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한 가마니 가격 - ssalhan gamani gagyeog

쌀한가마니 가격은 얼마나 될까요? 쌀 20kg이 요즘 평균 4~5만원정도인데요.저렴한것은 3만원때에도 구입이 가능하죠.쌀 한가마니 무게는 80kg이니 대략적으로 쌀 한가마니 가격은 15만원에서 20만원정도 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근데 이것도 어떤것이냐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습니다.

최근 쌀 한가마니 가격이 3년만에 2만원 넘게 떨어졌다고 하는데요.아무래도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값이 폭락해서 이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게 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이로 인하여 농가 소득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요.2013년에는 17만 7200원이였지만 2014년에는 16만 9668원으로 떨어졌고 올해는 15만 6880원으로 더 낮아졌습니다.

그런데 진짜 요즘 예전에 비하면 많이 낮아졌다고 느껴지는데 예전에는 인터넷으로 구입했을때 저렴해도 4만원 초반때였는데 언제부턴가 3만원때면 구입이 가능하더라구요.약간의 질은 5~6만원짜리 쌀과는 차이가 있지만 그래도 꽤 괜찮습니다.게다가 소셜 쿠폰 이용하면 3만원 초반때에도 구입이 가능하더라구요.

저도 주로 예전에는 옥션이나,지마켓 또는 11번가를 이용해서 구입을 했지만 그런곳들은 쌀이 자체적으로 할인이 되어 적용되기에 쿠폰 할인 추가적으로 안되는 경향이 있습니다.하지만 쿠팡,티몬,위메프 보면 주기적으로 2만원이상 5천원 할인 또는 3만원 이상 5천원 할인 쿠폰을 주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쌀 20kg 3만 8~4만원 정도 하면 쿠폰 써서 완전 저렴하게 구입이 가능하답니다.또 요즘 쿠팡 경우 로켓배송이라는것이 있는데 이거 쿠폰 증정도 자주 하고 어떨때에는 마트보다 더 빨리 오는 경우가 있더라구요.단 지역이 한정적이다..라는 단점이 있지만 로켓배송 되는분들은 오히려 마트 배송보다 빨리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제가 쌀이 급해서 밤 10시 넘게 주문을 했는데 그 다음날 오전 11시 좀 넘어서 받았습니다.마트 주문해도 롯데슈퍼나 롯데마트 경우에는 오전 배송이 가능했겠지만 이마트나 홈플러스 경우는 조금 오래 걸리는 편이거든요.게다가 예약 꽉 차면 당연히 더 늦게 받을 수 밖에 없구요.

그러니 요즘은 마트대신 쿠팡 이용하는분들도 많다고 하는데 쿠폰 할인도 크고 배송도 빠르고 게다가 포장도 진짜 꼼꼼합니다.가끔 인터넷으로 쌀 구입했는데 터져서 오는 경우 찢어져서 오는 경우 종종 있잖아요.헌데 제가 오랫동안 이용해봐도 그런 문제는 한번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주의할점도 있어요.쌀 질 따졌을때 가끔 마음에 들지 않을때도 있거든요.그래서 저는 구입하기전에 꼭 후기를 봅니다.대부분 후기가 안 좋다.라는 얘기로 도배되어있는 경우는 피하는게 좋거든요.그런데 후기에 보면 거의 칭찬글만 있으면 이건 실패할 확률이 적어요.그러니 무작정 가격만 보지 마시고 후기를 한번 읽어보세요.

쌀 한가마니 무게 20kg이 아닌 80kg이라는거 잘 기억해두시구요.어느 쌀이냐에 따라 많이 달라지기는 하지만 대략적으로 쌀 한가마니 가격 현재 시세는 16만원정도이며 우리가 이름만 대면 알만한 것들 경우에는 20만원이 넘어간다고 생각하시면 될 꺼 같네요.

© Reuters. 한 가마니 22만원…35% 급등한 쌀 값, 무슨 일이?

쌀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한 가마니 가격이 22만원을 돌파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여름 태풍과 장마로 인해 쌀 생산량이 크게 줄어든 결과로 농민들은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통계청의 쌀 예상 생산량 조사에선 3%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통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쌀 값 폭등, 왜?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쌀(20kg)의 도매 가격은 5만5380원을 기록했다. 지난 5년 간의 평균 가격보다 35.4%, 1년 전보다는 17.1% 뛰었다. 부산 등 일부 도매시장에서는 5만9000원에 거래돼 6만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한 가마 기준으로는 22만1520원이다. 작년 국회가 쌀 한가마니 목표가격으로 정했던 21만4000원을 크게 웃돈다.

쌀 값은 지난 9월부터 급등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9월 쌀 월평균 가격은 5만1159원을 기록해 aT가 가격 조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5만원대를 돌파했다. 지난달엔 5만3719원으로 뛰었고, 이달들어 1~9일 평균 5만5147원으로 높아졌다.

정부는 당초 10월 중하순부터 가격 안정세가 시작될 것으로 내다봤다. 상대적으로 빨리 수확하는 조생종 벼만 작황이 좋지 않아 10월초 가격이 일시적으로 높아졌다고 봤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곡물관측에서 10월 하순부터 쌀 가격 하락세가 시작돼 11월 가격은 10월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의 쌀 예상생산량 통계에서도 전년 대비 생산량이 3%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수급 불안정은 심하지 않을 것이란 예상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이달 들어 쌀 가격이 계속 상승세를 기록하면서 정부의 생산량 예측과 가격 전망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남 등 주요곡창지대의 농민들은 많게는 20~30% 가량 생산량이 줄었다고 보고 있다. 쌀 생산량을 좌우하는 8월 초순에 비가 많이 와 전체적으로 제대로 된 알곡이 많이 줄었다는 것이다. 조금 늦게 수확하는 중만생종 작황이 괜찮은 편이지만 가격이 하락할 정도는 아니라고 농민들은 보고 있다. 정부, 시장 개입할 듯올해 쌀 생산량이 3% 감소에 그칠 것이라는 통계청의 예상 생산량 조사와 농민들의 체감이 다른 것은 통계청의 조사방식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통계청은 9월께 벼에 달린 낱알 수를 기준으로 예상 생산량을 발표한다. 이후 수확 후 벼의 무게를 재 11월 생산량 조사를 업데이트 한다. 낱알이 많이 맺혀도 쭉정이가 많으면 예상 생산량과 실제 생산량이 크게 차이날 수 있는 것이다.

쌀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정부가 시장에 개입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공비축미를 시장에 적정 가격에 내놓는 방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올해 비축 예정인 2020년산 쌀을 비축하지 않거나 기존에 비축한 2019년 또는 2018년 쌀을 푸는 방안이 거론된다.

식품·유통업계에선 2018년산 등 구곡을 풀 경우 대부분 외식업체 등으로 흘러가 실제 쌀 소비자 가격 하락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2020년산 쌀을 풀어야 소비자가 가격 하락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가 올해 비축미 매입량을 줄이거나 매입 후 즉각 방출하는 식으로 시장에 개입해야한다"고 말했다. 농민들은 생산량이 줄어든 만큼 농협과 정부가 쌀 수매가격을 더 높여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통계청의 쌀 생산량 조사가 나오면 수급 상황에 따라 비축량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시장에 개입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선 "이해관계자의 의견 조율이 필요해 결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강진규 기자

화이자 백신 90% 효과에 관련주 '급등'…KPX생명과학 '...

HMM, 운임 지수 사상 최고치에 13% '급등'

배추가격 한숨 돌렸더니…김장철 양념채소값 급등

, 美 증시 랠리에 2400선 '상승'…외국인 나홀로 ...

빅히트, 8% 급등하는데…250억원 매도한 개미들

저가 아파트 값 급등…'노도강' 날았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