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나 인코더 mp4 설정 - syana inkodeo mp4 seoljeong

홈페이지 사나인코더 - 다운로드 - 최신 버전 / 이전 버전 선택하여 프로그램 다운로드 후 설치.

샤나인코더를 설치 후 파일 - 파일 추가를 클릭하여 *.mkv 파일을 불러옵니다.

혹은 *.mkv파일을 샤나인코더 목록으로 드래그해주어도 됩니다.

*.mkv 파일을 불러온 뒤 '빠른 설정'을 클릭하여 파일 형식, 비디오 코덱, 비디오 품질, 프레임 레이트, 해상도, 오디오 코덱, 오디오 비트 레이트, 샘플 레이트 설정값을 확인합니다.

파일 형식을 mp4로 변경해줍니다.

원본과 비슷하게 하기 위해선 기본값으로 두고 프레임 레이트 변경, 영상 사이즈 변경, 샘플 레이트 변경만 체크 해제합니다.

화질과 음질이 생각보다 좋지 않다 느껴진다면 비디오 코덱 하단에 퀄리티, 퀀타이저, 비트 레이트를 조절해 영상 퀄리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 코덱 역시 mp3, aac 변경 및 오디오 비트 레이트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단, 원본 파일에 비해 높게 설정해도 원본 보다 좋아질 수는 없으니 원본과 최대한 비슷하게 설정하는게 좋습니다.

설정이 끝나면 샤나인코더에서 입력과 출력을 비교 및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폴더변경/폴더열기 후 인코딩 시작을 클릭하면 됩니다.

MOV보단 MP4의 호환성이 더 좋기에 MOV 동영상 포맷을 MP4로 변환하는 사람이 많다.

프리미어 프로와 같은 영상편집프로그램과의 호환성, 유튜브 업로드 호환성 등을 높이고 싶다면 MOV MP4 변환 작업을 진행해보는것도 나쁘진 않다.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대부분 용량 제한이 있고 업로드 및 내려받는 시간이 추가되기 때문에 MOV MP4 변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럴 땐 인코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변환하는 방법이 일반적인데 여러 인코더 프로그램이 있겠지만 이번엔 사냐 인코더를 통해 변경해보도록 하자.

//shana.pe.kr/shanaencoder_download 왼편의 샤나인코더 다운로드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받은 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설치 화면을 볼 수 있다.

만약 windows의 PC 보호가 뜨며 설치되지 않는 경우 윈도우 디펜서가 활성화되어 있는것이다.

이때는 추가 정보 클릭 후 실행을 클릭해 주면 된다.(인식할 수 없는 앱 실행)

샤나인코더를 실행한 다음 mov를 목록으로 불러와주면 된다.

파일 > 열기를 통해 mov 파일을 불러와주어도 되고 보이는 mov 파일을 프로그램 내 드래그하여 추가해주어도 된다.

여러 파일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변환 작업에 도움을 준다.

파일이 추가되면 아래에 입력 정보와 출력 정보를 볼 수 있다.

입력은 원본 영상의 정보 그리고 출력은 변환될 영상의 정보이다.

MP4로 바꿔야하는데 출력 정보가 AVI이므로 빠른 설정을 클릭하여 변경해 줄 필요가 있다.

빠른 설정을 클릭해보도록 하자.

이제 파일 형식을 mp4로 변경해 주면 된다.

이처럼 mov mp4 변환 이외 다양한 포맷 형식을 내가 원하는 포맷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동영상 편집이나 업로드할 때 호환성 문제로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이럴 땐 이러한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동영상 형식을 변경해주도록 하자.

동영상 형식을 바꾼다는 것은 새로운 영상 포맷으로 다시 저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동영상 퀄리티, 프레임, 영상 사이즈, 오디오 코덱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우선 파일 형식을 mp4로 변경한 다음 비디오 코덱을 선택해주면 된다.

(압축률 좋고 품질 코덱으로 주로 H264가 많이 사용된다.)

다음 영상 사이즈/퀄리티/오디오 코덱 및 품질 등을 내게 맞도록 조절해주면 된다.

원본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려면 프레임 레이트 변경과 영상 사이즈 변경 체크만 해제한 뒤 적용해도 괜찮아 보인다.

설정을 마쳤다면 입력과 출력을 비교해보도록 하자.

위 정보로 본다면 해상도가 낮아지고 프레임이 높아진 상태이다.

해상도가 낮다는 것은 영상 품질이 나빠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원본이 29.97fps인데 60fps으로 변경한다 하여도 동영상이 부드러워지는 것은 아니다.

인코딩에 있어 원본보다 좋아질 수는 없으므로 손실 없이 하고 싶다면 원본과 최대한 비슷한 구성으로 인코딩 해주면 된다.

입력과 출력 정보를 거의 같이 해보았다. 위와 같이 지정해도 좋지만, 압축률 좋은 코덱을 이용하는것이 용량 줄이기에 있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부분은 내가 여러 방법으로 시도해보고 최종 결정하는 것이 좋을듯하다.

이제 인코딩 시작을 누르면 mov mp4 변환이 시작된다.

단, 동영상을 새로 만드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시간은 제법 걸린다. (컴퓨터 사양 및 동영상 품질/재생길이에 따라 차이가 큼)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면 변환된 mp4 파일을 얻어볼 수 있을 것이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