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거래량 분석 디시 - koin geolaelyang bunseog disi

업비트 기준으로 빨간색봉은 매수>매도고 파란색봉은 매도>매수다

기본적으로 일단은 빨간색봉은 매수거래량, 파란색봉은 매도 거래량으로 생각하면 된다

매도거래량이 낮아지고 있음 = 하락 멈춤

매도거래량이 높아지고 있음 = 추가 하락

매수거래량이 높아지고 있음 = 계속 상승

매수거래량이 낮아지고 있음 = 상승 멈춤

거래량의 추이를 볼 때는

큰 시간 봉으로 전체 거래량을 보는 방법과

작은 시간 봉으로 거래량 밀집구간만 보는 방법이 있는데

두 가지를 모두 봐야 한다

그런데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무조건

하락 멈춤 = 상승

상승 멈춤 = 하락

이 아니라

하락이 멈춘 다음에 거기에 추가 매도세가 붙어서 다시 하락할 수도 있고

상승이 멈춘 다음에 거기에 추가 매수세가 붙어서 다시 상승할 수도 있다

그래서 거래량을 볼 땐 캔들도 같이 보면서 해석해야 한다

매도 거래량이 감소하고 매수 거래량이 증가하고 차트도 상승하고 있고 저항을 깬 다음에 지지로 바뀌었는가 = 매수

매수 거래량이 감소하고 매도 거래량 증가하고 차트도 하락하고 있고 지지를 깬 다음 저항으로 바뀌었는가 = 매도

이렇게 해야 한다

오늘 10000원까지 오른 누사이퍼의 차트인데

매도거래량이 빠지고 매수거래량이 붙는 1300~1400원 사이는 집입해볼 만한 구간이었다

신고점이라 위로는 큰 저항도 없다

캔들이 나온 위치와 모양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해야 할 때도 있다

거래량이 터진 양봉이지만 고점에서 나온 것이면 마지막 설거지가 아닐까 생각해야 하고

거래량이 터진 음봉이지만 바닥에서 나온 것이면 매집이 아닐까 생각해봐야 한다

잘 모르겠다 싶으면 그런 캔들이 나온 다음에 

새롭게 생성된 캔들들의 추세를 지켜보는 것이다 

거래량이 터진 캔들 다음에 나온 캔들이 상승하고 있으면(전체적인 그림으로 봤을 때)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거래량이 터진 캔들 다음에 나온 캔들이 하락하고 있으면 계속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거래량보다는 캔들 패턴을 우선적으로 봐야 한다

거래량보다는 캔들이 선행일 때가 많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어센딩트라이앵글, 디센딩트라이앵글 수렴의 끝이나

쌍바닥을 지지하고 추가 하락에 실패할 때 장대양봉빔이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캔들 패턴이 거래량보다 선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