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전력소모량 프로그램 - keompyuteo jeonlyeogsomolyang peulogeulaem

PC를 사용하다보면 중고로 제품을 판매하거나 게임 및 프로그램 사양 확인 및 비교를 위해서 하드웨어 정보를 확인해야할때가 있습니다.

보통 이럴때는 CPU-Z 프로그램이나 장치관리자를 사용하여 하드웨어 정보를 확인하고는 합니다.

하지만, 드라이버 정보 및 각종 하드웨어 온도 그리고 전력 소모량들 더 세밀한 정보는 확인이 불가능한데요.

이럴때는 HWiNFO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PC 하드웨어 정보를 보다 더 자세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번에느 PC 정보 확인 프로그램 HWINFO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HWINFO 다운로드 -

hwi_700.zip

8.29MB

HWINFO 다운로드 사이트 바로가기

Free Download HWiNFO Sofware | Installer & Portable for Windows, DOS

Start to analyze your hardware right now! HWiNFO has available as an Installer and Portable version for Windows (32/64-bit) and Portable version for DOS.

www.hwinfo.com

▲ 상단에 있는 첨부파일 혹은 HWINFO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HWINFO 압축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압축을 해제합니다.

그 후 폴더내에 있는 "HWINFO32/64"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나면, "Run"을 클릭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 HWINFO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위와 같이 CPU와 GPU정보에 대한 정보가 나나타납니다.

CPU 모델 , 지원 명령어 , 기본 클럭 , 제조 공정등 기본정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PU도 마찬가지로 모델 , 제조 공정 , 전용 메모리 용량등 기본사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PU 및 GPU가 사용하는 전력 및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HWINFO 프로그램 상단에 있는 "Sensors"를 클릭합니다.

▲ Sensors 탭에서는 CPU 클럭 및 소모 전력 그리고 온도에 대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외에도 HWINFO 프로그램에서는 PC의 전반적인 하드웨어 사양에 대해서 자세히 확인이 가능합니다.

컴퓨터 내부 온도가 궁금할 때

얼마전 제 블로그에 아티브북9 플러스의 냉각팬 소음과 관련된 질문이 올라왔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티브북9 플러스의 팬소음은 매우 조용한 쪽에 속한다고 생각하고 만족하게 사용중이었는데, 질문하신 분의 아티브북9 플러스는 냉각팬 소음이 무척 심한 듯 싶었습니다.

노트북의 냉각팬은 노트북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에 특히 민감하게 작동하는터라 아무래도 노트북 내부의 온도를 확인해보시라 충고를 했습니다.

그렇게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다가 제가 사용중인 아티브북9 플러스의 온도를 확인해봐야 겠다 싶어, 예전에 즐겨 사용했던(USB에 묵혀두었던) 시스템 정보 확인 프로그램인 Everest를 실행해봤습니다.

그런데 오랫만에 실행해 본 Everest에서 CPU의 온도값은 보이질 않더군요.

너도 참 오래되었구나

하도 오랫만에 실행하는 것이라 어디엔가 있는 값을 못 찾는 것인가 싶어 여기저기 클릭해봤지만 SSD와 USB로 연결된 외장 하드디스크의 온도 값 외에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CPU-Z 제작사에서 내놓은 HWMONITOR PRO

그동안 이런 프로그램을 무던히도 실행안했구나 싶어 다른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찾아봤습니다.

마침 CPU 정보 확인을 위해 자주 썼던 CPU-Z로 친숙한 CPUID홈페이지에서 HWMONITOR PRO란 프로그램을 발견(!)했습니다.

HWMONITOR PRO는 윈도우용과 안드로이드용 두가지가 있는데, 저는 윈도우용을 클릭했습니다.

이런 시스템 상태 확인 프로그램들은 한 컴퓨터에서 여러 번 사용하기 보다는 여러 컴퓨터의 상태를 확인하는 용도로 더 많이 쓰게 되죠.

때문에 컴퓨터에 설치하는 형태보다는 압축만 풀어 실행하는 포터블 프로그램이 제격인 듯 합니다.

HWMONITOR PRO 역시 ZIP 파일로 압축된 포터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CPUID 사이트의 문제인지, 제 컴퓨터의 문제인지 모르겠지만 컴퓨터의 웹브라우저로 접속했음에도 자꾸 모바일 웹페이지만 뜨면서 안드로이드 버전의 HWMONITOR PRO만 표시되는 문제가 있더군요.

혹시 저와 같은 문제를 겪었다면 홈페이지 하단에 있는 [View classic version website] 버튼을 클릭하면 PC용 페이지가 뜹니다.

32비트와 64비트를 구별하여 실행

HWMONITOR PRO의 압축을 풀면 2개의 실행파일이 나옵니다.

x32라고 붙은, 32비트용 파일과 x64라고 붙은 64비트용 실행 파일입니다.

32비트, 64비트 프로그램은 현재 사용중인 운영체제의 버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즉 현재 사용중인 운영체제가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 구별하면 되는데요, 이를 위해 [내 PC]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속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윈도우 키]+[Pause/Break]키를 눌러도 됩니다.

시스템 등록 정보의 [시스템 종류] 항목을 보면 32비트, 64비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버전에 맞는 HWMONITOR PRO를 실행하면, 꽤 간단한 테이블에 부품명, 현재 측정값(Value), 최소값(Min), 최대값(Max)이 표시됩니다.

측정값은 컴퓨터에 내장된 센서에 따라 다르지만, CPU에 공급되는 전압, 온도, 소비전력, 클럭 등 상당히 상세한 값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CPU와 SSD 등의 온도 정보 뿐 아니라 소비전력, 배터리 상태까지 표시됩니다.

배터리 상태를 예로 들어보면 제 아티브북9 플러스 배터리의 설계용량은 55480 mWh, 현재 최대 충전 용량 54720mWh로 표시됩니다.

그리고 1년 남짓 사용한 아티브북9  플러스의 배터리 최대 용량이 2%정도 낮아진 걸로 확인되어 상태가 상당히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4/07/13 - powercfg로 노트북 배터리 상태 확인하는 방법. 노트북 배터리의 남은 수명은?

항목 중 [TRIAL] 이라고 표시되는 항목은 트라이얼 버전의 제약으로 값을 보여주지 않는 것인데, 특정 항목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HWMONITOR PRO 프로그램을 종료했다가 다시 실행하면 [TRIAL]이 다른 값으로 옮겨지면서 가려져 있던 항목의 값을 볼 수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 단추에 특정 값 띄우기

HWMONITOR PRO와 같은 시스템 정보 측정 프로그램을 사용하다보면 오랜 시간 실행하고 지켜봐야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프로그램 전체를 띄워 놓아도 되지만, 바탕화면 오른쪽의 작업 표시줄 단추에 특정 값을 고정시켜 볼 수도 있습니다.

고정하려는 값에서(저는 CPU의 온도값 중 Package 항목을 선택)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Add to Tray]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작업 표시줄 한 쪽에 HWMONITOR PRO에서 선택한 값이 고정됩니다.

이 값이 변함에 따라 숫자 역시 계속 변하므로 오랜 시간 값을 확인하는데 매우 유용합니다.

[Tools]-[Logs] 항목을 선택하여 보다 오랜 시간동안 정확히 값을 기록하여 확인할 수 있으니 각자 용도에 맞게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오랫만에 이런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띄워놓고 확인해보니, 예전보다 온도, 전압, 전류 등 측정 가능한 센서의 종류가 다양해졌고 보다 세밀해졌다는 것, 무엇보다 2.5GHz로 작동하는 CPU가 소비하는 전력이 불과 3~5와트 남짓한 것을 보니, 격세지감이 느껴집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