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셋톱 박스 빨간불 - TV sestob bagseu ppalganbul

    • 스마트폰
      • 갤럭시 S
      • 갤럭시 노트
      • 갤럭시 A
      • 갤럭시 J
      • 갤럭시 폴더블
    • 서비스
      • 삼성 TV 플러스
      • Bixby
      • Game Launcher
      • Galaxy Store
      • Samsung Free
      • Good Lock
      • Samsung DeX
      • Samsung Health
      • Samsung Members
      • Samsung Pay
      • Samsung Blockchain
      • Samsung Account
      • Samsung Pass
      • Samsung Internet
    • TV
    • 가전
    • PC
    • 태블릿
    • 웨어러블
    • 이벤트
    • 기타
    • SmartThings
    • 삼성 온라인 스토어
    • 손쉬운 해결 방법
    • CamCyclopedia
    • 갤러리
    • PENUP 갤러리
    • 갤럭시와 함께하는 가을 사진전
    • Expert RAW 챌린지
    • Members X NFT 챌린지
    • 5월 가정의 달 콘테스트
    • #나는언제Free? 콘테스트!
    • 승태와 친구들! 신춘문예에 도전하세요.
    • Night Vibe Challenge, 갤럭시 야간 모드와 함께 선명한 밤의 감성을 보여주세요
    • 설맞이 콘테스트
    • Break the rules 2022, 새해 다짐을 공유하고 '나'를 가둔 틀을 깰 시간!
    • 캘린더 사용 후기를 부탁해
    • 리마인더 사용 후기를 부탁해
    • Samsung Free 사용 후기 #프리토킹
    • [12월 Members Monthly Check-In] My story with Galaxy 2021
    • 삼성 멤버스 리뷰 이벤트 Vol.2 웨어러블편
    • 빅스비 콘테스트
    • [Unfold Your Friday] 삼성 멤버스 리뷰 이벤트 Vol.1 폴더블 편
    • 제1회 삼성노트 뽐내기 대회
    • 삼성 멤버스와 함께하는 응원 챌린지!
    • #언폴드챌린지

제안사항 사용

자동 제안 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함에 따라 가능한 일치 항목을 제안하여 검색 결과를 신속하게 좁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 모든 게시판 주제
  • 이전 주제
  • 다음 주제

TV 전원 빨간불은 켜지지만 리모컨 작동이 안 되는 증상

LDK LCD TV입니다. CCFL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액정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동급 LED TV에 비해서 두껍고 무거운 편입니다. 현재 TV 전원 빨간 불은 켜지지만 리모컨에 반응이 전혀 없는 상태입니다. 리모컨 불량 때문에 발생하는 증상은 아닙니다.


TV가 꺼진 상태에서는 전원 램프가 빨간색을 유지하고, 리모컨으로 동작을 시키면 파란 불빛으로 변하면서 영상과 음성이 나와야 합니다만 위의 사진과 같은 상태에서 멈춰버린 상황입니다.

이런 증상은 메인보드의 전원 소자나 펌웨어 이상으로 동작 신호를 제대로 못 내리는 상황일 수도 있고, 파워 보드가 정상 전압을 생성하지 못 하는 상태일 수도 있습니다. 일단 분해를 해봐야 정확한 원인 파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확률적으로 메인 보드와 파워 보드 불량이 반반이거든요.

TV 파워 버튼의 외부 케이스와 내부 버튼 기판의 모습입니다. 외부에서 보이는 버튼들은 사실 케이스이고, 내부에 진짜 버튼이 있습니다.

혹시나 해서 분해하기 전에 측면에 있는 파워 버튼을 직접 눌러봤는데 역시 반응이 없네요. 케이스 분해 후 안쪽에 있는 버튼 기판을 따로 테스트해봤습니다만 버튼은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기계식 버튼은 쇼트가 되면서 동작 신호 입력이 들어가는데 메인 보드에서 그 신호를 받아들이질 못 하고 있습니다.

셋탑박스 혹은 TV 케이블 불량 때문에 빨간 불 상태에서 먹통이 되는 증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만약에 외부 기기의 문제였다면 전원을 껐다 켜는 기능은 제대로 되었을 테고, 신호가 없으니 케이블을 연결하라는 메시지가 액정에 나타났을 테니까요. 처음에 말했듯이 내부 부품들의 불량 때문이니 괜히 외부 기기를 건드려서 더 큰 증상으로 만들지 말아야겠죠.


왼쪽에서부터 버튼 기판, 전원 LED, 인버터, 파워 보드, AD 보드, 스피커, 그리고 액정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가운데 있는 아이보리색과 녹색 부품 중에 하나가 이번 고장의 원인일 겁니다. 혹은 둘 다 이상이 있는 상태일 수도 있고요.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OLED가 아닌 일반적인 LED TV의 경우에는 LCD 텔레비전과의 차이점은 액정의 백라이트로 CCFL이 사용되었느냐 아니면 LED 모듈로 구성이 되어 있느냐의 차이뿐입니다. 패널은 똑같은 LCD니까요. 다만, CCFL은 교류 전압으로 켜지기 때문에 인버터가 필요하고, LED 백라이트는 직류 전압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드라이버가 필요할 뿐이지 그 외의 보드들은 혼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이 넓은 상태라면 저 파워 보드와 AD 보드를 가지고 LED TV를 동작시킬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이 메인보드는 LED 제품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죠.

T.RSC7.2B 10011 AD 보드입니다. LCD TV뿐만이 아니라 LED 제품에도 많이 사용되는 보드죠.
기존의 파워 보드와 분리한 상태에서 직접 메인 보드에 전원을 넣어보니 소자들과 펌웨어는 이상이 없네요.
전원 인가하니까 바로 동작 램프가 켜졌거든요. 그렇다면 파워 보드가 불량이라는 뜻입니다. 나머지 부품은 그것밖에 없으니까요.

tv에서 사용하는 직류 전압은 여기서 생성됩니다.

그나마 대기 전원 5볼트는 생성이 되기 때문에 빨간색의 전원 대기 등을 켤 수는 있었지만,  일부 소자들이 터져버려서 다른 전압들은 생성을 하지 못 하는 상태라서 TV가 작동이 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메인 보드에 전원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다 보니 리모컨에도 반응할 수가 없었던 것이죠. 참고로 위의 사진만 봐도 터진 소자가 바로 확인이 되네요.


파워 보드 수리 후 버튼을 눌러보니 파란불이 바로 켜집니다. 리모컨에도 반응을 하는 것을 보니 수신 다이오드 문제가 없네요.

인버터와 액정은 원래부터 이상이 없었으니 화면은 잘 나올 겁니다. 이제 모든 부품들을 원래대로 결합한 후 본격적으로 테스트를 시작합니다.

신호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라서 신호 없음 메시지가 나오네요. 정상적인 동작 과정입니다. 여기에 셋탑 박스나 유선 케이블을 연결하면 tv 영상과 음성이 출력되는 것이죠.

TV 케이블을 연결하니 1080i 해상도로 디지털 방송이 잘 나오고 있습니다. 리모컨과 버튼에도 빠르게 반응하고 소리 역시 깨짐 없이 잘 들리네요. 이처럼 전원 대기 램프가 켜진 상태에서 먹통이 된 상태라면 내부 보드의 문제이니 영상을 입력하는 셋탑박스나 tv 케이블은 건드리지 말아야 합니다. 괜히 케이블을 뺐다 꼈다 하다가는 커넥터까지 망가질 수 있으니까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