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여러 가지 - yeoleogaji yeoleo gaji

옥탑허슬링의 뇌구조

Oktop_Hustling

옥탑에서 별을 따고 싶어 발버둥 치는 30대 청춘

  • 태그
  • 방명록

공부/우리말 맞춤법·띄어쓰기

옥탑허슬링(Oktop_Hustling) 2021. 10. 22. 14:56

반응형

반응형

'공부 > 우리말 맞춤법·띄어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레요 vs. 퍼래요 (답 바로 나옴)  (1) 점잔 빼다 vs. 점잖 빼다 (답 바로 나옴)  (2) 멀 뿐더러 vs. 멀뿐더러 (답 바로 나옴)  (0) 오래 전부터 vs. 오래전부터 (답 바로 나옴)  (0) ~한바 vs. ~한 바  (2)
2022.02.15
2021.12.30
2021.10.22
2021.10.22
2021.10.22

Tag

두 가지 띄어쓰기, 두가지 띄어쓰기, 몇 가지 띄어쓰기, 몇가지 띄어쓰기, 여러 가지, 여러 가지 띄어쓰기, 여러가지, 여러가지 띄어쓰기, 한 가지 띄어쓰기, 한가지 띄어쓰기

'공부/우리말 맞춤법·띄어쓰기'의 다른글

  • 이전글멀 뿐더러 vs. 멀뿐더러 (답 바로 나옴)
  • 현재글여러가지 vs. 여러 가지 (답 바로 나옴)
  • 다음글[영어 관용 표현] 11. Square meal

관련글

  • 퍼레요 vs. 퍼래요 (답 바로 나옴) 2022.02.15

  • 점잔 빼다 vs. 점잖 빼다 (답 바로 나옴) 2021.12.30

  • 멀 뿐더러 vs. 멀뿐더러 (답 바로 나옴) 2021.10.22

  • 오래 전부터 vs. 오래전부터 (답 바로 나옴) 2021.10.22

댓글 0

비밀글

1 ···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 323

더보기


'여러가지'는 '여러 가지'로 띄어 써야 할까요? '여러가지'로 붙여 써야 할까요? 여러가지

띄어쓰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여러가지 띄어쓰기>

'여러가지'는 '여러 가지'로 띄어 써야 합니다. (여러가지 X) (여러 가지 O)

'여러가지'에서 '여러'는 '수효가 한둘이 아니고 그보다 많은'이라는 뜻을 지닌 관형사이고

'가지'는 '사물을 성질이나 특징에 따라 종류별로 구별하여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로서

의존 명사이므로 '여러 가지'로 띄어 써야 합니다.

한글맞춤법 제42항에서는 의존 명사는 앞말과 띄어 쓴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관형사 역시

뒷말과 띄어 써야 하므로 관형사 '여러'와 의존 명사 '가지'는 '여러 가지'와 같이 띄어 써야

하는 것입니다.

<관형사란>

'관형사'는 체언 앞에 놓여 그 체언의 내용을 자세히 꾸며주는 품사로서 뒷말과 띄어 써야

하며, 성상 관형사, 지시 관형사, 수 관형사로 구분됩니다.

- 성상 관형사

사물의 상태나 성질 등을 나타내는 관형사로서 '새' '헌' '순' '옛' 등이 있습니다.

- 지시 관형사

어떤 대상을 한정하여 가리키는 관형사로서 '이' '저' '그' '어느' '온갖' '다른' 등이 있습니다.

- 수 관형사

사물의 수나 양을 나타내는 관형사로서 '한' '두' '세' '네' '여러' 등이 있습니다.

<의존 명사란>

자립성이 없어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쓰이는 명사로서 ‘것’ ‘줄’ ‘수’ ‘따름’ ‘뿐’ '가지' '만큼'

'채' '마리' '컬레' '그루' 등이 있습니다. 끝.



부자가 되는 방법은 [ 여러 가지 / 여러가지 ]가 있다. 이 문장에서 '여러'와 '가지' '여러 가지'로 띄어 쓰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여러가지'로 붙여 쓰는 것이 맞을까요? 오늘은 여러가지 띄어쓰기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결론적으로 '여러 가지'로 띄어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 부자가 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O)가 있다.

- 여러가지(X)

'가지'는 우리 표준국어대사전에 여러 개의 단어가 있는데 여기서는 의존명사로, '사물을 낱낱이 헤아리는 말'로 쓰였습니다. 우리 맞춤법에서 '의존명사'는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5장 제2절 제42항)

-> 여러 가지(O)

그리고 '여러'의 경우에는 관형사로 뒷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 의존명사 띄어쓰기 >

- 아는 것(O) / 아는것(X)

- 할 수 있다(O) / 할수 있다(X)

- 먹을 만큼(O) / 먹을만큼(X)

- 뜻한 바(O) / 뜻한바(X)

- 여러 번(O) / 여러번(X) 

- 너 때문에(O) / 너때문에(X)

2.  여러 뜻 

- '여러'는 관형사로 뜻은 '수효가 한둘이 아니고 많은'을 의미합니다.

(예) 여러 개

(예) 여러 가지 

(예) 여러 명 

(예) 여러 번

(예) 여러 해

(예) 집에 여러 사람이 모여 식사를 했다. 

(예) 합의를 위해 여러 차례 찾아갔다. 

(예) 그 빌라는 여러 가구가 사는 다가구 주택이다.

(예) 불우이웃돕기를 위해 여러 집이 십시일반으로 돈을 모았다. 

3.  의존명사 '가지' 뜻, 예문

① 사물을 그 성질이나 특징에 따라 종류별로 낱낱이 헤아리는 말

- 지금 이 게임에서 상대를 이길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청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몇 가지 예를 들었다.

- 탈출 방법이 한 가지가 있다.

TIP. 한 가지 vs 한가지 

일반적으로 우리가 낱낱이 헤아리는 말로 한 가지, 두 가지 이렇게 '가지'를 앞말과 띄어 씁니다. 

그런데 '한가지'로 이렇게 붙여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가지'의 뜻이 명사로 '형태, 성질, 동작 따위가 서로 같은 것'을 의미할 때입니다. 

(예) 그들은 내외가 한가지로 절약정신이 뛰어나다.

(예) 횟집 주인과 손님은 한가지로 술에 취해 정신이 없었다. 

② (제기차기에서) 제기를 차기 시작해서 땅에 떨어뜨리기까지의 동안을 세는 단위

- 제기를 한 가지에 3번 치고 떨어뜨렸다.

- 제기신동답게 그는 한 가지에 수십 번을 찼다.

마무리

오늘은 의존명사 '가지' 띄어 쓰기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일반적으로 의존명사는 앞말과 띄어서 쓴다는 것을 기억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한가지'의 경우 '서로 같은 것'을 의미하는 한 단어로 등재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경우만 띄어쓰기를 좀 주의하면 될 것 같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