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종보통 기어 변속 - 1jongbotong gieo byeonsog

일본 유튜브에서 퍼온 것임을 밝힙니다..
1종보통이나 2종수동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유용하다고 판단해서 퍼왔습니다.

우리나라의 좌핸들 자동차나 일본의 우핸들 자동차의 차이점은 핸들의 위치와 방향지시등 막대기와 와이퍼 막대기만 반대일 뿐 그 나머지는 다 똑같습니다.

즉 기어의 위치는


로 동일합니다.

일본어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역했습니다.
일본의 경우 로우, 세컨드, 써드, 톱, 오버 톱, 리버스 라는 용어를 씁니다만
우리나라는 1단, 2단, 3단, 4단, 5단, 후진 이라는 용어를 씁니다.
(하지만 가끔 일본에서도 속[速]이라는 한자를 써서 1속, 2속, 3속, 4속, 5속이라고 하기도 합니다.)우리나라에서 쓰이는 세컨드, 로우는 오토매틱기어에서 2, L을 부를 때 쓰입니다.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클러치를 끝까지 밟고
변속을 한 후에 클러치를 뗍니다.
(클러치를 뗄 때 확 때는 것보다 "완전히 밟은 상태->반클러치->완전히 땐다"로 구분동작을 해서 떼는 편이 좋습니다)

출발을 할 때에는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2단 (2종면허는 1단) 으로 넣어주시고, 브레이크를 떼시고 클러치를 서서히 떼서 반클러치 상태로 만들어줍니다.
그리해서 차가 움직이기 시작한다면 가속페달을 살짝 밟아주시고요
천천히 클러치를 떼주면서 가속페달을 밟아주세요
(언덕에서는 반클러치를 먼저 만들어주신 후에 브레이크를 떼주세요)

반클러치 상태에서 가속페달을 무리하게 밟으면 급출발이나 헛바퀴를 굴리며 출발할 수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자동이든 수동이든 변속기를 보지 않고 변속해야 합니다!

운전 중에 1초는 무척 중요합니다.
20Km/h의 속도에서 네비게이션을 조작하다가 인도로 돌진해 사람을 치는 그런 사고도 있을만큼
한 눈을 파는 것은 위험합니다

질문이 있으시면 덧글에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

모카치노

일상과 경험

운전면허 1종 보통 필기시험/장내기능/도로주행 후기,TIP

모카치노 2020. 3. 5. 23:10

안녕하세요!K.G입니다.

최근 1-2달사이에 1종 보통 운전면허를 땄습니다.

운전학원 다니면서 경험이나 팁 같은것을 포스팅 해봅니다

사진출처://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9/2018091901124.html

개인적으로 1종의 장점

첫 번째로 클러치로 속도를 조정함으로 브레이크.악셀 말고도 속도 조절이 수월합니다.

이유는 1종차량의 기어는 차종마다 다르지만 1-5단,후진 최신차종은 1-6단과 후진이 있습니다.그래서 각 단의 기어속도로 운전 하실 수있습니다.1단은 5km,2단은 10km,3단은 15km속도를 유지하며 내는것 같습니다(체감속도) 특히나 클리치와 각각 유지되는 기어속도로 차가 막히거나 속도 줄이기에는 편한것 같습니다.

두 번째는 급발진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세 번째는 기어변속하면서 기어변속시의 느낌이나서 운전하는데 재미가 있습니다.

(기어변속하면서 속도를 내는 맛이 좋습니다!)

단점

첫 번째 2종보다 시동이 잘꺼집니다.

 EX} 1)시동걸고 정지상태에 클러치를 바로 떼는경우.

      2)정지상태에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밟고 브레이크 밝고 클러치만 떼는경우

      3)언덕과같이 엔진의 힘을 내지 못하고 엑셀을 밟다가 훅 하고꺼집니다.

(세번째싱황은 도로 주행중에 생기는 경우이고 이때 기어를 1단또는2단에 맟추셔야 합니다.

자세한내용은 경사로 연습에서 배웁니다.)

두 번째 계속되는 클러치 사용으로 왼쪽다리가 힘들어집니다.

(제가 운전하며 겪은 경험을 토대로 작성했습니다.)

-필기시험-

우선 2020년에 운전면허 필기시험 컷트라인이 1종,2종모두 80점으로

상향된다고 하니 이점 참조해주세요.

필기시험에서는 1000문제중 그중 45문제를 출제합니다.

문제는 운전학원마다 다르지만 학원에서 필기시험1000문제 문제지를 줍니다.

또는 핸드폰으로 필기시험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개인적으로 아래앱을 추천드립니다.

한 일주일에 1-2시간 투자하시면 필기시험 통과하실 수 있습니다.

필기시험응시는 //www.safedriving.or.kr/rerrest/rerrestScheduleView.do?menuCode=MN-PO-1131에서 자세한매용확인과 시험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시험은 컴퓨터로 응시하고 결과는 45문제 다풀고 채점하면 점수가 바로 나옵니다.

필기시험 통과후에 아래 사진과 비슷한 코스대로 4시간동안 연습을 합니다.

한시간에 3-4번 코스를 완주 하실 수 있습니다.

(학원마다 다를수도 있습니다)

강서운전면허시험장 시험코스

사진출처://dl.koroad.or.kr/PAGE_license/gangseoLic/view.jsp?code=102210&cmd=view&bseq=143698

불러오는 중입니다...

-도로주행-

장내기능시험에 통과를 하면 6시간 가량 도로주행을 합니다.여기서 속도에 알맞게 기어변속을 해야합니다.

기어변속시에는 기어봉을 보지않고 느낌으로만 기어변속하는 감을 익히는게 좋습니다.

주로 사용하는기어는 `2단:시동,3단:속도 20KM~이상` 입니다.

(1단,5단을 안적은 이유는 1단은 속도가 느리고 ,4,5단까지 기어를 넣지 않습니다,)

어떤코스는 가속구간이라고 기어 4단을 놓는 구간도 있습니다.

대부분 코스는 제한속도가 60KM이기때문에 기어 3단으로 충분합니다.

TIP 1)속도20km이상을 무서워하지마시고 엑셀을 잘 밟아줍시다.도로가 한산할때에 경우에따라 시속40km유지하시는편이 좋습니다.

TIP 2)학원마다 코스는 다르지만 1종기준으로 연습할때에는 연습시에는 교통상황이 원할한편과 시험중에는 교통체증이 있는편이 수월합니다.

TIP 3)처음시동을 거실때 장내기능에서 배운 클러치만으로 앞으로 전진하는편이 수월합니다.

TIP 4)언덕있는코스에서 언덕의 경사에 맟게 반클러치의 각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TIP 5)신호등을 예상하지 마세요.

TIP 6)깜빡이를 키실때 차선변경,좌/유회전,유턴하는 지점에서 최소30미터이상에서 키셔야합니다.

TIP 7)차선변경시 속도를 줄이지 말고 옆 차선 차량과 비슷한 속도로 차선 변경하세요.

TIP 8)언덕코스에서 주행시 기어를 2단으로 변경하시는편이 좋습니다.(경사 40도 이상 구간)

TIP 9)어린이구간,노인보호구간,제한속도 구간에서 제한속도50KM,와30KM는 기어3단으로만 주행하세요.

-------------------------------------------------------------------------------------------------------------------------------

이유1)장내 기능시험에서 마지막 코스로 기어변속하는 구간이 있습니다.그 구간에서는 속도를 20km이상을내고 기어를 2단에서 3단으로 변속하는게 목적입니다.이때 시속 20km를 올리면 체감상 속도가 빠르다고 느껴저 도로위에서도 약간의 불안하실 수 있지만 도로에서 20km는 굉장히 느린 속도입니다.그러니까 속도에 겁먹지 마시고 강사님의 지시에 맞춰어 속도조절하시면 됩니다.또 굳이 왜 40km를 유지하냐 라는 말에는 교통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속도40km정도가 정지하는데 가장 좋은 속도라고 생각합니다.앞차량이 갑자기 속도를 줄일 수 있고 신호등이 예상하지못해 갑자기 신호가 바뀌면 신화위반으로 됩니다.

이유2)연습시에는 가능하면 많은코스를 완주하여 한코스라도 더 돈다는 마음으로 안전 운전 하면되고 시험시에는 지정된 제한 시간이 없어서 시간에 촉박해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다만 차가 막히는 편이 좋다고 하는 이유가 실격사유중 대부분이 신호위반으로 실격되는 사레가 많습니다.차가 막히면 속도도 느리고 신호도 잘 걸려 신호위반으로 실격되는 가능성이 극히 줄어들기 때문입니다.단점은 차가 정차되면 수시로 클러치로 중립과 기어2단변속을 수시로해야한다는접에서는 불편합니다.아무리 불편해도 실격되는것보다 낫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이유3)강사님에따라 다르게 설명해주시지만 저는 처음에 장내기능에서배운 클러치만 살살 놓고 전진하는 방식과 클러치 조금만 놓고 엑셀로 RPM을 1.5에서 2사이로 맟추고 클러치를 놓는방법을 배웠습니다.사실 후자 방법이 전진이 빨리되 시험시에는 안전하게 전자의 방법으로 부드럽게 가시다가 시속 20KM이상 내시고 기어변속을 추천드립니다.

이유 4)제가 개인적으로 경험해본것이며 도로주행에서 언덕에 정차하고 전진할때 반클러치를 까먹어 클러치만 서서히 놓다가 엑셀을 밟아 차가 뒤로밀립니다.그래서 코스에 언덕이 있는 구간에서 반클러치를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유5)도로주행에서 가장중요한 부분입니다,바로 신호위반.신호등을 예상하다가 연습때 신호위반 3번 해보았습니다.정지선 넘기전 황색등이 되고 정차시 정지선을 넘으면 실격입니다.그러니 예상하지말고 신호등 과 거리 30m되는 거리에서 엑셀에 발을 뗴고 브레이크레 발만 놓으세요.그리고 유지되는 속도로 가다가 정지선 밟을때 청색불이면 엑셀을 밟으시면 됩니다.저도 이렇게해서 시험날에 신호위반 되지 않았습니다.

이유 6)깜빡이를 키고 바로 차선변경,좌/유회전,유턴할 시 감점이나 불이익을 받습니다.

이유7)차선변경시 속도를 줄이고 변경시 뒷차량과 변경하려는 차선의 차와 사고가 날 수있으며,속도를 줄일시 핸들을 더 많이꺾어야해 차선변경이 엄청 어려워 집니다.따라서 차선변경시 옆차로의 차량과 비슷한 속도에서 차선변경이 가장 쉽습니다.(차선변경시 핸들 각도5도가 좋습니다)

이유 8)코스중 주행중 언덕이 있으면 대부분 20KM를 넘어 기어가 3단이나 4단에 있습니다 여기서 제가말하는 언덕은 경사가 40도 넘는 지형을 말합니다.기어는 1단이 힘이가장세고 그다음이 2단 다음3단 순서대로 약해집니다.경사가 높은 언덕 주행시 1단은 속도가 느리며 2단이 적절합니다. 제가 시속 30km에서 3단으로 언덕주행하다가 엔진에 힘이 안들어가 엔진이 탈탈 거리더니 시동 꺼트려 보았습니다.

이유 9)기어3단이 도로주행에서 속도조절이 수월합니다.제한속도 50KM구간에서 시속 40KM이상이라도 4단으로 놓지말고 40KM유지하시는편이 좋습니다.제한속도30KM에서는 엑셀을 살살 밟아 25KM유지하세요.역시 제한속도를 위반시 속도위반으로 실격입니다.

여기까지 제가 운전학원에서의 경험에서 포스팅 해봅니다.운전학원 들어가기전이나 도로주행하시기 전에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제 글을 읽고 얻어가시는점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꼭 합격을 기원하겠습니다!

ps:처음써보는 블로그라 문장 크기,배열등등 문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ㅎㅎ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