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프로 마이크로 사용법 - adu-ino peulo maikeulo sayongbeob

아두이노 나노(Nano)와 아두이노 프로 마이크로(pro Micro)의

어중간한 위치에 있는 아두이노 프로 미니. 



아두이노 프로 미니를 살펴보면, USB단자가 없을뿐더러,

스스로 USB를 UART로 변환해줄 기능이 없으므로 바로 업로드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때, 필요하게 되는 것은 FTDI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는 FTDI가 USB를 UART로 변환해주는 것은 같지만, 내장된 IC칩이 각기 다르기에

여러가지 FTDI를 이용해서 아두이노 프로 미니에 업로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FTDI를 통해 아두이노 프로 미니에 업로드하기 전에 주의사항!

반드시 전압(5V 또는 3.3V)을 맞춰주셔야 합니다.

1.

FT232

FTDI에서 가장 흔하게 이용되고 볼 수 있는 칩 이름입니다.

확인해 보는 FTDI의 내장된 칩 이름은 FT232RL입니다. 

 

배선방법은 아래의 표를 참고해주세요!

 

아두이노 프로 미니와 FTDI가 바로 연결되면 좋지만,

핀 배치가 다른 부분이 많으므로 점퍼선을 이용해서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2.

CP2102

다기능을 가지고 있는 제품에 내장된 칩 이름입니다.

 

이번에는 Rx, Tx가 교차해서 배선을 해주셔야 합니다.

스위치는 RS232-TTL 방향으로 돌려주시면 됩니다.

3.3V 아두이노 프로 미니를 이용해서 전압을 3.3V에 이용했습니다.

3.

CH340G

가격이 저렴하다는 점이 있으나,

DTR(Data Terminal Ready)핀이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칩입니다.

이번에도 Rx, Tx가 교차로 배선을 해주셔야 되며,

점퍼캡을 통해서 전압을 맞춰주시면 됩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DTR핀이 없기 때문에 reset버튼을 눌러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업로드 칸의 초록색이 75%정도 채워졌을 때

아두이노 프로 미니의 RESET버튼을 눌러주셔야 됩니다.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여러 FTDI로 업로드를 할 때, 아두이노 통합개발환경(IDE)에서

보드설정을 " Arduino Pro or Pro Mini "로 바꿔주셔야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아두이노 프로 미니 외에 릴리패드도 FTDI를 이용하는 보드입니다.

간혹, 제조사측에서 특수 제작된 보드의 경우,

보드 매니저에서 보드를 추가해줘야 되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아두이노 프로 미니는 업로드할 때, 나름 불편하지만

아두이노 프로 마이크로와 크기가 거의 동일하고

이용할 수 있는 I/O핀이 조금 더 많다는 사실!

Sparkfun사의 Arduino Pro Micro는 ATmega32U4를 사용하고 USB CDC기능이 있다. 문제는 이 보드를 잘못 프로그래밍하면, 즉 아두이노에서 디바이스 선택을 잘못하거나, 5V 디바이스(16Mhz)인데 3.3V 디바이스(8Mhz)로 선택을 해서 프로그래밍을 하면 USB CDC포트가 사라져서 더 이상 프로그래밍을 할 수 없다.

해결 방법

Serial 포트를 연결해서 전원을 공급하고 보드의 RST와 GND를 연결했다 떼면, PC에서 시리얼 포트가 잡힌다. 이때 아두이노에서 제대로 된 세팅으로 다시 프로그래밍을 하면 된다.

아두이노 프로 마이크로 핀아웃 Arduino Pro Micro Pinout 핀 다이어그램 이글캐드 디자인 파일

  • 카테고리 없음
  • 2021. 4. 22. 08:26

반응형

 

 

프로 미니 대신 사용할 요량으로 포스팅해 둡니다.

 

 

 

 

 

ProMicro16MHzv1.pdf

0.46MB

 

 

 

SparkFun_Pro_Micro_v13a.zip

0.17MB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engram

저작자표시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아두이노 프로 마이크로

이 글을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Google +

Kakao

Naver

댓글(0)

비밀 글

등록

이번에 간단한 작품을 만들면서 아두이노 프로를 쓰게 되었다. 아두이노 프로는 기존의 아두이노와 다를 게 별로 없지만, 아두이노 프로를 사용함으로서 얻는 장점이 있기에, 사용을 할 것이다. 여기서는 간단히 아두이노 프로의 사용 이유와 사용법을 간단히 알아 볼 것이다.

아두이노 프로를 사용할 예정이라면, FT232RL 드라이버 설치가 필수적이다. 구글에 검색 후 설치하도록 하자.

아두이노 프로 특징 및 사용방법

아두이노 프로의 외형은 이렇게 생겼다. 실제 판매를 할 때에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핀헤더가 달려있지 않고 따로 배송이 오니 주의해야 한다. 나는 아두이노 프로에 납땜을 한 상태이기 때문에 핀헤더가 달려있다.

아두이노 프로의 외형을 보면, 기존의 아두이노와 크게 다른 점이 눈에 보일 것이다. 바로 USB 단자가 없다는 것이다. 기존의 아두이노는 PC랑 Serial통신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업로드하고 소통을 한다. 하지만 이것은 UART 변환보드 또는 FTDI 변환 보드가 필요하다. 나는 FTDI 보드를 이용해 업로드했다.

이렇게 생겼다. UART 변환 보드를 이용해서 올리면 업로드 직전에 리셋 버튼을 눌렀다가 뗀 상태에서 업로드를 해야한다. 이 방법의 가장 큰 단점은 타이밍 맞추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보드는 자동 리셋으로 인해 간단히 업로드가 가능하다. 참고로 아두이노 프로는 5V 동작 보드와 3.3V 동작 보드가 따로 있기 때문에, 구매할 때 어떠한 보드인지 알아야 한다. 동작 전압이 다르면 사용법도 다르기 때문에, 필히 숙지하자. 위에 파란색 네모박스 안에 있는 핀은 5V 동작 보드와 3.3V 동작 보드를 설정하는 핀이다. 기본은 5V이며, 핀을 반대편으로 꼽으면 3.3V 보드에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아두이노 프로와 FTDI보드를 그림과 같이 연결한 후 아두이노 IDE로 업로드한다. 핀 연결은 헤더핀(암컷)이 달린 선을 이용하던지, 빵판을 이용하자. 나는 빵판을 이용해 쉽게 업로드 했다.

아두이노 IDE에서 툴 - 보드 - Arduino Pro Mini or Arduino Pro 선택 하고 프로세서 설정 및 포트를 설정한다. 그런 다음, 바로 업로드 하면 끝난다. 

아두이노 프로 , 나노 비교

아두이노 미니 프로와 나노는 훌륭한 마이크로컨트롤러이다. 하지만 두 개의 차이점은 분명 존재할 것이다.

아두이노 프로 미니아두이노 나노 (정품)전력 소모상대적으로 적음. (USB단자 없음.)상대적으로 많음.USB 단자 여부XO프로세서아트메가 328/168아트메가328가격 (작성일, 메카솔루션)2,86028,600

전체적으로 보면 가격면에서 아두이노 프로 미니가 많이 우세하다. 하지만 가격이 싸고 전력 소모가 적은 만큼, 비교적 손이 많이 가는 보드이다. 하지만 작품활동 또는 시제품으로 낼 때 많이 이용하는 보드이다. 전력 소모가 적고, 무엇보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이다. 

아두이노 나노는 나노 계열 보드가 아닌 그냥 나노 기준이고, 나노 Every 또는 호환보드를 전택할 시 저렴해진다. 또한 쇼핑몰에 따라 가격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표는 참고자료 정도로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만약 제어만의 목적이 아닌 주변기기와의 통신이 필요하다면, 나노 33IOT 보드 또는 NodeMcu 또한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