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 맥주 한국 - asahi maegju hangug

㈜롯데아사히주류 | 대표 : 정재학, MIYAMA KIYOSHI

본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75
신방빌딩 5층(06735)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LOTTEASAHI CO. All Rights Reserved.

경고 : 지나친 음주는 뇌졸중, 기억력 손상이나 치매를 유발합니다.
임신 중 음주는 기형아 출생 위험을 높입니다 | ㈜롯데아사히주류

아사히 맥주 한국 - asahi maegju hangug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일본맥주. © News1

일본의 맥주·음료 제조업체인 아사히 그룹이 지난해 한국 소비자들의 일본 상품 불매운동으로 인해 매출이 1년 전보다 30억엔(약 323억원) 줄었다고 밝혔다.

13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사히의 고위 간부는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불매운동 여파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며 “매출 손실 외 유통기한이 지난 맥주도 처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8년 한국 법원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강제 징용한 한국인들에게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린 이후 양국 간 긴장은 고조됐다. 일본은 한국에 대한 첨단소재 수출을 제한하는 것으로 보복했다.

불매 운동 이전 일본 맥주 수출의 61%는 한국이 차지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아사히 슈퍼 드라이는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수입 맥주 브랜드였다.

아사히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4.9% 감소한 201억엔을 기록했다, 엔화 상승도 타격을 주는 데 일조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피니티브의 자료에 따르면 아사히는 올해 전년보다 1% 증가한 2030억엔의 매출을 예상한다. 시장 예상치인 2420억엔은 밑돈다.

  • 좋아요 이미지좋아요
  • 슬퍼요 이미지슬퍼요
  • 화나요 이미지화나요
  • 후속기사 원해요 이미지후속기사 원해요

아사히 맥주 한국 - asahi maegju hangug

Copyright ⓒ 동아일보 & donga.com

아사히 맥주 한국 - asahi maegju hangug

똑같은 캔맥주이지만 한국에 수입되면 맛이 없다는 소문이 있어 알아봤다 <사진=이지혜 기자>

“왜?” “진짜 그래?” “무슨 뜻이지?” 새로운 것을 좋아하거나 몰랐던 것을 알려는 마음은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평소 궁금했던 일상 속 호기심, 소소한 문제, 이슈에 대한 궁금증을 흥미롭게 해소시켜 드리는 코너 [소문e답]을 연재합니다. <편집자주>

[이뉴스투데이 이지혜 기자] “똑같은 아사히 캔맥주도 한국에 들어오면 맛이 없어요. 특히 프라임이 심한데 ‘상미기한’이 얼마 안 남은 것을 팔아서 그래요.”

지난 연말 일본 홋카이도 신치토세공항에서 한 여행사 대표가 ‘아사히 드라이 프라임’ 6캔(900엔:9294원) 을 산 것을 목격했다. 통상 홋카이도에서 여행객이 구입하는 지역 특산 맥주는 해외는 물론 일본 내에서도 타지역 유통이 안 되는 삿포로 클래식이다. 하물며 아사히 드라이 프라임은 한국에도 수입되고 있어 질문을 하니 이와 같이 대답한 것.

맥주는 주류에 해당하기 때문에 공항에서 1개 외에 물품은 세금을 추가로 내야 한다. 5개 값인 7745원에 맥주 세금 177%를 계산해 1만3700원을 추가로 지불하면, 이마트에서 6개 1만원에 먹을 수 있는 것이 2만3000원으로 껑충 뛴다.

맥주는 무겁기까지 한데 이 모든 것을 감안하고 구입할 정도면 맛 차이가 얼마나 되길래 그런가 싶은 호기심이 발동했다.

귀국 후 롯데아사히주류와 롯데주류에 관련 내용을 문의했다. 국내 수입사인 아사히주류는 연락이 닿지 않았고, 아사히주류와 같이 롯데지주 계열사인 롯데주류 담당자로부터 맥주 상미기한에 대한 답변은 받았다.

롯데주류 관계자는 “막걸리를 마실 때 제조일에 가까운 것을 사야 더 맛있는 것처럼 맥주도 발효주여서 제조일을 따져 구매해야 한다”며 “아사히주류와는 저희도 교류가 없어 자세한 사정을 모르지만 국내에서도 맥주는 다른 제품과 달리 ‘유통기한’으로 표시 안하고, ‘품질 유지기한’으로 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사히 맥주 한국 - asahi maegju hangug

12월 이마트와 CU에서 확인한 아사히 드라이 프라임 품질 유지기한 <사진=이지혜 기자>

실제 유통되고 있는 아사히 드라이 프라임을 확인하기 위해 이마트와 CU(씨유) 등을 12월에 방문해보았다.

이마트에서는 2018년 7월 2일, CU에서는 7월 4일 생산된 것으로 품질유지기한을 1년으로 표시해놓았다. 반면에 신치토세공항에서 당시 판매한 제품은 10월에 생산됐고 2019년 6월로 상미기한이 표시돼 있다.

여행사 대표 말대로 아사히 드라이 프라임은 국내에서 반년 지난 제품이 소비자에게 팔리고 있었고, 일본 국내와 비교하면 기간이 확연히 차이가 났다.

아울러 아사히 드라이와 산토리몰츠(오비맥주), 기린(하이트진로)도 살펴보았다. 각각 아사히 드라이는 2018년 9월 29일, 산토리 프리미엄 몰츠는 2018년 10월 9일, 기린은 2018년 11월 21일이었다.

아사히 맥주 한국 - asahi maegju hangug

일본 편의점에서 12월에 유통중인 제품들 상미기한 <사진=이지혜 기자>

다시 일본과 국내에서 대형 마트와 편의점에 유통되는 맥주의 통상 제조일을 알아봤다. 양국 모두 자국 맥주 유통 시기가 비슷했다. 12월 기준으로 카스, 하이트 등은 10월 말에 생산된 것이 진열대에 있고, 일본 역시 11월 전후가 제조일로 찍혀 있다.

한 맥주 제조사 관계자는 “아사히 드라이 프라임은 아사히 드라이에 비해 판매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적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며 “마트나 편의점은 유통 과정상 1~2개월 정도 지난 것이 주로 판매되고, 맥주도 막걸리처럼 제조된 얼마 안된 것을 마시고 싶다면 식당이나 술집에 공장에서 주단위로 공급된다. 병맥주 역시 마찬가지로 제조일에 가까운 것이 더 맛있고, 업장에 따라 먼저 납품 받은 것부터 판매하므로 회전율이 좋은 곳에 가면 신선한 맥주를 마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맥주 제조사 관계자는 "유럽에서 싸게 들여오는 캔맥주를 보면 제조일이 6개월 지나 맛이 떨어진 것을 염가에 판매해 배로 적도를 두 번 거쳐 들어온 것을 1년 이내에 맞춰 판매한다"며 "일본은 수송도 오래 안 걸리는데  이렇게 오래된 제품을 판매하니 소비자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분할합병에 따른 개인정보 이전 안내

롯데제과 주식회사는 2017년 10월 12일 자신이 영위하는 사업 중 투자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사업부문을 인적분할 방식으로 분할(이하 “본건 분할”)하여 롯데제과 주식회사(가칭)를 설립하고, 그와 동시에 롯데쇼핑 주식회사, 롯데칠성음료 주식회사 및 롯데푸드 주식회사는 2017년 10월 12일 각자가 영위하는 사업 중 투자부문(이하 “분할대상 사업부문”)을 각각 인적분할하여 롯데지주 주식회사(본건 분할에 따라 투자부문만으로 존속하게 되는 회사, 이하 “분할승계회사”)에 흡수합병할 예정입니다(이하 “본건 분할합병”).

본건 분할합병으로 인하여, 롯데쇼핑 주식회사가 분할대상 사업부문과 관련하여 보유하고 있던 고객님의 개인정보는 분할승계회사에 이전될 것입니다. 분할승계회사는 이전 되는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며 이전 당시의 본래 목적으로만 처리할 것입니다. 이러한 개인정보 이전에 관하여 이의 또는 기타 문의사항이 있으신 분은 아래의 담당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롯데 컴플라이언스 위원회 감사담당 유혜리
    • - 전화번호 : 02 - 750 – 7129
    • - 이메일 :

개인정보를 이전 받게 되는 분할승계회사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호명: 롯데지주 주식회사
  • 주소: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300
  • 전화번호: 02–750-7122
  • 전자우편주소:

롯데쇼핑 주식회사 롯데지주 주식회사

홈 > 산업 > 식음료

[단독]롯데아사히주류, 맥주 '아큘라' 출시…한국 시장 재정비

일본 불매운동 꼬리표 지우고 새로운 브랜드로 시장 공략 국내 맥주 인기로 수입 맥주 역전…반전 어렵다는 지적도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2022-04-21 07:00 송고 | 2022-04-21 08:06 최종수정

  • 댓글

  • 축소/확대

  • 인쇄

아사히 맥주 한국 - asahi maegju hangug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아사히 맥주가 굳게 닫힌 국내 맥주 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일본 불매운동 여파로 수입맥주 1위 자리를 내줬던 아사히가 신제품으로 국내시장 반등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아사히주류는 올해 한국 시장을 겨냥한 맥주 신제품 '아큘라'(AQUILA)를 출시한다.

신제품 이름에는 '아사히'를 뺐다. 일본 불매 운동이 수그러들었지만 기존의 '아사히' 브랜드를 사용하면 자칫 반일 감정을 자극할 수 있어서다.

아사히주류는 아사히 맥주가 가정용 시장에서 줄곧 1위 브랜드를 유지했던 만큼 제품력에서 한국 시장에 통할 것이라는 자신감도 내비쳤다.

롯데아사히주류 관계자는 "기존 맥주 브랜드의 이름을 수정해서 수입하거나, 한국 시장을 겨냥한 신제품을 별도로 출시하는 등 여러가지 방안을 놓고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롯데아사히주류는 지난 2000년 설립된 수입주류판매사다. 일본 아사히그룹과 롯데칠성음료가 지분을 50%씩 갖고 있다.

편의점 맥주 '부동의 1위'를 기록할 정도로 가정용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지만, 2019년 일본 불매운동 대표 제품으로 지목되면서 뭇매를 맞았다. 2020년부터는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편의점 할인 행사 품목에서 제외됐고, 판매를 중단하는 점포도 생겼다.

매출도 직격탄을 맞았다. 롯데아사히주류의 매출은 2018년 1248억원에서 지난해 172억원으로 3년만에 86.2% 급감했다. 영업이익은 2019년부터 적자 전환했다.

롯데아사히주류는 올해 1월 수익성 제고를 위해 일부 맥주 가격을 2500원에서 2700원으로 10% 인상했지만, 한 번 떨어진 점유율을 쉽게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국산 맥주도 일본 불매운동의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리고 있다. CU에 따르면 2019년부터 신장하던 국산 맥주 판매량은 지난해 처음으로 수입 맥주 판매량을 넘어섰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 맥주를 국내 맥주가 따라가지 못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역전됐다"고 전했다.

이어 "국내 맥주 제조사들도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홈술·혼술족들을 겨냥한 제품들을 속속 내놓고 다양한 수제맥주들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사히 맥주 한국 - asahi maegju hangug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뉴스

  • "불륜 현장 엎드린 여성 '나 아니다' 해보라" 이소라 2차 저격
  • "낙태시킨후 책임진다던 K리그 선수, 연락두절" 전여친이 폭로
  • 장경태 "'빈곤 포르노' 사과 못해…김여사 불쾌했다면 몰라도"
  • 박민영 前남친 측서 30억 투자받은 성유리 회사…"모두 반환"
  • 사이렌 켜 양보받고 커피 산 사설 구급차측 "부끄럽다" 사과
  • 한혜진, 母생활비 카드 지원에 제작진 밥값 100만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