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rock 비프음 4번 - asrock bipeueum 4beon

 대체로 컴퓨터의 비프음을 맞이하시는 분들은 이런 과정일 것입니다. 하루 전 까지 그 컴퓨터를 이용해서 이러저런 작업 등을 하고나서 끈 뒤, 다음날 아침에 켤려고 전원 버튼을 눌렀는데 켜지지 않는 경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태 어떤 경우건 '제 컴퓨터'라는 명목 하에 사용한 기억만 해도 10년이 넘기에, 잘 되다가 갑자기 비프음이 울린 경우보다 잘 쓰고 다음날 켤려니 켜지지 않아서 당황했던 기억이 많습니다.

 비프음은 메인보드에서 직접 나는 소리이므로, 각 메인보드 제조사마다 몇 회가 울리는지에 따라 어떤 것이 원인인지 까지는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보를 찾아서 어떤 게 원인인지 파악했다면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해주면 되는데, 저의 경우는 ASRock 메인보드에서 삐삐삐삐- 삐삐삐삐-(4회 + 4회) 하면서 켜지지 않은 경우라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그리고 어떻게 고쳤는지 과정을 차근차근 작성해보겠습니다.

ASRock 메인보드 비프음 4회, 전 이렇게 해결했습니다

이 글에서 언급한 방법은 제가 겪은 경우를 해결했던 과정이므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처음 켰을땐 이런식으로 '커널이 없거나 오류가 있으므로 운영 체제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라는 경고가 나타납니다. 진짜 이런식으로 블루스크린이 나타난다면 벙찝니다. 때문에, 사진 아래쪽을 보면 'Press Enter to try again'이라는 문구가 있어서 엔터를 입력했습니다. 사진을 찍어두지 못했습니다만, 이번엔 무슨 복구 창이 뜨면서 켜지지 않습니다.

 당장 안 켜질 때, 검색도 귀찮다면 가장 먼저 해볼 수 있는건 램 탈착입니다. 컴퓨터가 꺼진 상태에서 본체를 열어보면 CPU 바로 오른쪽에 이런식으로 꽂혀있는데(사진 기준 IIII), 이 중에서 하나를 빼고 다시 실행해봤습니다.

Asrock 비프음 4번 - asrock bipeueum 4beon

빼려면 상하단에 있는 버튼을 눌러서 펴주면 되므로, 매우 간단합니다.

 뽑아 봤습니다. 그리고 다시 켜보니 컴퓨터가 제대로 실행됩니다. 당시에 스크린 샷을 찍어뒀는데, 관리를 제대로 못해서 사라지긴 했습니다만,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는 4기가 DDR3램을 4개 꽂아서 총 16GB RAM을 쓰고있었기에 제대로 켜진 직후에는 당연하게도 12GB RAM만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운이 좋아서 문제되는 것만 뽑았던 것인지, 아니면 램 자체는 처음부터 전부 제대로 꽂혀있음에도 시스템상 일시적인 에러로 인해 켜지지 않았던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PC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만 손으로 닦고 다시 꽂고 컴퓨터를 부팅했습니다.

부팅이 다시 재시작되었고, 결국은...

정상적으로 4개의 RAM을 전부 인식하면서 제대로 동작했습니다.

 저날 간단하게 램을 탈부착 한 과정만으로 해결하여 여태까지 아주 잘 사용하고 있으며, 저처럼 막연히 건드려 주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긴 합니다만, 원래는 제조사에 따른 메인보드의 비프음 횟수에 따라 어느 곳이 문제인지를 파악하고 차근차근 짚어가는게 순서입니다.

 만약, 횟수에 따른 정보를 찾았는데 '램이 문제다!'라고 한다면, 그리고 2개 이상 사용하고 있다면 어떤게 문제인지 하나 하나 빼가면서 일일이 확인하면서 문제가 되는 부품을 찾고, 이후 적당한 조치를 취해주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얼마 전에 그래픽카드를 RTX 3070으로 바꾸고부터 무언가 문제들이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겪었던 문제 중에는 사용 중에 블루스크린이 발생한다던가, 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재부팅이 된다던가 하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다행히도 이것들은 그나마 단시간에 해결되었는데, 작업을 하던 도중 갑자기 모니터와 그래픽카드 간의 연결이 다시 이뤄진다거나, 컴퓨터를 켤 때마다 비프음이 4번씩 삐삐삐삐하고 켜지는 문제는 지금까지도 기억에 선명하게 남아있네요.

물론 제가 겪은 문제들을 전부 똑같이 겪고 계신 분들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은 하지만, 오늘은 부팅 시에 비프음이 삐삐삐삐하고 4번 연속으로 울리면서 바탕화면까지 부팅은 정상적으로 되는 경우에 대한 해결 방법만을 알아볼 것입니다. 우선 대충 증상은 위 영상과 같습니다. 영상을 보면 아시겠지만, 삐- 삐삐삐 같이 음 사이에 간격이 있지는 않았기에 이런 문제들은 음의 패턴도 잘 파악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Asrock 비프음 4번 - asrock bipeueum 4beon

문제를 해결하기 전엔 역시 이와 관련한 자료들을 찾아보는 게 우선이겠죠. 따라서 제가 이곳저곳을 뒤져본 결과, 윈도우를 UEFI로 설치, 메인보드의 바이오스 버전을 올리기, CSM 부팅을 UEFI로 설정, CSM을 끄기 등 생각보다 많은 방법들을 발견했는데, 개인적으로는 마지막 CSM 설정을 끄는 것으로 비프음이 더 이상 울리지 않게 되었기에 이와 관련해서 다룰 것입니다.

참고로 현재는 문제가 최초로 발생한 이후로는 몇 달이 지난 상태이므로 각 메인보드별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도 있습니다만, 바이오스 버전을 건드리는 것은 어느 정도의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므로 이 글대로 해도 안 된다면 위 글의 내용을 토대로 현재 버전을 확인하여 새 버전이 있는지 찾아보고 차선책을 마련하는 게 현명할 수도 있겠습니다.

Asrock 비프음 4번 - asrock bipeueum 4beon

우선, CSM 설정을 다루려면 바이오스 화면까지는 진입해야 합니다. 컴퓨터를 켜 보면 가장 첫 화면에 메인보드 제조사 이름(사진에는 ASRock)이 뜨고, 이어서 아래쪽이나 우측 하단부에 메인보드의 여러 기능을 각 단축키별로 이용할 수 있게 알려줍니다. 제가 사용 중인 제품의 제조사는 ASRock이고, 첫 줄을 보면 UEFI Setup 단축키가 F2 또는 Del이라고 뜨네요.

제조사

바이오스 진입 단축키

ASRock(애즈락)

DEL 또는 (이하 '/'로 표시) F2 / F11

GIGABYTE(기가바이트)

DEL / F2 / F12

BIOSTAR(바이오스타)

F7 / F9

MSI

F1 / F12

ASUS

DEL / F2

하지만 모두가 ASRock 제품만을 사용하지는 않죠. 따라서 제조사를 안다는 가정 하에 주로 사용되는 제조사별로 바이오스 진입 단축키를 모아봤는데, 어느 제조사인지 모르겠다면 컴퓨터가 켜질 때 뜨는 화면을 주시하여 안내된 키를 누르거나, 일반적으로는 Delete 키를 사용하므로 Del을 눌러 우연에 맡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기는 합니다.

Asrock 비프음 4번 - asrock bipeueum 4beon

어떻게 저떻게 진입까지 성공했다면 대충 위와 같은 화면까지 도달하는 것을 볼 수 있을 텐데, 여기부터 사진은 애즈락 보드를 기준으로 사용했습니다. 일단 이 글대로 대략적인 방법을 확인한 뒤, 끝부분에 제조사별로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찾아서 설정하는 것으로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Asrock 비프음 4번 - asrock bipeueum 4beon

메인 화면까지 제대로 도착했다면 상단부 메뉴 중 부팅을 선택합니다. 영어로는 Boot로 표기되었을 수 있으므로 대충 맞는 대로 선택해 주면 됩니다.

Asrock 비프음 4번 - asrock bipeueum 4beon

이후, 표기되는 메뉴의 가장 아래에 있는 CSM(호환성 지원 모듈)을 선택합니다.

Asrock 비프음 4번 - asrock bipeueum 4beon

일반적으로 그래픽카드 교체 이후에 삐삐삐삐하는 식의 비프음 현상을 겪고 있다면 이 CSM 옵션이 켜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Asrock 비프음 4번 - asrock bipeueum 4beon

여기서 사용을 사용 안 함으로 바꿔주면 거의 끝났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Asrock 비프음 4번 - asrock bipeueum 4beon

당연히 옵션 바꿨다고 바로 본체의 리붓 버튼을 눌러선 안 되고, 종료 메뉴를 통해 변경 내용을 저장 후에 바이오스 창에서 벗어나야겠죠.

제조사

CSM 설정 진입 순서

(바이오스 화면 진입 이후)

GIGABYTE

BIOS 탭 → CSM Support → Enabled를 Disabled로 변경

MSI

F7키를 이용해 고급 모드로 변경 → SETTINGS → Advanced → Windows OS Configuration → Windows 10 WHQL Support 값을 Enabled로 변경

ASUS

F7키를 이용해 고급 모드로 변경 → Boot → CSM (Compatibillity Support Module → Launch CSM 값을 Disabled로 변경)

그런데 애즈락 기준 사진으로 따라간다고 한들, 다른 보드를 쓰는 분들은 메뉴 찾기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애즈락을 제외한 보드별로 진입 방법에 대해 찾은 뒤에 따로 표로 정리해봤습니다. 찾아도 찾을 수 없는 것은 따로 표기하지 않았으며, 개인적으로 해당 제품들을 갖고 있는 게 아니므로 모델명에 따라 진입 과정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SM을 끈 것만으로 현재는 나름 쾌적하게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