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한자 뜻 - joseon hanja tteus

학교에서 지금 조선에 대해 배우고 있다. 문득 이름과 지명은 어떤 의미로 지어진 걸까 궁금해졌다. 처음 지명에 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건 아버지의 영향이 크다. 아버지와 함께 아버지의 고향 남원에 내려간 적이 있었는데, 한자로 되어 있는 지명에 궁금한 점이 생겨서 물어본 적이 있다. 아버지는 남원은 남쪽에 있는 근거지라는 뜻이 담겨 있다고 풀어주셨다. 집에 돌아와서 궁금한 점을 찾아보니,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름에는 잘 기억하기 위한 부분들과 특징들을 잘 나타내는 부분들도 포함되었다는 사실은 놀라웠다. 지명은 사람들이 아무렇게나 짓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약속이었다. 지명에 대한 관심은 국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조선은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 이후에 세운 나라의 이름이다. 이성계는 고려를 회복시킬 수 없다고 믿었다. 그래서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고 했다. 이성계는 왕위에 오른 후 국정에 대한 강령 17개조를 발표했는데, 이때까지도 아직 나라 이름을 정하지 못했다. 새로운 나라가 시작되었지만, 나라 이름을 정하지 못했다는 것은 외교적으로도 중요한 일이어서 매우 시급한 문제였다. 이성계는 중국의 새로운 주인이 된 명에게 사신을 보냈다. 조선은 명에게 국호를 바꾸는 것을 허락을 받아야 했다.1나는 이점이 매우 흥미로웠는데, 나라 이름을 바꾸는 것은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일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금도 우리나라의 대통령이 바뀌면, 미국이나 중국으로 가서 대통령끼리 만나는 일을 하는데, 여전히 힘이 강한 나라에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이라는 나라 이름은 두 가지 중에 선택된 이름이었다. 조선은 명에 두 가지 선택지를 주었다. 하나는 이성계의 고향 이름에서 따온 “화령”이었고, 다른 하나는 단군조선의 맥을 잇는 의미가 있는 “조선”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명의 반응이다. 명은 조선을 국호로 하는 것을 허락했는데, 명이 조선을 국호로 정한 이유는, 조선을 중국의 제후국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명은 조선이라는 이름을 단군조선을 계승한 것이 아니라, 은나라 현인이 세운 기자조선을 계승한 것이라고 여겼다. 한쪽은 자주적인 의미를 담았고, 다른 한쪽은 사대적인 의미를 담았다.2

나라 이름이 어떻게 정해졌는가에 대해서 알게 된 후에는 나라 이름의 뜻에 대해서도 궁금해졌다. 조선이라는 한자 단어를 보면, 밝은 아침의 아름다운 빛의 나라라는 뜻이다. 그런데 조선이라는 이름의 뜻을 살펴보면, 고조선의 아사달에서 왔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다. 중국의 고대 문헌에서 아사는 아침이고, 달은 산이나 언덕을 의미한다고 한다. 조선이라는 이름은 우리가 생각하는 이름의 뜻이 아니라, 본래는 다른 뜻에서 왔을 수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이 점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고 공부해 보고 싶다.

참고 및 인용자료 출처

1.참고 박영규 by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 실록 79p~80p
2.참고 박영규 by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 실록 79p~80p

정현구 목사 /서울영동교회

옛날 선교 초기, 조선에 온 미국인 선교사가 보니 양반들은 모두 머리에 갓을 쓰고 있었는데, 그 모습이 하도 신기하여 한 유식한 양반에게  물어보았다고 합니다. "그 머리에 쓴 것이 무엇이요?" "갓이요." "아니, 갓이라니! 갓(God)이면 하나님인데 조선 사람들은 머리에 하나님을 모시고 다니니 하나님의 영이 이미 그들에게 임했다는 것 아닌가?"

     선교사가 또 물었답니다. "그러면 이 나라 이름이 무엇이오." 양반은  한자로 글자로 쓰며 대답했습니다. "朝鮮이요! 아침 朝, 깨끗할 鮮, 이렇게 씁니다."라고 대답하며 글자를 써 보였습니다.

     그 선교사는 더욱 깜짝 놀라 "깨끗한 아침의 나라, Morning calm의  나라란 말이 맞는구나"라고 말하고는 조선의 '朝'자를 풀이해 달라고 하였답니다. 양반은 천천히 글자를 쓰면서 대답했습니다. "먼저 열十 자를  쓰고 그 밑에 낮이라는 뜻의 날日자를 쓰고, 또 열十 자를 쓰고 그 곁에  밤이라는 뜻의 달月 자를 씁니다. 이렇게요." 선교사는 놀라서 중얼거렸습니다. "낮(日)에도 십자가(十), 밤(月)에도 십자가(十), 하루 종일 십자가 라는 뜻이구나." 

     그리고 또 말했습니다. "鮮자도 풀이해 주시오." "물고기 魚 옆에 양 羊 자를 씁니다." 선교사가 다시 놀라며 말했습니다. "물고기는 초대 교회 의 상징인 '익투스'로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신앙고백이고, 또 羊은 '하나님의 어린 양'이니 鮮자는 완전히 신앙고백의 글자입니다." 선교사는 감탄하여 말하길 "朝鮮이라는 나라는 이름부터가 낮이나 밤이나 십자가만 바라보며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이요 우리의  구주이신 어린 양' 이라는 신앙 고백적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아니한가. 조선은 하나님께서 예비해 두신 복음의 나라로다."

     감탄을 하며 선교사가 또 질문을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조선 사람을 영어로는 어떻게 쓰나요?" " Chosen People 이라고 씁니다." " 와우! 선택된 (Chosen) 사람들 (People), 조선은 과연 동방의 선민(選民)이군요!" 

     누가 카톡으로 보내준 조선에 대한 뜻 풀이입니다. 조선에 대한 뜻처럼 조선을 향한 하나님의 뜻이 있다고 믿고 싶습니다. 조선은 이스라엘처럼 열강의 틈새에 있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수많은 외침을 받아 왔고,  냉전의 산물인 분단도 그 결과입니다. 이로 인한 전쟁의 상처와 고통은 하나님께서 한반도를 버렸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큰 뜻을 위해 택했기  때문이라고 믿고 싶습니다. 하나님 안에서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됩니다. 남북정상회담도 그 큰 뜻 안에 있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