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디의 실험에서 연역적 탐구 방법의 특징 - lediui silheom-eseo yeon-yeogjeog tamgu bangbeob-ui teugjing

연역법(演繹法, deduction)과 귀납법(歸納法, induction)

작성자카페지기 COS|작성시간19.07.04|조회수656 목록 댓글 0

연역법(演繹法, deduction)과 귀납법(歸納法, induction)

연역적탐구방법 귀납적탐구방법 예시 단점 특징 한계점

 2019. 6. 5. 11:02

연역법

연역법이란 하나또는 두개이상의 명제를 전제로

명확하게 규정되는 논리적 형식에 의해

새로운 명제를 결론으로 도출하는것입니다.

(연역법)

어떠한 명제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형식에 따라서

새로운 명제를 결과로 도출

연역법 예시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슨느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연역적탐구방법

연역적탐구방법

연역적 탐구방법은 어떤 문제를 인식하고

가설을 설정합니다.

가설의 진위여부를 가리기 위해 예상되는 관찰결과를

미리 정해놓은 뒤,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검증합니다.

연역적탐구방법 연역법 예시

레디의 고기조각 구더기 발생실험

1.문제인식

고기조각에 구더기가 어떻게 발생하게 된걸까?

2.가설설정

구더기가 발생한 이유는 자연적인 이유가 아니라

파리때문일것이다.

3.탐구설계 & 수행

두가지 고기를 같은환경,조건,시간을 설정하고

유리병에 담은뒤 하나A는 덮개를 씌우고

다른 하나B는 덮개를 덮지 않는다.

4.자료해석(실험결과해석)

덮개를 덮어둔 고기조각에는 구더기가 생기지 않았다.

덮개가 없었던 고기조각에는 구더기가 생겼다.

5.결론도출

고기조각에 발생한 구더기는 자연적인 이유가 아닌

파리로 인해 발생했다.

연역법특징

전제에 이미 결론이 나와있는 실험방법입니다.

실험이 성공했을때는 가설설정 = 결론도출 같은 내용이

되어야 성공한 실험입니다.

가설과 결론이 불일치 할때는 피드백을 통해

다시 실험해야 합니다.

연역법용어

대조군검증하려는 조건을 벼화시키지 않으면서

실험군과 비교할때 기준점이 되는 집단군

실험군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여러 조건을 인위적으로 변화를 준 집단군

독립변인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제변인실험을 하는동안 변화를 주지않고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변인

조작변인실험자가 의도적으로 변화를 주는 변인

종속변인 독립변인의 영향을 받아 변하는 변인

변인통제의 중요성 :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확인하고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외적인변인을 통제한다.

타당성있는 결론을 기대할수있다.

연역적탐구방법 단점 한계점

1.실험결과가 가설에 맞지 않을때는 피드백을 통해

가설을 다시 설정하고 옳은 결론을 도출할때까지

다시 실험해야합니다.

귀납법

개별적으로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로 부터

사례들이 확장된 일반적 명제를 끌어내는 연구방법.

(귀납법)

다양한 예시 원리 자료수집

관찰방법 고안

관찰수행

결론도출

귀납법예시

소크라테스는 죽었다. 세종대왕도 죽었다.

니체도 죽었다.

이들은 사람이다.

그러므로 사람은 모두 죽는다.

귀납적탐구방법

귀납적탐구방법

가설을 설정하지 않고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원리,법칙으로 결론을 도출합니다.

귀납적탐구방법 귀납법 예시

다윈의 항해일지

1.자연현상

항해중 자연과찰하면서 기행문을 기록함.

2.관찰주제설정

왜 섬마다 새들의 크기나 모습이 다를까?

3.관찰방법 고안

다른기행문 조사,분석

4.결론도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각각 다르게 진화함

(진화론)

귀납법특징

전제가 모두 참(사실) 이더라도

결론이 반드시 참이 아닐수도 있다.

전제는 모두 사실이지만 결론을 도출했을때 거짓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실험을 해야합니다.

귀납적탐구방법 단점 한계점

1.모든 사례나 자료들이 완벽하게 조사되지 않고

관찰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결론도출에서 오류가 발생할수 있음.

2.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출처]연역법 귀납법 연역적탐구방법 귀납적탐구방법 예시 단점 특징 한계점

[사회과학조사방법론] 과학적 조사(연역법, 귀납법)

기술경영/사회과학조사방법론2011.12.21 17:27

출처 :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2판 채서일(학현사)

1. 과학적 조사의 의의

Kerlinger는 과학적 조사를 '일반현상 가운데서 관계가 있으리라고 생각되는 가설적인 명제들을 체계적, 통계적, 경험적,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활동'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2. 연역적 접근법과 귀납적 접근법

1) 연역법(deduction)

전통적인 과학적 접근 방법은

가설 -> 조작화 -> 관찰 -> 검증

을 거치는 연역적인 접근법이었다.
연역법(deduction)으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예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틑 죽는다"

이와 같은 연역적인 논리를 과학적인 논리를 통하여 분서을 해보면, 당초에 분석의 세계 (또는 수학의 세계)와 경험의 세계(또는 사실의 세계)를 규정하고 공리(axiom) 에서 출발하여 정리(theorem), 가설(hypothesis)로 연결되는 과정인 이른바

삼단논법과 같은 논리전개방식으로 진행시켜서 경험적 사실과 일치하게 될 때 과학적 법칙을 발견

하게 된다.

연역법은 사건(event)과 사건 사이의 필연적 관련성을 그 형식적 구조를 통하여 밝히는 추론을 통한 방법이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전체에 대해서 참인 것은 부분에 관하여도 참이다'라는 법칙에 의거하여 보편적 원리로부터 부분에 대한 지식을 이끌어 낸다.

, 일반적인(general) 것으로부터 특수한(specific) 것은 추론해 내는 방법이다.

2) 귀납법(induction)


관찰 -> 유형발전 -> 임시결론

  연역법에서 사용한 '소크라테스'에 대한 예를 귀납법(induction)에 적용시켜 설명을 하면, 우선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발견하고 다른 많은 사람들도 죽은 것을 관찰하게 된다. 그러면,

조사자는 모든 관찰한 사람들이 죽는것을 알고 모든 사람이 죽는다는 임시적인 결론(tentative conclusion)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귀납법은 경험의 세계에서 관찰된

많은 사실들이 모두 공통적인 유형으로 전개되는 것을 발견

하고

이들의 유형을 객관적인 수준에서 증명

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객관적이기 위해서는 현상의 분석절차와 방법이 계량적이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통계적 분석이 필요하게 된다

귀납법은 특수한(specific) 사실을 전제로 하여 일반적(general) 진리 또는 원리로서의 결론을 내리는 방법을 말한다. , 과학자가 관찰한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을 형성해 가는 과정을 말한다.

3) 연역법과 귀납법의 관계

앞에서 설명한 연역법과  귀납법은 상호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는 과학적 접근방법이다
   
   
과학의 수레바퀴형 연결관계는 크게 보면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이 서로 교대로 이루어지는 과정임을 알 수 있을것이다.

결론적으로 지식에 대한 이해는 분석적인 연역적 방법과 경험적인 귀납적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과학에서 필요한 논리는 이중 어느 한쪽만을 취해서는 안된다.

즉 연역적 추론이 논리적 필연성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그 중요성을 인정하고, 내용의 공허성을 피하고 예측적 지식의 가치를 인정함으로써 귀납적 논리의 중요성도 함께 인정해야 한다.

[사회과학조사방법론] 과학적 조사(연역법, 귀납법)

기술경영/사회과학조사방법론2011.12.21 17:27

출처 :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2판 채서일(학현사)

1. 과학적 조사의 의의

Kerlinger는 과학적 조사를 '일반현상 가운데서 관계가 있으리라고 생각되는 가설적인 명제들을 체계적, 통계적, 경험적,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활동'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2. 연역적 접근법과 귀납적 접근법

1) 연역법(deduction)

전통적인 과학적 접근 방법은

가설 -> 조작화 -> 관찰 -> 검증

을 거치는 연역적인 접근법이었다.
연역법(deduction)으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예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틑 죽는다"

이와 같은 연역적인 논리를 과학적인 논리를 통하여 분서을 해보면, 당초에 분석의 세계 (또는 수학의 세계)와 경험의 세계(또는 사실의 세계)를 규정하고 공리(axiom) 에서 출발하여 정리(theorem), 가설(hypothesis)로 연결되는 과정인 이른바

삼단논법과 같은 논리전개방식으로 진행시켜서 경험적 사실과 일치하게 될 때 과학적 법칙을 발견

하게 된다.

연역법은 사건(event)과 사건 사이의 필연적 관련성을 그 형식적 구조를 통하여 밝히는 추론을 통한 방법이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전체에 대해서 참인 것은 부분에 관하여도 참이다'라는 법칙에 의거하여 보편적 원리로부터 부분에 대한 지식을 이끌어 낸다.

, 일반적인(general) 것으로부터 특수한(specific) 것은 추론해 내는 방법이다.

2) 귀납법(induction)


관찰 -> 유형발전 -> 임시결론

  연역법에서 사용한 '소크라테스'에 대한 예를 귀납법(induction)에 적용시켜 설명을 하면, 우선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발견하고 다른 많은 사람들도 죽은 것을 관찰하게 된다. 그러면,

조사자는 모든 관찰한 사람들이 죽는것을 알고 모든 사람이 죽는다는 임시적인 결론(tentative conclusion)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귀납법은 경험의 세계에서 관찰된

많은 사실들이 모두 공통적인 유형으로 전개되는 것을 발견

하고

이들의 유형을 객관적인 수준에서 증명

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객관적이기 위해서는 현상의 분석절차와 방법이 계량적이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통계적 분석이 필요하게 된다

귀납법은 특수한(specific) 사실을 전제로 하여 일반적(general) 진리 또는 원리로서의 결론을 내리는 방법을 말한다. , 과학자가 관찰한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을 형성해 가는 과정을 말한다.

3) 연역법과 귀납법의 관계

앞에서 설명한 연역법과  귀납법은 상호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는 과학적 접근방법이다
 
 


과학의 수레바퀴형 연결관계는 크게 보면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이 서로 교대로 이루어지는 과정임을 알 수 있을것이다. 결론적으로 지식에 대한 이해는 분석적인 연역적 방법과 경험적인 귀납적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과학에서 필요한 논리는 이중 어느 한쪽만을 취해서는 안된다.즉 연역적 추론이 논리적 필연성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그 중요성을 인정하고, 내용의 공허성을 피하고 예측적 지식의 가치를 인정함으로써 귀납적 논리의 중요성도 함께 인정해야 한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