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전기기능사 : 릴레이 (Relay) 동작원리 (8핀릴레이)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시시알2017. 7. 27. 23:22

전기기능사 기본 용어 정리
1) 시퀀스 제어
- 시퀀스 제어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각 단계를 차례로 순서대로 나가는 제어( 오락기, 신호등, 엘레베이터, 자동차 깜빡이 , 등등 여러방면으로 두루 쓰임)
2) Relay Sequence
 (1) a접점 
   - 일종의 스위치 역활을 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열려있는 접점을 a접점이라 한다. 이것은 일종의 전기용어의 약속이다.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2) b접점
-평상시에 단자 사이가 닫혀있는 상태이다. 전기 신호에 의해 열림 상태로 바뀐다.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3) c 접점
 -한번의 신호의 의해 닫힘 동작과 개방동작이 동시에 동작하는 접점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4) 전자계전기 ( Electro Magnetic Relay: 릴레이)
-전자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이 되어 그 전자력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 .
-릴레이는 8핀(2a2b), 11핀(3a3b), 14핀(4a4b)등 다접점을 갖는 스위치이며, 모두 c접점으로 구성되어있음
-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8핀릴레이 실제 모습
- 번호가 특이하게 오른쪽 아래 3번째부터 1, 2 , 3, 4, 5,6 7,8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간다. 2번과 7번은 전원부이고 , 1번과 4번은 b접점이고 , 1번과 3번은 a접점으로 한셋트 , 8번과 5번 b접점이고 , 8번과 6번 a접점 한셋트로 총 8핀릴레이는 2a 2b 와 전원부 로 구성되어있다.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 아래 사진처럼 릴레이 여자전에는 1번과 4번 5번과 8번이 b접점으로 되어있다가 , 여자후에 a접점으로 바뀐다.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8핀릴레이 소켓에 꼽으면, 단자간의 접속이 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릴레이(Relay)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릴레이는 하나의 스위치입니다. 다만 전기적으로 조작되며 하나의 신호로 여러 가지를 조작할 때 사용합니다. 

1. 릴레이 외형

필자가 근무하는 곳의 릴레이입니다. 일단 외형으로 보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이 붉은색 동작 표시등입니다. 릴레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위 사진의 세 번째 릴레이처럼 붉은색 동작 표시등이 점등됩니다. 만약 릴레이가 고장이 발생하면 전원이 인가되어도 동작 표시등이 점등이 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고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릴레이의 동작 표시등은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전원이 인가되었는데도 동작 표시등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코일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릴레이의 내부 구조 및 동작 원리

릴레이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사진 중에 위의 사진이 가장 간단하면서도 쉽게 표현이 되어 있었습니다. 왼쪽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릴레이의 내부에 스프링이 들어 있고 이것이 이동접점을 항상 잡아당기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점접은 지렛대의 원리로 항상 위쪽으로 붙어있게 됩니다. 즉, 위쪽에 있는 접점은 Normally Closed 접점(NC)이 되고 다른 용어로 b 접점이 됩니다.

릴레이의 내부에는 코일이 들어있어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이 됩니다. 평상시에는 이동 접점의 위쪽의 b 접점에 붙어 있다가 릴레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이동접점이 아래쪽으로 붙게 됩니다. 그래서 아래쪽의 접점은 Normally Open 접점(NO)이 되고 다른 용어로 a 접점이 됩니다. 

3. 릴레이의 종류

8핀 릴레이 동작원리 - 8pin lillei dongjag-wonli

릴레이의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잘 사용되는 8핀 릴레이와 14핀 릴레이를 가지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14핀 릴레이에서 가운데 부분이 빠진 모양이 8핀 릴레이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즉 14핀 릴레이만 외우면 8핀은 그냥 따라오는 것입니다. 또한 14핀 릴레이에서 보시면 동일한 구조의 접점이 4번 반복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역시 한 개만 외우시면 4개 모두 외우는 것과 같습니다. 

14핀 릴레이에서 1, 2, 3, 4번은 닫혀있으니 b 접점이고, 5, 6, 7, 8 은 열려있으니 a 접점입니다. 만약 전원이 13, 14번에 인가되면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석이 접점을 당겨서 b 접점은 떨어지게 되고 a 접점은 붙게 됩니다. 릴레이의 내부구조 및 동작 원리에서 보셨듯이 릴레이의 a 접점은 전자석과 가까운 쪽에 있고 b 접점은 외곽에 있습니다. 즉 전원과 먼 쪽이 b접점이고 전원과 가까운 쪽이 a접점이라고 외우시면 편하실 것입니다. 

4. 릴레이 소켓

릴레이는 위의 왼쪽 그림과 같은 소켓에 끼워서 사용합니다. 참 아쉬운 것은 이 소켓을 사용하면서 릴레이의 번호를 한번 꼬아 놓았습니다. 그래서 저도 몇 번씩 봐도 헷갈립니다. 

전원선이야 13, 14번으로 아래쪽의 두 개의 단자를 사용하니 덜 헷갈립니다. 그리고 9, 10, 11, 12번은 공통선이기 때문에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a, b 접점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릴레이와 역순으로 단자 번호를 설정해 놓았습니다. 꼭 저렇게 해야만 직성이 풀리는지 아쉬운 부분입니다. 그냥 릴레이와 동일하게 단자를 만들어 놓으면 쉬울텐데 저렇게 반대로 해놓는 이유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저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a, b, 전, 공 이렇게 외웠습니다.

5. 릴레이 회로 용어 정리

릴레이를 보시다가 SPST, SPDT, DPST, DPDT 등의 글자를 보신 일이 있을 것입니다. 처음에 저도 '저게 도데체 뭐지?' 했는데 알고보면 간단한 것이었습니다. 이 글자들을 풀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SPST: Single Pole Single Through

- SPDT: Single Pole Double Through

- DPST: Double Pole Single Through

- DPDT: Double Pole Double Through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위 그림을 보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 것입니다. SPST를 예로 들면 A 쪽이 Pole가 되고 B 쪽이 Through가 되는 것이지요. 나머지도 그와 동일하게 보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6. 릴레이 사용 시퀀스 회로

매우 간단한 시퀀스 예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모터에 과전류가 흘러서 EMPR이 동작하게 되면 49X 릴레이 13, 14번에 전류가 흐르면서 릴레이가 여자되게 됩니다. 그러면 오른쪽 위쪽에 10번과 6번이 a 접점인데 붙게 되어 고장상태를 방재실에 표시하게 됩니다. 이해하기 쉽게 가장 간단한 시퀀스를 예로 들어 보았습니다. 

오늘은 릴레이(Relay)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AG : 14핀 릴레이, 8핀 릴레이, DPDT, DPST, Power Relay, relay, Relay Coil, Relay contact, Relay inside, SPDT, SPST, 릴레이, 릴레이 a접점, 릴레이 b접점, 릴레이 구조, 릴레이 내부구조, 릴레이 다이오드, 릴레이 동작, 릴레이 동작원리, 릴레이 동작표시등, 릴레이 사용 시퀀스 회로, 릴레이 소켓, 릴레이 시퀀스, 릴레이 원리, 릴레이 전자석, 릴레이 접점, 릴레이 접점 순서, 릴레이 표시등, 릴레이원리, 시퀀스회로, 전기기능사 릴레이, 전기릴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