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국보 반가사유상 두점이 검붉은 우주가 담긴 ‘사유의 방’에서 생각에 잠겨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상설관 2층에 개설된 새 전용 전시실의 모습이다. 최욱 건축가가 디자인한 이 전시실은 12일부터 공개된다. 원오원아키텍스 제공

검붉은 우주를 담은 방에서 두 분의 부처는 1500년 지나도록 생각에 잠겨있다. 오른 다리를 왼 다리 위에 걸치고 오른손을 턱에 괸 채 미소짓는 그 모습 그대로.

국립중앙박물관을 대표하는 최고 명품으로 꼽히는 국보 78·83호 반가사유상 두점이 최욱 건축가가 디자인한 새 전시실에서 관객을 맞는다.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검붉은 우주가 담긴 ‘사유의 방’에서 두점의 국보 반가사유상이 타원형 진열대 위에서 은은하게 빛난다. 최욱 건축가의 디자인 설계로 국립중앙박물관 상설관 2층에 개설된 전용 전시실이 12일부터 공개된다. 원오원아키텍스 제공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은 12일부터 국보 반가사유상 두점을 선보이게 될 상설전시관 2층의 새 전시실 ‘사유의 방’을 11일 언론에 내보였다. 전시실은 439㎡ 규모다. 어둠을 통과하는 긴 진입로에 이어 나타나는 소극장만한 본 전시장, 위에서 아래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채 검붉게 빛나는 벽체, 밤하늘의 별처럼 은은한 광채를 내쏘는 조명천정 등으로 이뤄진 얼개다. 특히 각 불상 위 천정에는 각각 20개의 특제 조명등이 원형으로 설치됐고, 두 불상 앞 정면 천정에도 6개의 조명등이 일렬로 배치돼 섬세하게 두 상의 윤곽을 부각시키도록 했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미술품인 프랑스 루브르뮤지엄의 대표작 <모나리자>처럼 두 반가상을 한국 문화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려는 의도 아래 조성했다.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사유의 방’에 놓인 두점의 국보 반가사유상을 가까이서 본 모습. 왼쪽이 국보 78호, 오른쪽이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이다. 원오원아키텍스 제공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사유의 방’ 타원형 진열대 위에 놓인 두구의 국보 반가사유상. 왼쪽이 국보 78호, 오른쪽이 국보 83호다. 원오원아키텍스 제공

기존 단독상 전시 관행을 벗어나 각기 독특한 조형 요소를 지닌 국보 반가사유상 두점을 나란히 배치해 앞으로 계속 내보인다는 점이 전시 개념의 핵심이다. 6~7세기 고대 한반도 불상의 최고 걸작인 두 상을 독립 공간에서 함께 전시한 일은 역대 세차례(1986년, 2004년, 2015년)에 불과했다. 진열창이 없고, 조도를 조절해 두 상의 몸체에만 집중되는 정밀 조명을 사용한 덕분에 두 상은 훨씬 도드라진 이미지로 대비를 이룬다. 보관과 몸 장식이 화려하고 이목구비가 뚜렷한 국보 78호 불상(높이 81.5㎝)과 부드러운 얼굴과 몸의 형태에 소박한 보관을 쓴 국보 83호 불상(높이 90.8㎝)의 크기와 조형적 차이를 확연하게 실감할 수 있다.

앞서 관객은 전시실 들머리 벽에서 ‘두루 헤아리며, 깊은 생각에 잠기는 시간’이란 글귀를 읽으며 입장하게 된다. 길게 이어지는 진입통로 벽에는 인간의 마음 속에 울렁이는 희로애락의 상념들을 형상화한 듯한 미디어 영상이 흘러간다. 어두운 실내에서 불상과의 만남에 익숙해지기 위한 전이(轉移) 공간으로 설정된 것이라고 한다. 본전시장에 들어서면, 타원형 전시대를 따라 반가상의 전체 모습을 사면에서 두루 감상할 수 있도록 널찍하게 공간이 트여있는 것이 눈에 띈다.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사유의 방’으로 들어가는 진입로 부분. 인간의 복잡한 마음 속과 생로병사를 상징하는 듯한 미디어워크 영상들이 통로 벽에 투사된다. 원오원아키텍스 제공

‘사유의 방’은 중견 건축가인 최욱 원오원 아키텍스 대표가 내부 설계를 맡았다. 국립중앙박물관이 건축가와 협업해 전시공간을 만든 첫 사례다. 최 건축가는 “반가사유상의 에너지와 공간이 일체화된 느낌을 주려고 했다. 천년 이상 불상에 누적된 기억들이 조금씩 수면 위로 올라와 미래 세대들을 감동시키기 바란다”고 말했다.

연중 무료. 작품 해설과 전시 공간 설명은 전시실 벽면에 붙은 정보무늬(QR 코드)를 통해 볼 수 있다.

노형석 기자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금동반가상. [사진=김경아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은 본관 2층에 국보로 지정된 금동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 두 점만을 전시한 ‘사유의 방’을 지난 11월 12일 일반에 공개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제공하는 ‘사유의 방’ 가이드북을 바탕으로 ‘사유의 방’ 여정을 시작한다.

‘사유의 방-두루 헤아리며 깊은 생각에 잠기는 시간’이라는 명패를 지나 어둡고 고요한 안으로 향하면 파도와 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이 맞이한다. 전시실 미디어아트로 작가 장줄리앙 푸스의 작품 ‘순환’ ‘등대’이다. ‘순환’은 끝없는 물질의 순환과 우주의 확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순환’의 프리퀄로 제작된 ‘등대’에서 반가사유상은 방황하는 영혼들을 위한 희망의 불빛으로서 제시되었다.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금동반가사유상. 삼국시대 6세기 후반, 높이 81.5cm, 무게 37.6kg, 국보, 국립중앙박물관 본산 2789. [사진=김경아 기자]

 이어 어두운 ‘사유의 방’으로 천천히 걸음을 옮기면 멀리 1,400여 년의 세월을 기다려 우리를 맞이하는 두 반가사유상이 눈에 들어온다. 어둠 속에서 부드러운 빛 속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두 반가사유상에 가슴이 뛰는 듯한 느낌이 전해온다.

‘사유의 방’은 두 국보 반가사유상을 전시한 공간으로 건축가 최욱 원오원아키텍스 대표가 설계하였다. 최욱 건축가는 반가사유상의 에너지와 공간이 일체화한 느낌으로 전시를 경험할 수 있도록 관람객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소극장 규모로 전시실을 구성했다. 관람객은 어둠을 통과하는 진입로, 미세하게 기울어진 벽과 바닥, 반짝이는 천장 등 추상적이고 고요한 전시 공간에서 반가사유상에 오로지 집중하여 감상할 수 있다. 두 점의 반가사유상을 멀리서 보고 가까이 다가가서 보고, 앞뒤 좌우를 360도 천천히 걸어가며 보고, 상하를 내려보고 올려다보아야 한다.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금동반가사유상, 삼국시대 7세기 전반, 높이 90.8cm, 무게 112.2kg, 국보, 국립중앙박물관 덕수 3312. [사진=김경아 기자]

 반가사유상은 오른발을 왼쪽 무릎에 가볍게 얹고 오른손가락을 살짝 뺨에 댄 채, 눈을 가늘게 뜨고 오묘한 미소를 지으며 깊은 생각에 잠겨있다. 무슨 생각에 저런 미소를 지었을까? 저 순간을 포착하여 반가사유상으로 표현해 낸 이 또한 저런 경지를 경험한 구도자가 아니었을까?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반가사유상. [사진=김경아 기자]

‘반가의 자세로 한 손을 뺨에 살짝 대고 깊은 생각에 잠긴 불상’을 반가사유상이라고 한다. 반가사유상이라는 명칭은 상의 자세에서 비롯되었다. ‘반가(半跏)’는 양쪽 발을 각각 다른 쪽 다리에 엇갈리게 얹어 앉는 ‘결가부좌(結跏趺坐)’에서 한쪽 다리를 내려뜨린 자세를 말한다. ‘사유(思惟)’는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며 깊은 생각에 잠긴 상태를 나타낸다. 한쪽 다리를 내려 가부좌를 풀려는 것인지, 다리를 올려 가부좌를 틀고 명상에 들어갈 것인지, 반가의 자세로는 알기 어렵다고 한다. 그래서 반가의 자세는 수행과 번민이 맞닿거나 엇갈리는 순간을 보여준다.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반가사유상. [사진=김경아 기자]

 이처럼 반가사유상은 깊은 생각에 빠진 석가모니의 모습이며 깨달음을 잠시 미루고 있는 수행자와 보살의 모습이기도 하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설명에 따르면 전시실 왼쪽의 반가사유상은 6세기 후반에 제작되었다. 날카로운 콧대와 또렷한 눈매, 화려한 장신구와 정제된 옷 주름 등이 특징이다. 전시실 오른쪽 반가사유상은 이보다 조금 늦게 7세기 전반에 제작되었다. 단순하고 절제된 양식을 보여준다.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상반신, 세 개의 반원으로 이루어진 보관(寶冠)의 행태와 두 줄의 원형 목걸이는 간결함을 더해준다.

두 점의 반가사유상은 삼국시대의 최첨단 주조 기술을 보여준다. 주조 후 거푸집을 고정했던 장치나 못을 제거한 흔적도 보이지 않는다니 당시 금속 가공 기술이 얼마나 뛰어났는지 짐작할 수 있다. 제작 당시에 보수했거나 후대에 수리했던 흔적이 두 점의 반가사유상에 남아 있지만 사람의 눈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반가사유상. [사진=김경아 기자]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 bangasayusang guglibjung-angbagmulgwan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반가사유상. [사진=김경아 기자]

아쉽게도 이 두 점의 국보 반가사유상을 언제 어디에서 만들었고 어느 장소에서 어떻게 발견했는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전시실 오른쪽 반가사유상은 1912년 이왕가(李王家)박물관이 일본인 고미술상 가지야마 요시히데에게 2,600원이라는 큰 돈을 주고 구입했다. 전시실 왼쪽 반가사유상은 그해 조선총독부가 사업가이자 골동품 수집가인 후치가미 사다스케에게 4,000원을 보상해 주며 구입했고, 1916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입수하였다. 1945년 국립박물관은 조선총독부박물관을 인수하였고, 1969년 이왕가박물관(덕수궁미술관) 소장품이 1969년 국립박물관에 통합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국보 반가사유상 관람료는 무료이다.

  • 댓글 0

저작권자 © K스피릿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