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호흡곤란 5가지 징후 - sinsaeng-a hoheubgonlan 5gaji jinghu

호흡곤란 증후군은 표면활성제라고 하는 기낭을 코팅하는 물질이 없거나 충분하지 않아 폐의 기낭이 열려 있지 않은 미숙 신생아의 폐 장애입니다.

  • 미숙 신생아 및 산모가 임신 중에 당뇨병이 있었던 신생아는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합니다.

  • 영향을 받은 영아는 호흡에 심각한 어려움이 있고 혈액에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피부가 푸른 빛을 띨 수 있습니다.

  • 호흡 곤란 유무, 혈액 내 산소 수치 및 흉부 X-레이 검사 결과로 진단합니다.

  • 치료 시 낮은 혈중 산소 수치가 개선될 수 없다면, 이 증후군은 뇌 손상 또는 사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태아가 조산으로 태어난 경우, 산모에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주사하여 태아의 표면활성제 생산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산소를 투여하고, 지속성 기도내 양압을 사용하여 기낭이 열려 있도록 유지하며, 신생아에게 호흡이 더 어려워질 경우 인공호흡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신생아가 스스로 충분한 표면활성제를 생산하기 시작할 때까지 신생아의 기관 안으로 공급하는 합성 표면활성제를 이용한 치료로 부족한 표면활성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은 호흡 문제입니다. 쉽게 호흡할 수 있는 신생아의 경우 폐에 있는 기낭(폐포)이 열려 있어 공기로 채울 수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폐는 표면활성제라는 물질을 생산합니다. 표면활성제는 기낭 표면을 코팅하여 표면의 긴장을 낮춥니다. 낮은 표면 긴장은 호흡 주기 동안 기낭이 열려 있도록 합니다.

보통, 태아는 임신 약 24주 경에 표면활성제를 생산하기 시작합니다. 임신 34~36주까지, 태아의 폐에는 기낭이 열려 있게 하기에 충분한 표면활성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신생아의 조산 미숙 신생아 미숙 신생아는 임신 37주 전에 분만된 아기입니다. 태어난 시기에 따라, 미숙 신생아에는 덜 발달된 기관이 있어 자궁 밖에서 기능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전의 조기 출산, 다태 출산, 임신 중의 영양 결핍, 때 늦은 산전 관리, 감염, 보조 생식 기술(체외 수정 등), 고혈압은 조기 출산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더 읽기 이 이를수록 더 적은 표면활성제가 제공되며, 출산 후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커집니다. 호흡곤란 증후군은 거의 미숙 신생아에서만 배타적으로 발생하지만 임신 중에 당뇨병이 있었던 산모 임신 중 당뇨병 임신 전에 당뇨병이 있다면 임신 중 합병증의 위험은 당뇨가 있었던 기간, 고혈압과 신장 손상과 같은 당뇨 합병증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임신하면 당뇨병(제1형 및 2형)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지만 당뇨 합병증(눈, 신장 또는 신경 손상 등)이 시작되거나 악화되지는 않습니다. ( 당뇨병도 참조.) 임신 중 최소 5%의 임신부에게 당뇨병이... 더 읽기 의 만삭 신생아 및 거의 만삭인 신생아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른 위험 인자로는 다태아(쌍둥이, 세쌍둥이, 또는 네쌍둥이 등) 및 백인 남아 등이 있습니다.

드물게 이 증후군은 표면활성제의 결핍을 야기하는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유전적으로 유발된 호흡곤란 증후군 유형은 만삭 아기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향을 받은 신생아에서는 폐가 경직되고 기낭이 완전히 허탈되기 쉬우며 폐에서 공기가 없어집니다. 매우 심한 미숙 신생아에서는 폐의 경직이 심하여 출산 시 신생아가 호흡을 시작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신생아가 호흡하려고 노력하지만 폐가 너무 경직되어 중증 호흡 장애(호흡곤란)가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호흡곤란의 증상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눈에 보이는 힘들고 빠른 호흡

  • 견인(빠른 호흡 중에 갈비뼈에 부착된 흉근 및 갈비뼈 아래의 흉근을 끌어당김)

  • 들숨 중에 콧구멍의 벌렁거림

  • 날숨 중에 그렁거림

  • 호흡곤란의 징후

  • 혈액 검사

  • 흉부 X-레이

  • 혈액과 때로는 뇌척수액의 배양

호흡곤란 증후군은 호흡곤란의 징후, 혈액 내 산소 수치 및 비정상적인 흉부 X-레이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진단합니다.

조산을 피할 수 없을 경우 산과 전문의는 산모에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베타메타손)를 주사할 수 있습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태아로 들어가 표면활성제의 생산이 가속화됩니다. 주사 후 48시간 이내에 분만 후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거나 발생하더라도 경미할 정도까지 태아의 폐가 성숙할 수 있습니다.

  • 때로는 합성 표면활성제 요법

  • 산소 및 호흡 지지 조치

분만 후, 미숙도가 낮은 신생아 및 경증 호흡곤란 증후군이 있는 신생아는 보충 산소만 필요할 수 있으며 혹은 지속성 기도내 양압( 폐색성 수면 무호흡

CPAP)으로 산소를 전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신생아의 콧구멍에 위치한 캐뉼라를 통해 보충 산소를 공급합니다. CPAP는 신생아가 약간 압축한 산소를 받는 동안 스스로 호흡할 수 있게 합니다.

표면활성제 치료는 호흡곤란이 지속될 경우 생후 수일 동안 몇 차례 반복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2 Merck & Co., Inc.(Rahway, NJ, USA) 및 소속 계열사. All rights reserved.

다른질환보기

  • 감염성질환
  • 건강증진
  • 귀코목질환
  • 근골격질환
  • 눈질환
  • 뇌신경정신질환
  • 성형미용 및 재건
  • 소아청소년질환
  • 소화기질환
  • 순환기질환
  • 신장비뇨기질환
  • 여성질환
  • 유방내분비질환
  • 유전질환
  • 응급질환
  • 종양혈액질환
  • 치과질환
  • 피부질환
  • 호흡기질환
  • 기타

  • 질환설명
  • 의료진

정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출생 직후 폐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병입니다. 미숙아는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병이 발생할 위험성이 큽니다.

원인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미숙아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미숙아는 전신적으로 각 장기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 발달도 미숙하기 때문입니다.

폐는 폐포라는 조그만 풍선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속으로 공기가 드나들면서 몸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몸속에서 만든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가스 교환하며 정상적인 몸의 호흡 상태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미숙아는 폐가 아직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났기 때문에 폐포의 크기가 작습니다. 이 폐포가 공기로 차고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라는 것이 있어야만 풍선이 잘 늘어나서 폐포의 모양을 유지하고 호흡할 공간이 생깁니다. 미숙아는 아직 폐 표면활성제를 충분히 만들어 내지 못하여 풍선인 폐포가 자꾸 찌그러지고 호흡할 공간이 없어집니다. 이 때문에 호흡 곤란이 심해져 이 병이 발생합니다.

증상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는 출생 직후 호흡 곤란, 청색증, 함몰 가슴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호흡 곤란이 점차 심해져서 결국 인공호흡기의 도움을 받아야 될 정도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진단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병력, 아기의 진찰 소견, 특징적인 방사선 사진 소견, 혈액 검사, 위나 기관지에 들어 있는 양수를 이용한 검사 등으로 진단합니다.

치료

미숙아가 출생하면, 그 즉시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인큐베이터(보육기), 인공 환기 요법, 각종 집중 치료법 등을 적용하는 등 신생아 중환자 관리를 행해야 합니다.

1980년대에 개발된 인공 폐 표면활성제를 증상이 있는 미숙아의 기도 내로 투여하면 수 분 안에 호흡 곤란이 호전됩니다. 대개 생후 첫날 치료하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환아에 따라서 2~3회 반복 투여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인공 폐 표면활성제의 도입과 신생아 집중 치료의 발전으로 호흡곤란 증후군 자체를 치료할 수 있는 경우는 많습니다. 또한 사망률이 과거보다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된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 또는 장애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경과

폐 표면활성제나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행하는 도중에 기흉, 간질성 폐기종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지속적으로 산소가 필요한 기관지폐 이형성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 증후군은 미숙아 출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미숙아에게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합병증, 예를 들어 머리에는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 뇌실 내 출혈, 패혈증과 같은 감염증, 눈에는 미숙아 망막증, 장에는 괴사성 장염, 심장에는 동맥관 개존증 등이 입원 기간 동안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