팰리 세이드 승차감 - paelli seideu seungchagam

3열까지 공간 넉넉···풀 플랫 적용해 차박까지 가능
295마력의 힘과 안정적인 승차감···디스플레이 키워 시인성 높여

현대차 팰리세이드. / 사진=박성수 기자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국내에서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시대를 연 현대자동차 ‘팰리세이드’가 4년 만에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로 돌아왔다. 신형 팰리세이드는 기존 모델의 공간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더 커진 전면부 그릴과 각종 편의·안전사양을 추가해 상품성을 개선했다.

지난달 신형 팰리세이드를 시승했다. 서울에서 출발해 경기도 파주, 포천 등을 오가며 약 200km를 시승했다.

팰리세이드 외관 디자인은 이전 모델과 비교해 크게 바뀌진 않았다. 이날 시승한 모델은 캘리그래피로 전면부는 밝은 크롬 색상의 라디에이터 그릴과 삼각형 무늬의 파라메트릭 실드를 적용해 차체 색상과 대비되며 그릴이 돋보이는 효과를 준다.

측면부. / 사진=박성수 기자

커다란 덩치 탓에 자칫 둔해보일 수 있는데 세로형의 날렵한 램프로 균형을 맞췄다. 측면부는 중심에서 밖으로 퍼지는 방사형 모양의 20인치 전용 휠을 탑재해 역동성을 강조했다.

내부 공간은 대형 SUV 답게 충분히 넓었다. 2열과 3열을 접을 경우 풀플랫을 적용해 성인 남성이 누워서 차박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또한 트렁크에 있는 버튼 조작만으로 2열과 3열을 모두 접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2열과 3열 모습. / 사진=박성수 기자

풀 플랫을 적용해 차박도 가능하다. / 사진=박성수 기자

3열 등받이도 뒤로 젖힐 수 있어 성인남성이 타도 문제가 없다. / 사진=박성수 기자

3열은 언뜻 봤을 때는 좁아보였지만, 실제로 앉았을 때는 크게 불편함이 없었다. 거기에 3열 등받이도 고정된 것이 아니라 뒤로 젖힐 수 있고, 2열 밑 부분에 발을 넣을 공간도 마련해 성인 남성이 앉았을 때도 크게 문제가 없었다.

버튼 조작 만으로 3열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다. / 사진=박성수 기자

실내 인테리어는 제네시스급은 아니지만 그래도 현대차 최상위 SUV라 고급스러운 편이다. 국내서 인기를 끄는 대형 SUV 대부분 미국 브랜드라 그런지, 경쟁 모델들보다는 확실히 고급감이 뛰어났다. 손이 닿는 곳곳에 고급소재로 마감해 만족감이 높았다.

디스플레이는 기존 10.25인치에서 12.3인치로 키워 시인성을 개선했다. 이전에는 대형SUV 치고는 작은 디스플레이라 답답한 느낌이었는데, 이번에는 디스플레이가 커지면서 조작 편의성이나 시인성 개선은 물론 디자인적으로도 조화를 이룬다.

실내 모습. / 사진=박성수 기자

큰 차라 둔할 것이라는 편견과 다르게 팰리세이드는 중형 SUV급의 날렵한 주행감을 느낄 수 있다.

고속도로 주행시 스포츠 모드로 변경하니 대형 SUV라는 것을 잊게 할 정도로 가속력을 보여줬다. 팰리세이드는 3.8ℓ가솔린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295마력, 최대토크 36.2kg·m의 힘을 발휘한다. 시속 100km를 넘어가니 시트가 허리를 단단히 잡아주면서 고속 주행에도 흔들림을 최소화했다.

승차감과 정숙성도 뛰어나다. 흡음재 두께를 이전보다 키워 실내 정숙성을 확보했으며, 충격 흡수 장치 개선으로 고속주행시 진동을 최소화했다. 방지턱을 빠르게 통과해도 부드럽게 지나갔다. 핸들링감도 대형 SUV치곤 묵직하지 않고 날렵한 느낌이다.

또한 장기간 운전을 하니 자동으로 에르고 모션 시트가 작동해 허리 부분을 마사지해주면서 피로를 풀어줬다.

각종 첨단 주행 보조기능을 탑재해 운전 중 피로감이 덜했다. 고속도로 주행보조2를 적용해 고속도로 운전 중에는 별다른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차선을 유지하며 나아갔다. 가다서다를 반복하는 자동차 전용 도로에서도 앞차와의 일정 거리를 유지한 채 불안함 없이 주행이 가능했다.

이번 신형 팰리세이드에는 디지털 룸미러를 적용해 대형 SUV의 단점인 후방시야 확보를 개선했다. 대형 SUV의 경우 큰 짐을 싣거나 3열까지 사람이 탔을 경우 후방 시야를 확인하기 어려운데, 디지털 룸미러를 통해 카메라로 후방 시야를 손쉽게 볼 수 있다. 어두운 터널 주행시에도 뚜렷하게 후방 시야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시승하는 동안 햇빛이 강했는데 빛반사가 있어 디지털 화면이 잘 안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디지털 룸미러. / 사진=박성수 기자

대형 SUV라 주차 시 부담이 있었는데 주차 보조 시스템 덕분에 좁은 지역 주차도 큰 문제가 없었다.

대형 SUV의 고질병인 연비는 역시 아쉬운 부분이다. 팰리세이드 공식 연비는 복합기준 9.3km/ℓ이나 이번 시승을 마친 이후 확인한 연비는 7.7km/ℓ를 기록했다.

후면부. / 사진=박성수 기자

© 시사저널e - 온라인 저널리즘의 미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업부

포천=박성수 기자

현대차 팰리세이드 2.2D를 시승했다. 팰리세이드는 출시된지 3년 3개월이 지났지만 내외관 디자인이 현재까지 유지되며 국산차로서는 꽤나 긴 디자인 주기를 보이는 모델이다. 오는 6월 부분변경을 앞두고 있지만, 디자인과 상품성에서는 여전히 좋은 경쟁력을 보여준다.

팰리세이드는 국산 대형 SUV를 대표하는 모델로 3열 7인승 SUV 수요가 급증하는 시기에 성공적으로 시장에 등장했다. 비슷한 시기 선보인 기아 텔루라이드와 함께 미국내에서도 좋은 판매를 이어왔으며, 2020~2021년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현대차 SUV이기도 하다.

팰리세이드의 높은 인기는 출시 초기 합리적인 가격 책정이 주효했다. 2.2 디젤 3622~4177만원, 3.8 가솔린 3475~4030만원으로, 하위 모델인 싼타페TM과의 가격 차이가 300~400만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고급화된 실내와 여유로운 3열의 가치는 가격 차이를 넘어섰다.

현대차는 팰리세이드에 캘리그래피, VIP 등 다양한 고급화 트림을 추가해 이제는 최상위 트림의 가격이 5183만원까지 올라 가격 경쟁력이 희석됐지만, 대중적인 브랜드 모델로는 화려한 옵션 구성을 자랑한다. 시승차는 팰리세이드 캘리그래피 7인승 2.2D AWD 모델이다.

팰리세이드는 전장 4980mm, 전폭 1975mm, 전고 1750mm, 휠베이스 2900mm의 차체를 갖는다. 전장과 전폭은 국내에서 운영하기 불편하지 않은 마지노선까지 키웠지만 해외 경쟁차와 비교하면 작은 편에 속한다. 트래버스의 경우 전장 5230mm, 휠베이스 3073mm다.

전면부는 대형 그릴과 수직형 헤드램프로 존재감을 강조한 모습이다. 역삼각형의 입체 패턴이 나열된 전면 그릴과 전후방 범퍼 하단부 크롬 스키드 플레이트는 캘리그래피 전용 디자인으로, 빠졌을 경우 고급감에서 차이를 보인다. 보디 컬러 클래딩도 고급감을 높여준다.

측면부에서는 독특한 윈도우 그래픽이 눈에 띄는데, 팰리세이드의 고유한 디자인이다. 직선과 면을 강조한 측면부는 무난하지만 고급스러움을 높이는 부분이다. 20인치 휠과 전 모델에서 벌브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풀 LED 리어램프는 현대차 최초로 적용된 사양들이다.

실내 디자인과 소재, 구성은 3년전 기준으로는 제네시스 브랜드가 연상될 고급 사양이었다. 대시보드를 감싸는 가죽 소재와 메탈릭 버튼, 부드러운 촉감의 공조장치 조작부는 현대차 SUV의 실내 고급감을 단번에 끌어올렸다. 주행 모드 다이얼은 여전히 좋은 디자인이다.

3열 7인승 시트는 기능면에서 만족감이 높다. 캘리그래피 기준 1열 전동 시트와 통풍까지 지원되는 2열, 3열 전동 시트는 파워 폴딩 뿐만 아니라 3열 등받이 각도까지 전동으로 조절된다. 3열 등받이 전동 리클라이닝 기능은 소외될 수 있는 3열 승객에게 축복과도 같다.

파워트레인은 2.2리터 4기통 디젤 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 HTRAC 사륜구동 시스템이 조합된다. 최고출력 202마력, 최대토크 45.0kgm, 20인치 7인승 기준 공차중량 2020kg, 복합 연비는 11.3km/ℓ(도심 10.4, 고속 12.5)다. 동급 가솔린 모델은 295마력, 36.2kgm, 8.9km/ℓ다.

스마트스트림 버전이 적용되지 않은 2.2 디젤의 진동과 소음은 여느 현대기아차와 다르지 않다. 최근 출시된 신형 쏘렌토나 싼타페 부분변경에 적용된 스마트스트림 디젤에 타이밍 벨트가 사용된 것과 달리 타이밍 체인이 적용돼 소음은 다소 있지만 내구성에서 앞선다.

누적 주행거리가 5만km에 달했지만 실내로 전달되는 진동은 크지 않다. 전자식 기어버튼의 적용 등 물리적으로 실내와 연결된 부분이 줄어든 것이 이유 중 하나로 생각된다. 호오가 있는 전자식 기어버튼의 경우 버튼을 누를 때 다소 길게 누르면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일상주행에서의 승차감은 다소 단단한 타입이다. 팰리세이드 출시를 앞둔 상황에서 뉘르부르크링 서킷에서의 테스트가 오랜 시간 진행된 것으로 기억하는데, 승차감보다는 주행성능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생각된다. 2인 승차시 다소 낭창한 경쟁차와 달리 주행감각이 좋다.

이같은 승차감은 하위 모델인 싼타페와도 구분되는 부분으로, 싼타페는 부분변경을 거치며 부드러운 셋업으로 방향을 틀었다. 과거 독일차와 같은 단단한 셋업을 선호하거나 1인 승차가 빈번한 운전자에게는 환영받을 설정이나, 6인 이상 승차할 경우에는 피로감이 있다.

도로의 요철을 소화하는 동작에서 3열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이 다소 큰 편에 속하는데, 향후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고속주행에서의 안정감은 좋은 수준으로, 날카로운 핸들링을 보이거나 코너링 한계가 높지는 않지만, 무난하면서 평균보다는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대형 SUV나 미니밴과 같은 다인승 차량의 경우 1~2인 승차시와 6~7인 탑승시 승차감이 크게 달라지는데, 가변형 서스펜션을 적용하지 않는 이상 모두 만족하기 어렵다. 현대차의 서스펜션 셋업이 주행성능에서 다시 부드러운 쪽으로 향해 부분변경시 변화가 예상된다.

고속주행시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은 꽤나 적은 편이다. 윈드실드와 1열, 2열에 차음유리를 사용하고,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이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상쇄시킨다. 서라운드뷰 모니터는 해상도가 좋아 팰리세이드와 같은 대형 차체를 주차하는 상황에서 쓰임새가 좋다.

고속화도로에서는 고속도로 주행보조가 동작돼 장거리 주행시 피로감을 줄여주는데, 과속카메라 앞에서 속도를 줄여주는 기능은 수입차에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고속도로에서의 차선유지 기능은 만족감이 좋은 반면, 전방 급정차 상황에서는 반응이 다소 늦다.

팰리세이드는 대형 SUV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눈높이를 크게 높인 주인공이다.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과 상품성은 현대차 SUV 최다 판매 모델 타이틀이 설명한다. 오는 6월 부분변경을 통해 스마트스트림 엔진 적용을 통한 연비 향상과 3열 승차감의 개선이 예상된다.

이한승 기자 〈탑라이더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