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ll20 이미지 링크 - Roll20 imiji lingkeu

안녕하세요!

앞의 1편에 이어 roll20 사용법 2편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본격적으로 roll20 기능에 대해서 설명해드릴게요!

roll20을 효과적으로 즐길 수 있는 필수적인 기능들만 설명드리니, 더 복잡한 기능들은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설명해보겠습니다~

1. Roll20 인터페이스

게임 시작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

여기서 중요한 점!!

왼쪽 위에 보면, 마이크와 카메라 사용에 대한 권한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나타납니다.

이걸 허용하면 매번 난데없이 마이크와 카메라가 켜져버리기 때문에, 꼭 차단을 눌러주세요!

이 기능은 나중에 다시 켤 수 있으니까 꼭 차단 눌러주세요!!

만약 실수로 허용을 눌렀다면, 오른쪽 위에 떠있는 카메라 모양 아이콘을 눌러서 차단하시거나,

구글 크롬 설정에서 개인정보 및 보안-권한에서 카메라와 마이크를 각각 클릭하셔서 차단해주면 됩니다.

------

이렇게 설정하셨으면, 먼저 인터페이스부터 알아볼게요.

왼쪽 아이콘들은 도구상자, 가운데 격자화면은 맵, 오른쪽은 채팅창입니다.

TRPG나 roll20은 기본적으로 채팅을 이용해 플레이를 진행하기 때문에, 도구나 맵은 플레이에 도움을 주는 부가적인 아이템입니다.

(1) 도구

맵에서 이용할 수 있는 도구들입니다. 주사위와 그리기 도구를 제외한 나머지는 거의 키퍼가 사용하는 도구들이라서 플레이어는 이용할 일이 거의 없을 것 같아요!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직접 방을 만드셔서 해보시는 편이 좋을 것 같아서 이 부분은 생략할게요~!

(2) 맵

가운데 보이는 흰색의 격자 화면이 맵이구요, 여기에서는 지도를 펼쳐놓고 캐릭터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보드게임 할때처럼 말이죠!

키퍼가 지도를 제공하면 플레이어는 캐릭터 아이콘, 즉 토큰을 놓고 이동하면서 게임을 더욱 즐겁게 즐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글쓰기나 그림 그리기도 가능하기 때문에 메모판으로 활용할 수도 있죠.

(3) 채팅창

이 화면은 그대로 시나리오를 적고, 플레이어가 채팅을 하면서 행동선언을 하고, 키퍼가 지시하는 등 실질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처음 들어왔을 때 채팅창에 설명이 되어 있긴 하지만, 좀더 자세하게 설명해볼게요!

채팅창에서는 /r 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다양한 주사위롤을 굴릴 수 있습니다.

이뿐 아니라, /as "마을주민1" 과 같은 명령어는 캐릭터로 설정되지 않은 NPC 캐릭터를 쉽게 표현할 수 있고, /desc 채팅 과 같은 명령어는 강조하고 싶은 문장이나 캐릭터들의 대사와 별개로 표시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어요. (일부 명령어는 플레이어 사용 x)

roll20에서 제공되는 주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히 /r 명령어는 산치체크와 같이 기능치를 사용하지 않는 특수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기능치 롤은 /r 1d100<80 이런식으로 쓸 수도 있지만, 아래에서 설명드릴 저널 시트 파트에서 쉽고 간편하게 굴릴 수 있습니다!)

/as /desc /em /emas 와 같은 명령어는 키퍼가 시나리오 설명이나 캐릭터의 동작선언 등에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어요!

그외에도 채팅창에서 글자에 적용할 수 있는 명령어도 있습니다.

저는 플레이할 때 (귀찮아서...) 거의 쓰지 않는 기능이지만, 활용하면 더 폭넓은 표현이 가능할 것 같네요!

이외에도 귓속말 기능이 있는데요,

/w 유저이름 채팅내용 이렇게 쓰시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유저이름은 스페이스바 앞까지만 인식한다는거에요!

예시로, 캐릭터 이름이 '찰스 프랭클린'인 경우, /w 찰스 내용 이렇게만 쓰셔야 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 더!

다른 사람들 몰래 롤을 굴리고 싶다면,

/gr 1d100>80 이런식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명령어는 해당 플레이어와 키퍼만 주사위롤의 값을 확인할 수 있어요~!

2. Roll20 기능

다음으로, 채팅창 위에 있는 버튼들에 대해 설명해볼게요.

각 버튼은 순서대로 채팅, 그림 라이브러리, 저널, 주크박스, 콜렉션, 설정 입니다.

(1) 채팅

위에서 설명했으니 넘어갈게요~!

(2) 그림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이미지를 저장해놓고 맵으로 드래그해서 유저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데요,

이 기능은 지도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아요! (핸드아웃이나 토큰은 저널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사실 핸드아웃이나 캐릭터 이미지도 업로드하면 전부 이 곳에 저장되긴 하는데요, 문제는 저널에서는 라이브러리에 있는 이미지를 불러올 수 없다는 것이죠....

지도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 이미지와 함께 설명해드릴게요!

먼저 위 사진에 화살표로 표시된 아이콘을 클릭해서 '맵과 배경'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내 라이브러리에서 미리 올려놓은 지도 이미지를 맵 화면에 드래그 앤 드랍해줍니다.

그 후에 다시 화살표를 클릭해서 '오브젝트와 토큰'을 클릭하면 됩니다.

'오브젝트와 토큰'을 다시 클릭해놔야 지도가 움직이지 않아요~!!

그리고 만약 지도를 '맵과 배경'으로 하지 않고 '오브젝트와 토큰'으로 설정해서 가지고 오면, 이미지가 모눈 크기만큼 작아져서 화질이 나빠지게 됩니다~! 그리고 설정에 따라 유저들이 사용할 수도 있어요!!

잊지 말고 꼭 맵과 배경으로 설정해서 불러와주세요~

(3) 저널

저널은 캐릭터와 시트, 핸드아웃을 관리하는 화면입니다. roll20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이죠!!

먼저 캐릭터를 만들어 봅시다!

위의 사진처럼 창 오른쪽의 추가-캐릭터를 클릭하시면, 왼쪽처럼 캐릭터를 설정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Avatar - 채팅창에 나타나는 캐릭터 이미지

Default token - 보드게임처럼 맵에서 캐릭터를 움직이고자 할 때 사용할 캐릭터 이미지 (보통 avatar와 같은 이미지)

Name - 채팅창에 나타나는 캐릭터 이름

In player's journal은 해당 캐릭터 시트를 사용할 플레이어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해당 캐릭터를 플레이할 유저를 제대로 넣어야 해당 플레이어가 채팅창에서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고, 시트에 적혀있는 기능치 주사위롤을 굴릴 수 있게 됩니다!

그 아래부분의 Can be edited & controlled by는 시트를 수정하고 사용할 수 있는 플레이어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에는 해당 플레이어와 키퍼 자신을 넣으면 됩니다.!

만약 여기에서 해당 플레이어를 넣지 않으면 체력이나 이성치를 플레이어가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불편해지죠.

(롤 굴릴 수 있는지 여부는 확인해보질 않아서 모르겠어요 ㅠ)

참고로 이 부분을 아얘 설정하지 않으면, 모든 플레이어의 저널에 캐릭터가 나타나지 않아요~!!

캐릭터를 설정했으면, 다음은 시트를 넣어봅시다.!!

캐릭터 설정한 후 Save change를 누르면, 위에 탭이 3개가 나타나는데요.

여기서 가운데 Character sheet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처음에 설정했던 Call of Cthulhu 7th edition 시트를 볼 수 있습니다!

시트 작성법은 룰북을 참고해서 하시면 되니까 설명은 따로 드리지는 않을게요~

이성치와 체력, 마력에 적혀 있는 현재는 플레이를 하면서 변동되는 부분이니 플레이어가 직접 적거나 키퍼가 체크하면서 게임을 진행하면 되겠습니다!

각 특성치나 기능치 주사위롤을 굴릴 때는, 주사위 버튼 보라/초록 중 초록색 누르시면 됩니다!

(보라색은 언제 쓰는 기능인지 잘 모르겠네요... 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려요!)

(4) 주크박스

말그대로 배경음악을 관리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이 화면에서 자신이 준비한 음악파일을 업로드해도 되고, roll20에서 제공하는 배경음악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먼저 오디오 관리를 누르면, 왼쪽처럼 창이 하나 뜨는데요.

음악을 여러 개 순차적으로 이어서 틀고 싶다면 플레이리스트를 쓰는게 편리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냥 트랙에서 바로 게임에 집어넣는 것도 좋아요~!

트랙을 클릭하면, 아래에 4개의 탭이 나오죠.

여기에서 My audio는 자신이 준비한 음악파일을 넣는 부분입니다.

점선 박스를 클릭해서 파일을 업로드하면, 아래에 음악이 나타납니다.

그러면 Add to를 눌러서 Add to game을 누르거나,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었다면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하시면 됩니다.

플레이리스트는 위 방법으로 모든 음악들을 집어넣은 후에, 다시 플레이리스트 버튼을 클릭해서 Add to game 버튼을 클릭하시면 끝!

그러면 오른쪽 주크박스 화면에 재생 버튼을 누르시면 모든 플레이어에게 배경음악을 들려줄 수 있습니다~!

볼륨조절, 셔플 등의 기능도 지원하고 있으니 잘 설정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5) 콜렉션

여기에는 매크로, 덱, Rollable 테이블을 만들 수 있습니다.

덱과 rollable 테이블은 크툴루에서는 아마도 쓸 일이 없는 기능인거 같아서 넘어갈게요!

(저도 이 기능은 어떻게 쓰는지 잘 모르겠어요...)

매크로는 채팅창으로 내리는 명령어나 각종 기능들을 버튼 하나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안써도 충분히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필수 조건은 아니지만, 이 기능을 잘 사용하면 좀더 복잡하고 폭넓은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저도 아직 많이 써보질 않았기 때문에 간단한 매크로만 설명해드릴게요!

이 화면에서 스크롤을 내리면 캐릭터별로 띄울 수도 있어요~

참고로, 저 세로로 나있는 막대모양 글씨 (세로 바 |)는 키보드 오른쪽에 있는 \ 키를 shift키와 함께 누르면 나옵니다!

그리고 매크로는 플레이어들이 각자 창을 띄워줘야 되는데요,

매크로 창 들어가서 표시 체크박스에 체크를 해야 위의 첫번째 사진처럼 왼쪽 아래에 버튼이 생깁니다~!

(6) 개인 설정

여기에서는 유저 개인설정과 roll20 시스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다 읽어보시면 알 수 있는 기능들이라 세세한 설명은 건너뛸게요!

여기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 중에는,

유저 이름, 주크박스 전체 볼륨설정 (유저 본인한테만 설정됩니다), 3D 주사위 설정 (맵에 주사위가 나타나요) 등이 있고, 음성대화(마이크)나 캠 영상도 끄고 켜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맵 아래에 나타나는 유저 프로필 사진이나 이름을 이름만 표시하게 한다던지, 크기를 작게 한다던지, 위치를 바꾼다던지 등의 설정도 할 수 있어요.

게임 플레이할 때 맵에 유저 이름과 프로필사진이 거슬리면 이런 설정으로 바꾸면 좋겠죠?

Roll20 초보자를 위한 사용법은 여기서 끝마치겠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제가 아는 선에서 최대한 알려드릴게요!

포스팅에서 잘못된 부분이나 보충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그것도 댓글로 알려주세요 ㅎㅎ

긴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