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 노이즈 그래픽카드 - moniteo noijeu geulaepigkadeu

모니터 노이즈 해결하다. feat. 구형그래픽카드라면,

다로드한꿈세상2020. 4. 20. 0:24

평범하지 않은 모니터노이즈다.

우선 드라이버를 확인했다. 참 오래되었나보다

nforce 420

온보드 그래픽카드다.

검색을 해보니 그래픽카드가 나갔네, 메인보드가 나갔네, 모니터가 나갔네 설왕설래다.

확실한 것은 다른 컴에 연결해 보니 제품은 문제가 없어서 모니터의 문제는 아니다.

혹시 전자파의 영향일까, 태블릿, 스피커등 usb연결된 것을 모두 빼서 다른 곳에 꼽아보기도 했으나 변화가 없다.

메모리카드도 뽑아서 지우개로 닦은 후에 꼽아보았다. 달라진 거 없다.

결국 안방에 모니터를 빼서 연결해 보니 헐,... 그래. 본체의 문제인데 그래픽카드일까???

다행히 회사에 그래픽카드가 있다.

만약 그래픽카드를 교체했음에도 문제가 있다면??? 결국 메인보드인가???

이거 심각해지네. 내일 보자.

드라이버를 어렵게 검색해서 업데이트를 했는데...여전하다.

그래서 잠을 잘려다가 카페 댓글에 올라온 드라이버를 없애보라는 글,

맞아. 예전에 그래픽드라이버를 아예 없애버린적이 있었지.

부랴부랴 컴퓨터를 켠 후에 컴퓨터 속성을 열고 장치관리자를 연다.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누르면 현재 내 모니터의 드라이버가 나온다.

그리고 구버전드라이버를 삭제하고 나니...,

컴퓨터 깜박임이 거짓말 같이 사라졌다. 후후후.

모니터를 들고 회사까지 왔다 갔다 했는데 말이다. 이런 쩝.

만약 본인의 컴퓨터에 위와 같은 일이 생겼는데 그래픽카드가 오래된 거라면 이 방식을 꼭 해보자.

윈도우 10이 제대로 지원을 못하는 수도 있다.

해결!

PC/모바일 멀쩡한 모니터가 이유 없이 노이즈를 보이면서 꺼지고 켜지는 것을 반복할 때 8

결론먼저: 모니터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과 최대한 멀리해줘야....

노트북 도킹 스테이션에 모니터를 두대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모니터 둘 다 HP 모델인데, 하나는 사용한지 만 9년 되었고, 다른 하나는 4년정도 되었네요.  노트북은 2~3년에 한번씩 교체를 해왔는데, 모니터는 그다지 바꿔야 할 이유를 찾지 못해 계속 사용중에 있습니다.

몇년 전부터 모니터가 화면보호기 모드에서 돌아오면 화면에 노이즈 및 떨림이 보이면서 계속 점멸을 하는 현상을 보여왔습니다. 노트북 및 도킹스테이션도 몇차례 바뀌었는데 두 모니터에서 같은 현상으로 번갈아 가면서 그러더군요.

처음에는  HDMI연결에 문제를 의심해보고, 케이블도 몇번 교체해봤습니다. (회사 컴퓨터에 개인돈을 쓰는게 아까웠지만)나름 좋은 케이블로 바꿔도 문제가 여전했습니다. 도킹 스테이션과 노트북 연결부 청소도 많이 해봤고, Un-Docking /  Docking 을 하면 증상이 사라지긴 했으나 일시적으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났습니다.

문득 3년전에 4K Apple TV를 구매하면서 4K전용 HDMI케이블을 연결을 할 때, 선 정리를 하면서 모든 케이블을 가지런히 한 다발로 예쁘게(?) 모아서 정리를 했다가 4K 출력이 안되어 HDMI케이블만 따로 분리를 해서 문제를 해결했던 기억이 나서, 모니터 케이블을 확인 했더니 전원케이블과 HDMI 케이블이 하나의 다발로 (저는 돌돌 말아감는 제품을 사용하는데, 이게 더 문제를 키운 것 같습니다) 정리가 되어 있었네요. 심지어 모니터 두대의 전원과 HDMI케이블이 최종적으로 하나의 다발이 되어있는 구간도 존재를 하고 있었습니다. 아무 생각 없이 깔끔하게 선 정리에만 신경을 쓴 결과였네요. 

재택근무를 하느라 1년 가까이 건드리지 않았던 선들을 다 분리를 해서, HDMI케이블만 제외하고 다시 정리를 했습니다. 이후로 노이즈 및 모니터 껌뻑임이 싹 사라졌고, 더이상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사람 몇 안다니는 미국에 있는 회사에서 일을 하다 보니, 뭔가 더 깔끔한 모습을 보여준답시고 겉보기에만 좋게 정리를 했던 것이 몇년동안 저를 피곤하게 했었네요. 별 팁은 아니지만 생각이 나서 아침에 몇자 적어봤습니다.

SIGNATURE

댓글에 상처 받고 두번 탈퇴하고 세번째 가입했습니다. Michigan since 2012

서명 더 보기 서명 가리기

디스플레이 | AS지난 모니터에 생긴 노이즈. 케이블 청소하여 해결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플레이신 작성일18-10-21 12:54 조회11,405회 댓글53건

  • 목록

본문

3년동안 잘쓰던 모니터가 (LT27D590) 갑자기 화면에 노이즈가생기면서 불량증상이 나타났습니다.

지난 오버클럭 동영상에 나왔던 잘되는 모니터였습니다 ㅜㅜ

PC교체,케이블교체 둘다 해봐도 증상은 동일했습니다.

모니터를 새로 사야하나 고민하다가

어차피 AS 기간도 지났으니 케이블청소를해봐야겠다 생각했습니다.

오래쓴 컴퓨터 오류가 램을 재결합하고 해결되는 경우가 있듯

자글자글 아른아른 거리는 노이즈 증상은 필름청소후 재결합 만으로도 해결될수 있습니다.

모니터를 하나 새로사야하나 고민했는데 다행입니다.AS기간은 어차피 지난 모니터라...

제 통장은 지켜졌습니다.

단.모니터에 고정적인 줄 하나가 완전하게 자리잡아있으면 대부분 LCD 패널을 교체해야합니다.

관련링크

  • //youtu.be/xK4FdsqEzGo


    53 개의 댓글 ───────────────────────

댓글 페이지:  1페이지 2페이지

와튜님의 댓글

와튜= (작성일 18-10-21 13:46)

돈 아낄 수 있는 방법이네요... 저 케이블을 뺐다 꼽는 것만으로도 저게 되다니.. 굉장히 유용하네요! 추천하고 갑니다.

Yoshino@님의 댓글

Yoshino@= (작성일 18-10-21 14:14)

행복도사님의 댓글

행복도사= (작성일 18-10-21 14:38)

☜쪼꼬미꼬☞님의 댓글

☜쪼꼬미꼬☞= (작성일 18-10-21 15:53)

접점부활제로 청소하는게 초보분들에게는 가장 안전합니다 ㅎㅎㅎ

K2Hwan님의 댓글

K2Hwan= (작성일 18-10-21 16:26)

좋은 정보군요. 감사합니다

물론 조립전 누드테스트 하고 완전조립하는것도 다시 뜯는 번거로움을 없앨수 있습니다.

바나박스님의 댓글

바나박스= (작성일 18-10-21 16:31)

요보비님의 댓글

요보비= (작성일 18-10-21 16:56)

Face216님의 댓글

Face216= (작성일 18-10-21 17:13)

혼나딩요님의 댓글

혼나딩요= (작성일 18-10-21 17:21)

아세톤보다는 알콜로 닦는 것이 좋습니다.

아세톤은 필름의 표면을 상하게 할 수 있거든요.

알콜 추천입니다.

Doyou님의 댓글

Doyou= (작성일 18-10-21 19:24) 랜덤보너스

쿨엔중독쿠동님의 댓글

쿨엔중독쿠동= (작성일 18-10-21 20:12)

영웅97님의 댓글

영웅97= (작성일 18-10-21 20:16)

유용한 정보이군요 좋은 정보 감사해요 스크랩할게요

jini0님의 댓글

jini0= (작성일 18-10-21 20:46)

lst0525님의 댓글

lst0525= (작성일 18-10-21 21:09)

나루시야님의 댓글

나루시야= (작성일 18-10-21 21:24)

오 유튜브에서 아까 우연찮게 본 영상이네요 ㅋㅋㅋ 

애프터버너 관련 리바튜너 관련 영상도 봤습니다. 

초보분들에게 좋은 도움이 될거같은 내용이 많더라구요~

컴퓨터에미친놈님의 댓글

컴퓨터에미친놈= (작성일 18-10-21 21:26)

완전 꿀팁이네요 램 뺏다꼽는것도 이제서야 점점 알려지고있듯이

알면 돈아끼고 모르면 돈나가는 꿀팁이네요 잘봤습니다~!

기다린다님의 댓글

기다린다= (작성일 18-10-21 21:30)

근데 3년밖에 안 되었는데 고장이라니...그것도 삼성인데..

아이비브릿지님의 댓글

아이비브릿지=
(작성일 19-03-29 12:34)

aoc 7년넘어가는거 같은데 쌩쌩하네요 ㅎㅎ 튼튼한거같아요 이사도 몇번 했는데

물빵님의 댓글

물빵= (작성일 18-10-21 22:08)

사과맛요거트님의 댓글

사과맛요거트= (작성일 18-10-21 22:18)

zerodisk님의 댓글

zerodisk= (작성일 18-10-21 22:30)

Choi2705님의 댓글

Choi2705= (작성일 18-10-21 23:10)

날라바님의 댓글

날라바= (작성일 18-10-22 02:38)

되에박 !!!!!!!!!! 정보 감사합니다 !!!!

Xenis님의 댓글

Xenis= (작성일 18-10-22 05:54)

예니퍼짱님의 댓글

예니퍼짱= (작성일 18-10-22 08:52)

THERE님의 댓글

THERE= (작성일 18-10-22 09:33)

100SU님의 댓글

100SU= (작성일 18-10-22 10:30)

케이블 청소 재결합만으로 해결되다니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컴퓨터를사고싶은곰티님의 댓글

컴퓨터를사고..= (작성일 18-10-22 11:54)

직구직구직구님의 댓글

직구직구직구= (작성일 18-10-22 16:27)

푸르륾님의 댓글

푸르륾= (작성일 18-10-22 18:45)

이야 케이블 재연결만으로 고쳐질 수 있군요!

배우고 갑니다~

h강희님의 댓글

h강희= (작성일 18-10-22 19:26)

하나더님의 댓글

하나더= (작성일 18-10-22 19:57)

주 모니터였으면 고민안하고 이기회에 하면서 바꿔버릴텐데 (핑계삼아?!)

보조 모니터다 보니 저같아도 아 어떻게 안되나 하고 고민했을 텐데 이런꿀팁이 +_+

좋은정보 잘보고 갑니다

꿀다마님의 댓글

꿀다마= (작성일 18-10-22 21:53)

대기업 삼성제품 모니터가 3년만에 저런 불량증상이 나왔다는게 많이 안타까울 따름이네요.

부모니터로 중소제품 현재 쓰고 있는데도 고장/불량 없이 6년넘게 잘 쓰고 있습니다만....주변에 삼성모니터 혹은 TV 패널 A/S 기간 끝나고 불량 나는 제품들 보면 진짜 삼성 거르게 됩니다. 수리비도 비싸고 제품도 비싸고....

이런 꿀팁 정말 도움이 많이 되네요.

두석이사냥꾼님의 댓글

두석이사냥꾼= (작성일 18-10-22 22:08)

하이월님의 댓글

하이월= (작성일 18-10-22 23:05)

호박전님의 댓글

호박전= (작성일 18-10-23 00:06)

와우 이런게 바로 개꿀팁 ㅋㅋ 

서브 모니터가 이런 증상인데 청소해봐야 겠네요.

추천이요 굿굿!

화류공자님의 댓글

화류공자= (작성일 18-10-23 01:56)

순백염소님의 댓글

순백염소= (작성일 18-10-23 13:56)

굿비즈님의 댓글

굿비즈= (작성일 18-10-24 06:49)

Sa랑님의 댓글

Sa랑= (작성일 18-10-24 08:36)

나중에 같은증상 생기면 해봐야겠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백구사랑님의 댓글

백구사랑= (작성일 18-10-24 16:04)

좋은 팁 감사합니다.

나중에 제 모니터도 저런 증상 나오면 한번 따라해봐야 되겠네요.ㅎㅎ

Oz의마법사님의 댓글

Oz의마법사= (작성일 18-10-24 21:07)

빡빡이님의 댓글

빡빡이= (작성일 18-10-24 21:31)

어크만님의 댓글

어크만= (작성일 18-10-24 22:58)

disnnnr님의 댓글

disnnnr= (작성일 18-10-25 10:06)

쿨엔EMD님의 댓글

쿨엔EMD= (작성일 18-10-26 01:09)

잘 봤습니다

전 아직 저런 증상이 없어서 다행이네요.

곰곰님의 댓글

곰곰= (작성일 18-10-26 21:22)

스칼렛요한슨님의 댓글

스칼렛요한슨= (작성일 18-10-27 16:06)

psps님의 댓글

psps= (작성일 18-10-28 04:00)

별이름님의 댓글

별이름= (작성일 18-10-28 08:31)

댓글 페이지:  1페이지 2페이지

  • 목록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