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 필기 난이도 - jeongbocheoligineungsa pilgi nan-ido

인증 먼저 합니다.

공부과정

저는 정보처리기능사를 군대에서 공부했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포상휴가를 준다기에, 빠르게 딸 수 있는 것으로 봤습니다. 덕분에 이 자격증은 저의 포상휴가가 되어주었죠.
1. 필기 공부 과정
필기는 열심히 공부하거나 하는 거 없이 그저 유튜브 영상을 죽 봤습니다.

정보처리 필기 2021 개정판 - YouTube

정보처리 필기 2021 개정판

www.youtube.com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www.comcbt.com

역시나 이번에도 문제를 열심히 풀기보다는 답을 암기하는 방식으로 공부했습니다.
어차피 일정 점수 넘으면 되는 자격증 시험 특성상 원리를 이해하는 것보다 답을 암기하는 편이 더 빠릅니다.
2. 실기 공부과정
실기 또한 인터넷에 자료가 많습니다만은...
웃기는 것이 필기 합격 통보가 실기 시험 응시하기 10일 전 쯤에 와서 공부할 시간이 별로 없었습니다. 역시나 군대행정...

그래서 합격은 글렀다 싶어서 시험을 칠 생각도 없는데, 자꾸 근무지 간부가 시험인데 공부안하냐고 소리지르고 욕설을 내뱉고 난리도 아니라, 결국 억지로 공부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이, 군대에서 국가기술자격검정을 치면 기출문제를 보내줍니다. 어차피 10일도 안되는 시간밖에 없으니, 이번에도 어김없이 기출문제의 답을 암기했습니다.
기출문제를 보니 필기 내용과 반복되는 것이 많아서, 추가로 필기 당시 공부했던 자료를 다시 복습했습니다.

체계적으로 공부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www.youtube.com/watch?v=q4n1TNqTmyM&list=PLimVTOIIZt2ayBiqmHZwtaZXGQYvbJhcF

저처럼 대충(...) 공부하시려면 아래 영상이 좋을 것 같네요.
//www.youtube.com/watch?v=M-2sfY5Cf3U

3. 단번에 합격
시험 당일 외출을 허가받고, 17비행단까지 가서 시험을 응시하고 왔습니다. 코로나 시국답게 시험을 치러온 사람이 별로 없더군요. 500명은 들어갈 넓디넓은 강당에 10명이 들어 앉아서 시험을 쳤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15문제? 정도 나왔던 것 같습니다. 코딩 문제는 문법만 알면 쉬운 문제들이었고, 오히려 암기문제들이 처음보는 것들이 나와서 당황했네요.

하지만 대체로 평이했던 것 같습니다.

...

실기를 10일 정도만 공부했지만, 그래도 결국엔 합격했습니다.

정보처리기능사는 어떤 시험?

이 시험은 정보 기술 관련 분야를 다루는 시험입니다. 그리고 정보처리기능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 시험으로 나뉩니다. 필기의 경우는 주관식이지만 실기는 필답형입니다. 그리고 2020년 전까지는 이 시험은 상시 시험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정기시험으로 전환이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난이도도 매우 상승하여 정보처리기능사 쉽다는 얘기는 이제 옛말이 되었습니다. 난이도에 대한 내용은 바로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정보처리기능사 난이도

과거에 정보처리기능사 시험은 정기시험이 아니었고 응시자가 많았습니다. 그리고 합격자도 많았습니다. 과거에 최연소 합격자는 6살 아동이 있었을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현재는 실기시험이 필답형으로 바뀌면서 합격자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필기시험의 경우 지금도 난이도가 어려운 편은 아닙니다. 그런데 실기 합격률을 보면 시험의 난이도를 체감하실 수 있습니다. 2020년 이전에는 실기 합격률이 거의 50%가 넘었습니다. 그러나 이후에는 합격률이 평균 20%가 되지 않습니다.

큐넷 홈페이지에서 이 자격증의 실기 시험과목을 보면 "정보처리 실무"라고 나와있습니다. 따라서 범위가 넓은만큼 난이도가 높아진 것이라고 파악됩니다.

정보처리기능사 시험 일정

시험일정은 사진과 같습니다.

원서 접수는 휴일이 제외인 만큼 늦지 않도록 접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보처리기능사 공부법

과거에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 취득하면 공무원 시험에서 0.5점이라는 가산점이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지금은 이 가산점이 폐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과거에는 난이도가 쉬웠던 것만큼, 수험생이 많았습니다. 특히 군인의 경우는 자격증을 취득하면 포상휴가를 받을 수 있었기에 이 시험의 쉬운 난이도로 많은 군인들이 이 시험에 응시했었습니다.

그래서 과거에는 충분히 혼자 학습해서 취득하기 쉬운 자격증 중 하나라고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난이도가 상승한 만큼, 이제는 이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공부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인터넷을 활용한 강의 등을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필기의 경우는 기출문제로 충분히 합격을 할 수 있지만, 실기의 경우는 강의 등을 통해 어느 정도 학습이 되어야 합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관련 분야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실무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 알아봤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선반기능사에 모든 것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선반기능사에 모든것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는 어떤 자격증인가? 이 자격증은 "정밀 가공"에 대한 자격증입니다. 정밀 가공은 선반이나 밀링을 이용해서 공작물을 가공하는 것입니다. 선반과

sk.infor-more.com

정보처리기능사 2021년 4회차를 응시하였다.

필기는 4지선다이기도 했고 예전 기출문제와 거의 동일하게 나왔기 때문에

하루는 개념을 외우고 또 하루는 플레이스토어에 있는 앱을 이용해 기출만 풀었더니

이틀만 공부하고 쉽게 합격할 수 있었다.

실기같은 경우에는 2과목 프로그래밍 언어는 전공이라

한번 개념 훑어보는 정도로만 공부했고 그 2과목 다음으로 중요한

4과목 SQL은 명령어 사용법들을 암기하였다.

1과목은 한번씩 모든 개념을 훑어보고 암기할만한 것은 모두 암기하였다.

특히 인터넷 계층과 같은 중요한 부분들은 시험 보기 전까지 계속 보았다. 

3과목은 솔직히 공부안하다가 시험 30분 전에 한번 훑어보는 정도로만 공부했다.

그렇게 2일 공부하고 시험을 보러 아침일찍 서울에서 평택에 있는 국제대학교까지 갔는데

내가 시험봤던곳에서는 초등학생도 있었다. 대단하다 생각했다. 벌써부터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다니..

일 년에 4번밖에 못 보고 떨어지면 내년을 기약해야 하니 수능 보러 시험장 갔을 때보다 더 떨렸던 것 같다.

어쨌든 시험 시작하고 문제를 풀었는데 1번 프로그래밍 문제부터 헷갈렸다.

16진수, 8진수에 관한 문제였는데 순간적으로 이 둘이 헷갈렸다. 

전반적으로 프로그래밍문제가 작년보다 어렵게 나온 것 같았다.

그래서 프로그래밍문제 하나 더 틀려서 총 2개 틀렸을 거다.

그래서 합격못할줄 알았는데 다행히 4과목 SQL 쪽은 다 맞았고 

1과목도 많이 맞았고 3과목도 아마 한문제는 맞았을 거다. 

그래서 70점으로 합격했다. 

이번 2021년 4회차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통계를 보니

2676명 응시에 462명 합격으로 합격률이 17.2%밖에 되지 않았다 한다.

올해 1, 2, 3회때 합격률이 각각 37.3%, 38.2%, 63.4%인 것을 보면 매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어려웠는데 붙어서 다행이다. 

앞으로 정보처리기능사 실기시험을 볼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2과목과 4과목인 프로그래밍언어, SQL파트는 무조건 다 맞추기 위해 공부해야 한다.

이 쪽만 맞춰도 거의 합격점수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3과목은 2문제 정도만 나오기 때문에 솔직히 여기 공부할 시간에 1과목

더 암기하는게 좋아보인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