도 넣는 것이 중요한 하이스트에서 킬 결정력을 높이기 위해 쓰인다. 쇼다운에서도 체력이 적게 남은 상대를 암살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보호막 기어의 출시로 3방에 못 잡는 일부 브롤러들을 3방에 잡을 수 있게 해주기에 여전히 이 스타 파워를 선호하는 유저들도 많다.

5.2. 주먹다짐(FISTICUFFS)

<colcolor=#000000> Edgar receives 25% more healing from damage he deals.
자신이 주는 피해로 회복되는 HP 치유량이 25% 증가합니다.

회복량이 기존 35%의 1.25배인 43.75%로 늘어나, 주먹 1번으로 회복하는 체력이 9레벨 기준 264에서 330, 11렙 기준 283에서 354로 늘어난다. 11레벨 3탄창 기준 스타 파워가 없을 때에는 1698를 회복하지만 주먹다짐 스타 파워를 장착하면 2124가 회복된다. 하드 랜딩이 적을 기습할 때 순간 딜링 능력을 높여준다면 이쪽은 적에게 붙었을 때의 유지력을 높여준다.[23]

상대 브롤러를 제거하기 수월해지도록 1000의 광역 대미지를 입히는 하드 랜딩에 비해 3탄창을 다 써도 회복량이 400보다 조금 적게 오르는 정도이기에 조금 빈약한 편이다. 에드거는 체력이 근접 브롤러들 중에 가장 적기 때문에, 기동성을 살려 기습해서 빠른 공격 속도를 바탕으로 적이 제대로 반격하기 전에 속전속결로 끝내는 방식으로 운용해야 하는데, 에드거의 회복량으로 커버가 되는 수준의 공격력을 가진 브롤러들은 어차피 에드거에게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에 다소 아쉬운 부분. 그래도 에드거의 생존력을 소폭 상승시키는 옵션이라서 기습시 한 끗 차이로 역관광 당하는 일은 줄여줄 수 있다.

파워큐브를 먹으면 먹을수록 힐링 효과도 순식간에 올라가기 때문에 쇼다운에서는 조금 더 나은 편. 또한 보스전에서는 에드거의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어서 좋은 편이다.

하지만 체력 너프로 인해 에드거의 생존력이 크게 떨어졌고, 추후 상향으로 자체 피흡량이 35%로 증가하면서 2스파 역시 간접 버프를 먹었다. 그 이후 3대3이나 쇼다운에서나 선호도가 매우 올라갔다. 특히 2가젯을 기용한 에드거는 특수 공격이 없는 동안에 유리몸 신세를 면치 못했는데 주먹다짐을 사용하면 자체 스펙이 올라가는지라 특수 공격이 없는 동안의 공백을 든든하게 메꿔줄 수 있다.

보스전에서 크레이지 16을 깨고 싶다면 무조건 채용하자. 파워 큐브를 먹을수록 일반 공격의 힐량도 증가하므로 25% 증가 효과가 확실히 체감된다.

6. 가젯

6.1. 플라이 하이(LET'S FLY)

<colcolor=#000000> Edgar's Super charges faster, 525% for 4 seconds.
특수 공격 충전 속도가 4초 동안 525% 증가합니다.

4초간 특수 공격의 충전량이 6.25배 증가하여, 초당 특수 공격 충전량이 3.3%에서 20.625%로 증가한다.

4초만에 특수 공격의 약 82.5%를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 특수 공격 자동 충전 시간이 30초이니, 이 가젯을 사용한 후 6초만 기다리면 특수 공격이 찬다. 이를 통해 특수 공격이 충전되기까지 걸리는 오랜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주 사용 용도는 매치를 시작하자마자 이 가젯을 사용하여 빠르게 특수 공격을 충전한 뒤 주도권을 가져가기 위해 사용하거나, 난전 혹은 전투 중에 불시에 특수 공격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에드거의 기동력을 크게 증폭시켜주기에 모든 모드에서 유용하며, 고트로피 구간에서 특수기 없이 적에게 접근하기 힘든 에드거를 말 그대로 날개 달린 암살자로 만들어준다. 더불어 에드거를 과거 쇼다운 역대급 밸붕 캐릭터로 만드는 데에 큰 기여를 한 상당히 사기적인 가젯이었다.[24] 다만 이후 큰 리스크, cc기에 취약함, 낮은 체력과 사거리 등의 단점들이 부각되면서 에드거 자체의 평가가 하락하는 바람에 이 가젯도 위상이 하락했다. 또 후술할 2번째 가젯이 에드거의 안정성을 보완해주는 좋은 가젯이기 때문에 보통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2번째 가젯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여전히 나쁘지 않은 가젯.

팁으로, 가젯의 지속 시간이 끝나지 않았는데 특수 공격이 충전될 경우, 충전된 특수 공격을 지속 시간이 끝나기 전에 곧바로 사용하면 가젯의 지속 시간이 끝나지 않았으므로 2번째 특수 공격도 상당수 충전된다. 이를 통해 2번째 특수 공격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다.

보스전, 슈퍼 램피지, 로보 럼블 등에서 가젯을 사용할 경우 충전 증가량이 약 70% 감소한다. 반대로 특수 충전 모드에서 가젯을 사용 시 충전 증가량도 증가한다.

6.2. 하드코어(HARDCORE)

<colcolor=#000000> Edgar gets a shield that protects him from the next 2000 damage. The shield gets weaker over time.
다음 2000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을 생성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보호막의 피해 흡수량이 감소합니다.

사용 즉시 2000의 피해량을 무시할 수 있는 보호막이 생기며[25], 쉴드의 체력은 0.5초마다 100씩 점점 감소한다. 중첩 사용은 가능하지만 쉴드량이 중첩되지 않고 초기화된다.

적을 HP를 기반해서 암살하는 것에 대한 리스크를 상당량 줄여준다. 특히 생존력을 높여주는 '주먹 다짐' 스타 파워와 궁합이 좋은 편인데, 11레벌기준 주먹 다짐과 하드코어를 장착한 3탄창 전탄 적중 에드거의 순간적 기대체력은 무려 9천 이상으로, 엘 프리모 수준으로 늘어난다. 물론 가젯의 추가 체력은 계속 깎여나가므로 실질적으론 이보다 적다. 또한 암살할 때 최초로 받는 피해량을 상쇄하거나, 나니의 피프 등 강력한 피해량 등을 어느 정도 무시할 수 있다. 에드거의 큰 단점 중 하나인 낮은 체력이 어느 정도 상쇄되기 때문에 좋은 가젯으로 평가받는다. CC기만 잘 피하면 서지 같은 일부 카운터들을 역으로 잡아내기도 한다.

다만 이 가젯을 채용할 경우 특수 공격 의존도가 굉장히 커진다. 특수 공격이 자동으로 찰 때까지 영향력이 굉장히 떨어지며[26], 특수 공격 사용 시 적을 잡지 못하면 다음 특수 공격이 차기 전까지 총알받이 신세다.[27] 또 보호막이 막아줄 수 있는 데미지를 넘는 단발 공격은 막지 못하고 피해가 그대로 들어온다. 때문에 비의 강화 공격, 다이너마이크의 특수 공격, 메그의 메카 상태의 특수 공격과 같이 일부 위협적인 공격을 막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적을 확실히 잡을 수 있을 때만 이 가젯과 연계해서 사용하거나[28] 전투 중 처치당할 시 다시 라인을 올리는데 많이 기여할 수 없는 에드거에게 긴급 생존용으로 사용하기 좋다. 종합적으로 범용성으로는 1가젯이 좋지만, 3vs3 모드에서 해당 가젯을 사용하려면 숙련도가 필요하다. 허나 숙련도만 있으면 1가젯보다 몇배는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다.

가젯을 사용할 때의 팁으로, 체력이 꽉 찼을 때 사용하기 보단 체력이 어느 정도 빠졌을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호막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보호막보다 큰 피해만 받지 않으면 체력이 깎이지 않기 때문에 보호막이 대신 피해량을 흡수하는 동안 일반 공격의 피흡 효과를 통해 회복받으며 조금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순간딜이 높은 적에게 접근할 때는 바로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적 브롤러의 체력이 높아서 장기 싸움으로 갈 것 같다면 이 팁을 활용해보자.

붐비치의 카반 박사의 크리스탈 보호막 능력이 연상되며[29], 더미 데이터로 존재하는 콜트의 3번째 스타파워인 '방탄 조끼'의 능력[30]과 유사한 걸로 보아 이를 리메이크하여 출시한 것으로 보인다.

7. 레벨 별 스탯

||<tablebordercolor=#017dda><#017dda><-2> 특성 ||

시간이 지나면 특수 공격을 충전합니다.[31]


근접 브롤러 중 가장 낮은 체력을 가지고 있다.
9레벨부터 파워 큐브 상자를 일반 공격 4회에 부순다.

8. 성능

낮은 체력과 가장 짧은 사거리를 대가로 그 외의 근접 브롤러의 장점과 기동성을 극대화 시킨 브롤러. 구조적으론 엘 프리모와 굉장히 유사하지만 운용은 대릴처럼 해야한다.

에드거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폭넓은 기동성인데, 대릴에 이어 두번째로 특수 공격이 아무 조건없이 자동 충전이 된다. 직선으로 신속히 이동하는 대릴과 달리 벽 등의 장애물을 뛰어넘을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맵빨을 심하게 타는 근접 브롤러라는 단점이 거의 상쇄되는 수준이라 개활지를 제외한다면 제약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거기에 착지 후 이동 속도 버프까지 추가로 붙어서 더더욱 빠르게 이동하며 강력한 근접 데미지로 순식간에 암살을 하면서 자힐 능력으로 안정성을 보강하며, 가젯으로 특수 공격을 채워 손쉽게 벗어날 수 있다.

다만, 그럼에도 근접 브롤러로서의 한계는 명확하다. 특수기가 채워져 있지 않는 이상 원거리 브롤러에게 취약한 점은 여전하며, 체력이 근접 브롤러 중에 가장 낮고 리치도 가장 짧다보니 기본적인 상황에선 할만한 요소가 굉장히 적다. 거기다 접근을 해도 그마저도 넉백을 주거나 근접 폭딜로 찍어누르는 브롤러들을 상대론 무력하게 당하기도 쉽다보니, 한번 교전을 시작하면 죽기살기 급 빠른 처치가 강요된다.[36] 때문에 조작은 쉽지만 정작 운영은 모티스 수준의 엄청난 난이도를 가진다.[37]

그래도 이동 속도도 빠르면서 자동 충전 특수 공격을 기반으로 벽을 넘어가며 자유롭게 이동한다는 점은 에드거만이 가진 메리트이다. 에드거만큼 장애물을 자유롭게, 원하는 때에 파훼할 수 있는 브롤러는 없기 때문. 공중으로 이동이 가능한 뛰어난 기동성을 활용하여 적절한 컨트롤로 적을 처치하고 도주하는, 역할군에 적힌 그대로 어쌔신처럼 운영되는 캐릭터.[38]

8.1. 장단점

장점
  • 속전속결의 근접전 능력
    사거리가 매우 짧은 대신 이속이 빠른 점으로 인해 빠른 접근이 가능하며, 재장전이 0.7초로 브롤러 중 2번째로 가장 빠른 재장전 속도를 가졌다.[39] 그래서 1탄창을 사용하는데 후딜도 굉장히 짧은 덕분에 빠른 연타가 가능하여 상대에게 근접해서 갈아버릴 수 있는 수준의 DPS를 보유했는데,[40]여기에 특수기로 기습까지 더하면 잠시 이속 버프까지 받으니 더더욱 근접 전투에서 강력한 성능을 보여준다.

  • 자가힐링을 통한 일부 대미지 상쇄
    에드거의 평타는 근접전에서 사거리가 가장 짧고 체력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단점을 상당부분 보완해주는 힐링이 존재하는데, 순간폭딜이 들어오는 상황이 아닌이상 평타를 사용함과 동시에 자가힐링을 하여 상대가 주는 데미지를 어느정도 상쇄시켜줄 수 있다. 극한 상황이 아닌 이상 교전이 끝났을때 남은 체력이 어느정도 보장되는건 덤. 근접전에서 에드거의 암살능력을 향상시켜주는 또 하나의 메리트. 여기에 주먹다짐 스타파워가 있다면 회복률을 더 높여줄 수 있다.

  • 특수공격을 활용한 높은 킬 결정력
    에드거는 뛰어난 기동성과 강력한 순간 데미지로 높은 킬 결정력을 보여준다. 물론 근딜러나 탱커를 상대로는 힘들지만 [41] 도주기가 없는 저격수나 투척 브롤러 상대로는 매우 뛰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이 장점은 하드랜딩 스타파워가 있다면 더욱 부각된다.

  • 제약이 거의 없는 기동성
    에드거의 밥줄이자 아이덴티티로, 지형 지물을 무시하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면서 심지어 이속 버프까지 더해져서 더더욱 스피드가 보완되는데, 거기에 특수기가 자동 충전이 되는데다 특수기를 한 번 더 채울 수 있는 가젯으로 절정을 찍었다. 안 그래도 암살자 이속이라서 빠른데 더 빠르게 운용이 가능하여, 가젯을 활용해 연속으로 특수기를 발휘하면서 적을 학살하는 엄청난 장면을 연출할 수 있다. 이런 기동력 때문인지 일일 후보 맵 같은데에서 매우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 조건부로 덜 타는 상성 관계
    에드거는 상성관계가 굉장히 명확하게 갈리지만, 위에 나온 에드거의 장점들 특성상 적에게 근접할 때 적이 엄청난 양의 순간 폭딜로 에드거를 죽이거나, 넉백/스턴 등을 거는 CC기로 에드거와 거리를 크게 벌리거나, 도주기로 빠르게 도망가거나, 높은 딜량과 생존력으로 에드거를 잡아내지 않는 이상 에드거에게 근접 공격을 허용 당한다면 에드거는 빠른 재장전 속도와 딜레이를 가진 평타로 때면서 지속적으로 피흡을 통하여 좀비 마냥 살아남으면서 공격을 누적시키면서 확정킬을 낼 수 있다. 이는 파워 큐브를 먹어 낮은 HP를 보충 가능하고 피흡의 양도 늘려줄 수 있는 쇼다운에서 더욱 부각되는 장점이다. 그 때문에 파워큐브를 많이 먹은 에드거가 쉘리, 서지 등 극카운터를 이기는 광경도 꽤나 나온다. '파워큐브 많으면 상성이 좋아지는건 모든 브롤러 공통 아니냐'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파워큐브가 동급이더라도 쉘리, 서지 등의 특수 공격을 맞특수공격이나 무빙으로 피한다면 파워큐브 없이도 역관광의 여지가 생겨난다.
단점
  • 매우 짧은 사거리와 낮은 HP
    근접 브롤러지만 일반 공격의 체력 흡수를 대가로 기본 체력이 2800밖에 안 되며, 리코, 다이너마이크 등 조금 탄탄한 딜러 수준으로 낮게 책정되어 있다. 이 체력 흡수도 공격해야 효과를 보는 특성상 무조건 접근이 필수적인데, 좌우 판정이 넓더라도 사정거리가 무려 2타일로 샷거너 중 사거리가 가장 짧은 불과 비슷한 초근접 전투가 요구된다.[42] 문제는 근접 탱커처럼 체력이 든든한 것도 아니고, 중근거리 암살자처럼 적과 붙은 상태가 아니더라도 전투가 가능한 것도 아니라서 특출난 기동성을 활용해서 사정거리 내 진입을 못하면 집중 포화를 맞아죽기 마련이고, 심지어 진입을 해도 샷거너처럼 근접에서 폭딜이 가능한 브롤러를 상대론 순식간에 터져버릴 수 있다.[43] 그래도 가젯 '하드코어'가 있으면 이 단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 높은 특수 공격 및 가젯 의존도
    뛰어난 기습능력의 대부분은 특수공격이 있는 상황이 동반이 되는 탓에 특수공격이 없는 에드거는 위 단점처럼 브롤러들에게 접근도 못한채로 당해주기만 하는 굉장히 무력한 브롤러가 되버린다. 그래서 특수공격이 자동으로 충전되지만, 충전되기까지 무려 30초라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 시간 동안 팀원들의 부담이 매우 높아진다. 이를 보완하는 플라이 하이 가젯이 존재하긴 하지만 3회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데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적을 암살할 때의 높은 리스크 및 다인전에 불리함
    에드거가 팀전에서 쓰기 어려운 이유. 특수기에 극히 의존되는 상황인데 정작 암살 자체도 굉장히 불리하게 치고 들어가야한다. 사거리도 낮고 체력도 낮기에 맞다이가 불가능한 상대도 있을 뿐만 아니라 순간 체공 능력이 양면적으로 적용하여 진입하는 그 사이에 맞대응이 가능하며,[44]게일이나 비비처럼 밀어낼 수 있는 브롤러들이 에드거를 집중 마크하면 에드거는 정말로 할게 없어진다. 적진 깊숙히 들어가 암살에 성공하고 빠지는 것도 문제인데, 아무리 암살을 한다 해도 다시 아군 진영으로 돌아오는 것에 실패하면 아무 의미도 없다. 특히 체력이 낮기 때문에 궁극기가 다시 차지 않는 이상 후퇴하기 어렵다. 하드 코어 가젯의 추가로 이 단점은 꽤나 상쇄됐지만, 그 대신 가뜩이나 큰 특수기 의존도가 매우 커지므로 이는 케바케이다.

  • 떨어지는 유틸성과 팀 기여도
    레온과 비슷한 단점.[45] 암살자 및 근접 브롤러 중에서도 에드거는 개인 플레이에 특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팀원을 도울 수 있는 방도가 거의 없다시피하다. 유일한 방법은 적을 처치해주는 것 또는 팀원과 붙어 적의 모티스와 같은 브롤러 견제하기인데, 체력이 워낙 약하고, 무빙으로 피해도 사거리가 심각하게 짧아 반격할 여지가 없다. 고로 견제나 라인전 같은 흔한 상황 속에서 에드거는 기동성 말고 내세울 게 없다. 기본 체력, 사거리, 견제력 등등 때문에 궁이 차기 전까진 그냥 상대가 에모를 빼는 것뿐밖에 못하는 샌드백 그 자체다. 게다가 에드거는 체력도 낮아 기동성을 활용하기엔 문제도 많다.[46] 그래서 활약하기 위해선 특수기를 동반한 확실한 암살 능력이 요구되는데, 위 단점으로 인해서 리스크가 너무 큰 반면 안전하게 가자니 할 수 있는게 하나도 없다보니[47] 그나마 기동성을 요구하는 모드를 제외하면 쓴소리 듣기가 매우 쉽다.[48]

  • 상술한 단점들로 인해 낮아지는 입지

8.2. 변천사

변천사를 간단히 요약하면,
시즌 4 ~ 시즌5: 전성기
스튜 출시~시즌 7: 1차 암흑기
시즌 8~시즌 11: 안정기
시즌 12~현재: 2차 암흑기

2020년 12월 19일, 처음으로 무료로 제공되는 브롤러였기 때문에 한동안 로사, 재키, 엠즈처럼 매 판마다 에드거가 출현할 정도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49]

출시 시점에서는 태생적으로 가지는 명확한 단점인 짧은 사정거리와 높은 특수 공격 의존도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장점이 단점을 상회하는 브롤러로 평가받았다. 매우 짧은 사정거리를 대가로 후딜레이가 거의 없어서 샷건 브롤러와 비슷하거나 좀 더 빠른 수준의 연사 속도를 자랑하여 웬만한 근접 브롤러들을 능가하는 순간 화력[50], 자동 충전되며 이동 속도 증가, 도약, 짧은 후딜레이 등 대부분의 이동기가 가진 장점을 가진 특수 공격과 더불어 무엇보다도 사용 즉시 특수 공격 게이지를 빠르게 채워주는 사기적인 성능의 가젯 때문. 횟수 제한이 있긴 하지만 에드거의 기동성을 극대화시켜주어 단점 상쇄에 한 몫 하였다. 또한 연사 속도와 재장전 속도가 굉장히 빠른데 특수 충전에는 약 5탄창만을 요구하기에 부쉬 등에 숨어서 근접하거나 특수 공격을 통해 접근하는데만 성공해도 특수 공격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그래서 출시 이후로 너프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조성되었다. 출시 초반에는 모두가 가지고 있어서 의견이 덜했으나, 시간이 어느 정도 경과된 이후에는 메타를 점령했기 때문. 쇼다운 메타 브롤러인 비와 같은 시기에 버프를 받은 콜트와 함께 쇼다운의 강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이로 인해 2021년 1월 14일 긴급 패치로 가젯 '플라이 하이'의 특수 공격 충전 속도가 700%에서 525%로 줄어든 대신, 지속 시간이 3초에서 4초로 증가하였다. 초당 충전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특수 공격이 채워지는 정도는 줄어들었으며, 가젯의 쿨타임 역시 증가해서 연속적으로 특수 공격을 사용하기 다소 어려워졌다. 그러나 특수 공격의 완충 시간은 크게 감소하지 않았기 때문에 별로 타격을 받지 않았다.

2021년 2월 8일, 특수 공격을 채우는데 드는 일반 공격의 타격 횟수가 10회에서 12회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에드거는 자동으로 차는 특수 공격과 가젯, 엄청난 DPS로 인한 암살로 승부하는 브롤러인데 사거리가 짧은 특성상 일반 공격으로 특수 공격을 채울 일이 별로 없다. 물론 특수 공격을 통해 적에게 접근한 이후 다시 특수 공격을 채우는데 드는 시간이 증가하긴 했지만, 가젯이 있을 경우 크게 상관이 없기 때문에 역시나 큰 타격을 받지 않았다.

이후 운용 난이도가 높지만 기동성이 뛰어나고 데미지가 매우 강력한 에드거의 특성상 활개칠 수 있는 필드에서만 매우 강력하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장단점 문단에 제시된 것처럼 단점이 극명한 탓에, 밸런스 조절에 있어서 난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 충전의 경우 없으면 거의 활약을 못한다는 것은 분명해졌기에 뺄 수도 없고, 특수 공격에 붙은 이동 속도 증가 효과를 없앤다면 특수 공격을 헛방 날렸을 때 제아무리 기본 이동속도가 빠르다 해도 체력이 낮아 역관광 당하기 쉬운데, 대미지나 체력 회복량을 너프하자니 유일무이한 에드거의 유지력과 안정성을 없애버려 암살 자체가 힘들어진다. 여러모로 핵심 부분을 패치하기에는 좀 난감한 브롤러다. 고로 에드거는 극단적인 강약약강을 보여주고, 스킬 셋 자체도 특수기 외엔 할 수 있는게 없어서 매우 불안정한데다, 범용성도 매우 떨어지는 탓에 애초에 설계 자체가 잘못 만들어진 브롤러라는 지적도 있다.

결국 체력이 약 7% 감소하는 너프를 받게 되면서 더더욱 에드거의 단점이 강조되었다. 이젠 모티스 수준의 하이 리스크를 지닌 운영을 하게 될 심산. 또한 스튜[51]의 출시, 여러 간접 너프 등으로 인해 에드거의 입지가 매우 낮아졌다. 상위권에서는 팀전에서 나올 시 트롤 취급을 받으며[52], 에드거의 주 무대인 쇼다운에서도 스튜와 다른 좋은 브롤러들로 인해 전보다 출현 빈도가 낮아졌다. 그래도 높은 DPS 덕에 솔로 쇼다운에서의 입지는 완전히 잃지 않은 것이 위안.

2021년 6월 패치로 스튜가 큰 너프를 먹어 에드거의 하드 카운터 자리에서 내려왔고,[53] 틱의 가젯이 무적 효과에서 50% 피해량 감소로 너프되면서 이전처럼 에드거의 진입을 완벽히 카운터치는 게 불가능해져서 입지가 높아질 거라 예상되었으나, 버즈의 출시와 에드거의 카운터였던 탱커 브롤러들이 대폭 버프를 먹으면서 에드거의 메리트인 궁극기 자동 충전의 메리트가 퇴색되는 동시에 입지가 더 떨어졌다. 특히 에드거의 하위호환 취급받던 엘 프리모가 굉장한 버프를 받고 메타 브롤러가 되자 평가가 완전히 뒤집어졌다. 예전보다 에드거를 대처하기도 쉬워지고 에드거를 카운터치는 브롤러들도 꾸준히 버프를 먹고 있는 데다가 에드거가 상대하기 유리한 브롤러들 역시 입지가 좁아지고 있었으므로 에드거로서는 최악의 상황. 그나마 초보자들이 에드거 대처를 잘 못해서 중하위권에서는 좀 기용되나 상위권에서는 답이 없는 수준.

2번째 가젯 하드코어의 등장 이후로는 교전 시 안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었기에 쇼다운 및 일부 3대3 모드에서의 에드거의 픽률이 비교적 상승했다. 하지만 2가젯을 장착하면 특수 공격을 충전하기 힘들어 교전 능력은 매우 상승하지만 30초동안 아무것도 못한다는 단점이 발생했다. 게다가 에드거를 쉽게 무력화시킬 수 있는 스튜도 신규 가젯을 얻고 픽률이 크게 늘어난 데다, 탱커들과 하드 카운터를 공유하기 때문에 에드거의 입지가 오른 지 얼마 되지도 않아 점점 떨어지고 있다. 또한 경쟁자인 레온도 얼마 후에 신규 가젯을 얻고 팀전에서 입지가 크게 오르는 바람에 팀전에서의 입지는 크게 줄었다.

결국 2021년 8월 패치로 일반 공격의 타당 HP 흡수량이 10% 버프를 받았다. '주먹 다짐' 스타 파워의 HP 흡수량 증가 효과도 간접 버프를 받은 건 덤. 거기에 신규 모드 쇼다운+가 출시되면서 입지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강력한 경쟁자인 모티스와 하드 카운터인 쉘리 또한 버프를 받았으며, 버프를 먹었더라도 여전히 HP가 낮은 등 고질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고 경쟁자인 모티스보다 cc기에 더 취약하며 기동성과 스탯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위권에서 입지는 그렇게까지 높지는 않다.[54] 그래도 대릴 보다는 상황이 훨씬 나으며, 스로잉이나 저격수 브롤러들을 카운터치기 위해 가끔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나마 모티스 자체가 난이도가 높아 중하위권에서의 입지는 쭉 유지할 전망이며 예전보다는 확실히 성능이 나아졌다.

그러나 상위권에서는 리스크가 크고 대처가 쉬운 에드거보다는 실력과 스타파워/가젯으로 리스크와 부족한 팀 기여도를 커버할 수 있는 모티스나 레온을 선호하는 경우가 다수라 아직 갈 길은 멀다는 평을 받고 있다. 물론 에드거도 게임의 판도를 뒤집어버릴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긴 하지만, 대처가 이들에 비해 간단한 편이고 팀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10월 패치로 모티스와 레온이 너프를 먹었지만 레온은 사기급 브롤러 자리에서 내려온 거지 여전히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고, 모티스는 너프가 체감이 거의 안 되는 수준이라 상위권에서는 여전히 일부 하이스트 맵들이나 솔로 쇼다운을 제외하면 잘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이후 11월 업데이트로 기어가 추가되었는데 쉴드 기어와 피해 기어가 에드거의 특성과 잘 맞아서 입지가 눈에 띄게 체감될 정도로 상승했고 이후에는 실력이 받쳐준다는 가정 하에 쇼다운, 하이스트에서 자주 활약하는 무난한 브롤러가 되었다. 쇼다운에선 상성이 잘 맞으면 강점을 보여줄 수 있고, 하이스트에서는 경쟁자인 모티스와 레온이 트롤픽 취급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12월 패치 이후로 대릴이 큰 버프를 먹고 사실상 에드거의 상위호환이 되면서 입지가 크게 떨어졌다. 물론 이와 별개로 근접 속공형 브롤러들 중에서[55] 대릴을 상대로 불리한 상성을 극복하기는 비교적 쉬운 편이다. 여기에 대릴의 너프로 뺏긴 입지의 일부를 되찾기도 했다.

2022년, 현재는 모티스, 크로우, 게일, 버즈, 에쉬 등의 브롤러와 함께 상대 팀의 특정 조합을 저격할 수 있는 카운터 픽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대 팀에 에드거의 카운터 브롤러가 없는 상황이라면 특히 빛을 발하는데, 궁극기를 순환시키며 투척 브롤러들을 상대로 우위를 점하거나 원딜러를 기습해서 제거하는 활약을 보여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21년 후반~2022년 초반까지 메타를 점령하던 그롬을 카운터칠 수 있기에 입지가 상승했다. 물론 3월 패치로 큰 너프를 받아 원래대로 돌아오긴 했지만.

물론 에드거는 자체 스펙이 나빠서 묻힌 케이스가 아닌지라 여전히 쓸 수 있다면 쓸만하지만, 전체적으로 상위권으로 갈수록 입지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몇몇 유저들 사이에서는, 모티스 이상으로 상성을 극단적으로 타며, 특수 공격을 채우기 전까지는 너무 무력할 수 밖에 없는데다 근접 브롤러에도 불구하교 생존력이 매우 낮은 축에 속한다는 이유로 대부분의 3vs3 모드에서의 사용이 봉인될 정도로 매우 힘들기 때문에 일부 랭커들 사이에서는 서지처럼 전체적인 스펙을 리메이크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56] 게다가 대릴, 비비, 모티스, 레온, 버즈, 팽 등 에드거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으면서 3대3에서도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 브롤러들도 있고 이들의 지속적인 버프, 이브의 출시와 게일이나 서지, 그리프 등 극카운터들의 입지 상승 등으로 인해 메타가 에드거한테 상당히 불리하게 흘러가는 점도 한 몫 한다.

결국 시즌 12 기준으로 사실상 최악의 암흑기를 맞이하게 되었는데,[57] 포지션은 다르지만 공중을 자유자재로 이동이 가능한 자넷의 등장과 클라이드 모드 한정 에드거와 포지션이 상당히 유사한 보니의 등장으로 입지가 더 떨어지고 말았다. 대포 모드 상태에서 원거리 견제도 가능하고 특수 공격 사용 시 일시적으로 에드거와 비슷한 브롤러가 되기 때문.[58] 물론 보니 자체도 애매한 평가를 받고는 있지만 에드거보단 훨씬 나은 수준이다. 또한 현재 에드거는 3대3에서 가장 성능이 안 좋은 브롤러로 평가 받으며, 하이스트에서도 에드거보다 좋은 픽이 많아 그나마 괜찮은 평가를 받는 하이스트에서의 입지도 현재 좋은 편은 아니다. 녹아웃에서는 그나마 바운티, 시즈 팩토리, 핫 존 같이 아예 못 써먹는 모드보단 살짝 더 좋은 평가를 받는 정도로, 그나마 다행인 점은 쇼다운과 듀얼 모드 한정으로는 무난한 평가, 보스전에서는 0티어의 평가를 받고 있어 그래도 잘 한다는 기준으로는 4티어 최하위권, 5티어 중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59][60]

시즌 13 업데이트 이후로도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해주는 버프나 전반적인 리메이크는 커녕 자잘한 보여주기식 버프 조차 받지 못하는 바람에 여전히 전망은 어두울 것으로 보인다. 거기다가 에드거의 최대 먹잇감들이자 시즌 12까지 최악의 브롤러들의 정점의 평가를 받았던 페니와 칼이 리메이크를 받고 근접 대항 능력이 이전에 비하면 상당히 극대화 되었기에 더 이상 만만하게 볼 수 없어진 건 물론이고[61] 에드거의 하드 카운터인 오티스마저[62] 출시된 현 시점에서는 재키, 니타, 다이너마이크, 제시[63]와 함께, 그들 이상으로 모든 브롤러를 통틀어 가장 성능이 안 좋은 최악의 브롤러가 되었다.[64]

결과적으로 에드거가 나온지 1년 반이 지나면서 브롤스타즈를 하는 모든 유저들에게는 파워리그든, 상위권이든, 하위권이든 하이스트의 뜨거운 감자나 피드 스톱, 롤링 럼블 같은 맵들이 아니면 팀전에서 절대 쓰면 안되는 보스전 전용 브롤러가 되고 말았다.[65] 심지어 시즌 14 업데이트에서도 제대로 된 버프 하나 받지도 못했으니 에드거의 입지는 그야말로 완전히 망했다...[66] 그나마 이번 패치로 최대 먹잇감인 포코가 큰 버프를 받아서 입지가 오른다면 포코를 카운터치는 조커픽으로 사용 될 수도 있지만 그 점을 감안해도 모티스, 비비 같은 브롤러들이 더욱 효율적인데다 포코가 3vs3에서는 대부분 탱커들과 같이 쓰이기 때문에 포코를 잡으려다 상대편 탱커들에게 집중 마크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다. 그나마 듀오 쇼다운에서는 상대편 포코를 궁 기점으로 삼은 다음 주변에 있는 팀원에게 킬을 따는 용도로 쓸 수 있기에 가치가 있는 정도지만, 차라리 다른 브롤러를 쓰는 게 더 나을 정도다.

극단적으로 평가하면 시즌 2~6 시절의 엘 프리모와 시즌 7~11 시절의 스퀴크에 버금가는 정도라고 할수 있다...[67]

유저들 사이에서는 슈퍼셀이 에드거에 손을 놓은것이 아니냐는 의문도 있다. 고인 브롤러 였던 칼, 그롬, 페니[68], 니타, 재키, 스퀴크, 보, 미스터 P 등도 버프를 해주었는데, 에드거는 1년 이상이나 버프를 받지 않았다.[69]

8.2.1. 현재 평가

에드거가 저평가 받는 이유는 자힐 및 특수 공격, DPS에만 집중된 매우 낮은 스펙과 최악의 생존력 때문이다. 우선 근접 브롤러들 사이에서 체력과 사정거리가 최하위라서 다른 근접 브롤러들과 달리 직접 붙으면서 때릴 수도 없는데다 접근에 성공해도 CC기와 순간 폭딜에 매우 취약한 것은 덤. 거기다가 체력도 매우 낮고, 사거리도 짧은 주제에 자동 특수 공격 충전 속도도 30초로 느려서 1가젯이 없으면 안정적으로 특수기를 채워 기습하기 위해서는 왠만해서는 최소 30초의 시간이 걸린다는 뜻인데, 이는 속전속결로 진행되는 3vs3 모드에서 굉장히 치명적으로 다가오는 단점이다.[70]

이로 인해 에드거의 스타파워 및 가젯 사용도 심히 제한되는데 "1가젯을 들면 접근을 할 수 있지만 정작 암살을 하기 어렵고, 2가젯을 들면 암살을 할 수 있지만 정작 접근을 하기 어렵다."는 상당히 아이러니한 상황이 된다. 게다가 이 둘 중 하나도 없다면 접근도 암살도 안 되는 무쓸모 암살자 브롤러가 된다.[71]

게다가 메커니즘 상 암살에만 특화된 전형적인 순수 암살자 브롤러이기 때문에 대체 브롤러가 넘쳐나는 것도 함정이다. 당장 같은 암살자 브롤러들인 모티스, 레온, 버즈, 크로우, 스튜 같은 브롤러들은 괜찮은 성능을 보이거나 적어도 에드거보다는 좋다고 평가를 받으며, 분류상 암살자는 아니지만 팽, 자넷, 칼, 샌디, 대릴, 맥스, 보니 등 침투적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면서 킬 결정력과 안전성, 범용성이 훨씬 더 높은 브롤러도 있다. 그들에 비하면 에드거는 자힐을 통한 대면 도중 체력 관리와 자동으로 충전되면서 벽을 뛰어넘을 수 있는 특수 공격을 제외하면 메리트가 거의 없는 수준이다. 심지어 자힐은 모티스의 특수 공격에도[72] 붙어 있는 특성이다.

결론적으로 에드거는 접근 및 근접전에서 리스크가 큰 반면에 적진에 주는 영향은 미미해서 하이 리스크 로우 리턴 브롤러[73], 하위권 양학용 브롤러등 여러 오명까지 얻은, 설계 부터 잘못된 2022년의 브롤스타즈 최악의 브롤러라고 평가받는다.

8.3. 모드별 평가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가젯이 있음을 전제로 서술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제재될 수 있습니다.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74][75]으로 분류하였다.

  • 젬 그랩
    젬 케리어가 된다면 폭발적인 이속으로 빠르게 도망칠 수 있지만, 체력이 낮기 때문에 젬을 강탈당하기 쉽고, 강력한 근접 전투력을 가졌다고 젬을 가진 채로 돌진하는 것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개활지는 특수기를 쓰는게 아닌 이상 매우 취약해서 다른 암살자에 비해 사용하기 굉장히 어려운 편이다.
  • 솔로 쇼다운 (750점 이상)
    뛰어난 기동성이 빛을 발하는 모드. 쇼다운은 오브젝트를 차지하거나 수비하는 모드가 아닌 관계로 바쁘게 움직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충전되는 특수기를 모아서 상성 상 처치에 유리한 브롤러가 접근시에는 공격하고 불리한 브롤러가 부쉬 체크하거나 접근할 경우 도망갈 수 있으므로, 상성조차 안따지고 들이대지 않는 이상 생존력 자체는 준수하며 상자 파밍속도 또한 빠르기 때문에 초반에 빠르게 큐브 파밍을 적당히 해두고 벽을 이용한 플레이만 영리하게 한다면 유리하게 끌어갈 수 있다.[76] 또한, 공격 적중 시 체력 회복능력으로 인해 교전 후에도 체력이 부족하지 않은 것은 쇼다운에서는 큰 장점이다.[77] 다만 이를 감안하고 봐도 체력이 낮은 근접 브롤러라는 한계가 워낙 크다보니 상성 차는 위 내용대로 파일럿의 전투센스로 극복해가야 한다. 더불어 에드거는 카운터픽이 명확하기 때문에 이들을 상대하기 위해선 파일럿의 전투 센스가 더욱 중요해졌다.[78] 부쉬가 많은 맵에서도 좋기는 하나, 에드거를 카운터치는 쉘리 등 샷거너 브롤러가 자주 나오기 때문에 매우 조심해야 한다. 예외로 개활지 맵의 경우에는 원거리 브롤러들이 많이 나오긴 하나 특수 공격이 없으면 원거리 브롤러들한테 다굴 맞고 뻗으니 그다지 추천하진 않는다. 그리고 700점 이상부터는 유저들의 실력도 상향평준화 될터러, 티밍에 매우 불리하기에[79] 바위 장벽 전투나 해골천, 사상누각 같이 에드거가 손쉽게 활약하 수 있는 맵이 아니면 잘 안 쓰인다.
  • 듀오 쇼다운
    주로 팀원이 에드거를 보조하게 되는 경향이 잦다. 에드거는 2인 견제가 어려운 관계로 부쉬나 기습을 위주로 플레이하게 되는데, 근접 전투에 특화된 브롤러인 덕분에 2인으로 뭉치는 일이 잦은 듀오 쇼다운에서 각만 잘 잡는다면 다수 타격으로 체력을 계속 회복하여 상대 팀을 한꺼번에 잡는 그림이 나올 수도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선 팀원의 보조가 있어야하므로 전장에 진입하기 전에 팀원이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염두에 둬야 혼자 나서다가 죽는 사태를 면할 수 있다.
  • 브롤 볼
    궁극기가 대릴과 달리 cc기가 없어 드리블을 하기에는 부족하지만 슛-특수기-슛 연계로 빠른 드리블이 가능하며, 지형지물도 무시한 채 이동하고 이동 속도까지 상승하는 덕분에 공을 잡는 순간 뛰어난 스트라이커가 되어준다. 문제는 근접 공격 방식에 스트라이커 치곤 체력이 매우 부족하다는 점. 그래도 근접에서 적을 빠르게 처치하여 힐링이 가능하지만, 역시 매우 큰 리스크가 동반된다. 물론 뒷마당 월드컵 같은 경우에는 애시당초에 사용하지 말자.
  • 하이스트 (뜨거운 감자, 피트 스톱)
    대릴처럼 게이지가 자동으로 차는 궁극기를 이용하여 상대 금고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지만, 에드거는 벽을 넘어서서 돌입이 가능한데다 1가젯을 사용하면 단기간에 더 안정적으로 침투가 가능하다. 빠른 장전속도와 높은 dps로 대체로 공격에 유리한 모습을 보이지만, 다른 하이스트의 메이저 브롤러들에 비해 금고를 때려도 회복 효과가 발동하지 않기에 탱킹을 하면서도 공격을 하는 전법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맵들에서는 체력도 높고 특수기로 종횡무진이 가능한 엘 프리모와 불의 하위호환에 가깝다. 플라이 하이+하드 랜딩을 쓰면 하이스트 단골인 원거리들을 자르기도 쉬워지고 금고에 붙기도 쉬워지니 고려해볼만은 하다. 피트 스톱과 같이 벽이 많은 맵은 스로어들이 많이 나오니 매우 좋다.
  • 바운티
    맵과 적들에 따라서 차이가 심하게 나는 편인데, 이를 감안해도 낮은 HP와 느린 특수 공격 충전 속도로 인한 무력함으로 인해 불리하게 적용된다. 특히 개활지는 엄두도 못 내는 수준으로, 팀원 보조로 틈이 생겨야 특수기로 겨우 잡을 수준이다. 그래서 벽이 많은 맵에서 쓰이는데, 기동성으로 접근하여 갈아버린 후 도망치는데 유리하므로 지형지물을 특히 잘 활용해주는 것 밖에 없다. 체력 너프 전에는 벽이나 부쉬만 잘 활용하면 꽤 괜찮은 브롤러였으나 지속적인 너프와 메타의 변화, 바운티에서 에드거가 잡기 까다로운 브롤러들이 많아진 영향으로 평가가 대폭 떨어졌다.
  • 시즈 팩토리
    기동성을 이용해서 볼트를 쉽게 먹고 빠질 수 있으나, 라인전에서 너무 밀리고 HP가 너무 떨어지는 관계로 백도어가 불가능에 오브젝트를 친다고 체력이 회복 되지 않기 때문에 시즈 로봇을 수비할 때도 불안정하다. 모티스는 돌진 능력으로 손쉽게 빠지고 스로어를 카운터치기 쉽다는 점을 가졌는데, 에드거는 그런 역할도 수행하기엔 여러 방면으로 하드코어한 성능을 보여준다. 단점이 극대화되는 모드.
  • 핫 존
    마음껏 이동할 수 있다는게 에드거의 메리트인데 일정 구역을 사수해야 하는 핫 존 특성상 전혀 맞지 않는 편. 가뜩이나 체력도 떨어져 근접에서 맞다이하는게 아니면 주위의 브롤러들에게도 취약한 것은 덤이다. 그래도 구역 내에 있는 브롤러를 갈아버리는 역할은 잘 해주기에 상대 팀 조합에 따라 유리하게 사용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 장점 때문에 랜덤큐에서 상당히 많이 픽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좋은 픽은 아니므로 되도록 픽하지 말자.
  • 녹아웃
    바운티랑 다르게 상대팀이 한번 죽으면 끝이라 바운티에 비하면 생각보다 쓸만하다. 궁극기가 자동으로 차오르기 때문에 굳이 무리하게 센터에 나설 필요가 없고 궁이 차면 바로 낮은 체력의 저격수, 스로어를 노리는건 좋다. 그러나 체력이 낮기 때문에 상대가 뭉쳐있으면 궁으로 개돌하다가 바로 삭제당하는 경우도 있고 상대를 한명 죽었는데 자기도 죽어서 이득도 손해도 아닌 경우가 많이 있다.
  • 빅 게임[빅 브롤러]
    전체적으로 평가하자면 다른 암살자들의 하위호환이다.
    큰 단점인 적은 체력을 없애주고 속도도 빠르고 DPS와 재장전 속도도 좋아서 괜찮지만 쉘리라는 강력한 카운터이자 5인 쪽의 1티어 브롤러가 있고 근접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샷거너들에게 취약하면서도 원거리 브롤러는 처치하기 힘들다. 거기다가 빅 브롤러가 될 경우에는 자신이 받는 치유량이 1/10로 감소되기 때문에 에드거의 아이덴디티인 피흡 능력의 메리트가 퇴색된다. 특수기 충전량도 감소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엘 프리모의 하위호환이다. 전투는 가급적 샷거너 브롤러만 피해주자.
  • 로보 럼블
    뭉쳐져있는 로봇들을 한꺼번에 보낼 수 있어 초반에는 그럭저럭 버틸만 하지만 거대 로봇이 나타나면 상황이 180도 달라진다. 격노 버전 슈터에게 2방이면 죽고 근접 브롤러이기에 공격도 못하고 죽는 경우가 워낙 잦아서 안정성도 대폭 떨어진다. 게다가 로봇들이 뭉쳐서 오는 경우는 격노버전만 나오는 후반에만 해당되기에 능력을 발휘하기 힘들다. 고려할 필요없이 다른 브롤러를 고르자.
  • 보스전 (크레이지 미만)
    보스와 시작부터 끝까지 1:1로 정면 맞다이가 가능한 유일한 브롤러로, 출시 이후 현재까지 보스전 최강의 입지를 고수하고 있으며 보니의 등장으로 입지가 떨어진 와중에 이곳의 입지는 전혀 흔들리지 않은 신흥 강자. 얼핏보면 사정거리가 너무 짧아서 엘 프리모와 같이 안정적인 딜링이 어렵고 체력도 낮아 메리트가 크게 없어 보인다. 하지만 파워 큐브가 등장하는 크레이지 이상에선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파워 큐브를 먹을수록 물몸 브롤러라는 단점이 상쇄되고, 지속 피해량과 HP 회복량(피흡)도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여 오히려 공격 자체가 간지러운 수준이 되기 때문이다. 파워 큐브가 드롭되지 않는 크레이지 이하 난이도에서는 메리트가 없어 보이지만, 파워 큐브를 논외로 쳐도 보스전에서 최척화된 무장을 지닌 편이다.[81] 일단 사거리가 매우 짧지만 이동속도가 빠르므로 보스와 거리를 벌려가면서[82] 타격이 가능하고, 체력이 낮아도 재장전 속도 및 연사력이 워낙에 빠른지라 한 두대 피해를 입어도 여러번 타격으로 금방 회복이 가능하며,[83] 그래도 모자라면 가젯 하드코어로 한 두대를 버텨가며 체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특히 특수 공격의 경우, 곡사형 이동 + 착지 후 이속 버프로 위험하거나 특정 패턴을 시전할 시 손쉽게 회피하거나 벗어날 수 있어서 생존력을 대폭 보완시킨다. 고로 높은 속도 및 기동성, 뛰어난 지속 화력 및 생존 능력, 그 두가지를 전부 갖춘 특수기에 파워 큐브로 기존 스탯을 완벽히 보완할 수 있어서 거리 조절만 잘하면 불보다도 쉽게 운영이 가능하다. 그 사기성으로 인해 버그나 편법을 사용하지 않고는 사실상 공략이 불가능했던 크레이지 16이 단박에 클리어 되었고 그것도 매우 쉽게 가능해졌을 정도.[84] 덕분에 기존의 보스전의 메타는 말 그대로 갈아 엎어졌으며, 사실상 에드거가 중심이고 나머지 브롤러는 에드거를 보조하는 조합과 에드거에게 큐브를 몰빵하는 플레이가 정석이 되었다.[85] 종합하면 딜탱에 자기 한정이지만 힐까지 붙은 완전체급 사기 브롤러. 에드거로 크레이지 16을 클리어하는 동영상.

9. 상성

모든 상성은 1대1 기준이며, 가장 일반적인 전투 상황을 기준으로 하였다.
  • 에드거가 상대하기 힘든 브롤러
    • 에드거보다 근접전이 강한 브롤러: 주로 에드거의 3탄창 공격을 버틸 수 있을 정도의 체력을 갖추거나 에드거와 비슷하게 근접에서 순식간에 적을 제거하는 포지션을 가진 브롤러들이 해당된다. 짧은 사정거리로 인해 초근접전이 요구되다보니 여기에 해당된 브롤러들 입장에서는 에드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 점 때문에 해당 브롤러들을 상대할 땐 특수 공격으로 순식간에 접근하여 삭제시키는 전략을 활용하기 어려워지며, 경우에 따라선 아예 상대할 수도 없어서 도망만 다녀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기어가 추가된 뒤로는 때에 따라서 역관광이 가능하다.
      • 쉘리[86], 불[87], 엘 프리모[88], 로사[89], 대릴[90], 그리프[91], 버즈[92], 애쉬[93], 팽[94]
    • 에드거의 기습으로부터 대응이 용이한 브롤러: 사거리가 매우 짧은 에드거는 특수 공격을 사용해야 적에게 붙을 수 있다. 특수 공격으로 겨우 붙어도 쉽게 도망가는 브롤러들은 에드거 입장에서 어려운 상대이다.
      • 스튜[95], 파이퍼[96], 나니[97], 팸[98], 맥스[99], 크로우[100], 스파이크[101], 루[102], 게일[103], 서지[104]
  • 에드거가 상대하기 쉬운 브롤러
    • 근접 대응력이 낮은 중,원거리 브롤러: 이들은 에드거보다 긴 사거리로 특수 공격이 없는 에드거를 압도한다. 하지만 에드거는 특수 공격을 쉽게 충전할 수 있고, 에드거가 특수 공격으로 이들 브롤러에 붙으면 에드거가 쉽게 이긴다.[105]
      • 니타[106], 콜트, 제시[107], 보, 엠즈[108], 포코[109], 리코[110], 비[111], 미스터 P[112], 바이런[113], 스퀴크[114], 샌디[115], 앰버, 러프스 대령, 벨[116]
    • 투척 브롤러: 대체로 스로어들은 벽을 넘어 공격할 수 있는 대가로 딜레이 등으로 인해 근접전이 매우 약하다. 그에 비해 에드거는 벽을 넘어 이들과의 거리를 아주 쉽게 좁혀버릴 수 있는 특수 공격의 존재로 어찌보면 에드거는 벽 넘어에서 농성하는 이들을 잡는데 특화되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 다이너마이크[117], 발리[118], 틱[119], 스프라우트[120], 그롬[121]
    • 에드거 보다 근접전에 약한 근접 브롤러
      • 프랭크[122],
      • 모티스[123]
      • 비비[124]
  • 편차가 심한 브롤러
    • 순간 화력이 강한 일부 원거리 브롤러: 원거리 브롤러들 중에서도 에드거와 그나마 싸워볼만한 브롤러들이다. 이들은 체력이 낮기에 에드거의 기습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으나, 높은 순간 화력으로 마찬가지로 물몸인 에드거를 역으로 녹여버릴 수 있는 여지가 있다.
      • 브록[125], 타라[126], 롤라[127], 페니[128], 칼[129], 메그
    • 에드거와 근접전에서 비등한 브롤러: 에드거보다 체력은 높지만 일반 공격에 딜레이가 있거나 발사 속도가 느려서 빠르게 딜을 넣을 수 있는 에드거에게 당할 수 있는 브롤러들이 해당된다. 대체로 먼저 공격하는 쪽이 이기게 되며, 특수 공격, 가젯의 유무 등의 상황으로 인해 승부가 갈리는 경우도 존재한다.
      • 8비트[130], 재키[131]
    • 기타
      • 레온: 사정거리가 길지만 멀리서는 레온의 대미지가 낮아져서 크게 위협적이진 않다. 그리고 각이 나오면 바로 레온에게 달려들어서 잡을 수 있다. 하드코어 가젯까지 있다면 금상첨화. 하지만 마찬가지로 레온이 특수 공격을 통해 에드거를 기습하면 그대로 에드거가 죽는다.

10. 추천 조합

  • 주먹 다짐 - 하드코어 (주요 조합)
    스타 파워와 가젯의 효과를 통해 에드거의 안정성을 높이는 조합. 주로 솔로/듀오 쇼다운, 브롤 볼 등에서 활용되며, 특히 보스전에서 굉장히 선호되는 조합이다. 대신 특수 공격 의존도가 높은 조합이며, 덤불이 많은 맵이 아닌 이상 초반 주도권을 잡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하드 랜딩 - 플라이 하이 (주요 조합)
    순간적인 인파이트 플레이를 할 때 유용한 조합. 다만 안정성이 떨어지며, 적을 확실히 암살하지 못할 경우 무력해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적 팀에 에드거의 진입을 막기 어려운 브롤러들이 많을 때 또는 양학할 때 사용되는 조합이다.
  • 주먹 다짐 - 플라이 하이
    공격적으로 운용하면서 싸울 때 안정성을 일부 높이는 조합. 브롤 볼, 하이스트에서 종종 보이는 조합이다.
  • 하드 랜딩 - 하드코어
    스타 파워를 통해 딜을 보충하고 가젯을 통해 조금 더 안정적으로 적들에게 진입할 수 있는 조합.

  • 기어의 경우 에드거의 흡혈과 1대1 전투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피해 기어가 선호된다. 2번째 기어의 경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보호막 기어를 사용하거나, 짧은 사거리를 보완하고 덤불 싸움 능력을 높이는 속도 기어를 사용한다. 시야 기어와 회복 기어는 기동성과 높은 DPS로 승부하는 암살자 브롤러 특성 상 안 어울린다. 보통 1번째 가젯을 채용하는 경우 피해+보호막 조합을 사용하고, 2번째 가젯을 사용할 때는 피해+속도나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1가젯과 똑같은 조합을 사용한다.

11. 스킨

11.1. 기본 스킨

<rowcolor=#ffffff> 에드거
기본 스킨


여담으로 옷에 더 배드 랜덤즈의 문양이 새겨져 있다. 이를 통해 에드거는 더 배드 랜덤즈의 팬이라는 걸 유추할 수 있다.

머리는 투컷으로 추정된다. 또한 같은 트리오인 콜레트와 마찬가지로 한쪽 눈을 가린 헤어스타일을 하고 있다.

승리 시 에드거가 높이 뛰어올라 한바퀴 돈 후 착지한다. 패배 시 스카프가 튀어나오더니 에드거의 머리를 마구 두들긴다.

11.2. 퀵드로우 에드거(QUICKDRAW EDGAR)

<rowcolor=#ffffff>퀵드로우 에드거
브롤 패스 시즌 6 테마 스킨


브롤패스 시즌 6 테마 스킨. 멕시코풍 복장이 특징이다.

일반 공격을 사용할 시 마름모 형태의 이펙트가 생긴다.[132] 승리 시 스카프가 총을 쏘는 듯한 시늉을 취한 뒤 에드거가 총열을 연상케하는 스카프에 입김을 불며 자세를 잡는다. 패배 시 총을 맞아 쓰러진 사람처럼 행동하며 쓰러지며, 스카프가 에드거의 머리를 건드리며 생사를 확인한다.

일부 크리에이터 한정으로 출시일보다 더 일찍 스킨을 제공받았다.

에니메이션에서 불운의 타라와 함께 콜트와 쾌걸 앰버를 공격한다. 콜트와 앰버가 무기를 들려고 할때 뒤에서 대기하다가 콜트를 우물에 빠뜨렸고 앰버를 후려쳐서 기절시킨다. 이후 돈을 챙기고 벨의 공격으로 쓰러진 보안관 러프스를 뒤로한채 마차를 타고 떠난다.

11.3. 오로치 에드거(OROCHI EDGAR)

<rowcolor=#ffffff> 오로치 에드거
2022 설날 브롤 스킨

2022년 설날 기념으로 출시된 스킨. 생김새 덕분에 오로치마루가 떠오른다는 평이 있다. 여기서 영감을 받은게 분명하다

공격 시 뱀 형상이 튀어나가는 이펙트가 있다. 에드거 특유의 짧은 사거리 때문에 이 스킨도 일반 공격 이펙트가 아주 잘 보이지는 않는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나, 공격 시 양 옆의 뱀이 매우 거대해져서 뱀 장식만큼은 확실하게 잘 보인다. 궁극기 사용 시 도약할 때와 착지할 때 둘다 초록빛을 띠는 이펙트가 생긴다.

승리 시 뱀 권법을 사용한다. 패배 시 양 옆의 뱀이 자신의 팔을 물어 당기자 주저앉는다.

대기 화면에서 잘보면 분홍뱀 머리가 초록뱀 머리보다 더 길쭉하다.

11.4. 박사 에드거(DR.EDGAR)

<rowcolor=#ffffff> 박사 에드거
바이오 돔 스킨

목 주위를 식물이 감쌌고, 하얀색 실험복을 입었다.[134]

승리 시, 식물을 마음대로 조종하고 자세를 잡고, 패배 시, 목 주변의 꽃이 에드거의 얼굴을 먹는다.

외양과 공식 채널의 문구[135]로 보아 모티브는 닥터 옥토퍼스인 듯하다.[136]

다른 에드거의 스킨들에 비해 식물의 크기가 커서 변한 일반 공격 이펙트가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더 역동적으로 주먹을 휘두르는 것처럼 보인다. 이 덕에 에너지 드링크를 먹거나, 빅 게임에서 빅 브롤러가 될 경우 공격 모션의 식물이 지나치게 커보이며, 서퍼 칼과 비슷하게 공격 속도가 느려져 보인다는 의견도 있다.

11.5. 에드거 TATA (EDGAR TATA)

BT21 콜라보 스킨이다. 타타가 에드거의 모습으로 변했지만...

호불호가 매우 심한 스킨이다. 에드거의 쿨한 외형을 하트 머리와 짧은 다리가 분위기를 깬다는 여론이 있는가 하면, 나름 귀엽다는 평도 있다. 그러나 일반 공격 이펙트는 고작 조그맣게 하트가 날아가는 게 다인데다가, 특수 공격 사용 시, 점프할 때 하트가 나오는 이펙트 빼면 그렇게 임팩트 있는 이펙트가 없어 149보석으로 낸다면, 아마 할인 전 로커 모티스나, 이펙트 변경 전 쾌걸 앰버 취급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기본 이펙트가 변해있고 애니메이션도 변하기 때문에 가성비 자체는 일반적인 가성비다. 다만 사거리가 매우 짧고 특수 공격도 별 이펙트가 없다는 에드거 스킨 특성상 여전히 이펙트는 149보석 치고는 초라해서 외형이나 애니메이션보다 이펙트를 중요시하는 유저들은 별로 선호하지 않는 스킨이다.

12. 업데이트 내역

  • 2021년 1월 19일
    스타 파워 '주먹다짐' 추가
  • 2021년 2월 8일
    특수 공격을 충전하는데 드는 일반 공격의 타격 횟수가 10회에서 12회로 증가
  • 2021년 3월 15일
    체력이 3000에서 2800으로 감소
  • 2021년 7월 8일
    가젯 '하드코어' 추가
  • 2021년 8월 25일
    일반 공격의 타당 HP 흡수율이 25%에서 35%로 증가
  • 2021년 10월 27일
    '주먹다짐' 스타 파워 착용 시 이동 속도 버프 지속 시간이 길어졌던 버그 수정
  • 2022년 1월 26일
    '오로치 에드거' 스킨 출시
  • 2022년 3월 9일
    '박사 에드거' 스킨 출시
  • 2022년 7월 29일
    '에드거 TATA' 스킨 출시

13. 기타

  • 브롤스타즈의 공식 채널에 따르면, 모티브는 MCR이라고 한다.

* 스카프를 두른 차가운 외모에 그에 걸맞는 복장으로 동시에 공개된 바이런과 함께 디자인에서 호평을 받았다. 다만 특수기를 시전할 때 외치는 비명이 좀 깬다는 평도 있다.

  • 목에 두른 스카프는 인격이 있는지 스카프가 직접 공격을 하고 패배할 때 스카프가 에드거의 머리를 마구 때리며, GG 핀에도 스카프가 대신 GG포즈를 하고 있다.
  • 설정에 따르면 콜레트와 함께 일하고 있으며 까칠한 성격의 소유자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콜레트와 비슷한 외형에, 조종사 콜레트의 머리핀과 똑같은 모양의 물건을 허리 앞 벨트에 차고 있다. 본인은 쿨하고 신비로운 사람이 되고 싶어 하지만 생각대로 잘 안된다고.[138]
  • 로사, 모티스, 발리, 바이런 등의 브롤러와 같이 영국식 억양을 구사한다. 또한 모티스, 콜레트만큼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눈 주위에 다크서클이 있다.
  • 레온 이후로 상당히 오랜만에 추가된 어쌔신(암살자) 브롤러다. 단, 다른 암살자 브롤러인 모티스, 크로우, 레온은 각각 돌진 암살자, 맹독 암살자, 은신 암살자라[패치]는 전용 역할군으로 나온 것과는 다르게 그냥 어쌔신(암살자)라는 역할군으로 나왔다.[140]
  • 최초로 일정 기간 동안 모든 유저들이 무료로 얻을 수 있었던 브롤러이다. 2020년 브롤리데이 출석 보상 8일차인 12월 19일부터 2021년 1월 7일까지 무료로 얻을 수 있었으며, 때문에 12월 19일 5시경 에드거가 무료로 풀렸을 당시 많은 사람들이 에드거를 무료로 준다는 소식을 듣고 무려 1억명이 동시에 접속하여 서버가 터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브롤스타즈에 접속하는 것조차 불가능했으며[141], 이 현상이 5시간 동안이나 지속되던 탓에 결국 서버 점검을 했다. # 이후 시즌 12 업데이트로 추가된 신규 유저 한정 출석 보상 마지막 리워드로 그리프와 함께 선택 지급되는 브롤러가 됨으로서 사실상 반 무료 브롤러가 되었다.
  • 콜레트와 함께 일하고, 바이런과 동시에 출시된 특성 때문인지 2차 창작에서 둘과 자주 엮인다. 콜레트, 에드거랑 같은 스타 파크와 관련된 스튜와 그리프도 추가되어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 브롤 패스 시즌 6 관련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했다. 이때는 퀵드로우 에드거 스킨. 불운의 타라와 함께 콜트, 쾌걸 앰버를 상대로 포커를 둔다. 이후 싸움이 일어나자 콜트를 우물로 날려버리고 앰버, 8비트, 러프스 대령까지 날려보낸다. 나중에 나가려는 찰나의 러프스 대령과 싸우려 하나 벨의 등장과 함께 타라, 벨과 마을을 빠져나간다.
  • 나이는 10대이며[142] 사춘기라고 한다.#[143]
  • 체인 버즈, 배드 보이 스튜, 펑크 락 포코로 이루어져 있는 펑크 락 밴드 '더 배드 랜덤즈'의 팬이다. 에드거가 입고 있는 옷에도 더 배드 랜덤즈의 로고가 있다.[144]
  • 2차 창작에서는 주로 같은 트리오인 콜레트와 엮이며[145] 그 외에도 몇몇 여성 브롤러들과도 엮기도 한다.
  • 에드거의 눈 전체가 노란색으로 바뀌고 다크서클도 회색으로 바뀌는 버그가 존재했다. 현재는 수정.[146]
  • 브롤러들 중에서 스킨 패배 모션이 물어뜯기는 스킨이 2개인 브롤러다.


[1] 브록 과 성우가 같다.[2] 인게임에서는 '웬지'라고 쓰여있다. 왠지로 쓰여야 하는데, 잘못 써졌다.[3] 인게임에는 유지는이라고 오타가 나있었다.[4] 스튜도 스타 파크에서 사용하는 로봇이라 같은 트리오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스튜는 스타파크 놀이공원, 에드거와 콜레트는 스타파크 안의 선물가게 테마이다. 2021 6월 브롤토크에서 선물 가게 트리오의 마지막 멤버 그리프가 공개되었다.[5] 톤만 다른 유사한 비명소리가 있다.[6] 아마 해당 핀의 대사 때문인 듯 하다.[7] 엘 프리모와 비교하면 사정거리가 조금 짧지만, 일반 공격의 두께가 무려 2타일로 좌우 판정이 훨씬 더 넉넉하다.[8] 일반 공격의 HP 흡수 능력을 믿고 무작정 돌진하면 스파이크의 강한 순긴 딜로 인해 회복하기도 전에 녹아버린다.[9] 연사력은 모든 브롤러 중 두번째로 빠른 0.2초다.[10] 이건 기본적으로 메커니즘 상 주먹질을 두 번에 걸쳐서 하는데, 두번째 주먹질을 할 때 피해량이 들어간다. 이로 인해, 장애물을 잘 못 부수는 현상이 생긴다.[11] 볼트는 전압, 나사 말고도 파쿠르에서 장애물을 넘는 동작들을 뜻하는 단어이다.[12] 착지할 때 목도리가 휘둘러지는 이펙트가 있다.[13] 그러나 스타 파워 '하드 랜딩'이 있으면 자체 피해량이 1000이 생긴다.[14] 보통 파워 큐브나 레벨 등의 요소 때문에 스탯이 더 높은 에드거가 이기거나, 궁을 먼저 쓴 에드거가 진다. 물론 2번째 가젯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긴 하다.[15] 그러나, 서지보다 체공 시간 및 높이가 더 낮고, 점프를 뛴 다음에 특수 공격을 채우기 위한 일반 공격의 횟수도 더 많기 때문에 서지보다 안정성은 떨어지는 편이다.[16] 같은 암살자 중 모티스는 공격에 대시가 있기에 상대가 각을 내줘버린다면 추격하기 쉽고, 크로우는 도약 속도가 빠르고 광범위로 단검을 날리며, 레온은 은신이라서 제때 찾아내기 어렵다. 하지만 에드거의 경우에는 체공 시간이 크로우와 비슷하지만 사거리가 훨씬 짧아 암살 상대가 반응속도가 좋다면 암살에 실패할 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 날아오다가 착지하자마자 죽을 수도 있다. 그래도 이 셋과는 달리 특수 공격이 자동으로 차는 것이 위안.[17] 특히 부쉬 안에서 기습하는 경우는 판단할 시간이 짧기 때문에 착지 지점을 예측하기가 더욱 어렵고 효과음도 작고 모션이 간결하기 때문에 더욱 빠르게 알아차리기 어렵다.[18] 범위 안에만 있다면 벽 너머의 적도 피해를 입힐 수도 있다.[19] 최대체력 4800 이하[20] 최대체력 5700 이하[21] 11레벨인 경우 체력이 20 남아서 1대 더 쳐야 된다.[22] 다만 쉘리, 불, 재키는 가젯과 스타 파워로 실질 체력이 더 높을 수 있으므로 실제로는 더 많이 때려야 하며, 애초에 풀피의 근접 브롤러를 기습하는 것은 자살행위다. 예를 들어, 가젯 "육즙 가득 스테이크"를 보유했거나 터프 가이가 발동될 체력 정도가 남은 불도 죽기 전까지 에드거를 충분히 죽일 수 있으며, 쉘리는 특수 공격 1방으로 에드거를 잡는다.[23] 사망 전 3탄창 전부 명중 시 에드거의 기대 체력은 6324로 늘어난다.[24] 그 진가는 솔로 쇼다운에서 더더욱 두드러지는데, 가젯으로 궁극기를 채운 상태로 상자를 먹고 있으면 원거리나 투척 브롤러는 아예 견제도 할 수 없다. 견제를 포기하고 가버리면 에드거는 성장으로 우위를 점하면 되고, 견제를 하면 특수 공격으로 날아가서 조지면 그만이다.[25]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으로, 기존의 피해량 감소 보호막이 아닌 별개의 추가 체력이 생기는 식이다. 그래서 체력바 오른쪽에 남은 보호막이 따로 표시된다.[26] 적의 공격을 피하며 부시 기습을 노리며 특수기를 날리더라도 다시 채우는 등의 플레이를 하면 1가젯보다 몇배는 높은 포텐셜을 보인다.[27] 이에 이 가젯을 3vs3 모드에서 사용하려면 부시이용과 기본 무빙, 상대의 각 확인 등의 기본 실력이 중요해진다.[28] 당연히 가젯 없이 잡을 수 있는 적들에게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29] 다만, 카반 박사의 보호막 능력과는 달리 에드거의 보호막은 보호막 이상의 피해를 받으면 피해가 무효화되지 않고 그냥 본체에 대미지가 그대로 박혀버리는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클래시 오브 클랜의 이벤트 유닛이었던 호박 바바리안과 유사하다.[30] 시작/부활 시 2000의 체력을 흡수하는 방어막 획득[31] 초당 3.3%씩 특수 공격을 충전하며, 30초가 지나면 특수 공격이 충전된다.[32] 최대 2000의 피해량을 무시하는 지속적으로 깎이는 보호막 생성[33] 4초간 특수 공격 충전 속도 525% 증가[34] 일반 공격 회복량 25% 증가[35] 특수 공격 착지 지점에 1000 범위 대미지[36] 주된 플레이는 가젯으로 빠르게 궁을 충전한 다음 치고들어가서 빠르게 적을 처치하는 방식으로, 에드거의 탄창과 체력이 널널한 상태에서 진입하고 상대가 기본 체력이 높다면 체력이 깎여있거나 탄창이 빠졌을때 기습하는 것이 좋다. 어설프게 접근하다간 상대의 순간 폭딜이나 딜 계산이 맞지 않아 역으로 썰리기 쉽기 때문.[37] 비슷하게 체력도 낮지만 극한의 기동성을 자랑하고, 스로어에는 매우 유리하지만 탱커에게 취약한 등 상성이 극명하게 갈리는 점이 동일하다. 차이점은 모티스는 운영도 조작도 훨씬 어렵지만, 공격과 이동을 동시에 시전하기에 일반기와 연개하여 공격을 피하면서 교전을 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빠르게 치고빠질 수 있는 반면, 에드거는 기습, 탈출, 이동 전부 특수기에 의존이 되는데다 교전도 딱 붙어서 극한의 맞다이를 하게 되다보니 특수기가 없는 상황에선 굉장히 불안정하다.[38] 암살자들만의 큰 장점인 기동성이 모티스 다음가는 수준이고 매우 높은 DPS에 끈질긴 생존력, 쇼다운에서의 높은 픽률까지 암살자에게 필요한 건 거의 다 있으나, 체력이 크로우 다음으로 낮고 3대3에서는 다른 암살자들과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높은 난이도를 자랑한다.[39] 앰버가 1등을 차지하고 있는데 앰버는 탄환 하나로는 큰 힘을 쓰지 못해서 실질적인 1등은 에드거이다. 칼의 경우 곡괭이가 돌아오자자 탄창이 차도 0.5초의 딜레이를 가진데다 벽에 딱 붙어서 쓰는 탓에 조건부에 가깝다.[40] 1레벨 기준으로 1초에 3240이라는 데미지를 순식간에 누적시킨다. 거의 샷거너와 대등한 수준.[41] 이 마저도 스펙 상 비비나 프랭크 같은 경우에는 특정 상황이 아니면 근접전에서 유리한 편이고 쉘리를 제외한 다른 브롤러는 근접에서도 조건부로 이기는 것이 가능하다. 프랭크와 비비를 제외한 탱커 브롤러들을 단독으로 이길 수 없는 모티스와는 정반대.[42] 그 불마저도 사거리 자체는 에드거의 2배 정도기 때문에 견제라도 할 수 있는데 에드거는 그것조차 못 한다.[43] 때문에 에드거는 실력에 따라 극과 극의 성능 편차를 보이는 브롤러들 중 하나라고 평가받는다. 잘하는 사람이 에드거를 잡을 경우 근접에서 거리 조절과 무빙을 통해 탱커까지 녹일 정도의 위력을 보여주는데, 막상 못하는 사람이 잡을 경우 특수 공격만 사용하면 날라가서 사망하는 막장 플레이를 보여준다. 특히 에드거는 2020년 브롤리데이 선물로 무료로 뿌렸기 때문에 초보자도 에드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문제가 심각해졌다. 심지어는 일부 유저들 사이에서 에드거충이라는 용어까지 생길 정도.[44] 물론 에드거도 마찬가지로 궁으로 씹어버릴 수 있으나, 애당초 특수기로 진입을 한다는 가정하에 맞대응할 수 있다는 소리이므로 그 찰나에 특수기가 채워질리가 없다.[45] 그나마 레온은 지속적인 버프를 받고 2가젯 막대사탕 드롭을 얻으면서 상대를 교란하고 아군을 은신시키는 플레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나마 팀 기여도가 올라갔다.[46] 비슷하게 라인전에서 안 좋은 레온의 경우에도 사거리가 길어 중장거리 견제만큼은 제대로 할 수 있다. 또 2번째 가젯이 출시되면서 레온도 막대사탕 드랍 가젯을 통한 팀 기여 능력이 상승해서 이제 옛말이 되었다.[47] 가젯이 있다고 해도 일장일단이 있는데, '플라이 하이' 가젯은 기동성과 암살 능력 모두를 담당하는 특수 공격 순환률을 높혀주는 대신 리스크가 높아 잘못하면 그냥 날아가면 죽는 불나방이나 마찬가지고, '하드 코어' 가젯은 특수 공격을 사용해 적에게 붙을 때의 리스크를 줄여줄 수 있고 에드거의 암살 능력의 위력을 끌어올려줄 수 있으나 특수 공격을 충전하지 못하면 샌드백이라는 단점이 있다.[48] 팀전에서 에드거를 꺼낼 때는, 파워 리그에서 기동성이 중요한 브롤 볼이나(이마저도 난이도가 높고 편차가 심하다.) 적팀에 투척 브롤러나 근접전이 약한 원거리 브롤러가 둘 이상일 때 조커픽으로 꺼내주는게 그나마 가장 도움이 된다. 하지만 조커픽이더라도 랜덤큐에서는 되도록 픽하지 말아야 하며, 팀큐에서도 사전 협의 없이는 젬 그랩이나 바운티, 핫 존 등에서 에드거를 꺼내진 말자. 자신있게 에드거 픽했는데 아무것도 못하고 죽기만 하면 화난 핀들 날아온다.[49] 비슷한 예시로 2019년 브롤리데이에 리코의 리코셰 스킨이 풀리며 리코가 없던 유저들도 리코를 얻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일시적으로 리코 붐이 일어났던 적이 있었다. 사실 에드거 뿐만 아니라 신규 브롤러는 출시된 지 얼마 안 됐을 때에는 저레이팅 구간에 그 브롤러의 등장 비율이 높아진다.[50] 한 탄창의 대미지는 브록과 서지의 중간쯤이지만 연사 속도와 장전 속도가 매우 빨라 기대 DPS는 훨씬 높다. 회복 기능도 달려있어서 안정성도 높은 편.[51] 쇼다운에서 파워 큐브가 10개 넘게 차이 나도 독구름이 가까워진 상황이 아닌 이상 스튜가 손쉽게 이길 수 있는 극상성 브롤러다.[52] 이와 처지가 비슷한 브롤러로는 레온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2가젯 출시 후 재평가를 받고 트롤 취급은 면하게 되었고 상위권 파티에서도 꽤 쓰일 정도로 평가가 조금은 높아졌다.[53] 물론 무한궁으로 계속 도망가면서 플레이하면 에드거를 무력화시키기 쉬워 여전히 카운터다.[54] 사실, 이는 에드거의 성능이라기보다는 메타의 변화 때문이다. 에드거의 주 모드인 솔로 쇼다운은 카운터인 쉘리와 스튜가 판을 치는 모드이고, 하이스트 또한 에드거의 카운터인 탱커들의 단골 모드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저격수 브롤러인 파이퍼, 브록과의 상성도 그리 유리하지 않다.[55] 모티스, 비비, 재키, 레온, 버즈, 팽 등[56] 일반적인 버프가 아닌 이유는 현재 에드거의 성능을 대폭 개선하려면 체력/특수 공격 자동 충전 속도/사정거리 같은 스킬셋들의 버프가 필수인데, 그 대가로 HP 흡수량/연사 속도나 재장전 속도 같은 일부 스펙을 너프 하지 않으면 그것대로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할 장점들을 너프해서라도 상술된 단점들에 대한 버프가 필수적으로 필요할 만큼 현재 에드거에 대한 랭커들의 평가와 인식이 매우 안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57] 어느정도나면 주력 모드였던 솔로 쇼다운에서도 이전 시즌이랑 비교해도 입지가 너무나도 떨어졌다.[58] 에드거의 존재 의의인 특수 공격에 이속 증가가 없지만 '검은 화약' 스타파워 장착 시 실질적으로 기동성은 에드거와 별반 차이가 없다. 보니 모드 상태의 사거리도 에드거와 2배 이상(에드거 2타일, 보니 5타일) 차이나며 공격력도 훨씬 높다. 물론 넓은 광역 공격과 자힐이 없고(이 마저도 현재 에드거의 자힐 능력은 오히려 에드거의 자체 내구력과 전체적인 스펙을 깎아먹어버린 주범이 되어버렸다.) 연사속도가 딸린다고는 하지만 짧은 사거리의 공격으로 상대를 때려야 회복되는 자잘한 자힐을 받자니 그냥 안정적인 자체 내구력으로 버티면서 중거리 폭딜로 빠르게 녹이는 게 빠르다. 또 대포 모드로 변신해서 사거리와 체력으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특수 공격 없이는 원거리 견제 능력이 거의 제로에 가까운 에드거와 차별된다.[59] 하지만 쇼다운은 티밍과 배틀 로얄의 특성, 듀얼 모드는 1대1 대전이기 때문에 랭커들과 상위권 유저들하고는 거리가 멀고 보스전은 특별 이벤트인데다 오로지 평타의 자힐 능력만으로 0티어 평가를 받는 것인지라 티어 상승에 포함될 이유는 없다. 때문에 전체적인 평가에 포함하지 않는 랭커들도 많아서 사실상 전 브롤러들 중 꼴찌나 다를 바 없다. 솔로 쇼다운과 듀얼 모드를 제외한 거의 모든 모드에서 상위권 성능을 보여주는 바이런과는 정반대.[60] 극단적으로는 아예 시즌 2~6 동안의 엘 프리모와 비교하는 의견도 있었다. 지금도 엘 프리모의 평가가 썩 좋은 편은 아니지만, 이마저도 과거에 비하면 상당히 개선된 거다.(거기다가 시즌 7 당시 버프가 매우 파격적이였는지 한동안 솔로 쇼다운의 메타를 장악한 것은 물론 젬 그랩과 녹아웃을 제외한 팀전에서 최소한의 실전성이 생긴 것은 덤.) 브롤패스 시즌 2~6 동안의 엘 프리모는 실전에서 솔로 쇼다운 티밍이 아니면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평가 까지 나올 정도로 평가가 굉장히 안 좋았다.[61] 특히 페니. 리메이크된 첫 번째 가젯 '소금통'과 2번째 스타파워 '블래스터 마스터'로 초근접 폭딜과 즉발 cc기라는 에드거에게는 굉장히 위협적인 기술을 보유하게 됨으로서 원거리 브롤러들 중에서도 까다로운 편이 되었다.[62] 에드거가 궁으로 진입하면 궁 버튼 하나만 눌러도 에드거의 공격을 완전히 봉인하고 안 그래도 체력이 낮은 에드거를 신나게 때리며 농락할 수 있다. 물론 오티스 자체도 별로 좋지 않은 평을 받지만 아직 연구가 덜 되었기에 좋은 브롤러가 될 가능성이 남아있다.[63] 다만 다이너마이크는 너무나도 명확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타 스로어들에 비하면 확실한 차별점이 존재하는데다, 제시는 적어도 핫 존이나 하이스트에서 저열한 성능과 별개로 터렛을 통해 개활지에서 적을 전방으로 견제하는 메리트 덕에 생각보다 많이 쓰이고, 니타 역시 전반적인 순위로만 따진다면 그나마 재키와 에드거보단 살짝 더 높은 평가를 받기는 한다.[64] 거기다가 다른 근접 탱커/암살자 브롤러들과 비교해도 전망이 너무나도 암울한게 현재 에드거와 동급 수준으로 최악의 브롤러 소리를 듣는 재키도 너무나도 낮은 피해량과 그에 비해 저열한 기동성과 원거리 견제력, 내구력 때문에 안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인지라 이 점이 개선된다면 입지가 어느정도 회복될 가능성이 충분하며, 엘 프리모나 불 같이 시즌 7, 시즌 10 초반을 제외하면 썩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지만 그래도 부쉬나 벽이 많은 쇼다운 맵이나 하이스트, 브롤볼에서는 에드거 보다 더 많이 보이며, 대릴 역세 시즌 7 당시 다른 근접 브롤러들의 입지 상승으로 인한 메리트 퇴색으러 한동안 묻혔지만 시즌 8 부터 어느정도 숨통이 트이면서 점점 입지가 늘어나고, 결과적으로 특수 공격 시전 시 보호막 효과 추가라는 파격적인 버프를 받으며 지금처럼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다. 비비도 한동안 고인이였으나 점점 버프와 재평가를 받고 입지가 어느정도 회복된 건 덤. 버즈 역시 시즌 12부터 크로마틱 최약체가 되었지만 그래도 에드거와 비교할 수준은 아니며 '전혀 버프를 받지 않았다.'라는 점 까지 감안하면 더더욱. 그러나 현재 에드거는 그런 것 조차 없을 정도로 팀전 모드에서는 물론 쇼다운에서의 입지 마저 회복하려면 아예 서지와 페니랑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리메이크식 버프가 필수 수준인지라 매우 암울한 상황이다.[65] 하이스트마저도 불, 제시, 니타, 발리, 엘 프리모 같은 하위권 브롤러들도 에드거보다 더 안정적으로 금고 딜을 넣을 수 있어서 그렇게 평가가 좋지 않다.[66] 게다가 이번패치로 에드거와 비슷하게 최악의 브롤러 취급받던 니타와 재키도 버프를 받았는데 에드거는 버프를 못받았다...[67] 심지어 엘 프리모를 주축으로 한 탱커들은 그래도 한동안 솔로 쇼다운에서는 티밍으로 악명 높기라도 했고, 그 당시에 스퀴크도 팀전에서는 어찌어찌 써먹을 수준이었다.[68] 이쪽은 리메이크를 받았다.[69] 그런데 위 내용에 상술했듯이 에드거의 스킬셋을 보면 아예 팀전에서 써먹을수가 없기때문에 스킬셋을 버프해도 모자라서 리메이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리메이크의 예시로 체력을 크게 올리고 흡혈을 없앤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엘프리모의 상위 호환이 되버리는등, 그런 문제점도 있어서 리메이크를 하는것도 쉬운 편이 아니다.[70] 비슷한 포지션의 브롤러인 대릴도 에드거 보다 체력이 훨씬 높은데다 사정거리도 더 길어서 비록 템포가 자동 궁 충전 속도를 못 따라가도 중거리에서 짤딜을 넣으면서 궁을 채울 수 있기 때문에 1가젯이 없는 에드거에 비하면 초반 싸움에 불리하다는 단점을 어느정도 해소 가능하다.[71] 물론 랭커들은 금고로 빨리 진입하는게 중요한 하이스트를 제외하면 거의 2가젯을 선호한다.[72] 모티스도 전속력 돌진 패시브화 이후 너프를 많이 받아서 위상이 크게 떨어졌지만 적어도 변수 창출력 하나는 뛰어나서 에드거보다 높은 티어에 위치해 있으며, 힐량이 높아 자힐도 더 잘 활용할 수 있다.[73] 심지어 같은 하이리스크 로우리턴형 브롤러인 콜트와 다이너마이크는 그래도 "실력만 잘 받춰주면 자체 성능과 별개로 충분히 쓸만하다."라는 평가라도 있는 반면 에드거는 그런 것 조차도 없다.[74]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75]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특별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특별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76] 다른 근접 브롤러들의 경우 벽을 끼고 농성할 경우 조여오는 독가스 때문에 본인이 불리해지나 에드거는 오히려 시간을 끌수록 본인이 유리하기 때문에 폭딜이 안되는 원거리 브롤러의 경우 에드거가 벽을 끼고 농성하기 시작하면 자리를 피하게 된다.[77] 대부분의 브롤러들은 일방적인 딜링으로 킬을 따내지 않는 이상 교전 후에는 승리했다 하더라도 피가 적고 탄창이 비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주변에서 하이에나 처럼 몰려오는 훼방꾼들 때문에 큐브를 포기하거나 기습으로 한대 맞고 패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에드거는 교전 직후에도 적당하게 남는 체력과 더불어 빠른 이속과 금세 차는 탄창 덕분에 대처가 용이하다.[78] 특히 가젯과 특수 공격 모두 에드거의 공격을 무력화시켜 에드거를 간단히 카운터 칠수 있는 게일, 이동기인 특수 공격이 매우 빨리 차 근접에서도 순식간에 거리를 벌리거나 역카운터칠 수 있는 스튜, 강력한 근접전 능력으로 에드거를 순식간에 잡아버리는 쉘리를 주의해야 한다.[79] 근접들 중에서 티밍도 잘 안 끼워주며, 티밍에 끼더라도 엘프리모, 대릴 등과 다르게 체력이 낮아서 기습적으로 배신당하거나 다굴을 당하면 바로 죽는다.(그러나 가끔 가다 에드거 티밍이 보이기도 한다.)[80] 대신 빅 브롤러가 포코, 다이너마이크, 미스터 P, 스프라우트 등 근접한 에드거를 저지하기 힘든 브롤러일 경우 충분히 활약할 수 있다.[81] 크레이지 이하는 모티스 등의 보스전에 매우 부적합한 스킬셋의 폐급 브롤러가 아니고서야 거의 모든 브롤러들로 공략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예 논외로 친다. 빠른 클리어를 위해서라면 에드거가 또 우선순위까지는 아닐지 몰라도 짧은 딜레이를 바탕으로 한 DPS가 준수한 수준이기 때문에 다른 1티어를 쓰는 것과 크게 차이는 나지 않는다.[82] 의외로 이게 제일 큰 장점인데, 엘 프리모나 불은 이동속도가 빠름이라서 아무리 거리를 벌리려고 해도 따라잡혀 한두대는 맞게 되지만, 에드거의 경우 이속이 매우 빠름에 특수기로 이속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보스에게서 쉽게 벗어나는 것도 가능하다.[83] 이때 주먹다짐 스타파워까지 있으면 금상첨화.[84] 보스전 고인물들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다이너마이크, 프랭크, 모티스 등의 보스전 폐급 브롤러들을 끼워놓고 크레이지 16을 클리어할 정도.[85] 주로 에드거 or 보스에게 영구적으로 버프/디버프를 걸 수 있는 벨, 러프스 대령이나 에드거의 공격력을 뻥튀기시키는 8비트가 조합으로 추천된다. 다만 이 조합의 단점을 꼽자면 각자 특수기를 걸어준 이후론 아무것도 안해도 돼서 에드거 혼자만 고생한다는 정도. 물론 두 팀원 또한 아예 손 놓고 구경만 해도 된다는 얘기는 아니고, 잡몹 처리 정도는 해 줘야 에드거가 좀 더 수월하게 보스와 맞다이가 가능하다.[86] 쉘리가 딸피이거나 에모가 빠진 등 특수한 경우가 아닌 이상 에드거가 압도적으로 불리하다. 쉘리가 궁이 없는 상태에서 초근접 맞다이를 해도 에드거가 지는 데다 기본 사정거리도 5.67타일이나 차이나고, 쉘리가 가젯을 사용하면 더 길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상황에선 일방적인 궁셔틀이 된다. 하드코어+궁극기로 들어가도 쉘리가 맞궁을 사용하면 에드거가 그대로 죽는다. 상자를 끼고 싸우거나 최대한이라도 거리를 벌리고 때려보자. 궁극기 게이지를 채운 상태로 접근만 가능하다면 쉘리의 궁극기 타이밍만 예측 해서 궁극기로 흘려버리면 이길 확률이 대폭 늘어난다. 하지만 이는 심리전이기 때문에 쉘리가 점프할 타이밍을 예측해 궁을 안쓰면 그대로 에드거가 사망. 하지만 쉘리에게 특수 공격이 없고 에드거가 특수 공격과 하드코어 가젯이 있다면 먼저 들어가볼 만한 싸움이다. 하지만 쉘리의 궁극기가 절반 이상 차 있다면 그대로 쉘리의 궁극기 연계에 당할 수도 있으니 궁이 없는 쉘리라고 해도 얕봐서는 안 된다.[87] 기본 스탯이 쉘리와는 차원을 달리할 정도로 높아 에드거가 불리하다. 다만 쉘리와는 다르게 사거리가 짧고 집탄율이 낮은 공격 덕에 쉘리에 비하면 카운터로 보기는 어렵지만 에드거의 사거리가 짧은 편이기 때문에 초근접전을 하면 불의 탄환을 다 맞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불을 상대해야하는 상황이 온다면 불리해도 1~2타일 정도의 거리를 두면서 싸워야한다. 그래도 거리조절을 하면서 싸울 수 있따는 점에서쉘리보단 쉬운 상대인건 위안.[88] 스탯이 에드거보다 매우 높아서 일반적으로 에드거가 불리하다. 하지만 대릴과 마찬가지로 크게 불리하진 않다. 대릴과 비슷하게 무빙을 하면서 때리면 의외로 에드거가 유리한 상황이 종종 나온다. 특히 8월 패치 이후로 엘 프리모의 타당 궁극기 충전량이 대폭 너프되고 에드거의 자가 힐링이 버프되면서 여전히 상성에서 불리하지만 그나마 상대할만 해졌다.[89] 사정거리와 높은 체력 때문에 교전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대신 궁이 없는 로사랑 근접전을 할 시 생각보다 에드거가 유리한 편. 그러나 로사가 특수 공격을 쓸 경우 맞딜로는 절대로 이길 수 없으니 어떻게든 로사의 특수 공격 지속 시간이 끝날 때까지 버티거나 특수 공격으로 도망쳐야 한다.[90] 다만 대릴의 일반 공격 특성상 집탄율과 순간 딜링이 상당히 떨어지는 반면 에드거는 평타 재장전 속도와 평타 딜레이가 대릴보다 2배나 빨라서 궁이 없는 대릴에게 접근해서 카이팅을 잘 이용하면 에드거가 이길수 있긴 하다. 그러나 에드거는 사정거리가 대릴에 비해 매우 짧고 기습하더라도 대릴이 맞궁으로 도망치는 등 교전의 주도권은 대릴에게 있기에 일반적으로 불리하다. 그래도 탱커치고는 그나마 쉽다는 것이 위안인 편이다.[91] 그리프가 궁극기를 보유했다면 거의 이길 수 없다. 또한 궁 충전률도 매우 좋아서 조금만 맞아도 궁극기가 차기에 그리프를 상대할 때는 궁극기 게이지가 거의 없을 때 최대한 무빙을 치면서 잡아줘야 한다. 물론 초반부터 전탄이 거의 다 박히면 진다. 아니면 그리프의 에모가 빠지면 들어가자. 최근에 공격력 버프를 먹고 조금 더 어려워졌다.[92] 버즈의 특수 공격은 매우 위협적이지만 적어도 특수 공격을 빼거나 1스파가 없는 버즈를 상대로 하드코어로 공격을 일시적으로 막는데 성공하면 근접전에서 상성을 역전 시킬 수 있다.[93] 애쉬의 스타파워가 분노 폭발이라면 애쉬의 분노 게이지가 떨어진 틈을 타서 기습하면 이길 수 있지만, 뜨거운 분노라면 애쉬의 분노 게이지 및 특수 공격 게이지가 다 빠질 때 까지 라인스왑 해야한다. 그런데 애쉬 문서를 보면 에드거와의 상성관계가 편차 심함으로 되어있다[94] 동렙 기준 팽의 평타 2방에 처치될터러, 팽의 2가젯 출시 후로 상당히 불리 해졌다. 팽이 평+궁+평 콤보를 하면 체력이 낮은 에드거는 사망 확정이며 사거리도 팽이 길고 하드코어가 있더라도 팽의 평타+2가젯+궁극기+평타 콤보에 순식간에 갈려나간다.[95] 특수 공격으로 붙으려 하면 2~3연속 궁으로 도주해서 암살하기 매우 힘들다.[96] 저격수 브롤러 중에서도 상대하기 가장 어려운 브롤러로, 일단 데미지부터가 매우 살벌해서 멀리서 한 대만 맞아도 체력이 낮은 에드거의 체력을 반을 넘게 날려버린다. 에드거가 궁이 있거나 기습을 하지 않는 이상 멀리서 파이퍼에게 얻어맞다가 그대로 죽게 될 것이다. 또한 궁극기로 날아가거나 기습을 했다 쳐도 특수 공격이 없는 파이퍼라면 에드거로 쉽게 이길 수 있지만, 특수 공격이 있는 파이퍼는 에드거가 붙으면 바로 멀리 날아가며, 에드거는 그대로 수류탄에 맞고 폭사하거나 놓치게 되는 일이 많다. 게다가 특수 공격이 없는 파이퍼라도 에드거가 점프 후 착지를 조금 잘못하면, '자동 조준기' 가젯을 사용해서 에드거와의 거리를 벌린 후 도망가버린거나 되려 역관광을 시키기도 한다. 에드거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도주기나 cc기를 많이 보유하고 있고 데미지도 괴랄하며, 탄속도 빨라 피하기도 쉽지 않아서 여러모로 에드거 입장에선 골치아픈 브롤러. '하드 코어' 가젯을 써도 거리가 제대로 좁혀지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97] 매우 불리하다. 사정거리가 매우 길며 에드거의 체력 75%를 단번에 깎아버리는 높은 대미지 때문에 근접전을 해도 나니가 꿀리지 않는다. 그나마 이건 하드코어 가젯으로 상쇄시킬 수 있지만 무엇보다 나니의 궁극기가 매우 치명적인데, 높은 한방 대미지뿐만 아니라 넉백까지 있어서 나니 입장에선 평+궁을 써주면 그냥 에드거가 삭제되기에 나니의 궁극기가 반만 차있어도 에드거가 압도적으로 불리해진다.[98] 2가젯을 맞으면 에드거가 말 그대로 바보가 되면서 죽는다. 2번째 스타 파워도 체력이 낮은 에드거에겐 상당히 위협적인 편.[99] 일반적으로 에드거가 매우 불리하다. 맥스는 에드거와 이동 속도가 같은데 사정거리는 훨씬 더 길기 때문에 에드거가 맥스를 쫓아다니다가 얻어맞고 죽는 경우가 많으며, 궁으로 기습을 해도 맥스 입장에선 맞궁을 써서 빠져나가거나 1가젯으로 거리를 벌린 다음에 역관광을 시키면 그만이다. 다만 맥스가 1가젯이 다 빠지고 특수 공격이 없는 상태에서 궁 기습을 하거나, 맥스를 벽에 몰아넣거나 2가젯이 있는 상태에서 직접 근접 맞다이를 펼치면 에드거가 손쉽게 이기지만 이 마저도 각이 안나오는지라 까다롭다.[100] 궁극기도 궁극기대로 까다롭지만 조금이라도 잘못 착지하면 2가젯 슬로우 걸리고 놓칠 수 있가에 상당히 까다롭다. 착지를 매우 잘 해야 잡을 수 있으며, 이마저도 크로우가 궁이 있으면 더더욱 못 이긴다. 맹독 스타파워라면 공격력이 낮아지는데 회복량까지 낮아져서 근접 전투력이 대폭 하락한다.[101] 일반 공격 부터 피하기 힘든데다 스파이크의 직격은 DPS가 매우 높고 체력이 낮은 에드거에게 굉장히 치명적이라서 하드코어를 사용한 기습이 아니면 근접전에서도 매우 위험해진다. 스파이크의 1가젯은 덤. 스파이크의 2가젯 너프로 이전보다 선인장이 더 빨리 파괴되면서 더 까다로워졌다.[102] 체력이 낮기 때문에 에드거가 순식간에 잡을 수 있으나 1번째 가젯으로 에드거의 탄창을 뺄 수도 있고, 루의 일반 공격은 다 맞으면 꽤 아픈 딜이 들어가며 스턴 능력 때문에 정면딜을 하면 굉장히 위험한 브롤러중 하나이기 때문에 에드거가 역관광 당할 수도 있다.[103] 에드거가 붙었을 때 특수 공격으로 쉽게 에드거를 저지할 수 있다. 특히 '토네이도' 가젯이 있을 경우 특수 공격으로 진입하는 것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두 스타 파워 역시 에드거에게 치명적인 편이며 진입을 원천 차단하는 수단이 2가지나 있다보니 에드거가 매우 불리한 상성이다. 그나마 가젯이 '토네이도'가 아니라면 특수 공격이 빠진 틈을 노려 잡을 수는 있다. 눈사태 주의일 경우 근처에 벽이 있으면 토네이도로 못 오게 막고 계속 궁을 채워서 기절만하고 아무것도 못하는 수가 있다. 어떻게 보면 쉘리, 스튜, 서지, 그리프를 능가하는 에드거의 최대 극상성.[104] 예전에는 매우 불리했으나 현재는 궁극기가 없다면 서지는 순간이동을 못해 잘하면 잡을 수 있게 됐다. 다만 궁극기는 예전보다 넉백을 맞히기 쉬워졌으니 주의, 다만 서지 측에서도 2가젯이면 에드거의 기습에 어느정도 대응할 수 있으니, 무턱대고 덤비지 말자.[105] 2022년부터 에드거가 쇼다운에서도 입지가 상당히 떨어진 것은 맞지만 콜트나 다이너마이크 같은 특별한 케이스가 아니면 2020년 말 부터 쇼다운의 브롤러 픽이 "에드거로 부터 대항할 수 있느냐."로 갈라졌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106] 특수 공격이 있는 니타는 조심하자. 니타가 곰을 소환한 후, 가젯 연계나 곰의 협공으로 인해 에드거가 질 수도 있다. 니타의 공격력 버프 이후로는 평타 3방에 갈려나가기에 제대로 붙어야 한다.[107] 다만 제시의 가젯들은 조금 조심해야 한다. 1가젯의 슬로우 효과에 걸리거나 2가젯의 높은 DPS로 역관광 당할수있다.[108] 엠즈가 가젯으로 밀쳐내도 에드거가 하드코어로 그냥 들어가면 이기는 경우가 많다. 다만 엠즈가 궁과 가젯 둘다 있을 경우에는 상대하기 좀 어려워진다.[109] 포코에게 붙으면 가만히 있지 않는 이상 절대로 질 수가 없다. 에드거의 일반 공격은 힐링 능력이 있는데다 연사속도와 재장전 속도, 피해량 모두 포코보다 훨씬 우위인지라 포코 혼자서 오래 버티려고 하면 오히려 에드거가 더 유리해진다. 정녕 위급한 상황이더라도 하드코어를 통한 대처도 충분히 가능하다. 포코가 데미지 버프를 받고 살짝 까다로워지긴 했아도 여전히 매우 쉬운 상대이다.[110] 공격 시간이 꽤 길고 콜트보다 근접전이 약해서 접근하면 무조건 이긴다. 단 리코가 1가젯+궁극기를 쓰면 조금 까다로워지니 주의.[111] 하드랜딩 스타파워까지 있으면 궁 기습 시 비의 1가젯 조합도 무시할 수 있다.[112] 근접에서는 아무것도 못하는 최약체기 때문에 미스터 P에게 접근하면 그냥 이긴다. 미스터 P의 궁극기도 에드거의 관통공격에 철거당한다. 사실상 포코, 그롬과 더불어 에드거가 가장 상대하기 쉬운 브롤러.[113] 일단 기습에 성공하면 무조건 이기지만 바이런의 1스파와 2가젯은 이기는데 성공할지라도 뒷처리가 상당히 까다롭로워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114] 일반 공격의 딜레이로 인한 최악의 근접 대응력으로 인해 그냥 뛰면 살살 녹는다.[115] 달콤한 꿈 가젯이 있다면 도망갈 시간을 벌 수 있다. 그래봤자 샌디의 평타 3방에 안죽고 빠른 이동속도로 따라잡으면 끝이다.[116] 단 벨의 가젯은 주의하자. 어중간하게 착지하면 슬로우 걸려서 역관광당할 수 있다. 2가젯이면 벨의 특수 공격 외에는 전혀 어려울게 없다.[117] 많이 숙련된 상대의 경우 조금 까다롭다. 특수 공격 착지 위치에 궁을 미리 던져서 바로 폭사시키던가 가젯도 마찬가지로 착지지점에 미리 던져 놓는다면 꼼짝 못하고 역관광당할 수도 있다. 하드 코어 가젯을 사용하면 그나마 나아진다.[118] '끈적한 시럽 칵테일' 가젯이 있는 발리 상대로 특수 공격 사용 후 착지를 발리와 조금 떨어진 곳에서 하면 에드거가 슬로우에 걸려 발리를 놓치고 오히려 질 수도 있다. 물론 착지를 발리의 머리 위에 하면 에드거가 무조건 이긴다.[119] 투척 브롤러 중에서는 가장 상대하기 까다롭다. 2가젯이 있으면 에드거를 밀치고 도망갈 수 있으니 주의. 궁극기가 차 있어도 조심하자. 물론 페이크 무빙으로 다시 접근하면 틱은 저승행이나 궁극기 역시 주의하자.[120] 스프라우트는 무슨 수를 써도 에드거의 진입을 막지 못한다. 다만 이상한 데 착지하면 스프라우트가 특수 공격으로 길목을 차단하면 궁만 날리는 꼴이니 확실히 따라잡자.[121] 너프로 근접 대응력이 매우 처참해져서 사실상 포코와 같이 가장 상대하기 쉬운 브롤러가 됐다. 궁극기를 써도 즉발로 터뜨릴 수 없게 돼서 결과는 똑같다. 다만제자리 특수 공격은 어느정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122] 일반 공격의 딜레이로 인해 빠르게 접근하는 에드거를 잡기 어려워한다. 프랭크가 공격할 때마다 프랭크의 뒤로 가면서 프랭크를 계속 때리면 한 대도 안 맞고 이길 수 있을 정도. 다만 프랭크의 특수 공격이나 2가젯에 맞으면 에드거가 무조건 죽으니 주의. 또한 체력이 워낙 많아 아무래도 상대하기 약간은 부담이 따르는 편이고 공격력도 강력해서 무빙에 신경을 써야 한다.[123] 모티스도 근접 암살자이지만, 공격력이 낮고 재장전도 매우 느려서 에드거가 유리하다. 거기다가 하드 코어 가젯을 사용하면 에드거가 무조건 이긴다. 다만 모티스가 '생존용 삽' 가젯을 사용하여 빠르게 도주하거나, 재빠르게 데미지를 넣으면 오히려 죽거나 놓쳐버리니 주의해야 한다.[124] 비비의 넉백이 빠지는 순간 붙으면 확정적으로 승리할 수 있게 된다. 특수 공격이 있다면 비비의 일반 공격이나 특수 공격도 손쉽게 뺄 수 있다. 다만 에드거의 사정거리는 비비보다 짧아서 무작정 들어가면 낭패를 본다.[125] 2가젯의 피해량 증폭 삭제 너프와 평타의 탄속 너프로 인해 1가젯이 없는 브록에게 붙으면 어렵지 않게 이길 수 있어 예전에 비하면 그나마 상대할 만 해진 편이다. 물론 여전히 브록의 1가젯+2스파 조합은 주의.[126] 타라의 궁극기 유무에 따라 승패가 갈리는데 에드거가 '하드코어' 가젯이나 '하드 랜딩' 스타파워임을 상정하면 궁극기가 없는 타라에게 접근시 에드거가 거의 무조건 이긴다. 하지만 타라의 궁극기를 맞는 순간 패배하는데 이는 끌려가는 도중 하드코어를 사용할 수 없고 사용한다한들 원콤나기 때문에 궁 있는 타라에게 선궁을 써서 들어가지 말자. 타라의 궁극기 투사체는 느리기 때문에 멀리서 쓰는건 보고 피할 수 있지만 그마저도 타라가 초근접에서 사용하면 반응할 틈도 없이 죽는다. 그리고 에드거도 체력이 낮기에 파워큐브가 하나 더 많은 타라가 부시에서 기습하면 좀 위험해질 수 있다. 그리고 근접전에서 타라가 '그림자 소환' 가젯을 소환한다면 오토에임을 연타하다가 그림자를 때려서 역관광당할 확률이 높으므로 수동으로 잡아주자.[127] 8비트랑 비슷하다. 사정거리도 길고, 데미지도 매우 높아서 어중간하게 접근하다가 순식간에 삭제당한다. 그래도 무빙을 치면서 때리거나 하드 코어 가젯을 사용하면 어렵지 않게 이길 수 있다. 그리고 롤라가 분신을 사용해도 에드거의 관통 공격으로 철거하면 그만이다.[128] 페니의 리워크 전에는 에드거의 최대 먹잇감 중 하나였으나 리워크 이후 1가젯을 통해서 근접전 능력이 큰 폭으로 늘어나게 되어서 이전처럼 무작정 달려들면 에드거가 순식간에 녹아버려서 다소 어려운 상대가 되었다. 단 페니의 가젯이 없다면 순식간에 에드거의 먹잇감으로 전락한다.[129] 붙으면 쉽게 이긴다. 하지만 칼이 특수공격을 쓰면 위험해지는데 에드거는 CC기가 없어서 칼의 궁극기를 끊을수 없기때문에 칼의 궁극기폭딜을 맞는다면 흡혈로 버텨도 에드거가 질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칼이 보호 피루엣 스타파워가 있으면 더더욱 힘들어진다.[130] 사정거리도 긴데다가 어쩡정하게 접근했다간 일반 공격의 높은 폭딜로 인해 죽기 쉽다. 다만 8비트의 이동 속도가 매우 느려서 접근이 매우 쉽지만 특수 공격이 존재할 경우 1번째 가젯으로 도망칠 수 있으니 조심할 필요가 있다.[131] 재키가 1스파를 가졌다면 에드거는 하드코어를 쓰지 않는 이상 무조건 잡힌다.'' 또한 재키는 에드거보다 사거리가 길고 특수 공격으로 에드거의 발을묶어둔 후 도망칠 수 있다는 것은 덤. 다만 재키가 2스파일 때 에드거를 3방컷 내지 못한다면 이 때는 에드거가 무조건 이긴다고 봐도 된다.'''[132] 다만 에드거의 사정거리가 짧은 탓에 이펙트가 간혹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133] 원래 79보석이었으나 149보석으로 가격이 인상됐다. 처음 팔 때는 8,900₩으로 판매했다.[134] 실험복 아래에는 보라색 액체가 묻어있다. 하반신이 액체에 오염되어 이러한 모습이 된것으로 추정.[135] the power of the sun in the palm of your scarf![136] 식물 모양도 닥터 옥토퍼스의 로봇 팔과 닮았다.[137] 충전량은 변함이 없지만 가젯의 쿨타임 매커니즘 특성 상 쿨타임이 간접적으로 늘어나서 사실상 너프.[138] 에드거의 대사를 보면 쿨해보이는 외형과는 거리가 먼 말투임을 알 수 있다.[패치] 이후 패치로 암살자들의 역할군이 모두 통합되긴 했다.[140] 이후에 출시된 스튜는 '액션 어쌔신', 버즈는 '버즈 어쌔신' 역할군으로 나왔다.[141] 접속하려 해도 오류만 출력되었다.[142] 영문판에서는 teenager boy[143] 브롤러 중 유일하게 나이 언급이 있다.[144] 그러나 에드거는 배드 랜덤즈가 공개되기 전에 나왔다.[145] 자세히 보면 외형적으로 콜레트와 비슷한 부분이 많다. 둘 다 한쪽 눈을 가린 머리를 하고 있고, 같은 유니폼을 입고 있는 것 등...[146] 그때 버그 당시 오로치 에드거의 눈과 닮은 것으로 보아 아마 오로치 에드거를 제작하다가 실수로 일반 에드거의 눈에 넣어버린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