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논문 - misepeullaseutig nonmun

초록

미세플라스틱은 길이나 지름이 5mm 이하인 플라스틱을 말한다. 수거가 불가능하고, 오염물질을 흡착한다. 해양생물들이 먹이로 오인하고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해양생태계를 위협하며, 인간의 건강피해를 유발한다. 국내 해안은 1m2당 미세플라스틱의 오염도가 해외 9개 바다 평균보다 8배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데 스티로폼으로 인한 비중이 매우 크다.
해외에서는 이미 미세플라스틱과 관련된 생활용품, 건강식품, 일회용품 등에 대한 규제 법안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2017년부터 화장품과 의약외품에 한해서만 규제를 시작하고 ...

미세플라스틱은 길이나 지름이 5mm 이하인 플라스틱을 말한다. 수거가 불가능하고, 오염물질을 흡착한다. 해양생물들이 먹이로 오인하고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해양생태계를 위협하며, 인간의 건강피해를 유발한다. 국내 해안은 1m2당 미세플라스틱의 오염도가 해외 9개 바다 평균보다 8배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데 스티로폼으로 인한 비중이 매우 크다.
해외에서는 이미 미세플라스틱과 관련된 생활용품, 건강식품, 일회용품 등에 대한 규제 법안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2017년부터 화장품과 의약외품에 한해서만 규제를 시작하고 타부문의 미세플라스틱 발생에 대한 대책은 없는 상황이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이 해양오염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상세한 논의가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 방지를 위해서 국내외 미세플라스틱 관련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세플라스틱 규제 강화, 미세플라스틱 배출원의 정확한 파악, 해양쓰레기의 전박적인 모니터링 실시, 어업인들의 교육여건 개선의 정책 방안을 제시한다.

Abstract

Microplastics refers to plastic whose length or diameter is 5mm or less. It is impossible to collect and adsorb pollutants. Because marine organisms can misinterpret and ingest, they threaten marine ecosystems and cause human health damage. The pollution level of fine plastic per 1m2 on the Korean c...

Microplastics refers to plastic whose length or diameter is 5mm or less. It is impossible to collect and adsorb pollutants. Because marine organisms can misinterpret and ingest, they threaten marine ecosystems and cause human health damage. The pollution level of fine plastic per 1m2 on the Korean coast is 8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of 9 seas offshore, but the proportion of styrofoam is very high.
Regulatory legislation has already been introduced overseas for household goods, health foods, and disposable items related to microplastics. However, since 2017, Korea has only begun to regulate cosmetics and quasi-drugs, and there is no countermeasure against the generation of fine plastics. There is also a lack of detailed discussion of the impact of microplastics on marine pollu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domestic and foreign fine plastic related policies to prevent marine pollution caused by microplastics. It will also provide policy measures to strengthen regulations on fine plastic, precise identification of sources of microplastics, monitoring of marine litter,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Top 0.1%

...

저널정보

  • 한국생명과학회
  • 생명과학회지 학술저널
  • 생명과학회지 제31권 제4호
  • 2021.04 442 - 451 (10page)

저자정보

  • (경성대학교)
  • 강현본 (경성대학교)
  • 최윤식 (경성대학교)

이용수

내서재

38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미세 플라스틱은 입자의 크기가 5 mm 이하인 플라스틱 조각을 말하며 미세 플라스틱의 오염은 해양 생태계와 인간의 건강과 관련되어 전 세계적인 관심사이다. 광범위하게 오염되어 있는 관계로, 미세 플라스틱은 물고기, 담치, 굴, 조개, 가리비와 같이 다양한 동물에 섭취되어 체내에 축적된다. 게다가, 섭취된 미세 플라스틱은 소장, 간, 신장 그리고 심지어 뇌에서도 높은 농도로 관찰된다. 해산물은 인간에게 있어 주요 단백질 공급원 중 하나이므로, 해산물의 소비는 인간이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많은 근거들은 설치류에서 미세 플라스틱의 반복적인 경구 투여가 생식, 심장, 소화기, 내분비 그리고 심지어 신경계에서 병리적, 기능적 변화를 유도함을 가리킨다. 더욱이, 임신기와 수유기 동안 모체가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되면 새끼에서 대사의 항상성에 변화가 일어난다. 해산물은 세계적으로 3억 1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20% 이상의 단백질 공급원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미세 플라스틱은 인간의 몸에 축적되어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리뷰에서 우리는 해양에서 미세 플라스틱 오염의 현재 실태와 해양 동물 및 설치류에서 미세 플라스틱의 축적과 독성, 그리고 인간에게의 노출과 인간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에 대해 요약하였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References
초록

참고문헌 (79)

Aderem, A. and Underhill, D. M. 1999. Mechanisms of phagocytosis in macrophages. Annu. Rev. Immunol. 17, 593-623. Almeida, J. R., Oliveira, C., Gravato, C. and Guilhermino, L. 2010. Linking behavioural alterations with biomarkers responses in the european seabass dicentrarchus labrax l. exposed to the organophosphate pesticide fenitrothion. Ecotoxicology 19. 1369-13813. An, R., Wang, X., Yang, L., Zhang, J., Wang, N., Xu, F., Hou, Y., Zhang, H. and Zhang, L. 2021. Polystyrene microplastics cause granulosa cells apoptosis and fibrosis in ovary through oxidative stress in rats. Toxicology 449, 152665. Andrady, A. L. 2011. Microplastics in the marine environment. Mar. Pollut. Bull. 62, 1596-1605. Baechler, B. R., Granek, E. F., Hunter, M. V. and Conn, K. E. 2020. Microplastic concentrations in two Oregon bivalve species: spatial, temporal, and species variability. Limnol. Oceanogr. Lett. 5, 54-65.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 미세플라스틱의 해양 생태계에 대한 영향과 향후 연구 방향

    김강희 ,  황정혜 ,  최진수 외 2명

    환경생물

    2019

  •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on microplastics in groundwater and perspectives

    이진용 ,  차지혜 ,  Roge 외 1명

    지질학회지

    2022.06

  •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 이슈와 전망

    심원준 ,  홍상희 ,  송영경 외 3명

    한국분석과학회 학술대회

    2020.11

  • 미세플라스틱 시험방법 국제표준화 동향

    정재학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0.10

  • 농업관행으로 인한 카르스트 대수층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정은주 ,  이진용 ,  김영인 외 2명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1.10

이 논문의 저자 정보

박지아

소속기관 경성대학교

주요연구분야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TOP 0.5%

논문수 5 이용수 10,519

강현본

소속기관 경성대학교

주요연구분야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TOP 0.5%

논문수 2 이용수 10,374

최윤식

소속기관 경성대학교

주요연구분야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TOP 0.1% 공학 > 화학/생물공학

논문수 14 이용수 10,899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