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집에 B450M 보드도 하나랑 8기가짜리 램하나도 있어서 CPU랑 파워만 대충 사서 만들어보려고해

르누아르는 공식적으로 플루이드 지원 안하는데 블루스카이 깔면 된다길래....

TV 연결해서 영화볼때 4K 플루이드 4650G 하나로 할수있어?

안되면 4350G에 RX570 낑궈서 해볼려고하는뎁...

RX570은 중고로밖에 못구하는거 같아서 4650G 하나로 되면 이걸로 하려구함

정보

4K영상 60프레임까지?! 르누아르 4350G 플루이드 모션 활용 총정리

L6 테크늬우스

IP

레이어 닫기

IP

117.xxx.5.37

메모최대열글자입니다

2021.02.09. 14:38:01

조회 수3194공감 수14댓글 수8

관심글 설정 더보기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 카카오톡
  • 라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이메일

https://dpg.danawa.com/bbs/view?boardSeq=229&listSeq=4616171 복사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프린트 글씨 크게글씨 작게

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 최신 AMD 라데온 그래픽 드라이버 https://www.amd.com/ko/support

- 팟플레이어 https://tv.kakao.com/guide/potplayer



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https://bluesky-soft.com/en/BlueskyFRC.html

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4650G 플루이드 모션 - 4650G peullu-ideu mosyeon





공감/비공감

공감14 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레이어 닫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포인트 제도 안내

태그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신고

Splash라는 프로그램도 있다. 사실 이쪽이 플루이드 모션이나 드미트리 렌더에 비해 훨씬 원조 쪽인데, SVP가 어느정도 뜬 이후 묻혔다... 결국 못 버티겠는지 19년 2월에 무료화했으니 관심이 간다면 써먹어 보자.#

  • SVP는 거의 유료화 되었고[23], 드미트리 렌더도 유료이며 개발이 중단되었다가 최근에 RTX 3000번대까지 지원되게 업데이트 되었다.[24]# # 라이선스 문의응답이나 신형 그래픽 카드 대응만 해주는 수준이다.#

  • 모바일(안드로이드)용 SVP도 출시되었다.[25] 안드로이드용

  • 8. 여담[편집]

    • 눈에 익으면, 기존 24, 30fps 영상이 보기 불편하다는 사용기가 있다.

    • NVIDIA도 관련 기술은 있으나 동영상 감상용으로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이전부터 AMD가 동영상 후처리에 적극적이었다.

    • 라이젠 2200G를 통해 BlueskyFRC로 플루이드 모션을 쓰는 경우, 구버전인 BlueskyFRC_2.13.3을 써야 작동되는 경우가 있다. 14버전 이후로 지원이 끊겨서 그러다는 듯.[26]

    • 팟플레이어의 경우 2019년 9월 17일자 이후 버전에서는 BlueskyFRC 설정하여도 동작이 안되다, 다시 현재는 정상 작동한다.

    • BlueskyFRC에서 2020년 6월(2.16.0버전)부터 25프레임 동영상 보간이 지원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20년 12월 상순에 3.1.0 업데이트로 144Hz나 72Hz를 지원하는 모니터에서 24프레임 동영상 한정으로 72프레임 보간을 지원하게 되었다.[27]

    • 지포스를 사용하는 유저들도 애니메이션[28], 영화 등 각종 동영상을 60 프레임으로 부드럽게 돌리는 라데온의 플루이드 모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AMD 그래픽카드를 구입해 NVIDIA 그래픽카드와 같이 장착하고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위의 예시처럼 플루이드 모션의 60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처음부터 플루이드 모션용 그래픽카드를 사는 것보다는 SVP나 DmitriRender에서 제공하는 시험판을 먼저 이용해보는 것이 좋다.

    • 플루이드 모션 기능이 알려지고나서 중고시장에선 저가형 GCN 제품들이 씨가 마르고 저가형 저전력 AMD 그래픽도 반사 이익을 얻고 있다. 또한 RYZEN APU도 특유의 가성비와 함께 플루이드 모션도 지원하여 덩달아 인기있는 상품이 되었다. 예를 들면 지포스와 AMD APU를 쓰거나 또는 지포스와 저가형 AMD 카드를 듀얼로 붙일 경우 다른 장점은 AMD의 중저가 그래픽카드의 특징인 저전력 저발열까지 살릴 수 있다는 점. 예를 들어 평상시 인터넷이나 간단한 작업, 동영상이나 OpenCL 작업을 할 때는 AMD 카드만 켜서 사용하고, 지포스는 게임을 하거나 CUDA 작업을 할 때만 켜면 전력소모와 발열을 줄일 수 있다.

    • 드라이버 버그로 설정이 불가능하며# 그럼에도 일부 플레이어에서 재생시 적용된다는 말이 있었지만 사실이 아닌거로 판명되었다.

    9. 관련 문서[편집]

    • 프레임 보간

    • Video Core Next

    [1] 요즘 TV에 나오는 스포츠 모드를 생각하면 쉽다.[2] 보통 1080p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쿼드코어 이상의 CPU를 써야 한다고 본다.[3] 그래도 CPU 연산에 비해서는 훨씬 수월하게 가능하다. # "Its power is not especially important (for example, a GPU integrated into Intel Core 6th gen. processors, is sufficient for calculating intermediate frames up to 4K@60 fps."[4] 다만 GeForce 20부터 SVP도 하드웨어 가속 지원을 강화할 모양이라 앞으로 어찌될지는 두고봐야 될 듯.# 후술할 보간 성향 문제도 SVP는 세부 옵션 조절을 가장 상세하게 지원하여 완화할 수 있는 단점이다.[5] 다만 SVP와 같이 놓고 비교해야 그렇게 보이지, 원본과 플루이드 모션만 놓고 보면 당연히 플루이드 모션 쪽이 훨씬 부드럽다.[6] 7에서는 지원하는 파워 DVD를 사용할때만 사용이 가능하나 Bluesky 개발자는 윈7을 사용하고 있지도 않고 대세는 윈7이 아니기에 지원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7] 일반적으로는 최소 1세대 GCN 이상(HD7730 이상)은 되어야 한다.[8] 미국 공군의 특정 훈련 결과를 토대로 220Hz를 구별 가능하다고 유추하는 점도 있고, BBC는 스포츠 중계에 300Hz를 실험해 본 적도 있으며, 특정한 상황이나 개인차에 의해 500~600Hz를 구별해낸다는 실험결과들도 있다. 심지어 가변싱크가 뜬 이후 초기세대(프리싱크 프리미엄이 나오기 이전)에는 120Hz 모니터에서 G싱크와 프리싱크의 블라인드 테스트를 해서 프리싱크가 패배한 사례도 있다.[9] '원판 불변의 법칙'이라 불리는 논리가 결국 라플라스의 악마, 맥스웰의 악마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본다면, 부작용 없이 무한정 모션 보간이 가능한 기술이라는 개념 자체가 영구기관과 동급의 물건이다.[10] 480Hz 모니터에서 게임 프레임 30 -> 60과 60 -> 120을 비교하더라도 후자의 효과가 전자보다는 떨어진다.[11] SVP 등도 영상 변환 기능을 지원하나 RIFE AI가 변환 속도가 엄청나게 느린 대신 결과물이 더 좋은 편인데, 개인이 쉽게 구할 수 있는 AI 계열 변환 프로그램, 특히 무료 버전 중에서는 Flowframes의 RIFE 설정이 가장 빠르고 쓰기 무난한 편이다.[12] 480Hz 모니터에서 게임 프레임 30 -> 60과 60 -> 120을 비교하더라도 후자의 효과가 전자보다는 떨어진다[비공식]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 4500U는 navi가 준비되기 전에 설계되었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 플루이드 모션을 지원한다.[23] 리눅스용만 무료이고 나머지는 30일 체험판 방식[24] 그 전에도 개인이 개발하는 거라, 라이선스 귀속 시스템 관리도 개발자에게 일일이 메일로 문의해야 되는 주먹구구식 등 불편한 점이 많았는데, 이번에도 개발자가 RTX 3000번대 그래픽카드를 이제야 입수해서 지원해준 것으로 보인다. 사실 라이선스 귀속 시스템의 경우 관리가 안 되는 수준이 아니라 고의나 악질이라는 의혹으로 말이 많은 수준이다.[25] #, ##[26] 라데온 소프트웨어 설정에선 플루이드 모션 항목이 없으나, 팟플레이어 등에선 실제로 적용되어 구동되는 경우도 있다.[27] 30프레임 동영상은 60프레임까지만 지원[28] 다만 애니메이션의 경우 영상 특성상 빠른 화면 전환으로 인해 타 영상보다 깨지는 빈도가 심하고, 60fps 출력이 빨리 돌리는 것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하여 어색할 수 있으나, 한번 적용을 해서 익숙해지면 나중엔 없으면 허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