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찬식 말씀 - seongchansig malsseum

  • Home
    • ChurchofJesusChrist.org
  • 성찬

성찬

십자가에 달리시기 전날 밤, 예수 그리스도는 그분의 사도들과 만나 성찬 의식을 제정하셨다. (누가복음 22:19~20 참조) 그분은 부활하신 후, 니파이인들 사이에서 성찬 의식을 제정하셨다. (제3니파이 18:1~11 참조) 오늘날 성찬식은 교회 회원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의 희생을 기억하기 위해 빵과 물을 취하는 의식이다. 이 의식은 예배와 영적 발전에서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 의식을 통해 교회 회원들은 침례 받을 때 하나님과 맺은 성약을 새롭게 한다.

추가 정보

성찬 의식을 제정하시면서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라고 말씀하셨다. (누가복음 22:19~20) 성찬식은 교회 회원들에게 하나님의 아들의 삶과 성역, 그리고 속죄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생각하고 기억할 기회를 준다. 떼어낸 빵은 그분의 육신과 육체적 고통, 특히 십자가에서의 고통을 기억하게 해 준다. 그것은 또한 그분의 자비와 은혜로 인해 모든 사람들이 부활하게 되며 하나님과 영생을 누릴 기회를 얻게 된다는 것을 기억하게 해 준다.

물은 겟세마네 동산에서 시작하고 십자가에서 끝난 혹독한 영적 고통과 고뇌 속에서 구주께서 흘리신 피를 기억하게 해 준다. 동산에서 그분은 “내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라고 말씀하셨다. (마태복음 26:38)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며, 그분은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것 이상의 고난을 겪으셨다. “피가 모든 땀구멍에서 나[왔으며], 그의 백성의 사악함과 가증함으로 인한 그의 고뇌가 그처럼 [크셨다.]” (모사이야서 3:7) 그분께서는 만인의 죄와 슬픔과 고통을 위해 고난을 겪으셨으며, 회개하고 복음에 따라 생활하는 사람들이 죄 사함을 얻을 수 있도록 해 주셨다. (니파이후서 9:21~23 참조) 그분의 피를 흘리심으로써 예수 그리스도는 경전에서 아담의 범법의 “원죄”라 일컫는 것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구원해 주셨다. (모세서 6:54)

성찬을 취하는 것은 그 성스러운 의식을 행하는 짧은 시간 외의 시간에도 하나님의 아들을 기억한다는 것을 하나님께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이 의식의 일부는 그분을 늘 기억하겠다는 약속이자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받들고 그분의 계명을 지키겠다는 개인적 의지의 증거이다. 성찬을 취하고 이러한 약속을 함으로써 교회 회원들은 침례 시 맺은 성약을 새롭게 한다. (모사이야서 18:8~10; 교리와 성약 20:37 참조)

그렇게 할 때 주님께서는 죄 사함에 대한 약속을 새롭게 하시며 교회 회원들이 “항상 그의 영과 함께 하도록” 해 준다. (교리와 성약 20:77) 성신의 한결같은 동반은 현세에서 얻을 수 있는 은사 중 가장 큰 은사에 속한다.

매주 성찬식을 위해 준비하면서 교회 회원들은 자신들의 삶을 점검해 보고 죄를 회개할 시간을 가진다. 성찬을 취하기 위해 완전해야 할 필요는 없으나 마음속에 겸손과 회개의 영을 지녀야 한다. 그들은 매주 상한 마음과 통회하는 심령으로 그 성스러운 의식을 위해 준비하도록 노력한다. (제3니파이 9:20 참조)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성약 참조

더 보기

추가 학습 자료

  • “성찬식”

    Encyclopedia of Mormonism

  • “성찬식”

    경전 안내서

  • “몰몬은 교회 모임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예배합니까?”

    Newsroom.ChurchofJesusChrist.org

성찬에 관한 성경 말씀0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마26: 26- 28)
0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받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니 다 이를 마시매 가라사대 이것은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하나님 나라에서 새것으로 마시는 날까지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막14:22- 25)
0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인자의 살을 먹지 아니하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 내 살은 참된 양식이요 내 피는 참된 음료로다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내 안에 거하고 나도 그 안에 거하나니 살아계신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시매 내가 아버지로 인하여 사는것 같이 나를 먹는 그 사람도 나로 인하여 살리라 이것은 하늘로서 내려온 떡이니 조상들이 먹고도 죽은 그것과 같지 아니하여 이 떡을 먹는 자는 영원히 살리라(요6:53- 58)
0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누구든지 주의 떡이나 잔을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시는 자는 주의 몸과 피를 범하는 죄가 있느니라 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찌니 주의 몸을 분변치 못하고 먹고 마시는 자는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것이니라(고전11: 23- 29)
 

질문

성찬식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답변

성찬에 대한 연구는 심금을 울리는 경험일 수 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담고 있는 깊은 의미 때문입니다. 예수께서 오늘날까지 우리가 준수하고 있는 의미 깊은 새로운 교제의 식탁을 제정하신 때는 죽으시기 전날에 오랜 유월절을 기념하는 중이었습니다. 성찬은 기독교 예배의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 주님의 죽으심과 부활을 기억하게 하고 미래에 있을 그분의 영광스러운 재림을 고대하게 합니다.

유대인들에게 유월절은 한 해의 가장 성스러운 종교적인 축제였습니다. 이 축제는 애굽 사람들의 장자들이 죽었던 마지막 재앙 및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들의 문설주에 뿌려진 양의 피로 말미암아 구원 받은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때 그 양은 구워진 후에 무교병과 함께 먹혔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다가오는 모든 세대에 걸쳐 이 축제가 기념되어야 한다고 명하셨습니다. 이 이야기는 출애굽기 12장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최후의 만찬에서(유월절 절기) 예수께서는 떡 한 조각을 취하시고 하나님께 감사를 드렸습니다. 주께서 그것을 쪼개어 제자들에게 주시면서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너희들에게 주는 나의 몸이니라.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마찬가지로 저녁을 드신 후 잔을 취하시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눅 22:19-21). 예수께서는 축제를 찬양으로 마치셨고(마 26:30), 그들은 밤에 감람산으로 갔습니다. 거기서 예수께서는 예언된 대로 유다에게 배신 당하셨습니다. 그 다음날 주께서는 십자가에 못 박히셨습니다.

성찬에 대한 기록은 복음서에서 발견됩니다(마 26:26-29; 막 14:17-25; 눅 22:7-22; 요 13:21-30). 바울은 고린도전서 11장 23-29절에 성찬에 관하여 기록하였습니다. 바울은 복음서에는 없는 말씀을 포함합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주의 떡이나 잔을 합당하지 않게 먹고 마시는 자는 주의 몸과 피에 대하여 죄를 짓는 것이니라. 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지니 주의 몸을 분별하지 못하고 먹고 마시는 자는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것이니라”(고전 11:27-29). 우리는 떡이나 잔을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신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떡과 잔의 진정한 의미를 무시하거나 우리의 구세주께서 우리의 구원을 위해 치르신 그 엄청난 대가를 망각하는 것을 뜻할 수 있습니다. 혹은 그것은 성찬을 단지 형식적인 죽은 의식이 되게 한다거나 고백하지 않은 죄를 지닌 채 성찬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성찬의 떡을 먹고 잔을 마시기 전에 이러한 바울의 가르침을 염두에 두고 우리 자신을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바울은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또 다른 말씀을 하였습니다.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고전 11:26). 이는 성찬 의식에 대해 주께서 다시 오실 때까지라는 시간적 제한을 둡니다. 우리는 이 짧은 말씀들로부터 예수께서 어떻게 자신의 몸과 피의 상징으로 이 두 개의 부서지기 쉬운 요소를 사용하여 자신의 죽음의 기념물로 삼으셨는지를 배웁니다. 그 기념물은 조각된 대리석이나 성형된 놋쇠가 아닌 떡과 포도주로 된 기념물이었습니다.

예수께서는 떡은 찢어지게 될 자신의 몸을 가리킨다고 선언하셨습니다. 그분의 몸은 부서진 뼈는 없었지만 매우 심하게 고문을 받아 형체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시 22:12-17; 사 53:4-7). 포도주는 그분의 피를 상징하는 것으로서 그분이 곧 당할 끔찍한 죽음을 가리킵니다. 하나님의 완전한 아들인 그분은 구약 성경에 기록된 셀 수 없이 많은 구속자에 대한 예언을 성취하셨습니다(창 3:15; 시 22; 사 53). 예수께서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고 말씀하셨을 때, 이는 장래에도 계속되어야 하는 의식임을 가리키셨던 것입니다. 이것은 또한 양의 희생을 요구하고 세상의 죄를 제거하실 하나님의 어린 양의 오심을 고대하였던 유월절이 주님의 성찬으로 성취되었음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새 언약은 유월절의 양(고전 5:7)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을 때 구 언약을 대체하였습니다(히 8:8-13). 희생 제사 제도는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습니다(히 9:25-28). 성만찬/기독교 성찬식은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행하셨던 일을 기념하는 것이며 그분의 희생의 결과로서 우리가 받은 것을 축하하는 것입니다.

English


처음으로 돌아가기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