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환사의 협곡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일본어 - sohwansaui hyeobgog-e osin geos-eul hwan-yeonghabnida ilbon-eo

댓글

Thswm 

2021-09-18 00:19:41

crazy 

2021-09-18 00:48:27

ㅁㅁ 

2021-09-18 06:01:15

GABA 

2021-09-18 06:03:49

팽참 

2021-09-18 06:04:00

폴아웃38 

2021-09-18 06:05:20

칼타 

2021-09-18 06:10:22

toto 

2021-09-18 06:10:42

푸케푸케 

2021-09-18 06:12:28

노짱숭배자 

2021-09-18 06:26:59

지이이잉 

2021-09-18 06:34:25

붕괴수 

2021-09-18 06:35:35

오 이탈리아에서는 소환사의 협곡을 소환사의 황야라고 하나보네. 신기방기

펼쳐보기▼

didl 

2021-09-18 10:53:55

landa degli evocatori 라고 하는데

펼쳐보기▼

didl 

2021-09-18 10:58:58

landa를 황야라고 한국어로 해석을 했기 때문이고 이탈리아에서는 landa라고 하는거임 Welcome to Summoner's Rift 를 소환사의 협곡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라고 한다고 해서 영어권에선 협곡을 틈이라고 하나보네? 라고 하지 않잖아.

펼쳐보기▼

*수정됨

엥 rift를 '협곡'으로 옮긴 건 rift valley를 염두에 둔 번역 아님? 내 말은 '협곡'에 해당하는 이탈리아어 단어가 있을 텐데 이탈리아어 어감상 그게 안 어울릴 테니까(의미는 같아도 용법에 따라 어색하게 느낄 수 있으니까) landa를 썼나보다 하는 의미인데 비슷한 맥락일지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발이 넓다는 표현을 일본어 그대로 足が広い하면 어색하니까 顔が広い라고 하는 것처럼.

펼쳐보기▼

사전 찾아보니 landa가 '황야'로 나와있는 걸 난 그대로 받아들인 것뿐인데 사전이 틀렸다고 말하고 싶은 거?

펼쳐보기▼

didl 

2021-09-18 11:05:28

우리나라말이랑 외국어는 1:1로 성립을 하지 않음 사전에 나와있는건 대표적인 뜻만 통하는 대치어일 뿐이지 사전에 있는 단어의 뜻이 100% 일치한다는 뜻은 아님. 음..그렇게도 볼 수 있긴 하지. 라고 대충 넘어갈 수 있는 정도인거지 우리나라에서 쓰는 뜻이랑 100% 일치할지는..

펼쳐보기▼

ㅇㅇ 나도 번역 업계에서 꽤 오래 있었던 입장에서 그건 매우매우 동의하는 바임. 그래서 '이탈리아에서는 소환사의 협곡이라고 안 하고 소환사의 황야라고 하나보다'라고 한 거고. 번역이 틀렸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게 아니라 그 나라에서는 그게 자연스러운 번역일 테니까 그게 신기하다는 것임.

펼쳐보기▼

didl 

2021-09-18 11:13:48

근데 그걸 또 소환사의 황야라고 하나보다 라고 여기기보단 그냥 landa degli evocatori 라고 하는구나 라고 이탈리아 본연의 의미로 받아들이는게 낫다는 생각?? 소환사의 황야일건지는..이미 우리나라에서 소환사의 협곡이라고 원본언어에서 변질이 된 상태니까

펼쳐보기▼

*수정됨

//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italian-english/landa 영어 의미로도 barren land, moor, heath 제시하고 있는 거 보면 대충 '황야' 이미지가 맞는 거 같은데? 원어 그대로 놔두면 아무도 이해 못하고 번역이란 분야가 왜 있나ㅋㅋㅋ 최대한 비슷하면서 현지인한테 어색하지 않은 단어를 찾아서 대응시키는 게 번역가의 일인데. 'summoner's rift'에선 이탈리아어로 옮길 때 rift의 사전적 단어인 fessura나 아니면 한국어처럼 'rift valley'를 의도한 burrone를 쓰면 어색하게 보이니까 landa를 썼나보다 하고 느낀다는 거임.(생각해보면 인게임 맵 자체가 '협곡'이란 이미지가 잘 안 느껴지는 것도 있고, 그런 점 고려했나보다 싶기도 하고) 어떻게 보면 원문에 충실한 번역보다 현지화를 선택한 거라 볼 수도 있겠고. 그리고 landa를 쓴 게 신기하다고 보일 뿐이고. 위에서도 썼지만 일본에선 '발이 넓다'고 안 하고 '얼굴이 넓다'라고 하는 게 신기하다고 느끼는 거랑 비슷한 맥락임.

펼쳐보기▼

didl 

2021-09-18 11:30:19

'대충' 황야 이미지가 맞는 거일 뿐 이탈리아에선 landa라고 하는거지 이탈리아에서 황야라고 하고 있는게 아니니까 landa 라고 하는 구나라고 알고 있는게 좋을듯 landa는 landa이지 그게 황야인건 아니거든. landa를 황야라고 한국어로 현지화 하려면 하겠지만 다른 적절한 단어가 있다면 다른 언어로 얼마든지 대체 될 수도 있는 상황이 나올 수 있는거니까.

펼쳐보기▼

didl 

2021-09-18 11:37:34

음 그 발이 넓다 => 얼굴이 넓다 가 아니라 발이 넓다 => 顔が広い 라고 하는구나 라고 받아들이는게 맞다고 생각해. 예를 들어 한국인과 외국의 혼혈아들은 단어들의 뜻을 1:1로 매치를 하지 않고 그냥 그나라에서 그 때 그때 필요한 언어들을 구사를 하지 각각의 나라에서 어떤 단어를 어떻게 하는지 그 뜻을 매치 시키려 하지 않아. 걍 그 나라 단어엔 그 나라에서 써야 하는 단어가 있다고 생각하지 landa를 두고 이탈리아에선 황야라고 하는구나 안하고 이탈리아에선 landa라고 하는구나. 라고 하겠지.

펼쳐보기▼

*수정됨

그냥 이탈리아인이 직접 등판해서 설명해주는 게 빠를 듯 싶다ㅋㅋㅋㅋ 무슨 말인진 알겠는데 번역가 입장으로서 원문을 그대로 놔두는 건 직무유기라고 보는 스탠스거든. 의미가 똑같은 별도의 현지 표현이 있으면 당연히 직역하지 말고 그 현지 표현을 쓰는 게 맞는데 rift를 landa로 옮긴 게 이런 예시에 해당되는지 잘 모르겠고. landa가 '황야'가 아니라고 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는 게 유튜브에서 데이브가 종종 자기들 친구 데리고서 나라마다 똑같은 의미의 다른 표현들 비교하고 그러는 게 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거든. 네 말대로라면 일본어 학원에서도 '일본에서는 "발이 넓다"고 안 하고 "얼굴이 넓다"라고 합니다.'라는 게 잘못됐다는 뜻이잖음? '그 나라의 표현은 우리나라말로 직역하면 이렇구나'라고 느끼는 게 뭐 그렇게 큰 문제인가? 그냥 저기선 그렇게 번역한 게 자연스러운가보다 하고 느낀 것 뿐인데

펼쳐보기▼

didl 

2021-09-18 11:57:39

너랑 나랑 언어를 받아들이는 마인드가 다른듯 난 외국어를 외국어로 받아들이고 너는 외국어를 한국어로 한번 변환 해서 받아들이는듯. 나한테 welcome은 welcome 이지만 너한테 welcome은 환영합니다 라고 한국어로 번역 돼서 생각 하는듯.

펼쳐보기▼

사실 그게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 본인한테는 편하긴 한데, 한쪽 언어밖에 모르는 양측의 다리를 이어주는 일을 하다보면 welcome→환영합니다 작업이 반사적으로 나올 수 밖에 없음.

펼쳐보기▼

ㅇㅇ (72.227)

2021-09-18 12:47:10 삭제 수정

사실 협곡도 협곡인데 그건 그 쪽 지리랑 단어의 보편성까지 고려해야 하는 거지.

펼쳐보기▼

ㅇㅇ 그래서 이탈리아에서 '협곡'에 해당하는 단어를 안 쓴 거에 대해 뭐 불만인 건 아님. 그냥 '신기하다' 정도. 애초에 원문인 영어도 rift인데 rift valley가 협곡이지 rift가 협곡은 아니잖아. 그냥 그런가 보다하고 느끼는 거.

펼쳐보기▼

ㅇㅇ (72.227)

2021-09-18 13:03:37 삭제 수정

사실 rift 란 말 자체에 쪼개졌거나 균열이란 뜻도 있고 지질학에서 협곡을 의미할 때 쓰이기도 하니까.

펼쳐보기▼

ㅇㅇ (121.129)

2021-09-18 14:10:45 삭제 수정

롤케익 

2021-12-10 02:31:59

ㅇㅇ 

2021-12-10 08:27:25

궭뚧쇓렗 

2021-12-15 09:54:33

 

2021-09-18 07:19:18

ㅇㅇ (175.192)

2021-09-18 07:24:19 삭제 수정

강성호 

2021-09-18 08:34:53

씨몽키키 

2021-09-18 08:57:45

*수정됨

저 마법주문같은 느낌을 만끽하려 하는 것 아닐까

펼쳐보기▼

씨몽키키 

2021-09-18 12:20:43

in realtà mangio merda;;;;

펼쳐보기▼

제작자L 

2021-09-18 09:09:53

ㅇㅇ (211.51)

2021-09-18 09:16:52 삭제 수정

222 

2021-09-18 14:06:05

ㅇㅇ (59.5)

2021-09-18 09:47:48 삭제 수정

ㅇㅇ (59.5)

2021-09-18 09:48:29 삭제 수정

GM감우 

2021-09-18 10:29:10

페이링 

2021-09-18 10:54:34

설탕마법 

2021-09-18 11:00:19

ㅇㅇ 

2021-09-18 13:03:46

가드다이버 

2021-12-10 01:45:57

기관외국인 

2021-09-18 13:30:50

ㅇㅅㅇ 

2021-09-18 19:09:11

회색딱지 

2021-09-19 07:18:35

ㅇㅇ아니냐 

2021-09-23 04:37:00

팽참 

2021-12-09 22:23:52

하이퍼버스 

2021-12-09 23:12:04

삼수통 

2021-12-09 23:50:50

호레이 

2021-12-10 03:55:23

파블로게이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펼쳐보기▼

아기새태훈 

2021-12-10 04:03:48

나 예전에 저거 tv에서 나올때 본거 같음. 엄마랑 같이 보다가 내가 저거보고 존나 처웃길래 엄마가 소환사의 협곡이 뭐냐고 물어봤었음.

펼쳐보기▼

진짜임? 요새 이런거 개꿀잼으로 봤다가 짜집기 합성인 경우가 있던데

펼쳐보기▼

ㅇㅇ 

2021-12-10 14:03:56

발롱도르 

2021-12-10 05:36:54

칼타 

2021-12-10 09:01:48

llMll 

2021-12-10 11:25:32

'한국말로 무조건 말하라니 한심하군.' 식으로 말한줄 알았는데ㅋㅋㅋㅋㅋㅋ

펼쳐보기▼

새로운 댓글이 달렸습니다!

  • 1
  • 2

본 게시물에 댓글을 작성하실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다실 수 있습니다.

아카라이브 로그인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