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도우 줌감도 30 - widou jumgamdo 30

애쉬 줌감도 위도우 줌감도 맞추는법

빠루찡님 b6c83

2019-05-01 09:25:53 16712 3 0

//www.desmos.com/calculator/1a0o5z7ova

해외 레딧의 유명한 정보글인데 

위 링크 들어가서 현재 자신의 위도/아나 

쓰고있는 줌 감도를 넣고.

애쉬 줌 했을때의 시야각이 65.8 이라 기입 하면  

파란색으로 애쉬 줌감도 결과값 이 나옴.

근데 빠루형은 애쉬 줌감도 찾는게 아니라 그 반대이니 

위도우 줌감도를 조금씩 올려서 형의 애쉬 줌감도값 52가 나오게끔 올리면 됨 

BY 트창놈

신고하기

작성자제목

신고사유 선택

욕설/비하 음란성 게시글/댓글 도배 홍보성 콘텐츠 타인의 개인정보 유포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 관련 기타

다수의 신고를 받은 게시물은 숨김처리 될 수 있으며, 해당 글의 작성자는 사이트 이용제한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결과에 대해 별도의 통지/안내를 하지 않으니 이 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공지

단톡 [1]

빠루ㅋ

05-01

애쉬는 위도우메이커나 아나와는 달리 줌화면이 조금 더 넓습니다. 따라서 위도우나 아나와 같은 줌감도를 설정할 시 플레이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당신에게 적합한 줌감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www.desmos.com/calculator/bgumswva3t

Desmos graph

Loading...

www.desmos.com

위 사이트에 들어가 
W_{idowZoomSensInPercent}=30
식의 "30"을 자신의 줌감도로 바꾼다.

작성자는 32를 사용해 32를 넣어보니

오른쪽 바이올렛 색상으로 나오는 숫자가 당신의 애쉬 감도이다.
위도우 감도 32의 애쉬 감도는 43.4

일반감도와 줌감도를 비슷하게 맞추는 방법

출처://www.reddit.com/r/Competitiveoverwatch/comments/9ui5hv/ashe_fov_is_66_and_11_relative_sens_is_about_515/

FOV값 103일때 기준

위도우,아나 줌 FOV: 50.9   감도: 37.94

애쉬         줌 FOV: 65.8   감도: 51.44

그런데 이건 일반감도와 비슷한 감도를 맞춘거고 완전 1:1은 아님

FOV가 달라서 1:1 감도는 맞출수가 없음

화면 정중앙과 표적과의 거리가 20m이내에는 비슷하지만, 거리가 멀어질수록 줌감도를 올려야 비슷해짐

자세한 설명://www.inven.co.kr/board/overwatch/4680/5821

결론: 1:1감도를 해보고 잘 안맞으면 자신에게 맞는 감도로 하는게 좋다.

//www.inven.co.kr/board/overwatch/4680/

위도우 줌감도에 대한 이해 ( 학사과정 ) 

위 링크의 게시글을 읽고 이해한 사람들을 위한 

위도우 줌감도 석사과정.

사실 이해 못해도 계산 결과는 유용할 수 있으므로, 맨 밑에 세줄요약 해놓도록 하겠음.

1. 서론

위도우메이커의 줌감도에 대해 정확한 이해를 했다면, (학사과정을 이미 이해 했다면)

기본 감도와 줌감도를 1 : 1 로 만들어 주는 고정된 값은 없다는 것을 알 것이다.

기본감도와 줌감도를 1대1로 만들어 주는 값은 내 현재 에임과 목표물 간의 거리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면 목표물과 현재 에임 사이의 거리를 특정한 값으로 지정한다면, 그 1대1로 만들어 주는 줌감도의 값 역시 고정된다.

이를 이용해서 에임 이동 거리에 따른 이상적인 줌감도를 알아보자.

2.  이론적 배경

이 글은 학사과정 - 위도우메이커 줌감도에 대한 이해 를 읽었다고 가정하고 쓰여졌다.

만약 이 글에서 모르는 용어 / 개념이 나온다면 위 링크를 타고 들어가 학사과정부터 끝내고 오자.

또한 역삼각함수와 미적분을 안다는 가정 하에 계산을 진행하고 있다.

3. 계산 방법

각 목표물과의 거리의 값을 지정하고 그 거리에 대한 이상적인 줌감도를 얻는다.

줌감도 계산식은 arctan ( d tan (25.5) ) / arctan ( d tan (51.5) )  를 이용한다.

이때 d = 목표물과 현재 에임간의 거리 / 현재 에임에서 목표물까지 직선을 그었을때, 화면 가장자리 까지의 거리 

즉 화면에서 어느정도를 이동할지를 결정하는 분수값이다. 

일반적으로 끌어치기의 빈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거리의 d값인 1/2, 1/3, 2/3 에 해당하는 이상적인 줌감도를 계산해 본다.

4. 계산 과정

4-1. d = 1/2일때

구글 공업용계산기로 계산

줌감도는 소수점아래 두번째자리까지 반올림 하여 구했다.

이상적인 줌감도 : 41.64

4-2. d = 1/3일때

계산방법 위와 동일

이상적인 줌감도 : 39.72

4-3. d = 2/3일때

이상적인 줌감도 : 44.14

5. 계산 결과

우선 각 d 값에는 상황을 부여했다.

에임 이동거리가 가장 작은 d = 1/3 는  위도우 미러전이나 탱커들의 헤드샷 같이 에임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1/2의 값은 일반적인 딜러들의 헤드샷

마지막으로 가장 이동거리가 큰  2/3는 겐트처럼 날랜 영웅들 상대할때.

이에 따라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에 따른 줌감도 설정의 척도를 세워보았다.

5-1. 위도우 미러전 / 탱커한테 넣는 샷을 자주 할 경우.

이경우는 계산된 값인 39.72와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추천 범위 : 35-41

5-2. 딜러 / 힐러진을 짜르기 위한 포지션을 자주 잡을경우 

비슷한 맥락으로 계산된 값인 41.64 언저리를 추천한다.

추천 범위 : 39-43

5-3. 겐트와 잦은 교전을 하는 경우

이경우 44.14 값 언저리를 택하면 된다.

추천 범위 : 42-46

6. 결론

에임 습관에 따라, 또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이상적인 줌감도는 플레이어마다 다르다.

하지만 줌감도를 어디에서 부터 시도를 해볼지 감을 못잡는 유저들은,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계산 결과의 추천 범위의 줌감도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

중요한 것은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과 에임습관에 대한 인지와, 

그에 따른 이상적인 줌감도의 정확한 계산이다.

자신만의 d값을 찾아내서 정확하고 이상적인 줌감도를 찾는것이 정확한 에임의 핵심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