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로드 pdf 통합본 - obeolodeu pdf tonghabbon

▶ 연준 공격적 통화정책에도 뮤추얼·헤지펀드, 경기 민감 분야 투자↑

뉴욕 월스트리트 표지판 [로이터=사진제공]

월스트리트의 큰 손들은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긴축적인 통화정책 기조에서 방향 전환을 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를 지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일 골드만삭스를 인용해 뮤추얼펀드와 헤지펀드 등 월스트리트를 움직이는 대형 투자자들이 이 같은 시나리오에 기반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짠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현재 투자자들은 공업과 원재료, 에너지 등 경기의 영향에 민감한 분야의 비중을 평소보다 늘렸다.

40여 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 위기에서 탈출하기 위해 연준이 매파적인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지만, 4조8천억 달러(약 6천270조 원)의 자금을 굴리는 큰 손들의 생각은 다르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부 경제 지표들에선 희망적인 조짐이 발견되고 있다.

최근 발표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보다 7.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도 높은 수치라는 점은 분명하지만, 올해 1월 이후 최소폭 상승이다.

고공 행진하던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속도를 줄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하던 연준도 다소 여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케이티 닉슨 노던 트러스트 웰스 매니지먼트 투자 분야 대표(CIO)는 "미국 경제가 급격한 경기 침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연준이 실제로 속도 조절에 착수하기 위해선 과열된 노동시장의 진정이 전제조건이라는 반론도 적지 않다.

미국의 10월 실업률은 3.7%로 전월보다 0.2%포인트 올라갔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아직도 낮은 수준이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노동시장 과열을 이유로 금리 인하 전환 논의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따라 WSJ은 오는 13일 미국 노동부가 발표할 11월 CPI 지수가 연준의 향후 기조를 좌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준은 13일부터 이틀간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0.5%포인트의 금리 인상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11월 CPI가 예상보다 높을 경우에는 다음 회의인 내년 2월에도 연속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금리 인상)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투자은행 앨리의 브라이언 오버비 수석시장전략가는 "시장은 CPI의 방향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올바른 방향이라면 수치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에르난데스·무아니 골로 승리…아르헨티나와 결승전

▶ 모로코 후반 프랑스 압도…득점 기회 못 살리고 패배

프랑스의 테오 에르난데스가 모로코와의 준결승전에서 첫 골을 성공 시키고 있다. [로이터]

프랑스가 모로코를 힘겹게 꺾고 2022 카타르 월드컵 결승에 진출해 아르헨티나와 우승을 다툰다.

프랑스는 14일 카타르 알코르의 알바이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회 준결승전에서 전반 테오 에르난데스(AC밀란), 후반 콜로 무아니(프랑크푸르트)의 연속골을 앞세워 모로코에 2-0으로 승리했다.

프랑스는 이제 한 계단만 더 오르면 1998년 프랑스 대회, 2018년 러시아 대회에 이어 통산 3번째 월드컵 우승을 이룬다.

또 1938년 이탈리아, 1962년 대회 브라질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월드컵 2연패를 이루는 나라가 된다.

프랑스는 전날 열린 준결승전에서 크로아티아를 3-0으로 완파하고 올라온 아르헨티나와 19일 0시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우승 트로피를 놓고 다툰다. 지난 10여 년간 최고의 공격수로 군림한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와 신세대 골잡이 중 단연 선두에 있는 프랑스의 킬리안 음바페(이상 파리 생제르맹·PSG)가 정면충돌하게 됐다.

러시아 대회에서 프랑스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음바페는 불과 24살의 나이에 두 번째 월드컵 우승을 눈앞에 뒀다.

19번째 월드컵 경기를 소화한 프랑스 골키퍼 위고 요리스(토트넘)는 마누엘 노이어(독일·바이에른 뮌헨)와 함께 역대 가장 많은 월드컵 경기를 치른 골키퍼로 올라섰다.

강고한 수비와 톱니바퀴 같은 조직력을 앞세워 아프리카·아랍권 팀으로는 처음으로 8강에 오른 모로코는 이 기록을 준결승까지 이어온 데에 만족해야 했다.

16강과 8강에서 서유럽의 강팀인 스페인, 포르투갈을 잇달아 격파해 아랍권 팬들의 뜨거운 응원을 받던 모로코는 ‘우승 후보 1순위’로 꼽히던 프랑스는 넘지 못하고 ‘위대한 질주’를 멈췄다.

모로코와 크로아티아의 3, 4위 결정전은 18일 0시 도하의 할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에서 킥오프한다.

프랑스는 왼쪽부터 음바페, 올리비에 지루(AC밀란), 우스만 뎀벨레(FC바르셀로나)를 공격진에 배치해 모로코 골문을 노렸다.

모로코는 팀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로 꼽히는, 공격수 하킴 지야시(첼시)-풀백 아슈라프 하키미(PSG)의 오른쪽 라인을 그대로 선발로 내보냈고 최전방에 팀 내 최다 득점자(2골)인 유시프 누사이리(세비야)를 세웠다.

다만 모로코는 평소 잘 쓰던 포백을 버리고 파이브백 수비라인을 가동해 프랑스의 호화 공격진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센터백으로 나온 라우만 사이스(베식타시)의 몸 상태가 완전치 않아 보였고, 결국 모로코는 전반 5분 만에 실점하고 말았다.

앙투안 그리에즈만(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이 오른쪽에서 넘긴 컷백을 음바페가 슈팅으로 연결한 것이 상대 수비를 맞고 골 지역 왼쪽으로 튀자 에르난데스가 왼발 발리슛으로 마무리해 프랑스의 선제골을 뽑았다.

조별리그 캐나다전에서 자책골을 내줬을 뿐 상대 선수에게는 단 1골도 허용하지 않던 모로코의 철벽 수비에 처음으로 균열이 간 순간이었다.

모로코는 전반 21분 만에 사이스를 벤치로 불러들이고 미드필더 살림 아말라흐(스탕다르)를 투입하며 다시 익숙한 포백 전술로 돌아갔다.

몇 차례 추가 실점 위기를 넘긴 모로코는 전반 막판 프랑스 진영을 몰아쳤지만, 프랑스의 강고한 수비를 뚫지는 못했다.

전반 44분 모로코 코너킥 상황에서 나온 자와드 야미끄(바야돌리드)의 그림 같은 오버헤드킥 슈팅은 요리스의 선방에 막혔다.

후반전 모로코의 기세는 더 강해졌다. 후반 초반 누사이리가 발만 갖다 대면 득점할 수 있어 보이는 동료의 패스가 그에게 연결되기 직전 프랑스 수비수들에게 간발의 차로 걸리는 장면이 거듭 연출됐다.

후반 중반 모로코는 공 점유율 51%(프랑스 35%)를 기록했다. 흐름을 바꾼 것은 디디에 데샹 프랑스 감독의 교체 카드였다. 후반 34분 뎀벨레 대신 그라운드를 밟은 무아니가 투입 1분도 되지 않아 쐐기 골을 뽑았다.

음바페가 골 지역 정면까지 돌파해 들어가 수비수 3명 사이에서 힘겹게 날린 슈팅이 수비 발을 맞고 골대 오른쪽으로 흐르자 무아니가 가볍게 마무리해 2-0을 만들었다.

모로코는 이후에도 만회 골을 넣기 위해 열심히 뛰었지만, 기회를 살리지 못했고, 모로코 팬들은 눈물을 흘리기 시작했다.

한때 프랑스가 모로코를 식민 지배했고, 프랑스에 모로코 이민자들이 많아 이날 맞대결이 ‘역사 더비’로도 크게 관심을 끈 가운데, 현지 매체에 따르면 5만여 명의 모로코 팬들이 6만8천석 규모인 알바이트 스타디움을 찾아 사실상의 ‘모로코 홈’ 분위기를 연출했다.

KR20130110838A -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 Google Patents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KR20130110838A KR20130110838A KR1020120033114A KR20120033114A KR20130110838A KR 20130110838 A KR20130110838 A KR 20130110838A KR 1020120033114 A KR1020120033114 A KR 1020120033114A KR 20120033114 A KR20120033114 A KR 20120033114A KR 20130110838 A KR20130110838 A KR 20130110838AAuthorityKRSouth KoreaPrior art keywordssupportshaftoverload testwinchdrillshipPrior art date2012-03-30Application numberKR1020120033114A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이현만Original Assignee현대중공업 주식회사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2012-03-30Filing date2012-03-30Publication date2013-10-10 2012-03-30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2012-03-30 Priority to KR102012003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0838A/ko 2013-10-10 Publication of KR2013011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838A/ko

Links

  • Espacenet
  • Global Dossier
  • Discus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CWFOCCVIPCEQCK-UHFFFAOYSA-N Chlorfenapyr Chemical compound BrC1=C(C(F)(F)F)N(COCC)C(C=2C=CC(Cl)=CC=2)=C1C#N CWFOCCVIPCEQ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1710031899 mo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dead weight, e.g. pendulum; generated by springs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7Moon-pools, e.g. for offshore drilling vessels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쉽에 설치되는 윈치(winch)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버 로드 테스트용 보조웨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축이 구비된 메인프레임, 및 상기 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윈치의 오버 로드 테스트를 위해 추가하는 보조웨이트를 간편하게 부가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Over load test equipment for M-type winch of drill ships}

본 발명은 드릴쉽에 설치되는 윈치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윈치의 오버 로드 테스트를 위해 주웨이트에 부가시켜야 하는 보조웨이트를 간단한 구조의 리프팅 방식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은 해양에서 원유나 가스 등을 채취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해상 플랫폼 설치가 불가능한 심해 지역이나 파도가 심한 해상에서 원유 등을 시추할 수 있는 선박이다.

이러한 드릴쉽은 선체에 원유 시추 설비를 탑재시켜 심해의 원유를 뽑아 올릴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원유 시추선으로서, 심해 유전 개발에 사용되는 첨단 선박 중의 하나이다.

드릴쉽은 고도의 기술이 집약된 선박으로서, 심해에 원유 시추용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는 드릴탑(주탑)과 석유 정제설비 등 각종 첨단 장비가 탑재되어 제작된다.

여기서 드릴파이프는 드릴쉽의 주탑에 설치된 탑드라이버에 결합되어 문풀(moon pool)에 설치되며, 이 탑드라이버가 드릴파이프를 회전시킴으로써, 해저를 굴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드릴쉽의 문풀에는 각종 장비를 이동 또는 설치하기 위해 작업용 윈치(winch)가 설치되는 데, 이 윈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오버 로드(over load) 테스트를 실시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의 작업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오버 로드(over load) 테스트는 통상적으로 10톤(ton)의 주웨이트(200)를 이용하여 윈치(100)의 노말(normal) 테스트를 실시한 후, 추가로 125%의 오버 로드 테스트를 위하여 상기 10톤에 2.5톤의 보조웨이트(250)를 부가하여 테스트를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125%의 오버 로드(over load) 테스트를 실시할 때, 윈치(100) 자체로는 12.5톤을 동시에 들어올릴 수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포터블 윈치(portable winch)(400)를 이용하여 기존의 10톤 주웨이트(200)에 2,5톤의 보조웨이트(250)를 추가로 적재하여 시험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오버 로드(over load) 테스트를 위해 별도의 포터블 윈치(portable winch)를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테스트 시간이 증대될 뿐 아니라,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작업 안전성과 공정 효율성 또한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윈치의 오버 로드(over load) 테스트를 위해 주웨이트에 부가시켜야 하는 보조웨이트를 간단한 구조의 리프팅 방식으로 간편하게 승강시켜 주웨이트에 부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작 편의성과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버 로드 테스트용 보조웨이트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양단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게 서로 마주보며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축이 구비된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축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게 복수의 가이드홈이 기립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 하면을 지지할 수 있게 일정 면적의 지지플레이트가 상단에 설치된 리프트축과, 상기 리프트축의 하부가 기어 결합되는 기어박스, 및 상기 리프트축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기어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핸들이 설치된 조정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에는 조정축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록킹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조웨이트를 주웨이트에 간편하게 부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테스트 시간의 단축과 이에 따른 생산성 증대 및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오버 로드 테스트의 공정 효율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의 작업도,
도 2는 본 발명의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를 이용하여 보조웨이트를 부가한 상태의 작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는 지지대(10)와 메인프레임(20) 및 승강수단(60)으로 구성된다.

지지대(10)는 오버 로드 테스트를 위하여 주웨이트(200)(도4,5에 도시함)에 부가하게 되는 보조웨이트(250)(도4,5에 도시함)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보조웨이트(2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지지대(10)의 양측면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복수의 가이드부(15)가 설치된다.

여기서 가이드부(15)는 메인프레임(20)의 슬라이드축(25)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2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부분으로서, 일정 폭을 가지는 머리부와 머리부를 지지하는 폭이 좁은 네크부(neck part)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5)는 슬라이드홈(26)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가이드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웨이트(250)의 중량과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메인프레임(20)은 베이스플레이트(21)와 슬라이드축(25)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2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중앙부 상부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승강수단(60)의 기어박스(40)가 설치되고, 양단부에는 슬라이드축(25)이 각각 기립 설치된다.

여기서 슬라이드축(25)은 지지대(10)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서로 대향되어 마주보도록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지지대(10)의 크기에 대응되게 일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슬라이드축(25)에는 지지대(10)의 가이드부(15)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부(15)의 형상에 대응되게 슬라이드홈(26)이 기립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대(1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홈(26)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부(15)와 슬라이드홈(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승강수단(60)은 지지대(1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리프트축(30)과 기어박스(40) 및 조정축(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리프트축(30)은 지지대(10)의 중앙부 하면을 지지하게 되며, 상단부에는 일정 면적의 지지플레이트(35)가 수평 상태로 설치되고, 하부는 기어박스(40)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기어 결합된다.

한편 기어박스(40)는 메인프레임(20)의 베이스플레이트(21) 상에 설치되며, 조정축(50)은 수평 상태로 기어박스(40)의 측방향에서 기어 결합된다.

여기서 기어박스(40)는 조정축(50)의 회전을 구동력으로 하여 리프트축(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기어 결합 구조를 통해 조정축(50)의 회전을 리프트축(30)의 상,하 이동으로 변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어박스(40)는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기어 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차되는 축간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워엄기어 방식이나 나사기어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워엄기어 방식은 조정축(50)을 워엄스크류로하고, 이 조정축(50)에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워엄휠을 결합한 후, 워엄휠에 리프트축(30)을 기어 결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정축(50)의 회전으로 인해 워엄휠이 제자리에서 회전되면 워엄휠에 기어 결합된 리프트축(30)이 상대 운동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조정축(50)은 일측의 슬라이드축(25)을 관통하여 선단부가 기어박스(40)의 측부를 관통하여 기어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핸들(55)이 설치되고 핸들(55)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레버(56)가 설치된다.

또한 핸들(55)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록킹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핀을 핸들(55)에 설치하여 이 고정핀이 슬라이드축(25)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조정축(5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주웨이트에 보조웨이트가 부가된 상태의 작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지대(10)에 2.5톤의 보조웨이트(250)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보조웨이트(250)가 윈치(100)에 로딩되어 있는 주웨이트(200) 하부에 위치하도록 정렬한다.

이때 조정축(50)의 핸들을 회전시켜 기어박스(40)에 결합된 리프트축(30)을 화살표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조웨이트(250)의 상부면이 주웨이트(20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주웨이트(200) 하측면에 보조웨이트(250)가 밀착된 상태에서 주웨이트(200)와 보조웨이트(250) 측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셔클(210)에 와이어(300)를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보조웨이트(250) 상부 양측에는 측면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게 이탈방지부재(2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보조웨이트(250)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55)을 이용하여 조정축(50)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지지대(10)를 하향 이동시켜 원위치시키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윈치의 오버 로드(over load) 테스트를 위해 주웨이트에 부가시켜야 하는 보조웨이트를 기어 방식을 이용하여 간편한 조작으로 승강시켜 주웨이트에 부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 편의성과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 환경 개선과 작업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대 15 : 가이드부
20 : 메인프레임 21 : 베이스플레이트
25 : 슬라이드축 26 : 슬라이드홈
30 : 리프트축 35 : 지지플레이트
40 : 기어박스 50 : 조정축
55 : 핸들 56 : 레버
60 : 승강수단 100 : 윈치
200 : 주웨이트 210 : 셔클
250 : 보조웨이트 260 : 이탈방지부재
300 : 와이어 400 : 포터블 윈치

Claims (4)

  1. 오버 로드 테스트용 보조웨이트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양단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게 서로 마주보며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축이 구비된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축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게 복수의 슬라이드홈이 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 하면을 지지할 수 있게 일정 면적의 지지플레이트가 상단에 설치된 리프트축;
    상기 리프트축의 하부가 기어 결합되는 기어박스; 및
    상기 리프트축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기어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핸들이 설치된 조정축;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조정축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록킹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 엠타입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KR1020120033114A 2012-03-30 2012-03-30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KR20130110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20033114A KR20130110838A (ko) 2012-03-30 2012-03-30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20033114A KR20130110838A (ko) 2012-03-30 2012-03-30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30110838A true KR20130110838A (ko) 2013-10-10

Family

ID=4963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20033114A KR20130110838A (ko) 2012-03-30 2012-03-30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 KR2013011083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60115417A (ko) 2015-03-27 2016-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N106680004A (zh) * 2016-12-21 2017-05-17 广东精铟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海上平台液压式升降机构的检测装置
CN106769012A (zh) * 2016-12-21 2017-05-31 广东精铟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海上平台液压式升降机构的动态载荷模拟检测方法
CN111359746A (zh) * 2020-03-30 2020-07-03 鲍立国 一种便于用于小型中药厂的高效型粉碎装置
CN111746743A (zh) * 2020-06-30 2020-10-09 扬州市远望橡胶有限公司 一种护舷压缩性能检测装置
  • 2012
    • 2012-03-30 KR KR1020120033114A patent/KR201301108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60115417A (ko) 2015-03-27 2016-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N106680004A (zh) * 2016-12-21 2017-05-17 广东精铟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海上平台液压式升降机构的检测装置
CN106769012A (zh) * 2016-12-21 2017-05-31 广东精铟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海上平台液压式升降机构的动态载荷模拟检测方法
CN106769012B (zh) * 2016-12-21 2019-02-22 广东精铟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海上平台液压式升降机构的动态载荷模拟检测方法
CN111359746A (zh) * 2020-03-30 2020-07-03 鲍立国 一种便于用于小型中药厂的高效型粉碎装置
CN111359746B (zh) * 2020-03-30 2021-10-22 安徽健怡堂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便于用于小型中药厂的高效型粉碎装置
CN111746743A (zh) * 2020-06-30 2020-10-09 扬州市远望橡胶有限公司 一种护舷压缩性能检测装置
CN111746743B (zh) * 2020-06-30 2021-07-09 扬州市远望橡胶有限公司 一种护舷压缩性能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130110838A (ko) 2013-10-10 드릴쉽 엠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KR101422227B1 (ko) 2014-07-24 부유식 구조물
GB2441765A (en) 2008-03-19 Underwater visual inspection of an underwater structure
CN109300353B (zh) 2021-07-27 模拟海上作业工况的海洋工程试验平台装置
KR20170035521A (ko) 2017-03-31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KR20130114844A (ko) 2013-10-21 드릴링 파이프 핸들링 장치의 오버로드 테스트용 웨이트
KR20160088680A (ko) 2016-07-26 데릭 로드 테스트 장치
KR20160022533A (ko) 2016-03-02 데릭 구조물의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CN103373446A (zh) 2013-10-30 导管架拆除船及拆除方法
KR20130110839A (ko) 2013-10-10 드릴쉽 에이타입 윈치 오버 로드 테스트장치
KR102193088B1 (ko) 2020-12-18 안전성이 향상된 김발 인양장치
CN103274023A (zh) 2013-09-04 简易搭设式海上浮体之间连接跳板
CN203905551U (zh) 2014-10-29 一种升降式游泳池活动平台装置
KR102148044B1 (ko) 2020-08-26 해양구조물에 구비되는 잠수정 핸들링 시스템
KR20110094895A (ko) 2011-08-24 데릭 승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101805493B1 (ko) 2017-12-07 해양플랜트용 스러스터 리커버리의 상승운전 제어장치
KR101824559B1 (ko) 2018-03-14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방법
CN204252842U (zh) 2015-04-08 一种张力腿式钻井平台单层旋转滑移式钻机底座
KR20140028863A (ko) 2014-03-10 드로워크 유지보수를 위한 드럼 샤프트 인양방법
KR20150093392A (ko) 2015-08-18 데릭 모듈 및 이를 가지는 드릴링 유닛
KR101487460B1 (ko) 2015-01-28 선박의 레그 탑재 방법
CN104295242B (zh) 2016-06-29 一种张力腿式钻井平台单层旋转滑移式钻机底座
CN203391972U (zh) 2014-01-15 简易搭设式海上浮体之间连接跳板
KR101460252B1 (ko) 2014-11-10 듀얼 웰 타입 드릴쉽의 x-마스 트리 핸들링 방법
KR101858507B1 (ko) 2018-06-29 이동가능한 작업 플랫폼을 갖는 시추선의 언더헐 가이드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2017-04-30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